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범대학의 교육실습체제 개선 사례 및 성과 분석

        손은령 ( Eunyoung Son ),박수정 ( Soojung Park ),이주욱 ( Joowook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이 연구는 ``교원양성교육 선도 사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적극적으로 교육실습체제 개선을 추진한 A 사범대학의 사례와 성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확인함으로써, 그 성과를 공유하고 효과적인 결과들을 확산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사업비를 지원받은 A 사범대학은 사업 첫해부터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행을 본격적으로 진행하였고, 참관실습-교육봉사-현장실습의 연계체제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현장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 강의와 현장교육실습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등 교육실습 지원체제를 구축하였고, ``글로컬 교육실습``을 지향점으로 교육소외집단에 대한 실습과 봉사, 그리고 연변 조선족자치주에 대한 국제교육실습을 운영하였다. 현장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 및 성찰활동이 강화됨으로써 현장교육실습생의 현장이해 및 교사 역량이 연차별로 향상되었으며, 현장교육실습 활동에 대한 실습생과 실습학교의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국제교육실습생 수와 만족도가 상승하였으며, 실습생의 상호교류도 나타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의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student-teacher training practicum systemsmodification process a "A" College of Education, and identify the outcomes and implications. "A" college was selected and funded by a government project. The project was titled ``Leading College of Education Support``. From 2011 to 2014, "A" College of Education tried to improve student-teacher practicum systems, and changed the curriculum for student-teacher education including pre-post preparation education. For example, "A" college tried to link observation-educational volunteering-field practicum and constructed practicum support system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ortfolios and the reinforcement of pre-post lecturing for practicums. In addition, "A" college sent its student-teachers to a college in YeonBeon in China, with the perspective of ``Global Practicum``, and the colleges exchanged student-teachers with each other. The number was increased and student teachers` and college`s interests and supports were enhanced. To improve the systems, "A" college connected observation-educational volunteering - field practicum relation, and evaluated degrees of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teacher training from the view of practicum schools and participants undertaking practicums. The results revealed a gradual improvement i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

        여성 진로상담 전문가들의 직업성취 영향 요인 및 의미화

        손은령(Son, Eun-young),손진희(Son, Jin-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본 연구에서는 40대 여성 진로상담 전문가들의 직업 성취과정을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0명의 진로상당 전문가들은 직업 상담사, 대학 취업상담자, 진로상담 전공 대학 교수, 진로/직업 분야의 연구원들로써 진로상담 분야에 최소 10년 이상 종사한 사람들이었다. 연구 결과, 10명 모두 현재의 직업에 만족한 상태였고 큰 충족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 대상들은 현 직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이직을 경험하였으며, 직업적 성취를 이루는 과정에는 도전정신, 적극성과 같은 다양한 내적 조건을 활용하였고,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외적 조건의 영향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신의 진로경험을 감사와 보람, 성숙과 자신감 발생, 운명 또는 필연과 같이 개인적인 의미화를 하였으며 "우연이 기회가 된다", "인간관계가 중요하다", "인생이란 계획과 우연의 교집합이다"와 같은 전문가로서의 평가도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의 현장에서 일하는 40대 여성 전문가들의 진로사에 담겨있는 여러 가지 사건과 그 의미를 개인적 · 상담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중년기여성의 직업 성취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mpact factors of vocational achievements and interpretation of female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career process. Research team interviewed 10 female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in forties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theory and empirical results, the team selected the interview questions like internal and external impact factors in their vocational achievements, results of their job selection, interpretation of their career progress? All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 and felt fulfillment. They experienced several job transitions and used many internal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vocational achievements, and were influenced by negative and positive conditions. They interpret their career experiences personally as gratitude, fruitfulness, maturation and confidence making, destiny or inevitability. And they realized their career process professionally as chance in happenstanc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rsects of plane and happenstance. The results had importances in finding impact factors in vocational achievements of female career counseling processionals in forties and got the interpretations of career progress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addressed.

      • KCI등재후보

        국내 진로 집단지도 및 집단프로그램의 연구동향과 후속연구과제 -2001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손은령 ( Eun Young Son ),이순희 ( Soon Hee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2001년 이후 진로 집단지도 또는 집단프로그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진로 집단지도 및 집단프로그램은 주로 정규 교육과정에 등록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생 집단 이외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 수와 회기진행의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보완해야 할 부분들이 드러났는데, 기본적으로는 프로그램들 간의 차별화가 드러나지 않고 내용상의 중복현상이 다수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진로 집단지도 및 집단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진로교육 연구 및 프로그램 실제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In this research is analyzed the trend of research regarding group career guidance and programs after 2001.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little group career guidance and programs for those who are not students because targets of existing programs are limited to normal students who go to school regularly, and that programs helpful for minority groups are also confined.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participants and the number of sessions were found many point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as well as the lack of diversity in the aspect of contents. This research will be expected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ment of group career guidance and programs. It also provides suggest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research in career education. and the point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when running career programs.

