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출판 분야 표준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오미자 ( Mi-ja Oh ),조용상 ( Yong-sang Cho ),신성욱 ( Sung-wook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3

        최근 등장한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폰과 iPad와 같은 미디어 디바이스의 등장은 전세계 소비자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관심은 종이책의 디지털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국내외 전자출판물 산업의 가파른 성장을 가져왔다. 하지만 다양한 디바이스와 콘텐츠들이 생겨나면서 호환성 문제가 대두되었고 전자출판물과 관련한 콘텐츠의 교환 및 공유를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과 수요를 만들어 냈다. 본 연구는 전자출판물 표준화와 관계된 산·학·연·관 이해관계자 16명의 의견 수렴을 통해 향후 전자출판분야의 콘텐츠 및 유통, 디바이스, 표준화, 기술적 보호조치, 저해요인 등에 대한 미래에 예측되는 변화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추후 표준개발을 위한 영역 및 요소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The recent emergence of diverse platform-based 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iPads has aroused interest of consumers all across the world. This interest has led to digitalization of paper books and a steep growth in the digital publishing industry at home and abroad. However, advent of various devices and content has caused the issue of compatibility and produced needs and demand for standardization to exchange and share content related to digital publication.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of 16 stakeholders from the industrial, academic, research, and public secto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dictable future changes about content and its distribution, devices, standardization, technical protective measures, and obstacles in future digital publishing and eventually to draw out areas and elements for future standards development.

      • KCI등재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오미자 ( Mi Ja Oh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교육에 활용함에 있어 학습자의 인식을 탐색 하고자 하였다.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고자 학습자 혁신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속성(개인적, 기능적, 사회적 가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해당 서비스가 가진 속성이 학습 수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혁신성은 개인적, 사회적 가치에만 유의하였으며,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가진 속성(개인적, 기능적, 사회적 가치)은 학습 수월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친숙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타인과의 정보 공유나 상호 작용을 하려는 의지를 가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차이는 혁신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개인적 가치 속성만 유의하였으며, 높은 집단에서는 모든 속성이 유의하였다. 이는 혁신성이 낮은 학습자는 신속성, 접근성 등의 기능적 가치나 타인과의 상호 작용 등의 사회적 가치보다는 서비스의 친숙성과 신뢰성 등의 개인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비스가 정보의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정보 평가 등의 시스템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erceptions of learners in using the new service called social curation service for education. To consider learner traits,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learner innovativeness and properties of social curation service (personal, functional, social values), with learner innovativen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t also attempted to see what impact the properties of the service have on learning excellence. As a result, innovat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 and social values, and properties of social curation service (personal, functional, social values) had all positive impact on learning excellence. This means that if social curation service provides familiar and reliable information, the service will enhance the will to share information or to interact with others. Also, it was found that social curation service was believed to be useful for learn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showed that only personal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low innovativeness, but all personal,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were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high learner innovativeness. This means that learners with low innovativeness attach more importance to personal value, including familiarity and reliability, than to functional value, including speediness and accessibility, or social value, including interaction with other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ystemic devices, including information assessment, are needed to raise the reliability of service inform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한 SW교과목 운영 효과 검증

        오미자 ( Oh Mi Ja ),김미량 ( Kim Mi Rya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6

        최근 초·중등의 SW교육 필수화, SW중심대학 사업 등 SW교육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함께 역량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을 통해 창의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주 분량의 창의역량 초점을 둔 SW교육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설계된 수업으로 15주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주차에는 사전검사를, 15주차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역량 평균값이 사후 검사 때 0.31점 높게 나타났으며 p값도 0.002점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의역량의 4가지 세부 요인(융통성, 독창성, 개방성, 창의적 실행능력)의 p값도 0.05보다 낮게 나타나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교육에서 단순 프로그래밍 교육뿐만 아니라 수업 방법 변화를 통해서도 창의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software education has effects on improving creative competency. To this end, the study designed software education lessons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y for 15 weeks and developed assessment tools. Based on the designed lessons, the 15-week lessons were provided for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a pre-test in the first week and a post-test in the 15th week.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he lessons, with the mean value of creative competency 0.31 point higher and p-value of 0.002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The sub-factors of creative competency, including flexibility, originality, openness, and creative implementing skil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p-value all lower than 0.05.

      • KCI등재
      • KCI등재

        FGI분석을 통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오미자(Mi-Ja Oh),김미량(Mi-Rya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관심사형이라고 불리우는 3세대 SNS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해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여 약 50일간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게 한 후 Focus Group Interview(이하 FGI)를 실시하여 그 답변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NVivo 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 수집, 나만의 카테고리 생성을 통한 분류 및 정리, 관심사에 대한 지속적 업데이트 가능, 기존 SNS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 감소가 장점으로 도출되었다. 보완 및 개선 사항으로는 한국어 콘텐츠 부족, 서비스의 단조로움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속적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는 개인, 팀별로 구분하여 개인은 자발적 정보 검색 및 활용, 나만의 자료 구성 가능,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이 가능하며, 팀별로는 공유를 통한 토론 활동, 발표 활동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use of social curation service, which is the third-generation social networking service called the “matters of interest type.” To this end, the study selected nine college students, then have them use social curation service for about 50 days,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by perform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curation service was found to have strong points, including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summary through creation of my own category, possibility of constant updating of matters of interest, and reduction of relative deprivation compared to exis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solve these issues, constant promotion was needed. From the aspect of educational use, it was found that social curation service had possibilities for individuals and teams: For individuals, the service enabled voluntary search and use of information, configuration of my own data, and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teams, it enabl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ctivities through sharing.

