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물정보학적 방법을 이용한 발생 단계별 T 세포 EST의 분석

        소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07

        Bioinformatics is the latest part of science using computer to analogize new biological knowledge from enormous biological research data. It contributes to analyze the experimental data that are the result of human genome sequencing projec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efore this study : intrathymic T-cells for three developmental stages (TN, DP, SP) were isolated from the thymus of pre-adolescence child, and PCR-based cDNA libraries that are specific for each stage were constructed using cytoplasmic RNA extracted from the isolated thymocytes. (Sung-Ho Gho, Seoul National University) I attempt to reanalyze the 1386 ESTs obtaining from that procedure at a viewpoint of bio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biology using known programs or algorithms. I predicted the function of each EST sequence through sequence homology search with local BLAST of UniGene and SWISS-PROT database and functional motif-based analysis. The basis of those procedures are homology search method whose premise is that the biological sequences with related function are similar one another and are derived from the same ancestor. And I categorized the genes expressed following three T-cell developmental stages by 7 cellular functions. Here introduced the computational method in the process of EST assembly and homology search, and attempted to predict the EST function from various viewpoints. Although themselves are very inaccurate, EST sequence analysis is important because ESTs can be the part of real genomic DNAs. In this study, I showed the possible flow for EST analysis, and tried to use utmostly both biological information and analytical tools accumulated till now. So, these procedure and result can be the new way of biological research. Furthermore, if those can be embodied in the web sites or aimple programs, biologists can expect better outcome of their research.

      • 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영어교과서에 나타난 “형용사+명사”의 코퍼스 기반 분석

        소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thesis tries to compare adjective-noun collocations in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corpus (COCA), a general-purpose American corpus. As more and more emphasis is put on text authenticity in English educa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determine how much correspondence there is in the use of adjective-noun collocations in the two corpora,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corpus and COCA. For the study, the reading sections in nin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have been compiled as a target corpus. The WordList function and the Concordance function in the WordSmith tool were used to determine the top-10 adjectives and top-10 nouns in the target corpus. And the adjective-noun collo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arget corpus and COCA, the reference corpus. The comparison has shown the correspondence rate of about 50 percent between the two corpora. High ranking collocations in the target corpus that were not found in COCA have to do with peculiar people and stories in the textbooks. In contrast, those high ranking collocations in COCA that were not detected in the target corpus have to do with idiomatic expressions and specific US-related topics. At least two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se observations. Firstly, while it is obviously important to learn individual words, it is no less important to learn corpus-based collocations to use and understand natural, native-like expressions. The other finding is that certain adjective-noun collocations reveal the importance of dealing with concrete cultural, histor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in English education. Therefore, well-balanced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that incorporate optimal real-life content with authentic (adjective-noun) collocations. 본 논문은 2010년 현재 사용 중인 개정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공통영어 교과서의 ‘형용사+명사’ 연어표현과 미국코퍼스의 연어표현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영어교육에서 진정성(authenticity) 있는 텍스트의 사용이 점점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영어교과서의 연어표현이 실제 원어민 화자들이 사용하는 연어표현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분석함으로써 연어학습에 대한 중요성과 영어교과서의 진정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개정 7차 영어교과서 9종의 읽기(reading) 영역을 코퍼스로 구축하였다. 분석을 위해 워드스미스(WordSmith) 프로그램의 word-list 기능과 concordance 기능을 사용하여 구축된 코퍼스에 나타난 상위 빈도 10개의 형용사와 명사를 각각 찾았다. 영어교과서의 ‘형용사+명사’의 연어표현과 미국 코퍼스의 ‘형용사+명사’ 표현에서 일치하는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비교 분석하고 왜 그러한 결과가 나왔는지에 대한 해석을 하였다. 평균적으로, 영어교과서에서 상위 10개의 ‘형용사+명사’의 연어표현 중 약 50%가 미국코퍼스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코퍼스에서 확인되지 않거나 낮은 순위에 나타난 표현이지만 영어교과서에서 최다 빈도를 나타낸 표현들은 특정 인물이나 내용에 관한 이야기가 전개되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영어교과서에서 확인이 되지 않거나 낮은 순위의 표현으로 나타나지만 미국코퍼스에서 최다 빈도를 나타낸 표현은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거나 미국의 실제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컨텐트들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개별 어휘 학습이 중요하지만 매끄러운 표현을 사용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말뭉치 개념의 연어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미국 코퍼스에 나타난 특정 형용사에 대한 명사의 연어표현을 통해 제 2 언어 학습에 있어 언어 자체만의 학습이 아닌 그 언어가 속한 여러 요인들을 학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문화, 역사, 경제, 사회적인 배경지식에 대한 학습이 병행된다면 미국코퍼스에 나타난 높은 순위의 특정표현들이 왜 나타나는지에 대한 이해가 쉬어질 것이다. 앞으로 학습자의 수준과 연령을 고려한 연어학습 및 진정성 있는 컨텐트를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 역시 제 2 언어 학습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사회운동에 대한 사회-공간론적 고찰

