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고홍월(Gao Hong Yue),박수정(Park S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학교에서의 ‘행복’이 최근 교육계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교사의 행복’에 주목하여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효능감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사 행복을 제고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3년 7월 기준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초등학교 와 중학교 교사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7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직 무만족과 교사효능감을 투입한 결과 직무만족의 설명량이 약 40%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의 하위변인 가운데 교직의식과 보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동료애와 혁신성도 상당한 부분을 설명하였으며, 업무부담과 발전성은 부적 설명량을 보였고, 자율성은 설명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개인적 차원과 학교 경영 및 정책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happiness’ in school becomes the important issue in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teacher s happiness explorator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meaningful suggestions of raising teacher s happiness by analyzing how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 teacher s happiness affect teacher 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every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 teachers in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in July 2013 and analyzed the total 472 teachers respons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putting teacher 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s variables of explanation of teacher s happiness, job satisfaction s R squares appeared about 40%. Among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eaching profession conscious and compensation show high portion, comradeship and innovation explained considerable portion, bout work load and development showed negative R squares, autonomy had no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n teacher s personal level and school management and policy level were presented.

      • KCI등재

        개인, 부모, 또래 변인이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고홍월(Gao, Hong-yu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현대 사회의 수많은 무형의 사회적 자원 중 하나가 사회적 자본이며, 이는 사회 구성원 간 관계의 질과 양상이 한 사회의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이다.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의 형태가 미래 우리 사회의 중요한 자본이될 수 있다. 즉, 대학생들이 어떤 방식으로 사회적 자본을 인식하는가, 또한 사회적 자본 형성에 개인, 부모, 또래 변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는 것은 사회적 자본 형성, 사회적 자본의 양과 질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 대상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6년 아동·청소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2018년 상반기에 대학 신입생 18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대학 신입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의 정도, 개인의 심리적 변인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신입생이 인식하는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부모 변인이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 변인이 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우선 개인변인 에서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지역사회 인식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아탄력성만 공동체의식과 다문화 수용도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 변인에서는 부모의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이 지역사회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모 감독, 합리적 설명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과잉기대는 다문화 수용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래관계 변인의 경우, 또래 소외는 지역사회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또래 의사소통은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 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ersonal, parental, and peer variables in college freshmen on the perceived social capital. The data of 1336 college stud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provided by Korea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were the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and the factor which influenced the community sentimen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only the ego-resilience. second, on the parental variables,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were the monitoring, affection, reasoning; and the monitoring, reasoning were the positive effect factors on the community sentiment, the over-expectation was the negative effect factor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on the peer variables, the factor which negativel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local community was the peer alienation; peer communication was the positive effect factor on the community sentimen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Lastly,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초기 대학생활경험이 향후 전공일치도 및 직무·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홍월(Gao, Hong-yue),황재원(Hwang, Jae-won),이자명(Yi, Ja-m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초기 대학생활경험이 향후 전공일치도 및 직무·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고3 코호트의 2차(2005년), 8차(2011년), 12차 년도(2015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각 시기별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입직초기에는 미래직업결정, 건강 변인이, 현재 시점에는 미래직업결정, 학과만족도가 전공 일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만족 도의 경우, 입직초기에는 건강, 대학만족도 변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고 현재시점에는 대학생활만족도가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장만족도는 입직초기에는 건강, 대학만족도로부터 유미하게 영향을 받은 반면, 현재시점에는 대학만족도와 가정생활만족도가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선택 자의여부와 학과선택 자의여부 변인은 전공일치도와 직무 및 직장만족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arly college life experience on future major congruence and job·work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used data from the second(2005), eighth(2011), and twelfth(2015)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provided by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s at each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stage of job placement, future job decision and health influenced the work and major congruence. On the other hand, future job decision and department satisfaction influenced work and major congruence at present. Next, in terms of work satisfaction, health and university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at the early stage of job placement. Currently,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influential. Thirdly, work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health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t the beginning of job placement, whil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at present. Finally, self-determination of the college and department selec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jor congruence and job·work satisfaction.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예비교사의 진로발달 과정 탐색

