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열녀담론 재고

        서보경(Seo, Bo-Kyung)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동아시아 여성에 대한 탐구의 일환으로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을 이루는 요소 가운데 ‘열녀’라는 기호로 여성들의 사회적 위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당대의 열녀에게 왜 남편을 따라 죽는 선택을 했는가라고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들은 그 시대의 이데올로기와 지배적 규범 안에서 최대한 주체적인 선택을 한 것이라 보아야 할 것이다. 여성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더 지혜로워졌을 뿐 아니라 그들의 욕망과 요구도 점점 커지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열녀’라는 기호는 여성들의 실천과 행위를 의미 있게 보여주는 아이콘이며, 생성적인 여성 담론을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열녀’란 다름 아닌 그들 자신에 대한 찬양으로, 그것은 바로 도덕에 있어 여성들 스스로 완성된 인격체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열녀’는 원래 부계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권장되는 덕목이었지만 점차 여성 자신들의 방식으로 해석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당대 여성의 도덕성을 내면화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동아시아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모습이 남성 중심적 질서에 의하여 과도하게 억눌린 존재로만 그려졌던 것은 아닐까 하는 점에 의문을 갖고 살펴본 바, 그들은 남성들이 그랬던 것처럼 성리학에서 최고의 목표로 삼는 도덕적 인격체의 완성이라는 커다란 틀 안에 자신을 위치 지우고자 했다. 그러므로 여성들의 이러한 행위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었던 것이다. 당대의 여성들은 사실상 희생이나 억압의 상징이 아닌 스스로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녀가 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여성들은 강렬한 자기 의지와 목적의식으로 열녀가 된 것이며, ‘열녀’는 이데올로기적 강제와 여성들의 내면화가 맞물려 이루어진 결과물이었다. 즉 ‘열녀’는 여성들의 선택, 여성 스스로의 결정이었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in depth the social status of women according to “Virtuous Women” seen in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Virtuous Women” depicts women’s implements and their acts to become meaningful, and these possibilities gave rise to the female generative discourse. “Virtuous Women” began to offer praises to themselves to justify the fact that women by themselves are “Complete Human Beings.” “Virtuous Women” was created to retain and reinforce the “patrilineal” in the society, but other women started to translate and use it according to their methods. In the Neo-Confucianism, they tried to keep themselves as the highest pinnacle of Complete Human Form and this can be viewed as internalization process of Women’s morality. The image of ‘Virtuous Women’ can viewed as an arbitrary sacrifice act that is shown by the past ‘Virtuous Women’. This was one of the ways which indicates women’s place in society, their relationship with men, family, hierarchy and their response to the changes above. In the Confucian Patriarchy Society of East Asia,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women were oppressed by laws that are centralized by and for men. With that said, as it is done by men in the past, they tried to create a place where they can be the pinnacle of Complete Human Form in Neo-Confucianism. Therefore, the actions of these women can be viewed as their way of achieving their place in society.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women of Cho Sun had not sacrificed themselves and were not oppressed but became ‘Virtuous Women’ in order to make their ideology come true. Women had become ‘Virtuous Women’ by their own free will and sense of purpose and the “Virtuous Women” was the result of the control and oppression during the Era and women’s internalization. Therefore, the “Virtuous Women” was their choice, their own decision.

      • KCI등재

        고대 일본의 문필실무직(文筆實務職)과 한국계 「도래(渡來)」씨족

        서보경 ( Seo Bo-kyung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59

        In the Ancient Japa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a variety of Bunpitsu work including scholarship were called `Humihito`. This name came to settle as one of kabane which was called Huhito in the occupation name. This settlement process is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of kaisei of `HuneUji` with the kabane of Huhito in 『Nihonsyoki』. Ojinni, who immigrated to Japan in the era of Kinmei-tenno, received the kabane of `Obito` after contributing to the management of miyake of SoganoUji and security of water traffic, and changed the kaisei into `Huhito` in around the era of Kotoku-Tenno.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article on Ojinni`s activities in 『Nihonsyoki』 must be a version corrected in the step of compiling 『Nihonsyoki』. However, the clans, who had Huhito as the kabane, came to lose the leading position in the Bunpitsu field to new clans, who have immigrated to Japan after Baekje and Goguryeo collapsed, not only in the late 7th century but also in the era of Nara. In this situation, Ojinni`s descendants tried to improve their status as a literary clan by arguing that Ojinni received the kabene of `Huhito` for the first time and that Ojinni was more capable than all the Yamato-KawachinoHuhitos. The article of relations of Ojinni, which was written for such purpose, was selected as materials for explaining the expansion of rule of miyake by the royal authority of Yamato in the step of compiling 『Nihonsyoki』 to be described in Kinmeicyo and Bidatucyo.

