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연구 전통에서 미디어를 사유하기

        이동후(Dong-Hoo Lee)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2

        이 글은 문화연구 전통에서 미디어를 사유했던 방식을 되돌아보고 어떻게 사유할 것인지의문제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문화연구 전통은 미디어를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지만, 정작 미디어 자체에 관한 관심보다는 미디어에 반영되거나 미디어로 재현되는 ‘무엇’,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거나 수용되는 ‘무엇’, 그리고 이러한 ‘무엇’에 작동하는 주체-권력의 동학에 주목해왔다. 특히 미디어의 행위성및 인간-기술의 상호관계성을 주목했던 미디어 생태학적 전통을 기술 결정론이라고 낙인찍으면서, 이들 시각과의 접목을 통한 생산적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했다. 이 글은 문화연구에서의 미디어에관한 사유를 위해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이 어떠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논의해본다. This paper reviews the ways in which media technologies have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cultural studies. Cultural studies has considered media technologies to be crucial to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and its scholars have thoroughly examined their cultural production, audience reception, textual representation, and social relations. However it has given little direct attention to ‘media as media’ or human-technology interplay. By criticizing the media ecology tradition as technological determinism, they have failed to have a productive interdisciplinary dialogue about media theory. This paper discusses what insights the media ecology perspective can provide for thinking about media technologies in cultural studies.

      • KCI등재후보

        문화연구 전통에서 미디어를 사유하기

        이동후(Dong-Hoo Lee)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2

        이 글은 문화연구 전통에서 미디어를 사유했던 방식을 되돌아보고 어떻게 사유할 것인지의 문제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문화연구 전통은 미디어를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지만, 정작 미디어 자체에 관한 관심보다는 미디어에 반영되거나 미디어로 재현되는 ‘무엇’,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거나 수용되는 ‘무엇’, 그리고 이러한 ‘무엇’에 작동하는 주체-권력의 동학에 주목해왔다. 특히 미디어의 행위성 및 인간-기술의 상호관계성을 주목했던 미디어 생태학적 전통을 기술 결정론이라고 낙인찍으면서, 이들 시각과의 접목을 통한 생산적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했다. 이 글은 문화연구에서의 미디어에 관한 사유를 위해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이 어떠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논의해본다. This paper reviews the ways in which media technologies have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cultural studies. Cultural studies has considered media technologies to be crucial to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and its scholars have thoroughly examined their cultural production, audience reception, textual representation, and social relations. However it has given little direct attention to ‘media as media’ or human-technology interplay. By criticizing the media ecology tradition as technological determinism, they have failed to have a productive interdisciplinary dialogue about media theory. This paper discusses what insights the media ecology perspective can provide for thinking about media technologies in cultural studies.

      • KCI등재

        e-learning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동후(Dong-Hoo Lee),황승국(Seung-Gook Hw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2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으로 교육환경ㆍ방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교육산업도 교육의 전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e-learning이 많은 분야에서 도입되었고, 빠른 속도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 확산 노력에 힘입어 그동안 e-learning의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대부분이었고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e-learning 교육만족도평가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대상으로 퍼지구조모델링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e-learning 교육만족도에 관한 의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의식구조분석의 결과가 고려된 평가모델을 구축하여 e-learning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e-learning 교육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new paradigm creation requirement about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method is increasing and also the e-learning to apply traditional education industry was introduced in many field of education. The research about a learner's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aided by effort to spread this e-learning, have been processed much but most of these researches were intended for the enterprise and there are few for the high school.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for evaluating the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and analyzed the consciousness structure about the e-learning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using Fuzzy Structural Modeling method. Also, constructing an evaluation model considered the results of consciousness structure analysis, we evaluated the e-learn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showed a method which improved it by the sensitivity analysis.

      • KCI등재

        모바일 디지털 지도에 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이동후(Lee, Dong H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2

        이 연구는 일상에서 장소정보나 길찾기를 위해 자연스럽게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를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실 세계와 언어 상징의 관계 구조를 주목했던 코르지브스키의 “지도가 영토는 아니다”라는 개념을 확장시키고,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미디어 생태학을 논의한다. 이 연구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미디어로서 갖는 맥락을 살피면서, 이것의 상징적, 물리적 형식과 시간적, 공간적, 인식론적 편향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미디어의 이해를 통해,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어떻게 재현의 공간을 만들고 공간 경험의 양식을 구조화하는지, 그리고 장소에서의 사람들의 움직임과 지각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As smartphones become our everyday media, they have affected the ways of lived experiences in places. They enable us to get into a so-called space of flows, such as those of immater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yet to apply locative information to their real-time experiences on mov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a placed-based space and a space of flows. One of main media forms that smartphones remediate is digital map. Mobile digital maps via smartphones allow us not only to search for locative information on the move in real time, but also to tag meta-data on locations, to add locative information in multimedia forms, to create the personalized ‘performative’ maps based on our needs, and even to express ourselves with the records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physical places.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how mobile digital maps mediate spatial reality and sense of place from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ase of a local mobile digital map, Naver Map in South Korea, explor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its language, bias, and relationship with spatial reality and meanings have evolved along with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this case study, it discusses the mobile digital maps ways of mediating a sense of place. 이 연구는 일상에서 장소정보나 길찾기를 위해 자연스럽게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를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실 세계와 언어 상징의 관계 구조를 주목했던 코르지브스키의 “지도가 영토는 아니다”라는 개념을 확장시키고,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미디어 생태학을 논의한다. 이 연구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미디어로서 갖는 맥락을 살피면서, 이것의 상징적, 물리적 형식과 시간적, 공간적, 인식론적 편향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미디어의 이해를 통해,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어떻게 재현의 공간을 만들고 공간 경험의 양식을 구조화하는지, 그리고 장소에서의 사람들의 움직임과 지각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As smartphones become our everyday media, they have affected the ways of lived experiences in places. They enable us to get into a so-called space of flows, such as those of immater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yet to apply locative information to their real-time experiences on mov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a placed-based space and a space of flows. One of main media forms that smartphones remediate is digital map. Mobile digital maps via smartphones allow us not only to search for locative information on the move in real time, but also to tag meta-data on locations, to add locative information in multimedia forms, to create the personalized ‘performative’ maps based on our needs, and even to express ourselves with the records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physical places.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how mobile digital maps mediate spatial reality and sense of place from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ase of a local mobile digital map, Naver Map in South Korea, explor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its language, bias, and relationship with spatial reality and meanings have evolved along with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this case study, it discusses the mobile digital maps ways of mediating a sense of place.

