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정체초음파유화술이 당뇨망막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조희윤,김종인,기창원,안병헌,강세웅,Jae Hui Kim,Hee Yoon Cho Jong In Kim Chang Won Kee,Byung Heon Ahn,Se Woong Kang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2

        Purpose: To evaluate influence of phacoemulsification on the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Methods: The medical charts of 82 eyes of 41 patients with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DR) who had unilateral phacoemulsifica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ourse of diabetic retinopathy was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Each stage of DR progression was indicated by a unique score, and a comparison of the progression of DR between operated and non-operated eyes was performed using the devised scoring system. Results: The progression of 82 eyes at a mean follow-up period of 28 months was evaluated. DR progressed more in operated eyes than in non-operated eyes (P=0.006). The progression of proliferative DR in operated eyes (19.5%, 8 eyes)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29) than in non-operated eyes (2.4%, 2 eyes). Conclusions: Phacoemulsification resulted in a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Careful approach to the cataract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would be recommended.

      • KCI등재

        공공캠페인 효과 촉진을 위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석수준이론의 사회적 거리와 규범적 영향을 통한 설득

        김재휘(Jae Hwi Kim),부수현(Su Hyun Boo),김희연(Hee Yeo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3

        공공캠페인의 핵심적인 문제점은 사람들이 캠페인의 가치를 높게 평가 하지만 실제로 그 행동을 실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공익적 행동과 자기-자신과의 관련성이 약하다는 데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기본적인 가정은 설득대상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메시지 유형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캠페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은 메시지 유형(구체적/추상적)과 사회적 거리감(근/원)의 집간 간 2*2요인설계로 실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SNS로부터 활성화되는 지각된 규범이 캠페인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규범적 영향력은 설득대상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울 때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메시지 효과가 사회적 거리감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설득대상과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구체적인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반면, 사회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추상적인 메시지가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NS에서 활성화된 규범적 영향력은 캠페인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은 사회적 거리가 가까울 때 더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SNS를 활용한 공공캠페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시지 구성뿐만 아니라, 설득대상 집단의 크기나 범위나 설득대상과의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SNS에서 상호작용하는 타인들에 대한 지각이나 추론 등을 보다 세밀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lies on giving the notion of significance towards social issues and leading people to those action, But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has limits that people do not make an action even they recognize the value of the public campaign, Fundamental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weak relevance between public campaign and the participants, an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using Social network effectively. Authors undertook 2X2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o prove prediction that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concrete vs. abstract) according to the CLT can be moderated by social distance to the object of persuasion. More over, this research did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norm caused by social network on intention to the campaign action. The results show that general effect of concrete message and it`s getting more effec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is getting closer. But the abstract message is more effec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is far. Besides the subjective norm influences the intention to campaign action significantly and is more effec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is getting closer. In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public campaign communication, presenting concrete message to narrow range of audience (social distance) if it is possible and If not, It would rather presenting abstract message. Also public campaign action can be occurred when the rela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 is strong.

      • KCI등재

        무인항공시스템을 활용한 저수지 제체 누수위험 분석

        김재휘(Kim Jae hwi),박성식(Park Song sik),강희진(Kang Hee jin),양권석(Yang Kwon seok),박성진(Park Seong jin),김용성(Kim Yong se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우리나라 대부분의 저수지는 노후 저수지로써 누수 및 변형으로 인하여 안정성에 큰 문제를 갖고 있다. 저수지 제체는 정밀안전진단 시 현장외관조사, 지반조사, 물리탐사를 통한 제체 안정성을 분석하고 있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며, 제체 누수탐지에 있어서도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시스템을 활용하여 저수지 제체 누수위험 분석을 수행하고 효율적인 제체 안정성 검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모델 저수지에 대해 항공촬영을 수행하고 실영상과 열영상자료를 취득한 후 저수지 3D지형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열화상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제체 하류사면의 지표온도 분포현황을 분석을 하였다. 모델 저수지의 정밀안전진단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3D지형모델의 측량 오차는 미미하였고, 제체의 낮은 온도분포 구역은 정밀안전진단 이상대 지점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인항공시스템은 신속하고 경제적인 저수지제체 위험도 분석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저수지 현장조사 기법임을 확인하였다. Majority of domestic reservoirs are decrepit from leaking water and deformations and derived high risk of safety. Typical precision safety diagnosis of reservoir embankment goes through field exterior survey, ground survey, and seismic survey for stability of embankment but this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money and not even precise for analysing embankment leakage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new method using UAVS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for embankment risk analysis and efficient embankment stability assessment. First, obtained normal orthomosaic and thermal orthomosaic images of model reservoir was obtained with UAVS and made 3D terrain model was made. Then thermal distribution of downstream slope from thermal orthomosaic was analyzed. Comparing with precise safety material, error of measurement from 3D model was minute and low temperature area distribution was corresponding with ideal range of precise safety diagnosis. It is figured out that UAV method is one of the quick and economical methods for risk analysis of embankment and efficient reservoir field survey.

