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메니우스 평화교육사상의 성격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평화의 사도’라 불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근거로, 그의 평화교육사상을 고찰하고, 그 성격을 구명하였다. 먼저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사상 형성 배경이 되는 민족적, 신학적 배경과 그의 교육사상의 기저가 되는 하나님과 인간, 자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자연은 그의 교육사상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던 인간교육의 실현과 평화로운 인류공동체의 건설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은 주로 ‘범지학’과 ‘범교육’을 통하여 전개되었고, 민족의 회복과 신앙의 통일을 넘어 전 인류의 화합과 평화를 실현하려는 세계평화론으로 발전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의 각종 세계 평화기구의 설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은 종교적이면서도 종교교육을 초월하고 있고, 인간존엄성과 인류애, 그리고 평등사상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론적이면서도 실천지향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종교적이며, 낙관적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평화교육사상은 온 인류의 하나됨과 화해, 그리고 인류 공동체의 공영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를 앞서가는 진정한 평화교육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Das Ziel von der Forschung ist, daß Wir friedlichen Pädagogiksgedanken von Comenius betrachten und Pädagogischen Charakter(wesen) davon erforschen. Um friedlichen Pädagogiksgedanken von Comenius zu verstehen, haben Wir Betrachtung über Zeits-, Volks-, und Theologies hintergrund, Hintergrund von seiner Gedankensgestaltung zu werden, und Gott, Menschen und Natur, Basis von seinem Pädagogiksgedanken zu werden, angesteut. Vorwiegend wurde der friedliche Pädagogiksgedanke durch Pansophia und Pampaedia ausgeführt, und auch sein friedlicher Pädagogiksgedanke wurde sich über Volkswiederherstellung und Religionseinheit(Glaubenseinheit) zur Weltfriedensgedanke entwicklt, Einklang und frieden von allen Menschen auszuführen. Der friedliche Pädagogiksgedanke von Comenus ist religiöus und auch noch überspringt Religionspädagogik und liegt auf Grund von Würde von Menschen, Menschenheitsliebe und Gleichheitsgedanken, und sein friedliher Pädagogiksgedanke ist auch theoretisch, aber erhält den Charaker von Praxis-zielsetzung. Der friedliche Pädagogiksgedanke von Comenius ist übertreibend religiöus, erhält auch Begrenzung von “Optimismus”, aber von Standpunkt, allgemeinen, weltlichen Friedenspädagogik zielzusetzen, ist das sozusagen, “der die Zeit vorgehende ehrliche Friedens-Pädagogiksgedanke”.

      • KCI등재

        학교 낙서의 교육인간학적 이해

        강기수(Kang, Gi-Su),김선희(Kim, Sun-hee)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chool graffiti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nthropology, based on a presumption that graffiti reflects life-styles in a specific society and time.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of graffiti and its meanings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of its positive effects. School graffiti was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such as evacuation, play, self-expression and conversation(communi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ur types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human nature inherent in graffiti shows that it has various different anthropological functions. Especially, school graffiti plays its role as a visual tool to express students' inner mind and as an unconscious play to relieve their tensions and stress. Students can develop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the means of graffiti, and criticize their society and authority. Graffiti is easily regarded as an illicit activity, but it has many different educational fun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nthropology. Considering these aspects of educational anthropology, students' graffiti needs to be understood based on their lives: Their positive, creative and liberal graffiti needs to be paid special attention while discouragement needs to be done for their negative graffiti such as damaging others or making dirty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homes, society and educational experts to study together for students' digitalized graffiti as students are more exposed to digital media these days.

      • KCI등재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입학한 신입생들이 대학적응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섯 명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개인면담, 집단면담, 이메일, 전화, 연구일지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야기하기’와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현장텍스트를 구성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 줄거리, 주제 등을 찾아내어 연구텍스트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학사정관전형은 선발제도로서는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대학 입학 이후의 교육이 미흡하여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들은 모두 각자의 능력과 노력으로 홀로서기를 하고 있으며, 냉정하고 높은 현실의 벽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들은 기초학력이 다소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전공만족도는 높으며, 각자의 방식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홀로서기에 성공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입학사정관전형은 입시제도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입학사정관전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홀로서기를 도울 수 있는 대학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1st year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and its meaning, of those who have been accept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researcher chose five studen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personal interview, group meeting, e-mailing, and research journal. The study tries to construct the research text by identifying repeated patterns, plots, and themes in the field text based on students’ telling and retelling of their experiences. The research finds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an be successfully settled down as a selection system of university students, because the students, who have been accepted through the system, are content with both their studies in their major and campus lives. However, the students do not find proper supporting programs for their better performance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Therefore, in order for the system to be successfully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add a supplementary program for the student based on their needs.

