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개인 특성별 사이버비행 위험군과 안전군에 관한 연구

        박선숙(Park, Sun So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최근 유행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하나인 의사결정트리 방법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개인 특성 변수별로 사이버비행의 위험집단과 안전집단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KCYPS 자료 중 중1 코호트 4차년도 데이터, 즉 고1 학생 2,01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훨씬 많은 사이버비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학력이 중졸 이하이고 어머니 직업이 있는 남학생과 어머니 직업이 없는 비특수목적고, 비남녀공학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사이버비행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가장 위험한 집단이 아버지가 중졸 이하이고,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남학생이며 그 다음이 아버지가 고졸 이상 학력이고 소득이 상이나 하, 그리고 성적에 불만이 많은 면 거주 남학생이다. 넷째, 안전군으로 충청이나 강원이 아닌 지역의 남녀공학인 비특수목적고에 다니는 여학생이 일반적인 안전군으로 분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isky group and safe group of adolescents’ cyber-delinquenc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on big data analysis. For the analysis, KCYPS data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as conducted for the fourth year of the 1st cohort which consists of 2,018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boy students commit cyber-delinquency much more frequently than girl students. Second, boy students of father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or less and working mother, and girl students of non special-purpose female school with mother without a job commit cyber-delinquency relatively more frequently. Third, the most risky group consists of boy students having father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less and working mother and the next one is a group of boy students having father with above high school education, income level of high or low, meon resident and unsatisfied with their performance. Fourth, safe group consists of girl students of non-special purpose coeducation schools resident in provinces except Chungcheong or Kangwon.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숙(Park, Sun-Sook)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위치한 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도구에 대한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 s α)을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고 주요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고 이직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요양보호사가 느끼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이직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도 이직 의도에 경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minimize the stress of caregiver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n analyzing the effect on caregivers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0 caregivers at the home elderly welfare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For data analysis, SPSS 22.0 was used,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s α)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egree of internal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 tool,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higher the job stress and the interpersonal stress of the caregivers, the low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stress felt by the caregivers.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of caregiver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ro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Fourth, interpersonal stress of caregiv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lso had a slight effect on the intention to leave.

      • KCI등재

        청소년의 결손가정 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적 요인의 매개효과

        박선숙(Sun-Sook Park),이인석(Inn-Se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결손가정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이웃관계 등 관계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2년 3차년도 자료 중에서 초등학교6학년과 중학교 3학년 4,36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동체 의식의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중학교 3학년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경우, 결손이 없는 가정인 경우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결손가정 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이웃관계의 관계적 요인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여주면서 부모구성에 따른 결손가정요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게 있어서 관계적 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factors between family deficiency and community spirit in adolescence. Relation factors were composed of some factors, parents relation, peer relation, teacher relation, neighbor relation. Using samples from Korean Youth Panel Study(KYPS) 2012, authors analyzed 4,362, 6th grader and 9th grader, with a hierarchical regression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proposed b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community spirit vary with significant in gender, age, health, family deficiency. Among control factors, girls, grade, recognition of health, earning affected the community spi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eficiency and community spirit in adolescence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In conclusion, the researchers hypothesized research model between relational factors and community spirit was proved to be tru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adolescents in family deficiency were needed to be boosted a many relational factors. Finally, it remarked the limit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팬덤활동과 청소년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숙(Park, Sun-Sook)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3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사회활동, 그리고 사이버비행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정서문제가 팬덤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은 부적 영향력이, 우울은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한편 공격성은 팬덤활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청소년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 위축은 부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공격성과 우울은 청소년활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한편 팬덤활동은 청소년활동에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공격성과 우울은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정적 영향력, 사회적 위축은 부적 영향력이 있었으며, 팬덤활동과 청소년활동은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넷째, 팬덤활동 및 청소년활동 등 청소년 사회활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위축은 부적 매개효과가, 우울은 정적 매개효과가 있었다. 즉 청소년의 팬덤활동과 청소년활동은 사회적 위축이 심한 청소년이 사이비비행을 할 가능성을 낮추는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반면 우울이 심한 청소년의 경우 사이버비행의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작동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problems, social activities, and cyber delinquency in adolescents using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withdrawal ha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and depress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fandom activity. On the other hand, aggression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it. Second, social withdrawal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s activities, but aggression and depression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them. Meanwhile, fandom activ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activities. Third, aggression and depress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in adolescents, but social withdrawal ha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t. In addition, fandom activity and adolescents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it. Fourth, from youth social activities such as fandom activity and adolescents activities, we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cyber delinquency in adolescents but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 사회복지상담자의 전문적 능력이 사회복지상담 활용에 미치는 영향