      • KCI등재후보

        한,미 대학상담 기관 운영 실태 비교

        손은령 ( Eun Young Son ),고홍월 ( Hong Yue Gao ),이순희 ( Soon Hee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상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상담센터와 취업센터, 리더십센터 등의 운영과 상담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상담센터를 조사 분석하였다. 전문가의 추천과 학교의 규모, 학생 수, 상담센터의 지명도 등을 고려하여 한국과 미국의 5개 학교 상담센터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학의 상담기관 운영 실태는 기본적으로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한 후 전화통화 및 관련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추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운영실태 분석에서는 설립 목적, 소속 형태, 전문 상담인력 현황, 학위 수준, 주요업무 및 서비스 등을 비교하였고, 상담프로그램 분석에서는 프로그램의 종류, 프로그램의 내용, 공통 프로그램과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상담의 구체적인 운영과 상담 서비스, 상담인력 양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확인하였으며, 미국의 대학상담기관 모형에 대한 분석내용을 기초로 하여 국내 대학상담 기관들이 보완할 점과 개선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managing systems of college counseling center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The research samples were 10 college counseling centers i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From 16 internet websites, several telephone calls, and interviews of 8 counselors who worked in these college counseling centers, th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concerning establishment goal, type of institution, number and qualification of counseling staffs, degree of counselors, major job and services, number and contents of programs, and popular and special programs of centers. Establishment goal and type of institution were similar but the amount of staffs, contents of programs and the counseling training program`s system were different. Through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개인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준비도와 상담서비스요구

        손연아 ( Yeon A Son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논총 Vol.33 No.2

        본 연구에서 대학상담이 대학생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라 상담준비도와 상담서비스요구를 확인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대학생 884명에게 인구학적 질문지, 상담준비도검사, 상담서비스요구검사, 내외통제성검사, 스트레스대처방식검사를 실시한 후 개인특성에 따라 대학생의 상담준비도와 상담서비스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별, 학년, 내외통제성,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따라 대학생의 상담 준비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상담서비스 요구도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 대학생보다 남자대학생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적통제성향이며, 적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을 사용하는 대학생이 상담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대학생보다 여자대학생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적통제성향이며,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대학생의 상담서비스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college students` counseling readiness and need for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heir individual factors to secure practical help for them. Total 88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answer demographic questionnaires and conduct assessment of counseling readiness, assessment of need for counseling service, assessment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ssessment of stress coping styles. Data collected from them were analyz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of counseling readiness and need for counseling service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individu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counseling readiness was different based on sex, grad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tress coping styles. In addition, the need for counseling service was different. For example, higher level of counseling readiness was shown among male students in the upper grade, who used internal locus of control more and more active coping style. Also, higher level of the need for counseling service was identified among female students in the upper grade, who used internal locus of control more and more active coping style. The findings are supposed to be useful as a fundamental data to provide college students` counseling service. Finally, significance and de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y will b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한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손연아 ( Yeon A Son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는 엄마가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르침이 어떻게 자신에게 형성되었는지를 생각해보고, 내 자녀에게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성찰하여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함으로서 자녀의 가정교육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이고, 연구 참여자인 한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 이야기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내러티브 연구방법인 이야기형식으로 접근 하였다. 연구 결과 엄마의 가정교육경험은 자녀에게 영향을 주고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엄마의 가정교육경험이 자녀에게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면,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이 그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mothers to perform children`s home education better by identifying how the lessons that she thought important were composed, reviewing how the lessons were reflected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bett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is a mother`s home education experience like?’ The story of a mother`s home education who was the study participant was approached in the form of a story, a narrative study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From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ome education experience of mothers influenced their children and was reflected on their children`s home education. Additionally, if we perceive that home education experience of a mother is reflected to her children, it may suggest that mother`s home education experience may not be reflected intact.

      • KCI등재

        재수 후 입학한 코로나 학번 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임경수(Lim, Kyungsoo),손은령(Son, Eun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수 후 입학한 학생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대학생활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본질적인 의미 구조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재수 후 입학한 2020학번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그들의 경험세계를 Martin Heidegger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체험된 시간성은 “불가피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의 기투”, 체험된 공간성은 “실존의 공간이 된 또 다른 공간인 온라인”, 체험된 신체성은 “코로나에 발목 잡혀 우울한 기분에 젖은 현존재”, 체험된 관계성은 “다만 함께 거기에 있음과 서로 함께 있음”이었다. 이러한 네 차원을 포괄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은 “새로운 상황에서 기투하는 ‘나의 존재’ 발견하기”의 세계-내 존재인 실존체로서, 그들이 기대했던 대학생활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발견한 것은 기투하고 있는 그들 ‘존재’였다. 논의 및 결론: 이번 연구는 재수 후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심리적 문제로 호소하는 학생들의 상담에 있어서 어떤 각도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rinsic meaning structure by in-depth exploration of university life lived experiences of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after retake ami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Metho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university students in the class of 2020 who entered the university after retake. By applying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y methodology, the lived experience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of Martin Heidegger. Results: As a result, the lived experience temporality of the participants was “Projection toward the unavoidabl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lived experience spatiality was “Non-face-to-face online another space is the space of existence”, the lived experience physicality was “Dasein who got a depressed mood of existence caught up in the COVID-19”, and the lived experience relationship “Only but being there together and being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encompassing these four dimensions, the university students as entities that are existence within the world of “Discovering ‘my exsistence’ to project in new situation”, it was their projecting existence that they discovered while they were in a situation where they did not have the expected university life.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data that can help students who have entered after retake and from what angle we should approach counseling for students who complain of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 difficulties of university life.