      • KCI등재

        J. A. Comenius 『세계도회』의 아동교육적 의미 고찰

        강기수 ( Gi Su Kang ),김선희 ( Sun Hee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J. A. 코메니우스가 저술한 『세계도회』의 아동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세계도회』의 내용을 ``책의 구성``, ``범주의 구조``, ``그림의 구성``의 세 가지로 구조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세계도회』의 아동교육적 의미는 우선 아동의 발견을 통해 기존의 어른 중심 교육을 아동 중심교육으로 변화시켰으며, 아동을 위한 감각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육 경험의 통합, 교육 매체 간의 통합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그림을 하나의 교육 매체로 도입함으로써 그림을 보는 교육적인 관점을 제시하였고, 그림을 교육 매체로 활용함으로써 시각적 사고력 교육의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세계도회』는 150개의 그림들 속에 동물, 식물과 같은 자연을 재현한 그림들뿐만 아니라 신의섭리, 최후의 심판, 윤리학, 근면 등과 같이 상징적·추상적 은유의 모둠인 그림들, 신과 같이 고도로 추상화된 그림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이는 『세계도회』가 사물을 재현한 그림들을 통해 단순히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끄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림을 통한 언어 교육은 물론 시각적 사고력 교육을 시도하였음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서 아동교육에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세계도회``라는 책 제목의 제고는 물론 언어 교육적 측면, 그림의 교육적 활용 측면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세계도회』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J. A. Comenius` 『Orbis Sensualium Pictus』in Children`s Education and structuralized the contents of 『Orbis Sensualium Pictus』into three categories--‘Composition of book’, ‘Structure of Categories’, and ‘Composition of Pictures’--for the analysis. In children`s education, 『Orbis Sensualium Pictus』is significant as it changed adult-centered education to children-centered education, provided sensible education to children, and attempted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educational media. Also, pictures were introduced as a form of educational medium to suggest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oward pictures and used them for educational purpose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education of visual thinking. Among the 150 pictures in 『Orbis Sensualium Pictus』are the pictures of animals, plants, and other natural objects, as well as the pictures of symbolic and abstract metaphors, such as God`s law, the final judgment, ethics, and diligence, and the highly abstract images of God. This clearly shows that 『Orbis Sensualium Pictus』was not just publishe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hildren with the images of objects, but it also attempt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and visual thinking skills with the pictures. In this respect, it is highly significant in children`s education. In the future, ‘Orbis Sensualium Pictus’ should be discussed and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its title, its linguistic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use of pictures.

      • KCI등재

        Rousseau의 소극적 교육의 교육적 시사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3 敎育思想硏究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근거한 소극적 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구하였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소극적 교육의 기저로서 자연의 의미와 자연인을 이해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소극적 교육의 본질과 그 교육적 시사점을 구명하였다. Rousseau의 교육사상을 관통하고 있는 것은 자연이다. 그는 이상적 인간상으로 자연인을 제시하고, 이러한 자연인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소극적 교육이라고 하였다. 소극적 교육은 외부에서 많은 지식을 주입하고 통제하는 교육이 아니라 인간의 자연성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합자연의 원리와 일치한다. 따라서 소극적 교육기인 아동기에서의 부모와 교사는 아동의 자연성을 보호하고 발전시켜주어야 하며, 성급한 조기교육은 많은 해악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지양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자연적 발달을 존중하는 Rousseau의 소극적 교육은 인간과 아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중심 교육사상의 선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의 열린교육의 출발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우리 한국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니할 수 없다. Der Grund des Rousseaus-negative Erziehungs-gedankens erhält die Menschen und die natur. Gemässseinen Erziehung-gedanken ist der Geist die Natur, und Erziehung-idee auch die Natur. Er wält die Menschen fur gut, und zwar dieses gute Wesen geschützt u. entickelt zu werden, das ist Erziehung-wesen, dachte er. Sein dieser negative Erziehungs-gedankens ist als Bginn von alten Griechieschen Naturs-philosohie mit freier Erziehung der Zeit von Humanismus Übernommen, und weiter der Verläufer des Entwicklung-, des Fortschritts-prinzips und des mordernen Erziehungs-gedankens geworden. Der Natur-begriff von Rousseau bedeutet die göttliche Natur als Schöpfer, der alle Dingen geschaffen hat, und gleichzeitig die metaphysische Natur als gleichgultig Existenz-prinzip von Weltraums-all-Dingen. Rousseau hat als Ideale Menschens-bilder Natur-menschen Vorgelegt, und seine Menschen sind auch in der verdorbenen Gesellschaft des autonomes, existierendes, unabhängiges und absolutes Existenz lobende frei und gleichgültig glückliche Menschen, d.h die Natur von Rousseau ist auf Grund der selbsteliebe persönalische unabhängige Natur-Menschen, und gleichzeitig die ideale Gesellschaft einträchtigen realisierenden gesellschaftlichen Menschen. Der Inhalt seiner Erziehung erhält werausreissend von der Erziehung des Mittelpunkts der tradirionellen Wissenschaft die Welt und alle Dingen, also alle existierenden Naturen als Inhalt von Erziehung, Der Prinzip druch seine Erziehung-art ist gemäss Der der Natur entsprechenden Erziehung, Prinzip von gesamter Natur. wird sich direkt an passive-, Lebenserziehung, Freiwilligkeitund Prinzip von Intuition angschlosen. Rousseaus negative Erziehungs-gedankens durch ”Natur“ und für Natur-menschen ist im standpunkt der Berücksichtigung von Kinderwessen und natürlichen Entwicklungsstufen die Erziehung für Kinder, seindieser Rousseaus-negative Erziehungs-gedanke hat Einfluss auf heutige morderne Erziehung sehr gross, die Humanität übersehen zu sein.

