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PULAR : 안드로이드로 제어하는 높은 이동성의 파노라마 비전 로봇

        성기혁 ( Ki-hyuk Sung ),김지우 ( Jee-woo Kim ),최민순 ( Min-soon Choi ),이홍구 ( Hong-gu Lee ),차재원 ( Jae-won Cha ),김종국 ( Jong-ko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본 논문은 360도 전방향을 찍을 수 있는 Omni Directional Lens를 장착한 카메라 로봇에 대해 소개한다. 이는 여러 대의 안드로이드 폰으로 원격에서 접속하여 360도 전방의 파노라마 영상을 받아볼 수 있으며, 마스터 권한을 가진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카메라 로봇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로봇은 원격에서 무인 감시 시스템 등 여러 가지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고도의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 대한 치료

        성열보 ( Yerl Bo Sung ),안종국 ( Jong Kuk Ahn ),염재광 ( Jae Kwang Yum ),정형진 ( Hyung Jin Chung ),신용운 ( Yong Woon Shin ),이상림 ( Sang Lim Lee ),성기혁 ( Ki Hyuk Sung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1

        목적: 대퇴골 전자부 골절을 고도의 불안정성 골절에 해당하는 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이들 집단 간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대퇴골 전자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총 306예 중 고도의 불안정성 골절에 해당하는 군(1군, 69예)과 연령, 성별을 match시킨 대조군(2군, 70예)으로 나누어,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고도의 불안정성 골절은 경간각이 100도 이하이며 전방 각 형성을 동반한 골절로 정의하였고 이는 큰 외력에 의한 후방 분쇄가 동반된 골절을 의미한다. 추시 기간은 1군에서 평균 13.2개월, 2군에서 평균 15.5개월이었다. 1군의 수술 전 경간각은 평균 92.1도였으며 전방 각 형성은 평균 23.0도였다. 2군의 수술 전 경간각은 평균 118.9도였으며 전방 각 형성은 평균 4.6도였다. 두 군의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인 비교는 stu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1군 69례중 39예는 활강 고관절 나사로, 22예는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내고정하였으며, 8예(11.6%)는 일차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지연나사의 활강정도는 1군에서 10.5 mm, 2군에서 3.7 mm였으며(p<0.05) 경간각의 변화는 1군에서 내반 7도, 2군에서 내반 2.1도였다(p<0.05). 내고정으로 치료한 61예 중 7예(11.5%)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 5예에서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였다. 2군에서 일차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예는 없었으며, 2예(2.9%)에서만 지연나사의 관절 내 돌출이 있었다. 결론: 고도의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은 합병증으로 인한 재수술의 빈도가 높으므로 치료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수술 전 고관절 치환술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of highly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s and made treatment guidelin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ree hundred six cases of trochanteric fractures from October 2001 to February 200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1(highly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 69 cases) and group 2(age and gender-matched control group, 70 case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 highly unstable trochanteric was defined as a fracture with a neck-shaft angle < 100˚ and anterior angulation. The mean follow-up duration in groups 1 and 2 was 13.2 and 15.5 months, respectively. The mean neck-shaft angle in groups 1 and 2 was 92.1˚ and 118.9˚, respectively. The mean anterior angulation in groups 1 and 2 was 23.0˚ and 4.6˚. Results: In group 1, 39 cases were treated with a dynamic hip screw (DHS), 22 cases were treated with a proximal femoral nail (PFN), and 8 cases(11.6%) were treated with primary bipolar hemiarthroplasty. The average amount of sliding of the lag screw in groups 1 and 2 was 10.5 mm and 3.7 mm, respectively (p<0.05). The average change in the neck-shaft angle in groups 1 and 2 was 7.0˚ 1 and 2.1˚, respectively (p<0.05). There were 7 complications in group 1, including 5 cutting-out, 1 back-out and 1 Z-effect, and 2 cases of cutting-out in group 2. Conclusion: A highly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 has a high risk of the need for additional surgery. Therefore, considerable care should be taken to treat it with a consideration of the possible need for arthroplasty.

      • KCI등재

        진행성 연부조직육종의 이차 항암치료제 비교평가: 젬시타빈/도세탁셀, 파조파닙 및 기타 대체 약물

        김태훈(Tae Hun Kim),성기혁(Ki Hyuk Sung),정소학(So Hak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1