      • KCI등재

        공동공유원리에 따른 가격추론이 질병의 위험지각 및 예방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재휘 ( Kim Jae Hwi ),박태희 ( Park Tae Hee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공동공유원리에 따른 가격추론이 예방행동상황에서 위험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동공유원리는 수요공급에 따른 시장경제원리와 달리, 필요한 사람이라면 개인의 능력과 상관없이 누구나 공유하고, 평등하게 분배되어야한다는 신념을 말한다. 이에 따라 저가격에서 대해서는 다수가 공유해야하고, 접근 가능하도록 책정된 가격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필요로 한다는 신호로 지각되므로 질병의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공동공유원리의 의해 나타나는 위험지각은 접종대상에 대한 다수추론을 통해 지각되므로, 접종할 다수와 접종하지 않은 자신과의 비교는 개인과 관련된 위험을 높일 것이라 보고, 예방행동의도와 정적관계를 보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총 3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1에서는 생명관련 정도에 따라 생명관련 고/저로 수준으로 나누고, 가격수준 고/저에 따른 위험지각을 측정하였다(연구1). 연구결과, 생명관련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공동공유원리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동공유원리가 나타날 때, 고가격에서 보다 저가격에서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난 반면, 공동공유원리가 발생하지 않는 생명관련 저 조건에서는 가격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동공유원리가 나타나지 않는 생명관련 저 조건에서는 시장경제원리를 통해 가격을 추론함으로써, 고가격에서는 예방접종에 대한 높은 효과추론이 위험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2에서는 공동공유원리의 효과를 좀 더 명확히 확인해보고자 생명관련 고 조건을 중심으로, 공동공유원리 억제 유/무와 가격수준 고/저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동공유원리를 억제시키지 않았을 때, 고가격에서 보다 저가격에서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공동공유원리가 억제된 조건에서는 가격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3에서는 공동공유원리를 통해 지각된 위험은 예방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일 것이란 가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격수준에 따라 사람들은 다수공유목적 추론을 발생하고, 이는 위험지각(지각된 취약성)을 높여 예방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이중매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pricing inference based on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on perceived risks in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situation. Different from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indicates the faith that anybody in need should be able to share goods and they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regardless of individual abilities. The pricing inference of any goods to be shared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For example, low-priced goods should be shared by the majority, and the affordable price is perceived as the sign that many people need the goods. In the context, low price in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situation, is preventive healthy behavior necessary for the majority to prevent diseases to which many people are vulnerable. Such diseases are perceived as risk ones for a low price, while inference may not occur from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for a high price. In addition, it was assumed that a comparison between the majority to be vaccinated and the self not to be vaccinated would increase risks regarding individuals and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ntentions since perceived risks derived from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is recognized by majority inference on vaccination target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a total of four studies were implemented.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can occur, only if the premise of the recognition for sharing should be goods. A preliminary study explains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should be applied, as it is impossible to price the values of divine goods directly related to life, moral things including live, justice and life. In the same vein, it was assumed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may differentially appear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even medical goods are associated with life. This experimentation was conducted to exhibit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does not always occur, even though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s a medical goods, and that effect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ice may differently appear (study 1). To this end, the degree of a relation with life is divided into high and low and perceived risks were measured according to high/low price level.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more prominently appears if the relation with life is high rather than low. When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appears, perceived risks of diseases for a high price are higher than those for a low price, while in the condition of the low relation with life, where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does not occur, perceived risks of diseases for a high price are higher than those for a low price.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condition of the low relation with life, the inference of strong effects on vaccination for a high price has an effect on perceived risks, since price is inferred through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In order to more closely examine effects of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the study 2 conducted two-way ANOVA of whether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is controlled or not and highs/lows of price, around high conditions regarding life. Finally, the study 3 tested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risk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eventive healthy behavior through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Preliminary studies explain that perceived risks are not always connected to preventive healthy behavior, though they are higher. By assuming that a comparison between the majority and me may enhance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ntention by influencing perceived risks (vulnerability) related with m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such a relationship, where a disease may not be led to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ntention if it has a weak relation with me, through it is risky. From the findings, the dual mediation result could be verified that the majority inference on vaccination targets occurs in people, leading to preventive healthy behavior by increasing perceived risks (perceived vulnerability).