      • KCI등재후보

        전래동화의 교육인간학적 기능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전래동화를 인간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교육인간학적 기능을 논구(論究)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상징과 성인식으로서의 전래동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래동화에 투영된 인간상을 해명한 다음, 전래동화가 지니는 교육인간학적 기능을 구명(究明)하였다. 전래동화는 국가나 민족의 보편적인 정서나 가치에 근거한 옛날이야기로서, 특히 동심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다. 전래동화는 인간의 집단무의식의 상징이며, 동시에 인간 삶의 원형으로서 성인식을 의미하므로 거기에는 인간의 삶과 존재의 본질이 내재되어 있다. 상징으로 표현하는 전래동화에서의 인간은 결핍존재, 가능적 존재, 관계지향적 존재, 자율적 존재, 주체적 존재, 선한 존재이며, 이것은 인간이 교육가능적 존재이며, 동시에 교육필연적 존재임을 의미한다. 전래동화의 의미와 거기에 투영된 인간상에 근거한 전래동화의 교육인간학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전래동화는 인간의 정서 순화와 내면적인 도덕교육에 효과적이고, 민족의 문화전달과 다문화 교육에 기여하며,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형성하게 한다. 결국 전래동화는 하나의 인간학으로서 민족의 문화전달이나 가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그런 점에서 국가나 민족의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Vom Standpunkt der Menschen-lehre das Überlieferungsmärchen zu verstehen, wird diese Forschung über die Erziehungsbedeutung diskutiert. Um diesen Forschungszweg zu erreichen, muß man vor allem Symbol und als Erwachsenen die Bedeutung des Überlieferungsmärchens verstehen, und nachdem man auf Grund davon das durch Überlieferungsmärchen projizierte Menschen-bild analysiert hat, hat man über die Erziehungsmenschenlehrhafte Bedeutung von Überlieferungsmärchen erforscht. Das Überlieferungsmärchen ist auf Grund der allgemeinen Emotion oder des Wertes von Staat oder Volk, besonders der kindlichkeit die erfüllte Geschichte. Das Überlieferungsmärchen ist Symbol von menschlicher Gruppe und der Unbewußtheit, und gleichzeitig bedeudet als das Urbild von menschlichem Leben die Erwachsenen-feier, und enthält das Wesen von menschlichem Leben und Sein dazu. Die Menschen von als Symbol dem ausarückenden Überlieferungsmärchens sind mangelhaftes-, mögliches-, Bezugszielsetzungs-, subjetives-, und gutes Sein. Es bedeutet, daß die Menschen Erziehungsmögliches sein, und gleichzeitig Erziehungsnotwendiges Sein sind. Die Bedeutung von Überlieferungsmärchen, auf Grund des projizierten Menschen- bildes dazu, Erziehungsbedeutung werden zur Hilfe von Läuterung der menschlichen Emotion, und zum Effekt von der inneren Ethikserziehung und von der Kultur-lieferung des Volks und auch das Überlieferungsmärchen bildet erwartende Lebenshaltung, und hat auch Effekte von verschiedener Kultur-erziehungen. Endlich hat das Überlieferungsmärchen als eine Menschen-lehre auf die kulturlieferung von Volk oder Wertbild groß Einfluß, und in diesem punkte ist man das den potentialen Erziehungsvorgang zu nennen.

