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과 발전방안

        정원철(Jeong Weon cheol),이정상(Lee Jung sang)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7 사회복지상담연구 Vol.1 No.1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ctivating counseling in social work practice enables social work practice to take effect in quality and quantity. To do this, this study was consider the impaction of counseling in social work practice, identifie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as the first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suggested counseling have been s consisted of clinical social work. This study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racks approaches and counseling in social work practice, studied counseling skills applied in social work practice. In addition to,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vent the naming of social work counseling as communication, clarification of service, magnification of service. this study identified social work counseling firstly in Korea.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ocial work counseling and suggested some ideas to revitalize social work counseling in social work practice setting.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장면에서 상담이 활성화되어야 실천의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서비스를 담보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상담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찰하였고, 사회복지실천의 최초모형이 상담을 토대로 했음을 지적하면서 임상사회사업의 핵심서비스 역시 상담임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시되어 왔던 이중적 접근과 상담의 연관성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였고, 사회복지상담에서 활용하는 상담기술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의 용어가 사용되어야 할 필요성으로 의사소통, 서비스의 명확성, 서비스의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사회복지상담을 체계적으로 정의하였다. 사회복지상담이 일반 심리상담과 차이 나는 점을 고찰하였고, 한국에서 사회복지상담이 활성화되어야 할 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 사회복지상담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교육의 개선방향

        임혁(Im Hyuk)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7 사회복지상담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델파이 전문가 의견에 기반을 두고 사회복지상담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교육을 어떻게 개선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나타난 주요 의제들을 개발함으로써 사회복지상담의 사회적 활용성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방법(Delphi Research)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상담교육의 활성화와 대학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총 10명으로 구성되었고 총 4회에 걸쳐서 델파이 조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상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해 델파이 패널들은 다양한 상담관련 교과목들을 추가로 개설해야 한다는 의견과 상담실습이나 워크숍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 그리고 사회복지상담사 자신의 자기분석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상담능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으로 전문상담교육의 확대와 상담사례연구 강화, 사회복지실천교과 내 상담실습교육 비중 강화, 상담재교육을 위한 보수교육의 체계화 그리고 상담 슈퍼비전교육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교육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대학교육 방향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proposed to suggest the promoting social welfare education focused on counseling in social work. For this purpose, delphi method was utilized for reflecting professional opinions of delphi panel. 10 professionals qualified as delphi panel had participated. Delphi study method on this paper was performed for 4 times. Several Social work educational agenda for prevailing counseling were suggested. The main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ly, the curriculum related with counseling need to be open and strengthen on-the-spot counseling at social work practice education of college in addition to expansion of counseling practice including workshop. The panel also highlighted the self-analysis of their own personality among counselors. Secondly, there were more important that professionally specified counseling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counseling skill training, supervision and case study need to be enlarged. The social work counseling promotion strategies for social workers must be settled for providing appropriate social welfare education services to them.

      • 사회복지상담자의 전문적 능력이 사회복지상담 활용에 미치는 영향

        박선숙(Park Sun sook),한삼협(Han Sam hyup)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7 사회복지상담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날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사회복지상담이 활성화 되어야할 필요성에 근거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상담이 실천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사회복지상담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사회복지상담의 개념과 차별성 및 특성을 밝혀두었다. 다음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상담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기관에서 실무를 맡고 있는 2년 이상 경력의 사회복지사 49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상담의 활용에는 기관유형 별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관의 특성과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교육과, 사회복지상담의 가치, 지식, 기술에 관한 전문교육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상담 매뉴얼의 개발, 보수교육의 차별화 및 전문화, 슈퍼비전의 강화 등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ed to invigorate the Social Work Counseling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demand.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of developing the Social Work Counseling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worker s professional abilities on utilization of the Social Work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99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study has shown that knowledge and skills of a social worker were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and the type of the organizations that he or she worked f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recommended the development plans such as strengthening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y of social worker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development of the Social Work Counseling manual, and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refresher training, and strengthening of supervision.

