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南北朝時代 北朝 고분 출토 西方係 琉璃器

        송란(Lee, Song-r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주지하다시피 신라 고분에서는 20여점이 넘는 유리용기가 발견되었다. 학계에서는 신라의 유리그릇은 서방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으로 보는 의견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이 그 제작지로 추정되고 있고, 수용 경로는 초원루트가 유력시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 출토된 유리기의 정황으로 보면 신라의 유리그릇의 제작지와 수용지를 달리 고민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남조의 지역이었던 호북성, 강소성에서 출토된 유리의 수입경로는 바닷길이었을 것으로 보는 의견들이 중국학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서방계 유리기의 사용 양상이 가장 복잡한 위진남북조시대 북조의 북연과 북위, 북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의 유통과정을 분석하여 신라의 서방계 유리그릇 수용 경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북조 고분에서 발견된 서방계 유리기가 유통된 통로로는 먼저 해로가 있다. 로마, 남인도, 인도네시아의 말라카 해협을 거쳐 타일랜드, 베트남, 남중국을 잇는 항로는 한대부터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다. 5세기 초반의 북연의 풍소불묘에서 출토된 유리기중 4점이 로만 유리로 추정되는데 이중 압형유리수주를 제외한 3점이 해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대 강소성에 위치한 동진 귀족급 묘에서 로마유리기들이 많이 출토된 상황이 주목된다. 풍소불묘의 이 3점의 로마 유리는 남조를 통해 먼저 유입된 다음 다시 북연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반면 鴨形水柱는 아프가니스탄 베그람(Begram)의 수주와 비교하여 초원루트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북위 太和7년(483년)에 사망하였고 正光2년(521년) 평성에 이장된 封魔奴墓의 網目文(Net pattern) 유리배도 초원로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北魏山西大同M107號墓의 커트문 유리완과 北周寧夏回族自治區固原縣南郊李賢墓의 고부조의 커트문 유리완은 에프탈인들이 육로를 통해 중국 북조로 유통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북위 대동에서 활동했던 에프탈인들의 활동과 에프탈이 사산조페르시아를 전쟁으로 굴복시켰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새롭게 주목되는 점은 중국에서 에프탈인에 의해 서방계 유리가 제작되는 정황이다. 북위 태화 5년(481년) 효문제의 명으로 세워진 定縣塔기단의 石函에서 출토된 佛鉢을 비롯하여 당시 북위 수도인 大同에서 중국 현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리기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중국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를 분석한 결과 신라의 유리기들은 현재 이 20여점의 유리기중 이제까지 살펴본 중국 북조의 것과 비교하여 주목되는 점은 신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들이 중국을 거쳐 유입되지 않는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경로의 문제이다. 필자도 기존의 의견과 같이 망목문장식의 배, 반점문배 등 다수의 신라 로마 유리그릇들이 육상루트로 유입된 것으로 본다. 중간과정으로 고구려를 경유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육로 이외에도 해로를 통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신라계 유이민의 무덤으로 간주되는 일본 신택천총 126호묘에서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연리문 구슬이 황남대총 남분에서도 출토되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에서 서방계 유리를 자체 제작하기도 한 점을 밝혔다. 황남대총 남분의 감청색 유리완이나 안계리 고분의 감청색 유리완은 신라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中國法門寺地宮茶具와 통일 신라 茶文化