      • KCI등재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증진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청년노동시장 및 학교생활의 대표통계를 제공하는 청년패널 2007(YP2007)의 9차(2015)년도와 12차(2018)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 진로계획과 같은 정서·인지·행동적인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에서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간접적으로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직장만족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이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시기의 진로관련 변인과 대학생활만족이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 검토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대학생활만족 정도에 따라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인지·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대학생활만족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대학의 역할, 상담적 개입의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an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promotional plans. For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the 9th year (2015) and 12th year (2018)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that provides representative statistics of the youth labor market and school lif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in relationships among variou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planning during the college perio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the working period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work satisfaction. In particular,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college perio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working period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Third, career-related variabl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were shown to have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at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may differ depending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care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 간 메타분석

        김하늬(Ha Ni Kim),손은령(Eun Young S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을 확인하고,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평균 효과크기를 확인하는데 있다. PRISMA flow chart를 기반으로 문헌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54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에는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하였고, R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패키지를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 출간 편향 검정, 효과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을 적용하여 높은 효과크기, 중간 효과크기, 낮은 효과크기로 구분하였다. 총 54편의 분석 대상 논문의 상관계수를 이용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진로정체감,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중심 스트레스대처방식, 부모애착, 내현적자기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아분화, 심리적독립, 사회적지지, 진로장벽의 총 15개의 주요 대학생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을 도출하였고, 4개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각 요인은 진로 선택․행동불안 요인, 준비․자율성부족 요인, 개인 심리 · 정서 요인, 사회적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계량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진로 준비 · 자율성부족 요인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중심스트레스대처방식, 부모애착의 순이었고, 진로선택 · 행동불안 요인의 효과크기는 역기능적진로사고, 진로성숙,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 · 정서 요인은 각 내현적자기애, 심리적독립, 자아분화, 사회부과적완벽주의의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 요인의 효과크기는 진로장벽, 사회적지지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조절변인은 출판형태, 측정도구, 개별요인으로 투입하였고, 방향성에 따라 효과가 상쇄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정적효과와 부적효과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적효과는 측정도구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출간형태와 개별요인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효과의 경우, 출간형태와 측정도구의 각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별요인은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나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연구의 방향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variables regarding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analysis, a total of 54 papers on career indecision were used, and accordingly 13 main variables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were derived and classified as four factors(lack of self-directedness, choice/commitment anxiety,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lack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s of lack of self-directedness were shown in the order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self-efficacy, stress coping styles, and parents attachment. The effect sizes of choice/commitment anxiety were shown in the order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 career maturity,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effect sizes of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covert narcissism, psychological independence,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The effect sizes of lack of social support were shown in the order of career barriers, social support. Second, the modera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by setting them as publishing types, measuring instruments, and individual factors. The positive effects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ing instruments, however, publication types and individual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In terms of the negative effects,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of the publication types and measuring instrument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modera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 KCI등재후보

        한 대안학교 북한이탈청소년의 초기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희망을 찾아서

        문희정 ( Hee Jeong Moon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한 대안학교 북한이탈청소년의 초기 적응과정에서의 교육경험과 심리·정서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4회에 걸친 면담과 연구 참여자가 제공한 일기를 자료로 참조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먼저 4회의 면담 내용을 녹취하여 전사하였으며, 면담자가 제공한 일기장과 함께 자료들을 연구자가 확장하여 코딩하였다. 대안학교 북한이탈청소년의 초기적응과정이라는 주제에 의하여 하위주제들로 나누어 영역별로 내용 취합하여 유의미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진행하였으며, 하나의 개별화된 사례를 통해 사회의 모습이 반영된 한 개인의 삶을 통해 사회의 문제를 통찰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학교에서의 초기 적응과정과 관련하여 학업의 결손과 기초학력부족, 기대수준과 현실의 격차, 진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이해의 부족 등이 나타났으며, 초기 적응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원의 부족에 따라 심리·정서적 지원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ive study was to examine the youth of North Korean immigrants and search current status of this group. For this purpose, I implemented 4 interviews and investigated his diary for his adjustment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recording and transcription with the diary of a North Korean immigraint student. and then I extended the meaning and coding by investigating. This study examined current status of the youth of North korean immigraints and done by understand current specific student for North Korean migraints. As a result, they have varied experiences; the shortage of the study achivement, the shortage of basic academic career, the expectancy and reality gap, the shortage of social support. Therefore they need career counceling and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 when they commence educationa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