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사교육의 존재방식

        정석환(Chung Seok-hwan),배정혜(Bae Jung-hye)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6 No.-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사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인식론적 단서를 찾기 위해 사교육업체를 운영하는 운영자들의 입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사교육문제가 다양한 사회문제를 잉태하는 출발점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즉 사교육문제는 올바른 사회를 정립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사회병폐의 한 종류이지만, 그 해결을 위한 노력들은 사교육 자체의 논리를 벗어난 문제에 치중해 있었다. 다양한 사교육문제에 대한 사회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교육학과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지만 정작 사교육업체를 운영하는 당사자들의 목소리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역에서 기업형 입시학원을 운영하는 국어, 영어, 수학 학원의 운영자들을 면담하고 이를 복기하여 사교육현장에서 인식하고 있는 한국 사교육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 사교육업체를 운영하는 운영자들이 파악하고 인식하는 사교육의 문제들을 드러낼 수 있었고 이를 구조화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찾아낸 사교육업체의 논리와 구조를 단초로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실제적으로 사교육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과 정책의 방향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육학의 영역에서 후속하는 사교육관련 연구들은 본 연구를 출발점으로 사교육의 핵심 세력인 사교육업체들의 논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올바른 교육의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는 교육개혁의 실질적인 단초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cause of the Korean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the parties operating private academies in Korean society. The owners of the private academies located in Suseong-gu area in Daegu were interviewed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Suseong-gu area of Daegu was chosen as the target of the study because this area has very unique private academic marke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the owners operating private academies. First of all, parents demand comes first. Parents react very first to the change of education policy and actively request the private academies to take countermeasures for the change. Secondly, change of policy to restraint private education is a new possibility for the private academies. Thirdly, economic logics for consumers and suppliers are different. In Korean private academic market, consumers make unconditional, habitual, and irrational investments of which outcomes are unforeseen. On the other hand, suppliers tend to have rational and profit-driven economic logics. Fourthly, private academies choose to educate those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Lastly, mothers hold an option to choose the private academies.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a new standpoint perceiving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in private academy operator’s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which will also contribute educational meanings by providing a trigger to begin follow-up studies in different viewpoints to resolve problems of Korean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한 Dewey 지식론의 재개념화 그리고 교육

        정석환(Chung, Seok-Hwan) 한국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nowledge of post modernism and that of Dewey and to reconceptualize useful educational meaning in modern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following procedures to estab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compared knowledge theory of Dewey and that of postmodernism. Second, reconceptualization of useful knowledge in modern edu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knowledge theory of Dewey and that of postmodernism. Knowledge theory of postmodernism and that of Dewey share very close concept in overcoming the dualistic logic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being a modernism which explain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recognition in one theory. This study analyzed Dewey's knowledge theory based on that of postmodernism and the logical validity as well as the critical point in utilizing educational concept. Knowledge theory of Dewey and that of postmodernism denies pursuit of fixed purpose and the process is taken more importantly than the result are in common. However, Dewey's knowledge theory differs its context from that of postmodernism by assuming idealistic social aspect in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that it is needed to avoid utilizing Dewey's knowledge theory and that of postmodernism in the same context in detailed area of accessing the knowledge which could be applied to modern education.

      • KCI등재

        SNS에 기반 한 의사소통 사회의 자아와 교육

        정석환 ( Seok Hwan Chung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최근 학습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SNS에 기반 한 의사소통이 학습자의 ‘자아’를 왜곡시키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SNS에 기반 한 의사소통은 그 편리함과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의 ‘주체적 자아관’ 형성에 부정적인 측면이 존재한다. 이 부분에 대한 별도의 교육적 고려가 없이 방치된다면 더 심각한 교육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 시대 의사소통 양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자아관의 변화를 논의하였다. 자아관의 논의는 전통적인 자아관, 포스트모던 자아관, 최근의 자아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주체적 자아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의 단계를 제안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논증의 수준이지만, 현행 교육현장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SNS 기반 의사소통 환경과 이에 따른 자아관 확립의 문제에 주목한 교육학 연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체적 자아 정체성’이 확립된 학습자들이 SNS를 자유롭게 활용하여 교육적 소통을 하는 환경 구축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make a critical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SN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utting edge 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self-concept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learner and explorer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a new self-concept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following order. Firstly, communication pattern(style) based on SNS was discussed and suggested the change of education accordingly. Secondly, Compared the change between the self-concept pursued by traditional education and self-concept of SNS generation. Lastly, educational direction to establish a new self-concept in SNS generation was suggested. Below i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ego became difficult due to the communication based on SNS. It is hard to express one`s own opinion as SNS is a communication mean that focuses on the other people`s comments and reactions. Thus, an individual tends to consider the reactions of the others first rather than their own opinion. Following educational models have been suggested to improve above drawbacks. First, independent ego has to be recognized. Second, self identity that understands and communicates the other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independent Self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 process to extend the communication range between the others and to carry on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t a status where independent Self identity has been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의 인성교육과 시민교육