        고홍월(Hong-yue, Ga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교대, 사범대에 입학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되어가는 진로발달 과정을 탐색하였다. 14명의 교대 및 사범대 학생을 선정하여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 결과 총 25개의 상위범주와 60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의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범주 간의 연결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고, 연구 참여자들이 교사가 되어가고자 하는 내면화 과정을 분석해냈다. 예외 사례가 있었지만 교대, 사범대 학생 진로발달의 중심현상은 잘 할 수 있을지 자기의심하였지만 결과적으로는 유능한 교사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교사가 되어가고자 하는 목표점은 같지만 내적 동기로 입학한 학생들과 외적 동기로 입학한 학생들은 조금 다른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외적 동기를 가진 학생들은 우선 다른 진로 목표를 탐색해보고 다시 혼란과 타협의 과정을 거쳐 교직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타협하지 않고 교직을 거부하고 다른 진로를 선택하는 예외 사례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who entered College of Education. For this research, the interview data from 14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s a result, the total 25 categories and 60 subordinate concepts of open coding were derived. The study shows that a paradigm model consists of the causal conditions, phenomena, context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and consequence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categories were found through axial coding. It also introduces a paradigm model by researching connections between categories, and analyzes the internal process that participants go through in order to become a teacher. Although there are some exceptions, the motivation of ‘becoming a competent teacher’ greatly contributes to the participants’ career development. Even though many participants share identical goal, however, externally motivated students go through slightly different process from those who are internally motivated. They tend to explore other career goals first, and then accept the motivation involving the process of chaos and compromise. Exceptional cases are shown when externally motivated students refuse to become a teacher, after going through such process. Lastly, limitations and follow-up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Fran J. Levy의 무용/동작치료 사례에 나타난 치료적 접근 방법 탐색

        고홍월 ( Hong-yue Gao ),김현정 ( Hyun-jung Kim ) 대한무용학회 2016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4 No.5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rapeutic approaches in the three cases of Fran J. Levy`s dance/movement therapy (DMT). In addition to verbal interactions, Levy`s DMT utilizing the elements of dance according to the client`s characteristics, showed the psychotherapeutic processes of ‘exploring emotions → recognizing emotions · needs → expressing emotions · needs → re-experiencing em otions → cognitive insight` in complex way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provides the im portance and applicable ways of her unstructured DMT.

      • KCI등재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정체감 지위검사에 따른 진로정체감 특성의 차이

        고홍월(Gao, Hong-yu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을 측정하는 두 주요 검사인 Holland 등(1980a)이 개발한 진로정체감 검사(VI)와 Porfeli 등(2011)이 개발한 진로정체감 지위검사(VISA)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과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검사에 따라 각각 구분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검사에 따라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부모진로지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 검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VISA의 6개 하위 요인과 VI에서의 점수를 서로 교차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VI 점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VISA 여섯 하위 영역에서의 차이, VISA에 따른 여섯 군집 간 VI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VI 점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VISA의 전반적 탐색을 제외한 심층적 탐색, 진로몰입확신, 진로일체감, 진로자기의심, 진로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VISA를 통해 도출한 여섯 진로정체감 상태(군집)가 VI 점수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취와 유실집단, 탐색유예와 미분화집단, 유예와 혼미집단 각각 VI에서 동질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추가로 집단 간에 자기결정성과 부모진로 지지에서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취집단과 유실집단은 자기결정성에서 차이가 있었고 부모진로지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탐색유예집단은 미분화집단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유예집단과 혼미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identity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dentity Scale(VI)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VISA). And analyses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between two VI score groups and among six clusters by VISA. First, between High VI score group and Low VI score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A’s subordinate elements of In-Breadth Career Exploration, Career Commitment Making, Identification with Career Commitment, Career Self-Doubt, and Career Flexibility. Second, six statuses were divided by VISA though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es. Among the six statu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 score between achieved and foreclosure statuses, between searching moratorium and undifferentiated statuses, moratorium and diffused statuses. Third, all the self-determination’s sub-factors highly showed in achieved than foreclosure statu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s sub-factors between searching moratorium and undifferentiated statuses, there were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Between moratorium and diffused statuses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Based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Wee센터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Wee센터 상담실무자의 인식: ASCA 학교상담모형을 중심으로