      • KCI등재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의 원형(原型)과 편자의 편찬 태도

        서보경 ( Bo-kyung Se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 翰林日本學 Vol.0 No.32

        『신찬성씨록』의 일문 기사와 초략본을 비교, 검토하여 『신찬성씨록』의 원본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신찬성씨록』의 원본에서는 서문에서 언급한 「삼례」 형식에 기초하여 계보 관계가 기재되었지만, 초략이나 書寫 과정에서 일부 기사의 누락이나 변형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밝혔다. 또 『신찬성씨록』의 원본에는 氏姓本系 아래에 1) 「삼례」, 2) 씨성 유래를 비롯한 조상의 史蹟, 3) 기내 지역만이 아니라 각국에 산재한 본종과 別祖의 인명, 4) 사성과 개성에 관한 내력(일족 포함), 5) 본계장 제출에 관여한 인물의 인명 등이 기재되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8세기에서 9세기에 이르는 시기의 나카토미노무라지(中臣連)씨의 시조전승 기사를 분석한 결과 이른바 ‘始祖加上’을 통한 세수 증가가 다양한 세수 표기가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또한 같은 인명이나 신명의 異表記는 헤이안시대의 勘籍에서도 허용되는 사안이었다. 그러므로 『신찬성씨록』 편자는 당시 사회의 현실에 기초하여 인명이나 신명, 세수 표기 등을 통일하지 않은 채 게재한 것이다. 따라서 표기 면에서의 불일치는 현실에 기반을 둔 『신찬성씨록』 편자의 태도를 반영한 것이다. The original documents were written based on the format of ‘Sanrai(三例)’, or the basic format of 『ShinsenShojiroku(新撰姓氏錄)』, but while abridging and narrating of the original text, the omission and transformation were shown. Also, the contents contained 1) sanrei, 2) ancestors’ historical achievements with the fact how they received their sise, 3) the names of honshu(本宗) and Besso(別祖) not only in the region of Kinai but also throughout scattered kunis, 4) the history about sisei(賜姓) and kaisei(改姓)(including kinship), 5) the names of people participating in submitting Honkeicho(本系帳).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t writings of the same names and gods names put in 『ShinsenShojiroku』; and various writings of the number of generations. This inconsistency in the respect of writing was outgrowth through editors’ allowing different writings, various writings of the number of generations in use on a basis of the common sense in that period. Therefore, that inconsistency in writing came from the proper editing attitude adjusted to society at that time, not the lack of control.

      • KCI등재

        『經國集』의 紀眞象 對策文 注解 및 서술상의 특징 연구

        서보경(Seo,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4 No.-

        『經國集』에 실린 紀眞象의 對策文 가운데 하나인 ‘對新羅方略策’은 4자구와 6자구를 중심으로 한 騈儷體 문체로 先例와 典故에 기초한 정형화된 표현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대책문은 ‘王者의 올바른 兵法’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 있다. 논의의 전개는 중국과 夷狄의 관계를 일본과 신라의 관계로 대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 이적의 속성으로 규정한 무례와 침략성을 신라의 속성으로 대치시켜 ‘新羅侵伐’은 일본 백성의 피폐함을 초래할 뿐이므로 智謀와 外交 작전을 통해 신라 내부의 붕괴를 이끌어내 귀복시키는 것이 백전백승의 병법이라고 논하였다.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책략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것은 대책문이 시문의 형식미를 추구한 시험 답안이라는 점에 의거한 것이다. 그리고 대책문에 전거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文章科’의 교과서인 ‘三史’와 『文選』이지만, 신라 관계에 대한 논거는 『日本書紀』에 기재된 ‘神功皇后의 신라 정토 전승’에 의거하였다. 따라서 紀眞象의 대책문은 일본관인 사회의 ‘新羅蕃國觀’을 나타낸 전형적인 사례로 『經國集』에 수록된 것으로 보인다. Taisakumon written by KinoMakata, as it has been commented on in the existing studies, is organized in the form of Four-Six Prose, and is described as patterned precedents and authentic precedents. First, by explaining that China is to barbarians what Japan is to Silla, impoliteness and invasiveness, which are defined as underlying attributes of barbarians, are used to indicate those of Silla. Taisakumon is only about abstract and formal statements hard to consider as actual plans. This is imputed to the fact that Taisakumon is characterized of formal beauty in classical poetry and also a document written for passing an exam. Besides, Taisukumon used most textbooks of monjyouka such as sanshi and Wenxuan as authentic precedents in the process of reaching such a conclusion. Merely, bilateral relationship from a point of view that Silla is dependency of Japan comes from Nihonsyoki as evidence. As Nihonsyoki-kouenn contributed to the recognition of Jingukogo’slegend described in Ninonsyoki as historical facts in Nara period, when the documents officials and would-be officials asked and answered in shuusai became official.