        송란(Lee, Song-Ran) 한국고대학회 2010 先史와 古代 Vol.32 No.-

        차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만든 차를 음료로 마시는 차문화는 시대 취향, 사회 경제적 문제,그리고 공예의 구조에 따라 변모하는 양상을 보인다. 차가 음료로서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중국 3세기 삼국시대로 파악되는데, 남북조시대를 거쳐 수당대에 이르러 보편적인 음료가 되었다.차문화의 전개에서 陝西省扶風縣城北에 위치한 法門寺8각 13층 塼塔의 地宮출토의 도자기와 금은기로 구성된 다구 세트는 唐代에 성행하였던 보편적인 차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점에서주목된다. 9세기 후반에 제작된 법문사 지궁 다구들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사료와 실물 자료의부족으로 당대 차문화와 다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고증하기 어려웠다.이에 이 글에서는 금은과 유리 그리고 비색 청자의 최고의 재질로 제작된 법문사 다구를 통해당대 차문화의 성격과 의의를 분석하여 보았다. 법문사 지궁의 다구는 당의 황제 희종이 생전에쓰던 것으로 868년과 869년 사이에 왕실 공방인 문사원에서 제작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監送眞身使隨眞身供養道具及賜恩金銀寶器衣物帳>에 기록된 품목과 실제 매납된 다구를 분석하여7사를 차를 가는 본체와 가는 축으로 구성된 茶碾子, 본체, 서랍, 망 세부분으로 구성된 차를가루로 치는 다라자, 그리고 차숟가락과 차를 그릇에 푸는 국자로 보았다. 또한 유리제다탁자 와 비색청자, 그리고 10매의 파라자는 차가루를 그릇에 놓고 물을 부어 이를 휘저어 마시는점차법을 상기시킨다. 육우의 􋺷茶經􋺸에는 煎茶法으로 3-5인 분을 한 솥에 놓고 끊이는 것이적당하다고 하였다. 이런 방법으로는 많은 사람들은 한꺼번에 차를 마시기 어렵다. 따라서 사찰에서 행해진 다례에서는 방법이 번거롭기는 하지만 점차법이 선호된 것으로 알려진다. 저면이좁고 몸체 부분이 점차 넓어지며 비교적 높은 형태의 윤화형 청자완은 점차법에 부응한 기형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당대 왕실에서 사찰의 茶法을 적극 수용한 것을 반영한다. 이는 세속인인왕의 다구가 불교 유적인 탑의 지궁에 매납된 맥락과도 일치한다.통일신라에서는 8세기 중반까지는 식음료에 쓰이는 완이나 수주 등의 기형이 수입도자기에나타나지 않는 반면 8세기 후반부터 장사요 도기, 형요 백자, 월주요 청자의 직구연의 기형에옥벽저의 굽을 가진 완이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기형의 완과 주자는 통일신라 차문화와 연관된 다구로 이해된다.8세기 후반부터 다완으로 추정되는 도자기가 대거 통일신라에 수입되는 것은 통일신라에 중국차문화가 확산되는 양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일신라유적에서 출토된 중국에서 수입된 수주와 주자 기형의 도자기로 볼 때 통일신라 왕실과 불교 사찰에서는 餠茶를 갈아서 수주에 넣어우린 다음 완에 따라서 마시는 병차의 음용방식이 수용된 것으로 파악된다.한편 8세기 후반과 9세기의 전반의 장사요 수주는 주구가 짧고 직구인 반면 9세기 후반으로편년되는 황룡사와 청해진 출토의 월주요 주자의 주구는 길고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는당말 시기에 시작된 중국의 點茶문화와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이는 통일신라에서 점차법을 점차 선호하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더불어 9세기 중후반대에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자주구편이 일본 9세기 유적인 淨明寺의 청자수주와 비교되는 것은 장보고선단으로 대표되는 통일신라의 중계무역을 조심스럽게 상정해보았다. 9세기 통일신라 차문화의 확산에는 장보고 선단의 중국 남방으로부터 일본 大宰府까지 연결되는 무역로에서 진행된 중국도자기와 차의 수입이 중요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Tea drinking culture shows the pattern of changes as trend, economic problems and craft structures change throughout different eras. This earliest recorded present of tea in world history can be dated within the decade extending from A.D. 264 to 273. In the Sui and Tang dynasty after the Period of Northn and Southern Dynasties, tea became a commonplace drink for the Chinese people. In the context of unfolding the tea culture, the ceramics and gold and silver tea things found in the underground palace of Famen temple(法門寺) where is located in Famen town, Fufeng County, 120 kilometers west of Xi'an City, Shaanxi Province., attention for the fact that it reflects a typical tea culture that was popular in Tang dynasty times. Before excavating the tea utensils of underground palace of Famen temple, it was difficult to ascertain historical truths regarding Tang dynasty's tea culture and the composition of tea things due to lack of materials and data. Thus this document analyzes the Tang dynasty tea culture through the tea things produced with the best materials of gold, silver, glass and ceramics. The tea things unearthed from underground palace of Famem temple were once used by Yizong(毅宗) who had held the last activity of Buddha relic acquisition in Tang Dynasty. And it is assumed that tea things underground palace of Famem temple produced between the