      • KCI등재

        지식기반사회 교육 패러다임으로서의 어린이철학교육 탐색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1

        21세기 시작과 함께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지금까지의 산업자본시대를 대체할 새로운 정치ㆍ경제?사회ㆍ문화의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 교육은 단순한 지식전달보다는 지식을 창출과 활용함으로써 합리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하는 것을 중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기반사회의 교육 패러다임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이 어린이철학교육이다. ‘철학함’에 근거한 어린이철학교육은 체계적인 사고의 훈련을 중시하며, 고차적 사고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사고의 과정과 방법을 중시한다. 이런 점에서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중시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교육과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어린이철학교육은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지식기반사회 교육과 부합되는 측면이 많으며, 특히 어린이철학교육이 지향하는 창의적인 인간,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간의 양성과 ‘철학함’에 근거한 사고의 과정과 방법(특히 탐구공동체)은 지식기반사회의 특징과 교육에 비추어 볼 때 교육 패러다임으로 기능하기에 충분하다. 이처럼 어린이철학교육은 지식기반사회의 교육 패러다임으로 가능 근거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실제에서는 인식의 부족, 교육내용과 형식의 유리(遊離), 교육여건 및 준비의 미비, 과다한 경비 소요 등으로 인해 아직도 실시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어린이철학교육의 구체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연구와 현장 수준의 실천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nfans von 21Jahrhundert Kommt die Kenntnis-basischer Gesellschaftan und das Palladium von neuer Politik, Wirtschaft, Gesellschaft und Kultur, bisherige Industrie-Kapital ersetzen zu K?nnen, ist verlangt worden. Als das Kenntnis neuhervorzubringen und zu verwenden, ist von jetzt die Erziehung, die die F?higkeit von rationaler Problem-L?sung besitzenden sch?pferischen Menschen zu erziehen f?r wichtiger gehalten als bloß ?bermittelung von Kenntnis(wissenschaft). Als dieser Erziehungspalldium von Kenntnis-basischer Gesellschaft nachgedacht zu werden, das ist die kindliche Philosophie-Erziehung. Auf Grund von Philosophieren h?lt man f?r wichtig, dass die kindlische Erziehung die Training des sysmatischen Gedankens hat, und nach der Gestaltung von h?herem Gedanken zu erzielen, auch prozeß des Gedankens und Methode. In diesser Beziehung gibt es viele entsprende Seiten mit Erziehung von Kenntnis-basichen Gesellschaft, die aktiven, sch?pferischen Menschen, zu der ver?nderlichen Gellschaft ersetzen zu k?nnen, f?r wichtig zu halten. Das kindliche Philosophieren hat in dem zweck von ErziehungsInhalt, Methode und der Rolle von Lehrer viele entsprende Seiten mit Erziehung von Kenntnis-basischer Gesellschaft, besonders die sch?pferischen Menschen, kindliche Philospphie-Erziehung zu bezwecken, die Erziehung der Menschen, die problem-l?sungsf?higkeit zu besitzen und aus Grund von Philosophieren Gedankensprozeß und Methode(besonders Nachsuchungsgemeinde) sind im Vergleich mit Wahrzeichen von Kenntnis-basicher Gesellschaft und Ausbildung zu der Palladiumsm?glichkeiten genug. Trotz in solcher weise die Kinder-Philosophieserziehung als Erziehungspalladium der Kenntnis-basischer Gesellschaft M?glichkeitsgrund zu besitzen, ist es wahr, daß eviele Grenzen gibt, in der Erziehungsrealitt?t mit Mangel von Erkenntnis, Abscheidung von Erziehungsinhalt und Formen, unzu g?nglichkeit von Erziehungsbedingung und Vorbereitung davon und Verbrauch von vieler Kosten durchzuf?hren. Aus diesen Gr?nden m?ssen nachher die theoretische Forschung und die Bem?hung der Durchf?hrung von Orttatsniveau begleitet werden.