        소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사회적 행위와 관계의 공간성에 주목하여 사회운동을 분석하는 것은 사회운동의 발생 동인, 전개과정, 그리고 그 영향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사회운동은 결코 추상적 논리와 거시적 맥락에 의해서 형성, 발전하지 않고, 항상 구체적인 시공간적 맥락 속에서 장소에 기반하여 발생하고 공간을 통해 성장 혹은 쇠퇴하기 때문에, 사회운동은 반드시 공간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사회운동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대부분 공간성에 대한 이해를 결여하고 있어, 사회운동에 대해 제한적인 설명만을 제공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의 법인화에 반대하는 학생들이 2011년 5월말에서 6월 말까지, 28일간 서울대 행정관을 점거한 사건을 사례로, 사회운동의 공간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비판적 인문지리학자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는 사회-공간론을 바탕으로, 사회는 공간을 생산하고 공간은 사회적 과정을 매개한다는 사회와 공간 사이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서울대 학생들의 행정관 점거사건의 발생 및 전개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핵심적 연구질문은 다음 두 가지이다. 질문1. 서울대법인화반대운동에서의 행정관점거세력은 어떠한 공간을 생산하였나? 질문2. 서울대법인화반대운동에서 행정관 및 행정관 주변의 장소들은 법인화반대운동을 어떻게 매개하였나?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점거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운동의 동학이 사회-공간적 관계가 구체화되어 나타나는 장소, 영역, 스케일, 네트워크라는 4가지 공간성의 국면 속에서 어떻게 펼쳐지고 작동하는지 살펴보았다. 다양한 문헌연구와 점거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법인화에 반대하는 서울대 학생들의 행정관 점거과정에서 운동의 동학이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과 같은 공간성의 국면들과 깊이 상호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의 점거과정 속에서 서울대 행정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식의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이 생산되었고, 동시에 이렇게 형성된 공간성은 서울대법인화반대운동 및 국공립대 법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장소, 영역, 스케일, 네트워크라는 공간성의 구체적 양상들은 서로 구분되어 별개로 존재하지 않고, 항상 서로 중첩되고 다층적으로 접합되어 작동하면서, 서로를 촉진하여 저항을 상승국면으로 이끌기도 하고, 서로를 제약하여 저항을 하강국면으로 이끌기도 하였다. 좀 더 구체적인 경험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행정관이라는 장소는 법인화반대세력에게 안전공간 및 공론장 제공의 역할을 하고, 법인화반대운동에 대한 집단적인 장소감 형성 및 적극적인 장소만들기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법인화반대운동의 동원력을 증가시켰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소의 존재로 인한 물리적 피로감이 증가하게 하였고, 장소의 획일적 구획화를 통해 행정관 점거에서의 창발적인 관계망의 확장을 저해하였다. 둘째, 행정관의 장소화는 서울대법인화반대세력의 집단적 정체성을 강화시키며 탈개인화를 촉진하여 법인화반대운동을 이끌어나가는 큰 동력이 되었으나, 행정관의 영역화는 법인화반대세력의 배타적 성격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법인화반대운동으로의 충원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셋째, 영역화된 행정관을 바탕으로 하여 의존의 공간 내의 행위자들로 이루어진 1차적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의존의 공간 외부의 행위자들과 연결되는 2차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법인화반대운동을 더욱 공세적 국면으로 이끌어나갔으나, 행정관 점거의 동원력을 증가시켜주었던 법인화반대운동세력의 네트워크적 관계망은 법인화 의제를 부각시키지 못한 채 외연적 확장만을 거듭하여 그들이 가진 에너지의 소모를 증가시켰고, 이는 결국 동원력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법인화반대운동세력은 행정관 점거 과정에서 스케일의 정치를 시도하였으나 서울대라는 장소에서 형성된 강한 영역성의 결과로 서울대를 뛰어넘는 공간적 스케일에서 연대의 공간을 형성하는데에는 한계를 보였다. 결국 저항의 하강기에 행정관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던 창발적인 공동체에 비해 기존의 학생회 조직에 기반하여 형성되었던 위계적인 공동체가 우세하게 되면서 행정관 점거는 해제되었으나, 행정관 점거는 점거과정에 참여했던 여러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장소감이 변화하도록 만들었으며, 법인화반대운동을 계속적으로 이끌어나가는 데 있어 동력을 제공하였고, 학생운동에 있어서 문화적 저항을 확산시켰으며, 전국적인 국공립대 법인화 저지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장소, 영역, 스케일, 네트워크와 같은 공간성의 구체적 양상들이 중층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운동의 동학이 구체화되는 과정을 매개하는데, 특히 이들이 서로를 촉진하거나 제약함으로서 운동을 상승국면 또는 하강국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더욱 더 필요함을 제안한다.