        박선숙(Park Sun sook),한삼협(Han Sam hyup)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7 사회복지상담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날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사회복지상담이 활성화 되어야할 필요성에 근거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상담이 실천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사회복지상담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사회복지상담의 개념과 차별성 및 특성을 밝혀두었다. 다음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상담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기관에서 실무를 맡고 있는 2년 이상 경력의 사회복지사 49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상담의 활용에는 기관유형 별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관의 특성과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교육과,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에 관한 전문교육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상담 매뉴얼의 개발, 보수교육의 차별화 및 전문화, 슈퍼비전의 강화 등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ed to invigorate the Social Work Counseling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demand.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of developing the Social Work Counseling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worker s professional abilities on utilization of the Social Work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99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study has shown that knowledge and skills of a social worker were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and the type of the organizations that he or she worked f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recommended the development plans such as strengthening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y of social worker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development of the Social Work Counseling manual, and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refresher training, and strengthening of supervision.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지한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선숙(Sun-Sook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지하는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경남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중에서 2년 이상 경력자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전문기술과 능력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종사자의 전문지식이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복지 가치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기술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과, 전문적 능력 및 가치를 고려한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local children’s centers’ workers, and examine their impact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89 children’s centers’ workers with 2 or more years of experienc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skills and capabilities of workers have substantial impact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Moreover, the study also proved that social work values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actice. This study suggested tha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mpetency and professional practice in local children’s centers, it is necessary to equip workers with specified education programs and effective law manual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유형별 경제적 요인과의 관계 연구

        박선숙(Park, Sun-Soo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유형과 경제적 요인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9년 한국복지패널의 1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응일치분석을 적용하였다. 투입 경제적 요인은 소득원천, 경제활동 유형, 주택유형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을 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유형화한 결과 ‘생활취약형’, ‘주거가족만족형’, ‘사회관계만족형’, ‘건강소득취약형’, ‘생활안정형’, ‘건강취약만족형’ 등 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득원천에서는 ‘취약계층집단’은 ‘건강소득취약형’, ‘생활취약형’ 유형과, ‘임대/고용/자영업/상용직 집단’은 ‘생활안정형’, ‘농축어업형 집단’과 ‘임시일용직 집단’은 ‘주거가족만족형’, ‘사회관계만족형’과, ‘건강취약만족형’은 ‘임대/고용/자영/상용직 집단’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셋째, 경제활동 유형에서는 ‘생활안정형’은 ‘상용직 집단’, ‘고용주/자영업 집단’, ‘무급가족종사 집단’과, ‘생활취약형’과 ‘건강소득취약형’은 ‘실업/비경제활동 집단’과, ‘주거가족만족형’은 ‘일용직 집단’과, ‘건강취약만족형’은 ‘무급가족종사 집단’과 ‘실업/비경제활동 집단’과, ‘실업/비경제활동 집단’은 ‘생활취약형’, ‘건강소득형’, ‘건강취약만족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넷째, 주택 유형에서는 ‘일반아파트 집단’은 ‘생활안정형’, ‘임대아파트 집단’과 ‘다가구단독 집단’은 ‘생활취약형’과, ‘사회관계만족형’은 ‘빌라연립 집단’과, ‘건강취약만족형’이나 ‘주거가족만족형’은 ‘일반단독 집단’, ‘다세대주택 집단’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find an association between the types of the aged’ life satisfaction and their economic factor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y appling correspondence analys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ged over 65 years old from the data of the ‘2019 Korean Welfare Panel’. The input variables consist of economic factors of the aged such as source of income, type of economic activities, and housing typ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lustering analysis of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they are classified as ‘bad life satisfaction type’, ‘good housing and family satisfaction type’, ‘good social relation type’, ‘bad health and income type’, ‘good life satisfaction type’, ‘bad health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Second, in terms of income source, between ‘bad income group’ and ‘bad health and income type’, or ‘bad life satisfaction type’, between ‘rental/employer/self-employed/regular-employed group’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between ‘agricultural or fishing income group’ or the ‘temporary employment group’ and ‘good housing and family satisfaction type’ and ‘good social relation type’, between ‘rental/employer/ self-employed/regular-employed group’ and ‘bad health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are closely related. Third, in terms of economic activities type, between ‘regular-employed group’, ‘employer/self-employment group’, or ‘unpaid family worker group’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between ‘unemployed/non-economic activities group’ and ‘bad life satisfaction type’ or ‘bad health and income type’, between ‘temporary employed group’ and ‘good housing and family satisfaction type’, between ‘unpaid family worker group’ or ‘unemployed/non-economic activities group’ and ‘bad health good life satisfaction type’, between ‘unemployed/non-economic activities group’ and ‘bad life satisfaction type’, ‘good health and income type’, and ‘bad health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are closely related. Fourth, in term of housing type, between ‘general apartments group’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between ‘rental apartments group’ or ‘multi-family single housing group’ and ‘bad life satisfaction type’, between ‘villa or united housing group’ and ‘good social relation type’, between ‘general single housing group’ or ‘multi-family single housing group’ and ‘bad health and good life satisfaction type’ or ‘good housing and family satisfaction type’ are closely related.

      • KCI등재
      • KCI등재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

        박선숙(Park Sun Sook)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8

        본 연구는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성장기 폭력경험이 있는 대학생이라 하더라도 인권감수성을 확장함으로써 사회적 유능성을 확보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15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764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학대에서는 신체학대와 방관경험이, 학교폭력에서는 가해동조, 피해동조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폭력 가해, 가해동조, 피해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권감수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황지각과 책임지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장기 폭력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감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감수성과 사회적 유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he purpose to find solutions to promote their social competence by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of the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followed by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from 15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764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violence in the period of growth, and their questionnaires were only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s including physical assault and neglect as well as school violence experience either as a victim or an offender would have effects on human rights sensitivity. Second, offense of school violence, participation as an offender and experience as a violence victim during the growth period would influence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Third, perceptions of situation and responsibility w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Lastly, human rights sensitivity would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during their growth period and social competence while at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I would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plans to promot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during their growth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