        이혜은(Lee Hye Eun),고홍월(Gao Hong-yue),김지연(Kim Ji Yeon),최지현(Choi Ji Hy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에서는 Wee센터 학교상담자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지역 Wee센터 상담실무자 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ASCA 학교상담모형의 기획, 운영, 전달, 책무의 4개의 대영역에 기초하여 CQR-M(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으로 자 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ee센터 학교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기획(운영계획 수립), 운영(조직 및 인력관리, 사례관리, 운영효율성 관리), 전달(상담교육, 상담, 위기지원, 연계·자문), 책무(운영 평가 업무)의 9개 중영역, 16개의 하위영역, 그리고 3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Wee센터에서 전문상담교사는 행정 및 예산 업무 처리와 같이 ‘운영’하는 역할을, 전문상담사는 상담교육, 상담, 위기지원, 연계·자문의 직·간접적인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Wee센터 학교상담자의 고유한 역할에 대한 분석결과, 학교, 외부기관과 연계된 위기 지원 제공, 학생· 학부모 상담 및 학교폭력 사안 개입 지원, 인력 관리 및 과중한 행정 업무, 상위기관으로서의 자문 및 교육 역할 수행, 연중 내내 자체 업무 및 외부기관 연계사업 운영 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에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of Wee center school counselors. Data from 42 Wee center counseling practitioners in Seou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based on the ASCA(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 top-level domains, ‘foundation’, ‘management’, ‘delivery’, and ‘accountabilit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SCA model. Also, 9 second-level domains, ‘establishment of operational plans’,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manpower’, ‘management of cases’, ‘management of operational efficiency’, ‘counseling education’, ‘counseling’, ‘support for crisis’, ‘referral-consultation’, ‘assessment of operations’, were developed. 16 third-level domains and 32 categories were developed. Second, counseling teachers were reported to play ‘management’ roles such as administrative and budget-related works, but counselors were reported to play roles of providing direct and indirect counseling services such as counseling education, counseling, support for crisis, and referral-consultation.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distinct roles of Wee center school counselors, Wee centers were reported to play distinct roles such as ‘providing support for crisis related to schools and other organizations’, ‘intervention on school violence issues as well as counseling students and parents’, ‘manpower management and a heavy administrative workload’, ‘providing consultation and education as an umbrella organization’, and ‘doing its own work all the year round and operating referral services to outside agencies’.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한국 대학의 일본어 전공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개인 특성, 일본어 학습 불안, 일본어 학업 실패내성을 중심으로-

        최영숙 ( Young Sook Choi ),고홍월 ( Hong Yue Gao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5 日本語敎育 Vol.0 No.74

        In regard of learning foreign languages, learners`` psychological traits have such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results of learning. In order to analyze Korean undergraduates``(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psychological traits in regard of learning Japanese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the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traits of total 341 undergraduates. Also, the differences in anxiety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and learning failure toler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traits were compared. In the results,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83.9% of the respondents are the students of College of Humanities and also 69.8% of them are 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In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traits, female students feel tension and fear more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show more self confidence and comfortableness than female students. The students with major in Japanese language, the experience in visiting Japan, the certificate of Japanese language, and high interest in Japanese language feel confident and comfortable more than the students without them.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learning failure tolerance, male students can cope with the feelings about failure better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s can cope with them in the behavioral aspect better than male students. Depending on the matter of major, the students who are not majored in Japanese language can cope with failure better in the preference of task level. The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in prerequisite learning and the experience in visiting Japan have stronger failure tolerance in the aspects of behavior and preference of task level than the students without them. The students with the certificate and the hope to get a job related to Japanese language have stronger failure tolerance in the sub factors of behavior and preference of task level. The students with high interest in 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show higher in the factors of behavior and preference of task level than the students without it.