      • KCI등재

        ‘同祖’계보의 변화를 통해 본 王仁, 王辰爾系 씨족

        서보경(Seo,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3 No.-

        『일본서기』에 ‘왕인과 왕진이의 후손’이라 기재된 가와치노후미(西文)씨 일족이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계보 기록에는 ‘漢高帝(祖)의 후손인 왕인’과 ‘백제 貴須王의 후손인 진이’의 후손이라 적혀 있다. 이와같이 왕인과 왕진이계 씨족의 조상전승이 다르게 기재된 것은 왕인계 후미(文), 다케후(武生)씨와 왕진이계 츠(津), 후네(船), 후지이(葛井)씨 등이 각기 改姓을 정당화하기 위해 『일본서기』 단계에 기재된 조상 위에 새로운 시조를 더하여 계보를 조작한 데 그 원인이 있다. 또한 延曆年間에는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와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이씨 등의 ‘改姓請願’이 허가되었다. 고대 일본 사회에서는 ‘改姓請願’이 인정되면 각 씨가 주장한 계보는 공적인 문건이 되었다. 따라서 이른바 ‘始祖加上’을 통해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 등은 중국계 이주 씨족이 되고,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 이씨 등은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분류되어 『신찬성씨록』에 게재되었다. 또한 교키(行基)와 구다라노코니키시(百濟王)씨는 쇼무(聖武)천황의 대불조영 사업을 매개로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大僧上舍利甁記」의 명문에 기재된 ‘와니(王爾, 王仁)가 백제 왕자’라는 계보가 공인되었다. 따라서 왕인계 가와치노후미씨가 ‘한 고조의 후손’이라는 계보는 개성을 청원하는 단계의 ‘시조가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왕인, 왕진이계 씨족의 개성청원이 이루어진 연력년간에 백제계 도래씨족으로 최고의 위상을 보유한 씨족은 왕진이계 츠노무라지(津連)였다. 특히 간무(桓武)천황의 측근으로 활동한 츠노무라지마미치(津連眞道)는 『속일본기』 편찬 작업에 임하면서 후지와라(藤原)씨와 구다라노코니키시씨와 연결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매개로 하여 백제계 이주씨족의 후손인 츠노무라지마미치는 백제 왕족과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공인되어 『속일본기』와 『성씨록』에 기재되었다. 요컨대 왕인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근접한 지역에서 ‘의제적 동족’ 관계를 형성하며 ‘문필’에 관한 소양을 갖춘 관인으로 출사할 때나 대학에 입학할 때, 조정의 필요에 따라 동원될 경우는 가와치노후미씨 일족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이들은 ‘문필’이라는 유사 직종에 종사하며 賜姓, 敍位, 任官의 경우만 아니라, 봉사의 기원을 기록한 씨족계보의 기술 내용에 이르기까지 각 씨의 격을 높이기 위한 경쟁을 지속하며 고대 일본의 관인사회에 적응해 나간 존재이기도 했다. The family of KawachinoHumiuji(西文氏), which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Wani(王仁) in NihonShoki(日本書紀),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Emperor Gaozu(高祖) of the Han(漢) and the descendent of the Baekje royal family, respectively, in ShokuNihongi(續日本紀) and Shojiroku(姓氏錄).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clans sharing the common ancestry put up different founders. Thus, this study analyzed Kaisei(改姓) applications in the records of Keifu in ShokuNihongi and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the original texts. The difference between Keifu(系譜) in NihonShoki and the contents in ShokuNihongi is the consequence of changing Keifu by adding another ancestor to the original earliest ancestor in order to justify Kaisei. The fabrication of Keifu for giving authority to the origin was a social phenomenon common in both Torai(渡來) and non‐Torai(非渡來) people through the age of Nara. If Kaisei is accepted, the Keifu maintained by each Uji is acknowledged as an official document.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accordingly, Wani, Humi(文), Takehu(武生), etc. became Chinese Torai people, and Ojinni(王辰爾), Tu(津), Hune(船), Hujii(葛井), etc. became Baekje Torai people. In this way, the clans came to have different origins. When the GyokiKeifu(行基系譜), in which Wani was recorded as a Baekje royalty, is analyzed,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result of Keifu fabrication. Because the Baekje royalty should admit Wani as one of the royal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 Keifu to be officially recognized, this study traced the association between Gyoki and Kudaranokonikisishi(百濟王氏).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were connected through the medium of the project for creating a great statue of Buddha by ShomuTenno (聖武天皇). Based on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however, the recognized Keifu was maintained not by Humi and Takehu but by TunoMurajiMamichi(津連眞道). In addition, TunoMurajiMamichi and Kudaranokokisishi we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KammuTenno. After all, KawachinoHumiuji is a clan organized constructively based on the commonalities that they immigrated from Baekje, they carried out similar jobs of Humihito(史), and they followed Buddhism. They sometimes moved together under the name of KawachinoHumiuji if necessary, but basically maintain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as they were engaged in similar business of writing. As a result, the family of Tu, Hujii and Hune maintained the superiority over other family, and Tu won the glory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Baekje royalty, the highest Keifu of clans originating from Baekje.