        정석환(Chung Seok Hwan),배정혜(Bae Jung Hye)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성교육의 현황과 쟁점을 살펴보고, 인성교육의 기본적 개념을 재고찰하는 것이다. 인성교육은 이를 진흥하기 위한 법이 제정될 정도로 많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인간성 상실의 위기는 인성교육 진흥법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인성이 땅에 떨어진 상태이고 법적으로 강제해서라도 진흥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식되고 있고, 국가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교육적 아젠다(azenda)의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나 국가적 차원의 공론화 과정 없이 시대적 조류에 따라 인성교육을 편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이 존재한다. 필자의 시각으로 인성교육이라는 개념의 구체적 명료화와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사회적 합의 없이 막연히 인성교육의 진흥을 추진하고 있는 현실은 모순이라는 문제인식이다. 국가적 슬로건으로서 인성교육의 개념을 사용하기 전에 인성교육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며 이 고찰을 기반으로 인성교육의 재개념화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인성교육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들은 공동체적 시민교육의 개념과 다름이 아니다. 거창한 이름으로 실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내막을 살펴보면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시민의 자질을 길러주는 시민교육의 범주와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인성교육을 둘러싼 여러 가지 교육적 혼란을 피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인성교육’이라는 용어를 ‘시민교육’ 더 나아가 ‘공동체적 시민교육’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물론 필자의 이 제안은 ‘인성교육진흥법’의 범위에서 계획되고 실현되는 학교교육의 장으로 한정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명료화를 통해 교육적으로 가능한 수준의 인성교육의 범위를 특정지우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보다 명료한 시민교육, 공동체적 시민교육의 범주로 인성교육의 범위를 한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더욱 적합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구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인성교육 관련 교육정책개발에 기초적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and issu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nd to critically discuss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 basic assumption made to conduct this study is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is being utilized conveniently following the periodic trend without a social agreement or public speculation process in government level.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is being conducted based on so called ‘Promotion Law of Character Education’ and approached in accordance with a concept of an educational agenda requiring legal promotion. Contemplation of the educational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before utilizing the concept of the character education as a national agenda is necessary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recognized based on this contemplation. In fact, programs under the name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re not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the civic education. Realizable education can be developed and practiced once an educational range of the character education is narrowed down to that of the civic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구성주의 지식론의 교육적 재개념화 -한국의 교육현상을 중심으로-

        정석환 ( Seok Hwan Chung ),정성수 ( Sung Su Jung ) 한국교육철학회 2015 교육철학 Vol.56 No.-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educational meanings of Constructivism of knowledge introduced to resolve problems resided in traditional theory of knowledge. Previous Constructivism theory of knowledge related studies focused mainly on justifying their own theory. However, the study wasn``t good enough to prove whether it resolved the problems when Constructivism theory of knowledge was adapted to an educational course. This study analyzed and proved the background where Constructivism theory of knowledge was introduced to Korean education. Also, it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after surveying how structural theory of knowledge applied educational viewpoint has been functioning in current Korean education system. A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Constructivism theory of knowledge has been carried out whil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traditional theory of knowledge in education system has not been fixed.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raditional theory of knowledge that structuralism criticized is still taking place in the field. It is about time to make transitions in views on studies related to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means it should change into studies regarding information in social use rather than studies on its types or application methods.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study into fundamental cause to be used socially and reduce educational errors took place repetitively so far.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정석환(Chung, Seok-H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개념이 현대 교육실제에 제공하는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모더니즘의 지식관에 나타난 지식구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개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개념 논의에서 시사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바람직한 교육의 실천을 위해 차이개념의 적용에 의한 새로운 교육관 구성을 제안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관이 적용된 새로운 교육관은 고정된 목적의 전수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습자의 차이를 고려한 교육목적의 설정과 이에 따른 교사관, 교육방법 등의 변화로 요약된다. 교사관은 단순한 지식의 전수자로서의 교사가 아닌 학습자의 차이를 고려하고 다양한 교육적 언어게임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인내할 태도의 소유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방법은 고정된 방법이 아닌 유동적, 혁명 과학적 구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Postmodern theory of difference and its meanings in education. Specifically, the examination focused on construct of the theory of Postmodern knowledge and its implications in epistemology of educ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s. To fight against the terror of meta-narratives Postmodern theory of knowledge introduces a form of legitimation grounded on difference. Difference is a sphere that philosopher embodies the logic of dissent, not one that expert pursues consensus. In other words, it encourages new moves and possibilities of other purposes within one system. Also, not excluding other voices, it accepts the possibility of various utterances and strengthens patience to tolerate difference. The delegitimation by the logic of paralogy is necessarily tied to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based on difference. Postmodern theory of knowledge is grounded upon a tolerance to difference. Here difference is justified by different modes of utterances existing among rules inherent modes of discourses. Thus, Postmodern theory of knowledge presents knowledge of difference and aims at showing the differences, and suggests a man accepting them as they are with tolerance. Postmodern theory of knowledge permits us to see problems of meta narratives found in the various discourses of education. Postmodern theory of knowledge emphasis on difference and the legitimation of knowledge by paralogy go against the unitary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sk us to enjoy a variety of knowledge claim. In this way, postmodern theory of knowledge has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비대면 교육 그리고 부버의 만남 철학