      • KCI등재

        단계적 의사결정이 속성의 진단성과 제품 선호에 미치는 효과

        김재휘 ( Jae Hwi Kim ),강윤희 ( Yoon Hee Ka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단계적 의사결정의 평가 맥락에 따라 속성의 진단성과 대안의 선호가 달라지는 효과에 대해 일련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단계적 평가 맥락 여부에 따라 특정 속성에 대한 진단성과 특정대안에 대한 선호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단계적 의사결정이 선호이행을 가져옴에 있어 의사결정과정 중에 특정 속성에 대한 인지적(정보처리) 종결 지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단일 단계에 비하여 단계적 평가맥락이 주어진 경우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있어 속성의 진단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즉, 가격을 먼저 정보처리하여 평가하게 한 경우 이후 품질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가 높아지게 되어 고가격-고품질 대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대안의 선호 이행에 있어 특정 속성에 대해 정보처리를 확실히 끝냈다고 느끼는 속성에 대한 인지적(정보처리) 종결 지각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는 연구 1의 결과를 토대로 신제품 차별화 전략에서 정렬/비정렬 속성의 차별화가 제품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단계적인 평가 맥락이 제품 선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정렬 속성으로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정렬 속성을 먼저 정보처리하는 단계적인 평가맥락이 주어졌을 때 보다 높은 대안 선호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단계적 평가 맥락에 따라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과 대안 선호가 달라지며, 이러한 효과에 있어 소비자의 특정 속성에 대한 인지적 종결 지각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마케팅 상황에서 자사에 불리한 정보를 어떻게 단계적으로 처리하게 할 것인지, 그리고 자사에게 유리한 속성을 어떠한 평가 맥락을 통해 그 중요성을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해 실무적인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to examine the effect of attribute diagnosis and preference for produc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ontext of phased decision making. Specifically, Study 1 identifi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attributes and the preference for specific alternative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assessment. Furthermore for these effects, we tri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erception for cognitive closure on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attribute is changed in the final decision making when the multistage decision making context is given. In other words, if the price is first processed and evaluated, then the relative weight of the quality is increased, and the preference for the high-quality alternative becomes higher. It is also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cognitive closure is mediated by the perception of a certain attribute in the preference reversal of these alternatives. In Study 2,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attribute alignability on product attitude in a stepwise evaluation contex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alternative preference is higher when the stepwise evaluation context is given to the product differentiated by the nonalignment attribute.