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한·일 관계 기술의 분석 -「渡來人」, 「歸化人」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서보경(Seo,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8 No.-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도래한 인간들’이 「渡來人」 혹은 「歸化人」이라는 용어로 표기되어 있다. 「귀화인」이 고대 일본사 연구의 장에서 먼저 통용된 학술용어이고, 「귀화인」의 대체 용어로 나온 것이 「도래인」이다.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이 2가지 용어가 야마토(大和)왕권의 성립, 발전기라고 간주되는 ‘古墳時代’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이들은 ‘문화전파의 매개자’로 특히 ‘대륙문화’의 전파와 교류를 담당한 존재라고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한반도보다 중국대륙의 문화와 친연관계가 강한 인간들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기의 한일관계는 任那(가야)를 비롯한 한반도 諸國에 대한 야마토왕권의 우위라는 입장에서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歷史像은 근대 일본의 역사학이 새롭게 제기한 것이 아니라, 고대 일본의 귀족이 설정한 『日本書紀』의 일본 중심, 천황 중심 사관에 의거한 것이다. 따라서 도래인가, 귀화인가 하는 용어 사용 문제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일본서기』에 기재된 한반도 관계기사의 철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인간들’의 객관적인 실체를 찾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In the history textbooks in Japanese middle schools, the human group arriving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Islands has been established as a mediator of culture diffusion. This group, written as Toraizin, or kikazin, was defined as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xchanging and disseminating (Chinese)continental culture; and classified as those who showed an even deeper root in Chinese continental culture rather tha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such terms as Doraizin, or kikazin have been used only for Kofun period when Yamato royal authority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Korea-Japan relationship was described as the superiority of Wae in Wae’s ruling Imna and the Korean Peninsula. This historical viewpoint is the one, centered on Japan, or Japanese Emperor, by Ancient Japanese noblemen, newly not raised by modern Japanese historical studies. Thus, the issue of whether using Toraizin or kikazin is not buried; but by the thorough analysis and criticism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 think, the objective truth of ‘who they were that went over to the Japanese Islands from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sought for.

      • KCI등재

        장애인 스마트폰 중독 실태 연구

        서보경(Bo Kyung, Seo),김인혜(In Hye, Kim),남길우(Gil Woo, Nam),권미수(Mi Su,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중독 특성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20~59세 총49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스마트폰중독위험군 비율은 12.55%였다. 장애인의 스마트폰, 모바일메신저, SNS 및 게임 사용시간은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위험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에 관한 인식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2/3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중독관련 상담기관을 알고는 있었으나, 실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는 사람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홍보와 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purposed to analyse smartphone addicti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ed to establish related prevention policies for them. The analysis of 20-50 aged 494 disabled people resulted, that the smartphone addiction rate of the disabled people was 12.55%. Smartphone use-, mobile messenger-, SNS- and game time were nearly the same or higher than the potential and high risk group from the survey on internet overdependence 2015. In the question about the awar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they answered the smartphone addiction is severe in the society, and they are aware of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center. But they will not get a service form the centers. Tha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mote the policy of smartphone addiction for the disabled. It should provide institutional strategy and structural change for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for the disabled.