        鄭錫煥(Chung Seok Hwa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초래한 새로운 교육환경 즉 비대면 교육의 전면적 확산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만남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진행되었다. 전 세계적인 팬데믹을 초래한 코로나 19는 인류의 노력으로 가까운 미래에 해결이 될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 19가 사라지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간다 하여도, 교육의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이 전면적으로 대면으로 전환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이미 비대면 교육은 새로운 교육의 형태로 자리하게 된 것이다. 코로나 19가 촉발한 전면적 비대면 교육의 상황은 기존 면대면 교육의 상황에서 존재하던 교육에 대한 아이디어를 획기적으로 전환 시켰다. 학교라는 공간에서 정해진 시간에 행해지던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다양한 경우의 수로 확장되고 있다. 본 저자는 대학에서 지난 2년간 전면적인 비대면 교육의 현장을 지키며 학습자들과 소통하고 강의를 진행해왔다. 지난 2년간의 비대면 교육에 임하면서 필자의 뇌리를 떠나지 않았던 고민은 나는 과연 ‘교사인가?’, ‘지식 전달 노동자인가?’ 라는 의문이었다.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배제되고 홀로 강의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위의 문제에 대한 고민은 깊어졌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비대면 교육이 초래한 은유적 교육상황에 대한 ‘교수–학생’ 간의 만남의 가치와 관계에 대한 인식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미 2년의 수난기를 거치면서 정착해버린 우리의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사람과 사람의 만남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재정립은 유의미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저자는 코로나 19가 초래한 교육환경의 변화를 개괄적으로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진정한 만남의 가치를 역설한 실존주의자 마틴 부버의 철학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버의 철학에서 유추된 새로운 교육적 만남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면 교육’이나 ‘비대면 교육’이나 변하지 않는 사람과 사람 관계의 기본 원리로서 만남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다면 교수자 스스로 자신을 지식 전달 노동자로 한정 짓는 오류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자가 본 연구의 전체 과정에서 일관되게 주장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성과, 인격적 교사의 가치, 그리고 대화의 연대성, 교육적 시간과 공간의 재해석은 현재와 같은 혼돈의 교육상황에서 최소한으로 지향해야 할 교육의 방향을 나타내는 나침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w education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The study discusses a direction of the new educational encounters in the circumstances of untact education carried out throughout the field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In the current situation of November 2021, the writer is not able to predict whether the forthcoming future may become of ‘Post Corona’ or ‘With Corona’ at all. However, the current restricted meetings of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and shifting space of education to the online will be improved. It is meaningful to reestablish the educational value of human encounters in the untact education environment settled down for the last 2 years since 2020. In this context, the writer first discussed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then introduced the philosophy of M.Buber who asserted the value of true encounters. Lastly, a direction of the new educational encounter inferred from Buber"s philosophy was discussed. Untact education was completely introduced for the national health and security assurance and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human encounter in this education environment is significant. Every educational encounter is meaningful itself and the education will be positively changed when teachers working in the education field realize the principle of the encounter in the circumstances of encounters they confro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