      • KCI등재

        한국의 4년제 대학 일본어 학습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진로 특성 분석

        최영숙(Choi, Young-Sook),고홍월(Gao, Hong-Yue)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본 연구는 일본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학습, 진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4년제 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본어 전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학습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대학 입학 전 선행학습 유무, 자격증 유무와 급수, 일본 방문 경험 유무, 수업 외 개별 학습 시간, 입학 전 일본어에 대한 관심도, 입학 후 일본어에 대한 관심도 등을 조사하였다. 진로 관련 특성으로는 진로 결정 여부, 진로 결정 유형, 전공 관련 직종 희망 여부를 조사하였다. 학습 관련 특성에서는 선행학습 경험이 있거나, 일본 방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일본 방문 경험이 있는 학생이 매우 소수라서 더 긍정적인 결과를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자격증을 소지하는 학생이 전체의 44.7%였지만 JLPT를 소지하는 학생의 경우 비교적 높은 급수를 취득하였고, 3, 4학년 학생들이 저학년에 비해 자격증을 취득한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공 관련 직종 희망 여부에서는 선행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 일본 방문 경험이 있는 학생, 자격증 있는 학생, 저학년 학생, 관심도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 보다 전공과 관련된 직종을 더 많이 희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aits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Japanese in a four-year college or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ir general learning and career traits. Specifically, in terms of their learning traits, whether they had prior learning experience of Japanese before getting into the university, whether they had any Japanese language certificate and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or rating, whether they had visited Japan, the amount of time they spent on individual learning outside of class, and their degree of interest in Japanese before and after entering college were examined. As for the career traits of Japanese major college students, whether they have already decided on their career, types of their career choices, and whether they pursue careers that are related to their major were examined. As for the traits related to learning their target language, most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of Japanese showed higher interest in their majors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ir majors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er in junior and senior students. Therefore,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who have high interest in their subject or cours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ways to motivate them to keep up their interest in their major by presenting new interesting ideas and providing stimulations or motivations for learning. In addi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find the methods to motivate them by stimulating the students’ interest in their major subjects for the those who show low interest. Although students who had prior learning experience of their subject or had visited Japan showed relatively higher interest in their majo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general tendency or get a definite or concrete result since only a few of the subjects had pre-study experience or had visited Japan. As for whether they hope to find a job in a field related to their major after graduation, students who had prior learning of Japanese, those who had visited Japan, those who had language proficiency certification, the first or second year students, and students who had high interest in their major showed relatively higher desires to pursue their career in the fields related to their major. This study found the general conditions and tendencie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Japanese, but the samples of this research were too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to all the Japanese majoring students in Korea and the survey items or categories were so restricted that they could only show the general trait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more specific questionnaires and conduct in-depth research and analysis.

      • KCI등재후보

        한,미 대학상담 기관 운영 실태 비교

        손은령 ( Eun Young Son ),고홍월 ( Hong Yue Gao ),이순희 ( Soon Hee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상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상담센터와 취업센터, 리더십센터 등의 운영과 상담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상담센터를 조사 분석하였다. 전문가의 추천과 학교의 규모, 학생 수, 상담센터의 지명도 등을 고려하여 한국과 미국의 5개 학교 상담센터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학의 상담기관 운영 실태는 기본적으로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한 후 전화통화 및 관련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추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운영실태 분석에서는 설립 목적, 소속 형태, 전문 상담인력 현황, 학위 수준, 주요업무 및 서비스 등을 비교하였고, 상담프로그램 분석에서는 프로그램의 종류, 프로그램의 내용, 공통 프로그램과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상담의 구체적인 운영과 상담 서비스, 상담인력 양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확인하였으며, 미국의 대학상담기관 모형에 대한 분석내용을 기초로 하여 국내 대학상담 기관들이 보완할 점과 개선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managing systems of college counseling center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The research samples were 10 college counseling centers i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From 16 internet websites, several telephone calls, and interviews of 8 counselors who worked in these college counseling centers, th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concerning establishment goal, type of institution, number and qualification of counseling staffs, degree of counselors, major job and services, number and contents of programs, and popular and special programs of centers. Establishment goal and type of institution were similar but the amount of staffs, contents of programs and the counseling training program`s system were different. Through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