      • KCI등재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의 기초적 연구

        서보경 ( Bo-kyung Se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0

        『신찬성씨록』(이하 『성씨록』이라 약칭)이 편찬된 간무조(桓武朝)는 덴무계(天武系)에서 덴지계(天智系)로 황통이 변화된 시기였다. 그래서 간무천황의 황통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조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간무조 전반기는 황친질서의 개편과 덴무, 덴지계 황친에 대한 `賜姓`을 통해 간무 직계 중심의 황친체제를 구축하였고, 후반기는 이러한 질서 위에 `親王任官`책을 통해 천황권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황친을 대상으로 한 사성과 임관 정책은 사가조(嵯峨朝)에 계승되어 한층 진전을 보았다. 따라서 홍인 5년에 완성을 본 『성씨록』(1차)이 미나모토노아손(源朝臣) 사성과 좌경 관부 등의 일련의 작업을 마친 뒤 『성씨록』의 좌경황별조의 필두에 미나모토노아손 등을 게재하였다. 보완된 『성씨록』(2차)에 다시 상표문을 붙여 홍인 6년에 상주하였다. 그리고 각 씨가 제출한 본계를 공인하는 방식은 古記와 本宗氏 本系와의 대조라는 원칙이 적용되었다. 이 두 가지 방법에 의거해 국가가 본계장을 제출한 씨족의 本枝 관계를 인정한 표지가 「三禮」이다. 또 어떤 씨족과 「同祖」 관계를 맺은 씨족인지, 어떤 始祖나 別祖를 둔 씨족인지가 정해지면 皇別, 神別, 諸蕃이라는 「三體」로 각씨족의 출신을 분류하여 『성씨록』에 게재하였다. 이러한 『성씨록』의 서술 체제는 내적으로는 씨족의 계보를 공인하는 역할과 황별을 중시하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고, 외적으로는 고대의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지역을 모두 제번이라 규정하여, 황별, 신별 아래에 부속시켜 천황 중심, 일본 중심의 관념을 체현하려 한 것임을 드러내고 있다. Kanmucho was a period when the imperial line changed from Tenmu to Tenji and Kanmu-Tennno`s thoughts of the imperial line showed strongly. The reduction of the scope of relatives of the imperial family on Kanmucho was promoted by excluding those who have obtained the imperial name of Tenji or Tenmu through sisei. In addition, Kanmu-Tennno let relatives of the imperial family participate in politics and support the Tennno`s authority by commissioning sinnnos. In the period of Saga-Tennno, a surname of MinamotonoAsomi was bestowed to an imperial prince who was one year old, and let sinnnos, who have lost the right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e gentlemen ushers through sisei and play a role in strengthening the Tennno`s authority. Therefore, there was a reason that, though 『SinsenShojiroku』 was primarily completed in the year of Konin 5, it was again published in the year of Konin 6 in order to arrange the records on the Tennno`s sisei. Next, the basic system of 『SinsenShojiroku』 is regarded to have been composed by the form of 「santa」i and 「sanrai」.

      • KCI등재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서보경(Bo-Kyung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특성 및 인터넷 이용 특성과 스마트폰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를 발굴하고, 교육, 예방 및 상담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도의 인터넷중독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터넷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인터넷중독자의 스마트폰 이용특성과 SNS 이용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39세 성인 중에 매일~최근 1주일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4,787명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 나이, 교육정도, 직업종류, 직업유무에서 인터넷중독자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 구성 및 생활 형태별 특성에서는 결혼과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이용특성에서 인터넷이용시간, 인터넷 최초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에서 중독자집단과 비중독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특성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 인식,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인터넷 이용시간의 변화와 SNS 과다사용 인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ternet and smartphone use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Internet Addiction, so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adult internet addicts, the planning and performing of prevention, counseling of adult internet addicts. This study is explorative study in order to find a sociological profile of adults with internet addiction. Using the data of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4787 adults in the age of 20~39 who used internet at least one time within a week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in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as well as in internet use characteristics like spending hours on internet use, the first year of internet use etc. Thirdly, the addict group reported that internet use hour increased due to smartphone usage, and that they overused SNS.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