        목적: 연부조직육종(soft tissue sarcomas, STS)은 50개가 넘는 조직학적 하위유형을 가진 희귀 간엽세포 암의 한 부류이다. 최근에는 종양의 하위유형 및 등급에 따른 항암제 민감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우리는 젬시타빈/도세탁셀(gemcitabine/docetaxel, GD) 및 기타 제제의 효능을 타 문헌들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연부조직육종을 앓고 있는 환자 10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6건(환자 16명)에서 진행성 연부조직육종에 대한 이차 치료제로 파조파닙 또는 젬시타빈/도세탁셀을 사용하였다. 카플란-마이어 누적한계추정법을 이용하여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과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을 계산했다. 특정 시간 안에 치료에 대한 효과로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또는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를 이룬 치료군 내 환자 비율을 토대로 전체 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을 계산하였다. 유럽암연구치료기구 삶의 질 설문(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QLQ-C30)을 통해 항암 전후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파조파닙의 경우 본 기관에서 생존기간 중앙값이 13.2개월로 산출되었고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본 기관에서 10.8개월이었다. 젬시타빈/도세탁셀의 경우 생존기간 중앙값은 16.0개월로 산출되었고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본 기관에서 12.9개월이었다. 본 기관에서 평가한 16건의 경우, 젬시타빈/도세탁셀과 파조파닙 모두 37.5%의 전체 반응률을 보였다. 항암치료 후 EORTC QLQ-C30 기능 척도 점수가 두 그룹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파조파닙과 젬시타빈/도세탁셀은 전체 생존기간과 무진행 생존기간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이차 치료제로 여겨진다. 젬시타빈/도세탁셀은 진행성 연부조직육종 환자에서 파조파닙보다 더 양호한 전체 생존기간 및 전체 반응률과 관련이 있었으며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Soft tissue sarcomas (STS) are a group of rare mesenchymal cancers with more than 50 histological subtypes. A recently published study identified the chemosensitivity according to the tumor subtype and grade.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gemcitabine/ docetaxel (GD) and other agents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 patients with STS were enrolled between May 2012 and February 2020. Sixteen cases (16 patients) received second-line pazopanib or GD for advanced STS. The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product-limit method. The overall response rate (ORR) was determin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in a treatment group who achieved either a partial response or complete response to the treatment within a specific timefram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before and after chemotherapy was evaluated using the EORTC QLQ-C30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questionnaire. Results: Pazopanib yielded a median OS of 13.2 months and a median PFS of 10.8 months at the authors’ institution. The median OS and PFS for GD were 16.0 and 12.9 month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16 assessable cases, GD and pazopanib achieved a 37.5% ORR. After chemotherapy, the EORTC QLQ-C30 functional scale score improved in both group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Pazopanib and GD may be effective second-line treatments for improving the OS and PFS. GD was associated with a better OS and ORR than pazopa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STS and appeared more efficient.

      • KCI등재
      • KCI등재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 환경과 재활 접근성에 관한 연구

        조경희(Gyeong Hee Cho),정진엽(Chin Youb Chung),이경민(Kyoung Min Lee),성기혁(Ki Hyuk Sung),조병채(Byung Chae Cho),박문석(Moon Se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 환경과 재활 접근성을 조사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주거 관련 법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보고 장애인 건강권에 관한 법률 제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거, 재활, 접근성 3개의 키워드로 문헌을 검색하여 주거 환경, 재활 접근성이라는 2개의 아이템을 선정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문항은 총 51문항을 작성하였고 그중 24문항은 리커트 척도, 27문항은 다지선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뇌성마비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 100명 중 재가보호 중인 환자는 93명, 시설보호 중인 환자는 7명으로 나타났다. 재가보호 중인 경우 65%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고, 주로 2층 이상의 지상층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중 40%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 거주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단계에 따라 GMFCS I, II, III은 보행가능군, IV, V는 보행불가군으로 나누어 군별로 느끼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재가보호 중인 경우 두 군 모두 혼자서 재활센터 방문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했고, 시설보호 중인 경우 보행가능군은 혼자 시설 밖으로 나가기, 보행불가군은 혼자서 화장실 이용하기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3%는 뇌성마비 환자에게 재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재활을 받는 뇌성마비 환자는 33%에 불과했다. 재활을 받는 경우, 평균 주 3.6회, 회당 39분 동안 치료를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주거약자법은 접근로와 관련된 규정이 없고 장애인등편의법에서는 공동주택에 대한 주 출입구 접근로의 항목만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환자는 18%로, 이들은 접근로가 확보되지 않은 주거 환경에서 살고 있다. 뇌성마비 환자들이 고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법률은 없으며,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접근로에 관한 법률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시행 중인 장애인등편의법, 주거약자법 그리고 2017년 12월에 시행된 장애인건강권법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현실적으로 느끼는 어려움을 반영한 시행 규칙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설문을 통해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와 재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of rehabilitation for cerebral palsy (CP)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residential laws pertaining to the disabled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health legislation for the rights of the disabled. Materials and Methods: The literature was searched using three keywords: residence, rehabilitation, and accessibility. Two items were selecte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habilitation accessibility. The questionnaire included 51 items; 24 were scored using a Likert scale and 27 were in the form of multiple-choice question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100 subjects, of which 93 lived at home and seven lived in a facility. Of these 93 subjects, 65% were living in apartments, usually two or more floors above ground, and 40% of them were living without elevators. According to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subjects with I to III belonged to the ambulatory group and IV, V were in the non-ambulatory group. Subjects from both groups who lived at home found it most difficult to visit the rehabilitation center by themselves. In contrast, among those who lived at the facility, the ambulatory group found it most difficult to leave the facility alone, while the non-ambulatory group found it most difficult to use the toilet alone. Moreover, 83% of respondents thought that rehabilitation was necessary for CP. On the other hand, 33% are receiving rehabilitation services.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for an average of 3.6 sessions per week, 39 minutes per session. Conclusion: There is no law that ensures secure and convenient access of CP to higher levels. Laws on access routes to enter rooms are insufficient. The disabled people"s law and the disabled person"s health law will be implemented in December 2017. It is necessary to enact laws that actually reflect the difficul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investigation of the housing and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P through a large-scale questionnaire will necessary.