      • 사회복지관에서 바라 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고찰

        도현진(hyun jin Do),김병우(byung woo Kim),노근태(geun tae Noh),김신애(sin ae Kim),천문권(moon kwon Chun),박진희(jin hee Park)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 관점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대한민국의 다문화수용성과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의 다문화수용성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관에서 지역사회 현실에 맞는 다문화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적연구를 위해 2019년 7월 약 한달 간 신당동 지역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면접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 신당동 지역에서 다문화사업을 4년 이상 진행한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의 결과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의 다문화수용성이 전국의 다문화수용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각 세부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신당동 주민들이 다른 지역의 주민들에 비해 다문화주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질적연구의 결과 신당동에 거주하는 다문화주민들의 경우에서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한국사회 적응문제, 다문화 2세대에 대한 보호문제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주민들이 겪는 보편적인 어려움들이지만 저소득층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관에서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및 다문화기관, 각계 전문기관에서 후속연구가 지속된다면 다문화사회를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주민의 한국 정착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문화사회를 준비할 수 있는 토대를 쌓아가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whole country and Sindang-dong, Dalseo-gu, Daegu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erms of social welfare. on this basis,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centers to carry out multicultural projects tailored to the reality of the community. For quantitative research, 300 local residents of Sindang-dong were interviewed for a month in July 2019. For qualitative research, FGI was conducted for practitioners who had conducted multicultural projects in Sindang-dong, Dalseo-gu, Daegu for more than four year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Sindang-dong, Dalseo-gu, Daegu was higher than the whole country. This was the same in each detailed area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it can be seen that Sindang-dong residents form a posi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residents compared to those in other regions. Seco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multicultural residents living in Sindang-dong were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protec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just like other regions. This is a common difficulty faced by multicultural residents, but these phenomenon were more pronounced in areas where low-income families were concent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mprovement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addition, if follow-up research continues by social welfare and multiculturalism, specialized institutions in various fields, at this point of set to be multicultural society, it will pave the way for prepare for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multicultural residents to settle in Korea.

      • 사회복지상담의 관점과 실천의 가치 - SPECT모델을 중심으로 -

        정원철(Jeong, Weon-Cheol)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SPECT모델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상담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SPECT모델은 사회복지상담이 견지해야 하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주관성 (Subjectivity), 촉진관계성(Precipitate), 절충성(Eclectic), 맥락성(Context), 가변성(Treatable)으로 구체화된다. 이를 요약하면 주관성이란 모든 개인은 고유하며 독특하다고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인간존중, 개별화, 공감, 의도적 감정표현, 수용, 진실성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가 포함된다. 촉진관 계성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유익한 괸계경험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탄력성, 동기유발, 의도적 관계, 변화가능성, 잠재력의 가치를 포함한다. 절충성은 개입의 효과성이 검증된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이론과 모델의 절충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증거기반, 효과성과 효율성, 과학적 토대, 전문성 강화의 가치가 포함된다. 맥락성은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체계나 상황 등의 맥락에서 발생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환경 속의 개인, 자원동원, 체계적 실천, 이중접근 등의 가치가 포함된다. 끝으로 가변성은 모든 클라이언트는 변화할수 있고 변화를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강점관점, 능력의 신뢰, 자기결정, 책임성, 인간존중의 가치가 포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clearly the nature of social work counseling by reviewing SPECT model.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d the SPECT model created by the author can present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counseling. The SPECT model consists of five component such as ‘Subjectivity’, ‘Promotion’, ‘Eclecticism’, ‘Context’, ‘Treatable’. ‘Subjectivity’ stresses that every individual must be understood as unique one, ‘Subjectivity’ includes the values of social work practice of respect, individualization, empathy, intentional expression, acceptance and genuine. ‘Promotive relationship’ stresses the client need to have beneficial experience to solve their problems, Promotive relationships include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resilience, incentives, intentional relationships, likelihood of change, and potential. ‘Eclecticism’ emphasizes that the theories of social work counsel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effectiveness proved, This includes the value of evidence-bas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cientific foundations and professional strength. ‘Contexture’ emphasizes that problems of client occur in the systemic base, contexture includes the value such as person in environment , resource mobilization, systemic approaches,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reatable includes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Finally, ‘Treatable’ emphasize that every clients can choose the potential for change at any situation, Treatable includes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 기관이용노인의 가족갈등이 관계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i