      • KCI등재

        공익 캠페인에서 현저한 기여자가 사회적 목표 행동에 미치는 효과: 금전적 기부 상황을 중심으로

        김재휘 ( Kim¸ Jae Hwi ),강윤희 ( Kang¸ Yoon Hee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금전적인 기부 상황에 초점을 두고, 집단에 현저하게 높은 기여를 한 기여자에 대한 사회적 승인(보상)이 다른 사람들의 사회적 목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1은 현상에 대한 접근으로서,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현저한 기여자가 존재하는 기부 환경을 선호하는지에 대해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에 현저한 기여자가 존재하는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이 주어졌을 때, 목표의 진행률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현저한 기여자가 있는 기부 환경에서 참여의도가 낮고, 참여에 대한 정서적, 결과적 가치 지각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현저한 기여자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에 초점을 두고, 타 기여자의 기여 수준(고액 기부자, 소액 기부자)과 그들과의 관계적 특성(유사성 고, 저)에 따라 달라지는 기여자에 대한 반응 및 기부에 대한참여 의도를 살펴봤다. 연구 결과, 타 기여자의 기여 수준에 따라 그에 대한 반응 및 사회적 목표에 대한 참여의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기여자와의 관계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액 기부자가 제시되는 조건이 소액 기부자가 제시되는 조건보다 기여자에 대한 부정적 편향이 높고, 기부에 대한 참여 의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액 기부자와의 유사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 이러한 효과가 보다 극명히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목표 행동, 특히 금전적인 기부 맥락에서 타기부자의 기부 행위를 알리는 것이 잠재적 기부자에게 어떠한 반응을 이끌 수 있는지 이해하고, 타기부자의 기여수준이 미치는 효과와 효과적인 설득 방안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existence of excellent and excessive contributors and how social approval for them would affect the behavior of other people's social goals, and tried to verify them in public service communications. The first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o confirm whether people preferred a donor environment where good contributors existed, noting the phenomenon of trying to exclude those who contributed a lot to the group. As a result, people did not prefer a donation environment with a good contributor, even though the progress of the target was the same, given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good contributor existed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it was not. The second study focused on the potential responses to good contributors. And based on the previous result, it was carried out that presented in the context of promoting good contributors in order to more clearly verify the role of psychological threats from social comparisons and to see the discriminatory effects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Studies show that if small donors are actively promoted over high-value donors in a similar context to Study 1, participation in that social goal is high.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se effects have a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the contributors. Specifically, when promoting small don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milarity with donors, but under the conditions of promoting large donors, positive persuasion effects were shown in conditions that were not as similar to those of good contributors as they were.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적 광고효과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재휘(Jae Hwi Kim),강윤희(Su Hyun Boo),부수현(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SNS의 광고 효과에 있어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 가능성과 네트워크에 의한 광고의 사회적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SNS에서의 광고 확산과 전달된 광고(콘텐츠)의 사회적 영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전달된 광고의 유형에 따른 개인적인 광고 효과에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 지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에는 이용 동기(자기 표현적, 관계적, 정보 추구)와 광고 태도, SNS 접속 빈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달된 광고에 대한 사회적인 영향력 지각에는 관계 추구적인 이용동기가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전달된 광고 유형에 대한 수용적 차원의 광고 효과에 있어, 사회적 영향력을 지각하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타인에 의해 전달된 광고(콘텐츠)에 대해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정보적 유용성, 지각된 상업성, 추가적인 정보 탐색 의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NS의 미디어적 특성을 활용하여 전달 되어진 광고에 초점을 두고, SNS의 광고 효과에 있어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과 확산된 광고의 사회적인 영향력의 차원을 조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업이 미디어로서 SNS를 활용함에 있어 중요한 소비자의 특성과 영향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마케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sheds lights on viral advertising effect that is passed on by other individuals in social networks sites (SNS) and it systematically analyze the potential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 over this viral advertising. Unlike other forms of traditional advertising, since social media advertising is network-based where it connects individuals to individuals, not only the influence of advertising itself but the relationship of sender-receiver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ss-on behavior and the perceived social influence of the passed-on advertising.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user motives(self-expressive, socializing, information- seeking) attitudes towards ads, and frequency of usage have influence on the pass-on behavior, and for the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he user motive of socializing found to be the crucial factor. This study further examines whether if there are different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the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individuals with higher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owards the ads (vs. individuals with lower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owards the ads) show more positive advertising effect when it comes to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perceived ulterior motive of advertiser, and intention for the further information seeking. Providing pot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ver viral advertising in SNS together with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with great influence, this study serves various implications to the related advertising and marketing fields.

      • KCI등재

        광고 및 홍보 연구에서 사회 인지 심리의 기여와 향후의 연구 방안

        김재휘(Kim, Jae-Hwi),강윤희(Kang, Yoon-H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본 연구는 광고 홍보 영역에서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사회 인지적 패러다임을 통해 소비 심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심리학의 사회 인지 접근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하고, 광고 및 홍보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사회 인지의 여러 심리학적 이론들이 어떻게 적용되어 왔으며, 향후 적용될 수 있는지 소개 한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사회 인지 심리학의 이론들이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제시하는 것이 주요한 목표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 인지 심리의 주요 특성 및 역사를 개관한 후,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CSR)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위기에 대한 반응과 위기 대처 커뮤니케이션, 건강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공익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설득과 같이 광고 홍보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뤘던 연구 이슈들을 정리하고, 사회 인지 심리적인 관점의 여러 이론들을 통해 해당 주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설득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심리학적 이론들을 통해 현상을 보다 세밀히 설명하고, 관련 연구 주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consumer psychology through social cognitive paradigm 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effect of persuasive communication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In other words, this article is introducing how psychological theories of social cognition have been applied and will apply in the future, focusing on topics that are mainly dealt wit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research.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on how the theories of social cognitive psychology are applied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nd how they can be used for effective persuasion communication. After analyzing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social cognitive psychology in detail, summarize the research issues that were mainly dealt wit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research. Key issues include that persuasion to drive public interest behavior, Health and Health Communicat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through the psychological theories to the researchers who study persuasive effect,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pply them to related research topics.