      • KCI등재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교육적 의의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이 논문에서는 어린이 철학교육의 방법론인 탐구공동체에 대하여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탐구공동체의 선행개념인 어린이철학교육의 성격을 이해하고, 탐구방법으로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그 교육적 실제를 고찰한 다음,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교육적 의의를 논구(論究)하였다. 어린이 철학교육의 방법론으로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어린이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철학적 개념들을 함께 탐색하고 추론하는 대화식 토론 수업을 통하여 어린이에게 고차적 사고력과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민주적 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활동이다.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대화적 탐구를 주요 방법으로 하며, 교수-학습 과정은 철학함으로서의 과정적, 구성적 성격을 지닌다. 또한 탐구과정에서 교사는 탐구 분위기를 조성하고, 탐구활동을 촉진하는 전문가, 안내자 협력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학습자에게 주체적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케 하고, 경쟁보다는 협동을 지향하며, 인성교육과 인간교육, 민주시민 교육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의의가 크다 아니할 수 없다. Wir haben schen verscucht, bei dieser Dissertation an Forschungsgemeinschaft f?r kindliche philosophie-p?dagogischen Methodemlehre p?dagogisch nahe zu kommen. Um das Ziel von der Forschung zu erreichen, haben wir ?ber die p?dagogische Bedeutung von philosophischer Forschungsgemeinschaft diskutiert, nachdem wir vor allem kindlichen philosophie p?dagogischen Charakter von Forschungsmethod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und mit dem Forschungsmethod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und p?dagogische Realit?t davon betrachtet haben. Die kindliche philosophie-Erziehung macht unter den Voraussetzungen auf dem Weg, daß sich die Kinder einander zusamenensammeln, eine "Forschungsgemeinschaft machen, und viel besseren Erfolg bekommen, als sie sich allein lernen, wenn sie sichr aber anregend denken. Also lernen die kinder nicht mit den vorgehandeten B?chern, sondern k?nnenen von der konkreten Lebens-und Philosophischen Geschichte die Fragen und die Antworten dar?ber suchen. Di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von dieser kindlichen Philosophie- Erzieh-ungsmethodenlehre ist die p?dagogische Aktivit?t, um die ihnen wichtge Bedeutung erhaltendem philosophischern Begriffe zusammen nach zu suchen und daraus zu schließen und den unterricht von unterhaltungsdiskussion an die kinder hohe Gedankensf?higkeit zu nehmen, die anderen zu respektieren und ihnen besorgende demokratische Haltung zu erh?hen.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ist f?r unterhaltungsforschung eine bedeutende Methode und der Verlauf von Unterricht-Lernen erh?lt philosophierend den verlaufenden konstruierenden Charakter und auch im Forschungsverlauf setzen die lehrer Forschungsatmosph?re usammen, und Fachleute, Forschungsaktivit?t zu beschleugen, F?hrer und Mitarbeiter spielen als Beschleuger eine Rolle. Schließlich macht es m?glich, di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an die Lerenden den subjektiven und sich f?hrenden unterricht zu nehmen und im punkt, mehr die zusammenarbeit als Konkurrent zu bezwecken, und zur Erziehung von menschlicher natur und Menschen und demokratischer B?rger beizutragen und die moderne Gesellschaft erfordliche erwartende Lehrrersrolle vorzulegen ist die Erziehungsbedeutung groß zu sein.

      • KCI등재

        O. F. Bollnow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적 의의

        강기수 ( Gi-su Kang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란 무엇이며, 이러한 교육적 분위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Bollnow의 교육 적 분위기의 사상적 전통과 의미를 고찰하고, 교육적 분위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그 양면성을 아동의 측면과 교육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다음, 이러한 분위기가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Bollnow는 교육적 분위기에 대한 주장을 통해 교육을 아동과 교사의 존재와 삶에 관련되는 교육적 관계와 기분에 주목하여 고찰함으로써,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 본질적 접근을 시도 하였다. 또한 교육실제에서 교육자의 기분뿐만 아니라 아동의 기분과 태도를 중시하여 아동 을 교육의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의 내면에 교육적 의지가 존재하며, 아동이 교육받고 싶어 하는 존재임을 인정하여 아동을 새로운 교육적 지평에서 이해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교육적 분위기는 단순히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교육 의 성립과 성공적인 교육 실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자와 아동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에서 기인하는 기분을 핵심 요소로 하는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는 갈등과 불신의 분위기가 만연해 있는 한국 교육 현실에 바람직한 교육적 분위기 조성 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i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purpose, it first reviewed ideological tradition and meaning of the Bollnow``s pedagogic atmosphere; it divided the double-sidedness, which was the feature of the pedagogic atmosphere, into children``s aspect and educators`` aspect; and then, it attempted to determine to look into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According to result of the research, Bollnow paid attention to and understood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feelings related to existence and life of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an assertion of the pedagogic atmosphere; he sought specific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on; and, he recognized childr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by focusing on not only feelings of educators but also feelings and attitude of children in education field. In addition, it made it possible to have new educational understanding about children by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educational will existed inside children and children wanted to be educated; it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educators and children and on feelings based on such relationships; and so, it made us know that the pedagogic atmosphere was essential element for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successful education. Especially,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may provide a clue to create desirable pedagogic atmosphere in Korea education reality under which atmosphere of conflict and distrust is preval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