        정영희(Young - Hee Jung)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1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은퇴 후 노인 삶의 변동으로 인한 가족 간의 갈등이 가족을 넘어선 사회적 관계인 기관 이용 동료노인에게 행해지는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에 있어 거부민감성의 경로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든 세대가 당면하게 될 노인세대에게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는 관계적 공격성으로서의 노노학대에 대하여 구체적 정책 설정에 있어 본 논문이 기초자료로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식적인 사회적 활동이 없는 경우의 노인, 대인관계를 비롯한 사회관계가 완성되는 대표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노인복지관 및 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부실한 응답을 한 설문을 제외한 283명의 설문이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부산시내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제변수는 성별, 연령, 학력, 월평균수입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이 기관이용 노인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기관이용 기간에 따라 노인들의 관계적 공격성과 거부민감성 등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여 통제변수의 한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거부당할 것이라는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관계적공격성 문제가 있는 노인에 대한 거부민감성을 경험하는 노인 내담자와의 상담에서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rough the path analysis of rejection sensitivity in confirming the effect of family conflicts due to changes in the life of the elderly after retirement on the experience of relational aggression inflicted on the elderly who are using the institution, which is a social relationship beyond the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ncrete policy setting for elderly-elderly abuse as relational aggression which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roblem for the elderly generation that all generations will face. A total of 30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are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social welfare center, which are representative spaces where social relations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completed, were surveyed in the case of no official social activities. Among them, 28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that answered poorly. It was limited to Busan city in local area. In this study, the control variables were selected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Considering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derly who used the institution, it was predicted that the period of institutional use would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elderly. This study was a mediating variable i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al aggression that will be rejected by important ot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social welfare in counseling with the elderly clients who experience rejection sensitivity for the elderly with relational aggression problems.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동해(Dong Hae Ju)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대상으로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사회역량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심리사회역량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고안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심리사회역량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심리사회역량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감정조절, 갈등해결,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의사소통 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상담프로그램 초기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고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타인의 표현에 공감하고 집단참여 수준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trengthen psychosocial competencies for children of regional child cent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psychosocial competency was reviewed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psychosocial competenc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at agree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nd among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24 people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a non-identical group pre-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hange in psychosocial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positive change in the psychosocial competency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social competenc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ified.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empathy, emotion 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lf-esteem. In contra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a has not been proven. Third,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hildren showed only their own claims and did not match, but it was found that they gradually sympathized with the expression of others and improved the level of group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way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in regional child centers were presented.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교류분석 시간구조화의 적용

        권영혜(Young-Hye Kwon)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1 사회복지상담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교류분석(TA) 시간구조화의 적용에 관하여 살펴보고, 사회복지실천 사정 단계에서 사정 도구로서 시간구조화의 유용성과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의 사정 과정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뿐 아니라 개인적 요인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개입방법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정 도구로서 교류분석 시간구조화의 적용은 인간의 특성에 따른 개별화되고 전문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건강한 대인 간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개입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tion of time structuring of Transactional Analysis(TA)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ries to find the usefulness and use of time structuring as an assessment tool in the stage of social welfare practice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to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dividual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lient's assessment process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ransactional Analysis time structuring as an assessment tool in various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can suggest an individualized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human characteristics. It will be able to present basic data for interventions that can activate the client's healthy interpersonal exchange.