      • 『俱舍論』의 三世兩重因果에 관한 연구

        소형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rocess which sentient beings have been carried out in life and death is described as ‘the three time periods in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and two levels of cause and effect’. Sarvāstivādin(有部) explains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which the causal relationships overlaps twice over three period tim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ince the early Buddhism.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cyclic transmigrations through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understood by the Sarvāstivādin’s authors, ‘the present result; consciousness(識), name and form(名色), six sense gate(六入), contact(觸) and feeling(受)’ occurs on condition of ‘the cause of the past; ignorance(無明), mental formation(行)’. And ‘the future result; birth(生), ageing and death(老死)’ occurs on condition of ‘the cause of the present; craving(愛), clinging(取) and becoming(有)’. This is what the Sarvāstivādin’s authors arg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samsara theory was 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Sarvāstivādin and Vasubandhu(世親) in Abidharma Buddhism. Sarvistivāin developed the method of classifying all dharmas from the five aggregates(五蘊), the twelve sense feilds(12處), and the eighteen realms of sense(18界) in early Buddhism into the fivefold taxonomy of seventy-five factors(5位75法) systemically.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Sarvāstivādin affirmed that there is a real substance(實體); self-nature(自性) of all dharmas which is persisted throughout the three periods of time; past, present, and future. Sarvāstivādin also argued the causal theory of six causes, five effects, and four conditions Indicating the relationship in which all dharmas were formed. Sarvistivādin held that the three periods of time is related to cause, condition and result, thus the time is represented by relying on impermanence of the conditioned dharmas, not by a separate. The conditional dharmas don’t deal with the real meaning of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dharma. It is not about dealing with the real meaning of an existent, but with the real meaning of the dharma as an existence. This conditioned dharma’s impermanence shows the life and reincarnation of an individual in relation to the present lif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ffering(苦) and its cause. Sarvistivādin has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which interprete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s two-folds causality over the three periods of time. It is focused that substantial dharma acts on three time periods through the causality. Sarvistivādin didn’t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each items in Twelve Links as cause and effect, but rather regarded the five aggregates as principal agent of causality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he states the Dependent Origination theory. Sarvāstivādin regarded ‘the consciousness(識)’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s ‘the bond of rebirth consciousness(結生識)’, and they explained samsara of no-self(無我) by viewing human existence as the continuity of ‘the five aggregates’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intermediary beings(中有)’ and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三世兩重因果)’. On the other hand, Vasubandhu, in Abkhidharmakośabhṣya, considered the main agent of continuity as ‘the six conciousness(6識)’ of the flow, not as ‘the five aggregates’. The interpretation of ageing and death also means the suffering from human beings are due to old age. The twelve components were interpreted by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f the dharma and explained the cause of ‘the suffering’. Sarvistivādin in Abkhidharmakośabhṣya argued the subject of the reincarnation is ‘the five aggregates’, and it become a consciousness(識) in the mother’s womb when a new life is born, while Vasubandhu argued continuity of the six consciousness(6識)’s flow as principal agent. so he considered that the flow of six consciousness(6識) is a medium for conveying kar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