      • KCI등재후보

        일상 미디어로서의 라디오의 진화

        이동후 ( Dong-hoo Lee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11 No.2

        20년 전만 하더라도 라디오 소리는 버스나 다른 공공장소에서 손쉽게 들을 수 있던 배경음중의 하나였으나 지금은 사람들의 청각을 점유하기 위해 여러 미디어 형식의 소리들과 경쟁해야만 한다. 디지털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라디오는 새로운 미디어 형식이나 기기의 내부 미디어(intra-medium)로 재매개 되었고 다른 미디어 형식과 융합될 수 있게 된다. 올드 미디어로서의 라디오가 디지털화되고 이전과 다른 성격의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결합되면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체계의 일부로 잔존하게 된다. 이와 함께 라디오 이용 양식 또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 글은 미디어 간의 관계 혹은 미디어-인간 간의 관계를 주목하는 관계주의적 시각에서 라디오의 진화와 일상생활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아날로그 방송으로 특유의 미디어 경험 양식을 허용했던 올드 미디어가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어떻게 진화해왔고 어떠한 일상적 경험을 허용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통해 ‘탄력 미디어’로서 라디오가 갖는 현재 위상과 의미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Until 20 years ago, radio was a ubiquitous background sound that could easily be heard on buses and other public places in Korea; now, however, it must compete with the sounds of various forms of media which also fill people's ears.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ies, radio can be ‘remediated’ as an intra-medium within new media devices by integrating it with other forms of media. While radio remains a part of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system where old media are being integrated with new media technologies, it takes on a different relevance and meaning than it did in the past. This paper attempts to look at the evolution of radio and its embeddedness in everyday life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tha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forms of media as well as between media and humans. In other words, it will explore how radio has transformed with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what modes of experiences its medium specificity has allowed people to experience as it forms a part of their daily routines. It will also discuss the current status of radio as a resilient medium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 KCI등재

        휴대전화 인터페이스에 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이동후(Lee Dong-H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

        이 논문은 소위 미디어 기술의 융합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휴대전화의 인터페이스를 미디어생태학적 시각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인터페이스를 미디어를 접하는 ‘접속 면’의 기술적 장치내지 도구 보다는 맥루언 식의 “메시지로서의 미디어” 개념으로 이해하면서, 휴대전화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공간적 실재와 인간 주체의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이란 미디어를 메시지 전달의 도구나 중립적 회로(conduit)가 아닌 인간의 소통과 상호작용 과정을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환경으로 보면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 인간의 유기적 관계를 주의 깊게 성찰한다. 이 글은 하나의 미디어 환경으로서의 휴대전화 인터페이스가 인간의 지각 및 경험에 결합되는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그동안 휴대전화와 같은 디지털 뉴미디어의 특성이나 문화적 효과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했던 재매개의 정리(the theorem of remediation), 시공간의 구속으로부터의 탈피 개념, 매개된 공간과 실제 공간의 이분법적 시각, 미디어에 대한 도구적 시각, 사용자의 능동성 개념 등을 재고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재고를 기초로,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구성하는 미디어의 물리적, 상징적 형식으로서의 인터페이스가 휴대전화에 있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실재와 인지관습의 재편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생각해보았다. 요컨대 휴대전화 인터페이스는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변증법적으로 연계시키며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 그리고 데이터 공간과 사회적 공간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또한 우리 몸의 지각 방식이나 미디어-몸의 관계를 재구성하며, 기존과 다른 기술적 주체성을 형성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 인터페이스의 재매개성이나 혼종적 공간성은 이러한 기술적 주체의 다중적 감각을 만들어내며, 확장과 절단의 역설을 가져다준다. Mobile phones that combine connectivity with mobility can transform absolute and transcendental concepts of time and space into relative ones. These devices tend to extend human activities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y increasing "mobile communicability en route" and "real-time interaction." As social and multi-functional media, they tend to reconstruct our temporal and spatial experiences. This study attempts to theoretically explore how the mobile phone interface as a new media environment has conditioned people's experiences of space, as well as their technological subjectivity. It discusses the concepts of remediation, hybrid space, and multisensoriness.

      • SCOPUSKCI등재

        간장 및 담도 : E . R . C . P . 시행 전 , 후의 T . L . I . ( Trysin Like Immunoveactivity ) 와 Amylase 의 상관관계

        이동후(Dong Hoo Lee),박경남(Kyung Nam Park),이민호(Min Ho Lee),배상철(Sang Cheol Bae),이성구(Seong Koo Lee),함준수(Jun Soo Hahm),이종철(Jong Cheol Lee),기춘석(Chun Suk Kee) 대한소화기학회 198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18 No.2

        N/A Serum TLI and Amylase were studied in 20 patients before and afte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None of the patients develops clinical acute pancreatitis.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TLI and Amylase was found after ERCP (p<0.05). Serum TLI peak was observed at 1 hour and Amylase peak at 6 hours.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 was found between serum TLI and Amylase 1, 6, 24 hours after the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