      •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장기요양 돌봄 비용에 관한 비교 연구

        이선애(Lee, Sun-Ae)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장기요양 돌봄 비용을 비교 분석하여 장기요양 돌봄 비용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장기요양 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두 집단의 비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재가 노인의 1인당 요보호 평균 총비용이 시설 노인의 1인당 요보호 평균 총비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 노인의 생활비는 시설 노인의 생활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가 노인의 요양인건비가 시설 노인의 요양인건비보다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기요양수급 노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도 성별, 연령, 장기요양등급, 질병의 수에 따라 재가 노인의 1인당 요보호 비용이 시설 노인의 비용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측면에서 두 집단의 직접비용만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시설 노인의 1인당 요보호비용이 재가 노인의 비용보다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용의 차이는 간접비용의 요인으로 무급의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으로 추정되었다.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은 약 58만 원으로 추정되었고 이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에도 하루 평균 3시간 보호 비용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관점에서 재가 노인의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이 장기요양재정을 절감하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장기 요양재정지출에 관한 정책 결정 시에 직접비용뿐만 아니라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까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 하며 가족에 의한 돌봄 서비스의 제도적 보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fficient use of long-term care cos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ng-term care costs of the elderly at home and in the facilities.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ong-term care costs of the elderly at home and the elderly in the facility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sts of the two groups. First, It was turned out ** that the average total cost per person for the elderly at home is higher than the average total cost for the facility s elderly. Second, This shows the living cost of the elderly at home is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facilities. Third, personnel expense for care of the elderly at hom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Also,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the cost of protection per person for the elderly at hom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y, depending on gender, age, long-term care grades and the number of diseases. However, protection cost per person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at home in the result of comparing direct cost of the two groups in social aspect. The difference in these costs was estimated as the cost of caring by unpaid families labor as a factor in indirect costs. The care cost by family was estimated at 580,000 won and it showed that the cost of protection for 3 hours a day averagely is more needed, even though the long-term care service is used. Also from a social perspective, it shows that the cost of caring by the family of elderly at home is a factor reducing the long term care budge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direct costs but also family carer cos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policy decisions on long term care spending, and I hope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stitutional compensation of care services by family members.

      • 교류분석을 통해 살펴 본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고찰

        전기옥(Gi-Ok Jeon)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성폭력 가해자들의 재범방지를 위해서 엄벌주의나 병리적 관점에서 개입하지 않고, 그들의 삶을 살펴보고 이해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성폭력이 발생하는 원인, 성폭력 가해자들의 생활방식, 그리고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성폭력발생 원인, 성폭력 가해자들의 생활방식, 그리고 이들의 심리 특성을 Eric Berne의 교류분석의 주요개념인 자아상태, 재정의, 라포게임, 라켓감정, 의사소통, 스트로크, 인생각본, 공생으로 접근해 설명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정신병리적, 인지적 왜곡, 자기통제 결여, 부모와의 불안정한 애착이 성폭력의 발생 원인이 된다는 것이었다. 또한 가정이 빈곤하고 가정 내 갈등이 존재함으로 인해 성범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가해자들은 반사회적인 성향, 공감능력 결핍, 낮은 자존감과 같은 생활방식을 가지고 살아가며, 성장과정에서 성적학대나 다른 폭력의 피해경험이 많고, 역기능적인 가정환경, 친밀감 부족과 같은 심리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류분석의 주요개념인 자아상태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폭력 발생원인, 반사회적 성향, 공감능력 결핍을 설명할 수 있었다. 인지적 왜곡은 라켓 감정과 라포게임으로 설명 가능했고, 의사소통은 성장과정에서 성적학대나 다른 폭력의 경험을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부모 애착은 스트로크로, 사회성 결함은 인생각본으로, 낮은 자존감은 의사소통과 인생각본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역기능적인 가정환경은 공생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류분석이 성폭력 가해자들의 교정교육 프로그램과 집단상담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does not involve punitivism or pathological considerations to prevent repeated crimes by sexual offender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ives of sexual perpetrators by examined the causes of sexual violence, the lifestyle of sexual perpetrators, and the comm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In order to examine the cause of sexual violence, the lifestyl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xual offenders the study use Eric Berne’s Transactional Analysis: self-status, finance, rapo-game, racket emotion, communication, stroke, life script, symbio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it showed that psychopathic, cognitive distortions, lack of self-control, and unstable attachment to parents are the causes of sexual violence. Also, sexual crimes are occurred due to poverty and conflicts within the fami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exual offenders live in antisocial tendencies, lack of empathy, and low self-esteem. They experience many sexual abuse or other violence during their growth process,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and lack of intimacy in psychological aspect. Ego-state as the main concept of Transactional Analysis showed as the causes of sexual violence, antisocial tendencies, and lack of empathy in a psychological aspect. Cognitive distortion can be showed as racket feeling and rapo-game, then communication as experiences of sexual abuse or other violence in the growth process. Also, parent attachment as a stroke, social defects as a life-script, and low self-esteem as a communication and a life-script. Finally,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was described as symbiosis. Through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ransactional Analysis can be applied to education program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offen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