      • KCI등재

        사회적 목표 행동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재휘(Jae Hwi Kim),강윤희(Na Jin Kwon),권나진(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2

        연구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다수가 관여된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있어, 동일한 상황에 놓인 다른 사람에 대한 상호성 인식에 따라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동일한 목표에 놓인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행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사회적 상호성(다수, 소수)과 목표 프레임(to-date, to-go)이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에 비하여 다수가 실천하고 있다는 정보가 사회적 목표의 실천을 높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date 프레임 보다는 to-go 프레임이, 소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go 프레임 보다는 to-date 프레임에 대한 실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사회적 목표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을 해석하는 유형에 따라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있어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즉, 다른 사람들(집단)과 자신의 상호 관계 점화에 따라 차별적인 목표 프레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의존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date 프레임보다 to-go 프레임이, 독립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go 프레임보다 to-date 프레임이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al frame in the process of social goal pursuit. Social goals are defined as shared goals that groups of people are involved, such as charity/fund raising events. In study 1, it focuses on the effect of a message that indicates how many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and its effect on actual goal pursuit.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s on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To-go/To-date) and this message suggesting many/only a few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The result of study 1 suggests that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in a goal rather than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in same goal elicits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Moreover the results of interaction effect suggests that, for the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to-date frame (vs. to-go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while for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to-go frame (vs. to-date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Study 2 focuses on the effect of self-construal level and its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in a pursuit of goal. Self-construal can be explained as the way of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in a group they belong, whether they include themselves inside the group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r regard themselves independently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result suggests that, for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go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while for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to-date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 KCI등재

        미래에 대한 예측 방식과 자기 조절 모드가 연금 보험 가입 의도에 미치는 효과

        김희연 ( Hee Yeon Kim ),김재휘 ( Jae Hwi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연금 보험의 가입 의도를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은퇴 후 시점을 예측하는 예측 방식과 자기 조절 모드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금 보험을 가입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연금 수령이라는 결과에 대해 예측하고 표상하는 것과, 그리고 이 결과에 대해 접근해 나가는 방식에 대한 고려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선 본 연구에서는 연금 보험을 수령하는 은퇴 후 시기를 예측하는 방식에 따라 연금 보 험의 가입 의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보고 이를 집단 간 차이검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단순히 은퇴 후 시기에 대한 고려와 덧붙여 은퇴 후 시기까지 접근해 나가는 방식을 함께 표상할 때 더욱 더 효과적으로 연금 보험 의 가입 의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와 가까운 시점부터 결과가 발생할 먼 미래 까지를 순차적으로 예측하는 순향 예측에서는 행동 지향적 조절 모드가 효과적인 반면, 결과가 발생할 먼 미래에서부터 현재와 가까운 시점까지 역순으로 예측하는 역향 예측에서는 평가 지향적 조절 모드가 효과적일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은 예측 방식(순향/역향)과 조절 모드(행동지향/평가지향)의 2*2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가정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역향 예측을 실시한 경우가 순향 예측을 실시한 경우에 비해 연금 보험의 가입 의도가 높았으며, 순향 예측을 실시한 경우에는 행동 지향적 조절 모드가 점화 된 조건의 가입 의도가 높았던 반면, 역향 예측을 실시한 경우에는 평가 지향적 조절 모드가 점화 된 경우 가입 의도가 높아 연구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연금 보험의 가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제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연금 보험을 가입할 때 있어서 단순히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먼 미래와 가까운 미래를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보험의 가입 의도가 달라진다는 것은 실제 연금 보험 마케팅 맥락에서도 손쉽게 응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retirement by joining annuity insurance is getting bigger because of the increasing average life span and decreasing retirement age. Despite its importance and it is more profitable to joining annuity insurance during 20``s in a long term perspective, the joining rate of annuity insurance is very low. One of the reason for the low joining rate comes from the nature of the annuity insurance as inter-temporal choice that the result of joining is far from the time they decide to join. So, the autho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way people casting (predicting) the future and regulatory mode to increase the joining intention. Specifically predicting the result of joining the annuity insurance and considering the strategy to approach the result can effect the joining intention. Based on these, the author hypothesized that the way casting(predicting) their old age after retirement when they get an insurance can differentiate joining intention. Further more, the way people represent the approaching strategy about their old age after retirement can maximize the joining intention. In the concrete form, when people use the forecasting which predicting the result from near future to far future, locomotion mode is effective But people use the back casting which predicting the result from far future to the near future, assessment mode is effective to increase joining intention. The author undertook 2*2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sting method(2) and regulatory mode(2).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group doing the back casting showed higher joining intention and assessment mode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back casting. But the group doing fore casting showed higher joining intention with locomotion mode as the author hypothe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