years of 868 and 869 in Munsawon(文思院), a royal workshop. Analysis of the items listed on equipments and the actual buried tea utensils showed seven-tea-things with the composition of a tea roller of a main body and a axis, composition for Tiao Da Zi (多羅子), a tool that horizontally draws tea, as three parts of main body, drawer, and a net as well as and a teaspoon and a ladle that scoops tea on the dish. In addition, the glass bowl and dish, a porcelain bowl of a secret color and 10 pieces of gilded silver plate reminds one of deffernt type of drinking tea by pouring water into a dish with tea leaves and stirring it. In Lu Yu's The Classic of Tea(茶經) it says that with the way of Jian-cha(煎茶法), it is appropriate to boil 3-5 people's portion in one pot. Such a method makes it hard for many number of people to drink tea simultaneously. Tneoufore it is knnnn that even if it was tedious, the tea ceoumony conducoufore temple preferred the way of Dian-cha(點茶法) instead. A celadon bowl shape of a blooming flower in the mouth with a quite tall shape, narrow bottom with its main body widening gradually, is assumed to be the shape in conformity with the way of Dian-cha. This also fits the context that tea utensil for the king, a secular person, was buried in the Famen temple's underground palace, a Buddhist artifact. It was contemplated tha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until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the shapes of bowls or water dropper that were used for food and beverages could not be ascertained but from the late 8th century bowls with a jade pi-shaped foot ring for earthenware from Changsha Kiln(長沙窯), white porcelain of Xing Kiln(邢窯), and ceradon of Yue Klin(越窯) was excessively discovered. It could be found that bowls with such shapes were used as tea bowls. The fact that bowls which were used as tea bowls were imported en masse to unified Silla from late 8th century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ansion of Chinese tea culture in unified Silla. Based on the water droppers and jugs excavated from unified Silla artifacts, Chinese tea culture, luxury goods in royal palaces and Buddhist temples, can be assumed to have had the drinking method of cake-tea; grinding the cake-tea, extracting after putting it in the water dropper and drinking it in a bowl.

      • KCI등재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TNF-α 억제제 사용 후 발생한 백반증 1예

        송란 ( Ran Song ),김소미 ( So Mi Kim ),이상훈 ( Sang Hoon Lee ),이연아 ( Yeon Ah Lee ),홍승재 ( Seung Jae Hong ),조희령 ( Hee Ryung Cho ),김교영 ( Gou Young Kim ),양형인 ( Hyung In Ya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2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9 No.4

        As the usage of biologics for rheumatic diseases incr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and ankylosing spondylitis, various cutaneous adverse events are also being increasingly reported. We experienced a case of development of vitiligo during a TNF-α antagonist therapy in a 22-year-old woman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patient was presented with vitiligo lesions on the dorsum of both hands after 1 month of treatment with etanercept. Vitiligo improved with topical tacrolimus ointment and excimer laser treatment without the discontinuation of etanercept. No clearly defined mechanism for vitiligo induced by TNF-α antagonist exits. However, considering that vitiligo is an autoimmune disorder, the development of this skin lesion in association with the TNF-α antagonist could be explained by a paradoxical induction of the autoimmun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