      • 포스터 : SNS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대응 방안 연구

        오미자 ( Mi Ja Oh ),김재현 ( Jae Hyoi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2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PC등의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들이 등장함에 따라 콘텐츠 및 서비스들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디바이스의 등장으로 급격하게 사용률이 증가한 것 중 하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이다. SNS는 고유라는 개념 아래 많은 사람들에게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편리한 가입 등으로 큰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기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논란들이 끊임없이 제기되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술적, 법적, 교육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제주관광 관련 연구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오미자(Oh, Mi-Ja),고미영(Ko, Mi-Young),오상훈(Oh, Sang-Hoo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7 觀光硏究論叢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관광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제주관광 및 내용분석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했고, 분석대상으로 국내 관광분야 7개 등재학술지에 1989년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211편의 논문들을 선정했다. 제주관광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게재년도, 연구주제, 연구방법, 자료수집 방법 등 7개의 분석유목을 활용했다. 분석결과, 제주관광 관련 연구는 2006년 이후 크게 증가했으며, 관광행동심리, 관광자원개발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접근과 설문조사를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 질적 접근과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국인 관광객과 지역주민 외에 외래관광객, 관광사업체, 관광종사원 등 다양한 주체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주관광 관련 향후 연구주제 및 연구방향,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Jeju tourism and sugges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212 journal article published from 1989 to 2015 focused on the selected 7 tourism journals. For review of the research articles, 7 analysis categories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the means of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volume of the Jeju tourism study has increased since 2006 and there was the increase in research subject which was th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and tourist behaviour and psychology. In the research methods, most of researches related to Jeju tourism were limited to quantitative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ddition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re enclosed.

      • KCI등재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한 교수-학생의 인식 연구

        오미자(Oh Mi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해 교수와 학생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6개 대학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8개 대분류와 36개 소분류로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설문은 8개 대분류 영역 중 수업 진행 정보(시간, 교과목명, 교수자명 등), 교재, 기타 사항 등 3가지를 제외하고, 5개 영역에 대한 구체성(교과목 정보, 수업 목표 및 내용, 수업 방법, 과제, 평가방법)에 대해 교수와 학생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학생 11,114명, 교수 81명에 답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은 5가지 영역 모두 평균 4점대로 나타나 모든 영역에서 수업계획서가 구체적으로 작성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5가지 영역 중 2가지 영역인 교과목 정보와 평가 방법의 구체성에서만 평균 4점대를 보여 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 개선 사항으로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의 인식 변화’, ‘선 이수과목’, ‘비연관전공자 수강가능 여부 표시를 위한 시스템 변경’, ‘주기적 수업계획서 업데이트 가능’을 필요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o examine how much they think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syllabus from six colleges, classifying components of syllabus into eight categories and 36 sub-categor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specificity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course information, lesson objectives and contents, lesson methods, assignments, and assessment methods. From the eight categories, the survey excluded three categories, such as lesson procedure information (time, course name, teacher’s name), teaching materials, and other mat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11,114 students and 81 professors, it was found that student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all the five areas, which showed they thought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Professor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only two areas, which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bout preparing syllabus specifically,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i) professors’ perceptions of syllabus be changed, ii) system be changed to indicate prerequisites and whether students of unrelated majors can register for the course, and iii) syllabus need to be updated periodically.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인터넷라이프스타일, 관광정보원천, 관광정보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손은미 ( Eun Mi Sohn ),박운정 ( Oun Joung Park ),오미자 ( Mi Ja Oh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환경에서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온라인 관광정보원천 이용과 만족도, 여행관여도의 영향관계를 살펴 본 후 온라인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26부의 설문지를 획득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VALS는 소비자검색사이트 이용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소비자검색사이트 이용정도는 관광정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좀 더 세부적으로, ‘쇼핑 및 정보지향형’과 ‘개성 및 새로움 지향형’의 라이프 스타일은 소비자검색사이트 이용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셋째, I-VALS가 소비자검색사이트 이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여행관여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개성 및 새로움지향형’과 ‘인간관계지향형’의 라이프 스타일의 그룹에서는 소비자검색사이트 이용정도가 여행 관여도에 따라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internet life-style, tourism information sources and satisfaction to figure out suitable online marking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226 questionnaire survey sheet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ich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1.0 statistic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hypothesis 1 ‘I-VALS would have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search site use’ was partially adopted. Hypothesis 2 ‘level of use of consumer search site would have significant impact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adopted. Specifically, ‘shopping/ information-oriented type’ and ``personality/novelty- oriented type’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use of consumer search site. Finally, hypothesis 3 ‘I-VALS would have different impact on the level of use of consumer search site by the tourism involvement level`` was partially adopted. Specifically, tourism involvement had moderating effect on ``personality/novelty-oriented type’ and ‘human relation-oriented type’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level of use of consumer search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