      • 3D Map 생성을 위한 분산 로봇 단말의 정보수집

        최민순 ( Min-soon Choi ),차재원 ( Jae-won Cha ),김지우 ( Ji-woo Kim ),성기혁 ( Ki-hyuk Sung ),임경선 ( Kyung-sun Im ),김종국 ( Jong-ko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이동 로봇이 일정한 작업 공간을 이동하며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작업 공간에는 초음파 발신장치가 있어 로봇이 이 초음파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다. 로봇은 특정 위치의 정보를 획득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3D map 을 생성 한다.

      • KCI등재

        분절간 척추경 나사못 고정을 이용하여 후방 교정술로만 치료한 70도 이상의 고도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김진혁(Jin-Hyok Kim),석세일(Se-Il Suk),안종국(Jong-Kuk Ahn),김성수(Sung-Soo Kim),정국진(Kook-Jin Chung),임동주(Dong-Ju Lim),성기혁(Ki-Hyuk S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분절간 척추경 나사못의 강력한 교정력은 고도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전방 수술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을 확인하고자 분절간 척추경 나사못 고정을 이용하여 후방 교정술만으로 치료한 70도 이상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절간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하여 후방 술식만으로 치료하고 최소 2년 이상(2-7.8년) 추시 관찰 가능했던 70도 이상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 23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여자가 19명, 남자가 4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14.9세였다. 술전 70도 이상의(70-96도) 흉추 만곡을 가진 환자는 19명이었으며 70도 이상의(70꺼도) 요추 만곡을 가진 환자는 4명이었다. King Ⅰ형의 4명을 제외한 환자는 모두 흉추 만곡 유합술로 치료하였다. 방사선학적 측정은 술전 및 술후 기립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다. 결과: 술전 79.5±9.1도의 흉추 만곡은 최종 추시에서 25.3±5.8도로 교정되어 67.9±7.8%의 교정률을 보였고 술후 추시 관찰상 2.5±1.9%의 교정 소실을 보였다. 술전 72.3±3.3도의 요추 만곡은 최종 추시에서 30.0±10.1도로 교정되어 58.4±14.8%의 교정률을 보였고 술후 추시 관찰상 2.4±2.5%의 교정 소설을 보였다. 술전 30±7.4도의 최하위 기기 고정된 추체 경사각은 술후 10.5±5.6도를 보여 64.8±20.9%의 교정을 보였다. 흉추 후만각은 술전 평균 28.3±11.2도(0-50도)에서 술후 평균 35.0±9.1도(22-53도)로 호전되었다. 모든 환자는 최종 추시상 척추경 나사못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으며, 유합 부위에서 불유합의 소견은 없었다. 결론: 70도 이상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치료에서 전방 유리술 없이 분절간 척추경 나사못 고정만으로 만족스러운 교정 및 유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절간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후방 교정술과 유합술은 고도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수술적 치료로 전방 유리술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전방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게 해주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a posterior procedure with segmental pedicle screw fixation in severe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 70°.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adolescent idiopathic patients with a curve magnitude ≥ 70° subject to segmental pedicle screw fixation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ith a minimum follow-up of 2 years (2-7.8 years). There were 19 females and 4 males with a mean age of 14.9 years. All patients, except for 4 patients with King type Ⅰ, were subjected to thoracic curve fusion. Twenty patients showed a thoracic curve ≥70° (70-96), and 4 patients had a lumbar curve ≥70° (70-77), preoperatively.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nding roentgenograms were used to check the radiological parameters.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thoracic curve was corrected from 79.5±9.1° to 25.3±5.8° at the most recent follow-up, showing a correction of 67.9±7.8% and loss of correction of 2.5±1.9%. The mean preoperative lumbar curve was corrected from 72.3±3.3° to 30.0±10.1° at the most recent follow-up (58.4±14.8% curve correction, 2.4±2.5% loss of curve correction). The mean preoperative lowest instrumented vertebral tilting was corrected from 30.0±7.4° to 10.5±5.6°, showing a correction of 64.8 ± 20.9%. The preoperative thoracic kyphosis improved from 28.3 ± 11.2° (0-50°) to 35.0±9.1° (22-53°) postoperatively. There was neither pseudoarthrosis nor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edicle screws at the most recent follow-up. Conclusion: Segmental pedicle screw fixation without an anterior release procedure in severe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produced a satisfactory deformity correction with no significant loss of the curve correction. This procedure obviates the need for the anterior release and reduces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nterio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