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문계와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조직풍토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문영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이 연구에서는 학교 조직풍토와 직무 만족도 사이에 직무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더 나은 조직풍토를 조성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감 향상으로 양질의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문계 교사와 특성화 교사에 대한 특성을 상호비교 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는 교육환경은 점차 특성화되어가고 사회 환경은 전문화되어가는 추세를 본다면 이 연구의 시기는 시의적절하다. 이에 이 연구에는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자들은 학교의 조직풍토에 따라 교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했고, 직무 스트레스는 이들 변인 간에 관여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조직풍토와 직무 만족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AMO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공분산구조분석 모형(SEM)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간의 조직풍토, 직무 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집단 간 비교 분석기법인 t-test를 활용하였다. 우선, 인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간의 조직풍토, 직무 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한 결과 인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모두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풍토와 직무 만족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비교해 보면, 조직풍토가 직무 만족도, 조직풍토가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각각 직 무스트레스 매개효과를 검정한 연구결과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의 경우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212이고 인문계 고등학교의 경우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180로 특성화 고등학교가 인문계 고등학교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조직풍토 강화 및 직무 스트레스 해소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조직풍토 조성이 중요하다. 둘째, 학교 교장은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요구되어진다. 셋째, 가능한 관료적 성향의 조직운영은 회피하면서 교사들의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적이고 건설적인 조직분위기 형성을 위해 교장의 지원적 및 후원적 리더십의 발휘가 요구되어진다. 넷째,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열린 의사소통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사들의 대우, 업무, 승진, 동료 및 상사와의 관계 등에 있어서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어느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검정했고 이전의 이 연구모형과 동일한 모형이 없어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연구의 시간적 범위가 특정한 시점에 한정됨으로써 조직풍토,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도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다소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present the effect of the job stress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nd to expect better job satisfaction and more qualified education in the better organizational climate. These day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to characterizes and society is specialized.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stinction between academic high school teachers and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observing the relation of the these variables. 200 teachers in academic school and vocational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EM by AMOS to test the effect of mediation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lso, the data analysis was to conducted by t-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limat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between academic high school teachers and vocational school teachers.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is: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limate on job stres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both academic and vocational school. In job stress, the mediated effect is .212 in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180 in academic ones.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were more than academic school teachers. The alternatives are following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relieve job stress: First, it’s important to make a healthy organizational climate to build more job satisfaction for high school teachers. Second, principal need to think of the role as a administrator. Third, the principal’s leadership is demanded in empowering ann supporting teachers for improvement of job performing ability. Fourth, organized efforts is needed to relieve job stress. Fifth, open communication system is needed. Sixth, the efforts for satisfaction in treatment, work, promotion an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and superiors. The study has some limits to generalize the result. Because the study was limited in certain areas and won't get any other results to compare. Also, time range is limited in certain time. Because Organizational climat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an change with time.

      • 골프장 CEO의 리더십 특성과 내부고객만족, 서비스품질지각 및 경영성과 분석

        이문영 경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오늘날 골프장 경영자들이 가격을 좌우하던 ‘공급자 시장’에서 골퍼들이 가격을 좌우하는 ‘수요자시장’으로 변화되어감에 따라 골프장의 내부고객에 대한 만족과 내부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과거와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내부고객의 체험에 기초한 실직적인 변수들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국내 골프장 기업의 CEO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내부고객만족 및 내부서비스품질 지각의 매개효과에 따른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수도권 및 지방골프장 근무 직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표집방법은 유의표집법을 사용 자기평가기입토록하여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 449부를 연구목적에 따라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 및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서번트 리더십(공동체윤리, 존중, 정직, 봉사, 공감대형성), 그리고 내부고객만족(신뢰도, 직무, 동료, 임금, 재량권, 인세티브), 내부서비스품질 지각(유형성품질 지각, 무형성품질 지각), 경영성과(비재무적 성과, 주관적 재무성과)에 관한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값은 변혁적 리더십 α=.868, 서번트 리더십 α=.849, 내부고객만족 α=.833, 내부서비스품질 지각 α= .925, 경영성과 α= .762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연구분석을 위한 자료처리는 SPSSWIN 12 Vers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 및 관련변수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변인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연구가설 Ⅰ의 골프장 내부고객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리더십특성 및 내부고객만족, 내부서비스품질지각,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가설 Ⅱ의 골프장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영성과 간에 내부고객만족의 매개효과는 지지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Ⅲ의 골프장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영성과 간에 내부서비스품질 지각의 매개효과는 지지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Ⅳ의 골프장 CEO의 서번트 리더십과 경영성과 간에 내부고개만족의 매개효과는 지지되었다. 다섯째, 연구가설Ⅴ의 골프장 CEO의 서번트 리더십과 경영성과 간에 내부서비스품질 지각의 매개효과는 지지되었다. 여섯째, 연구가설 Ⅵ의 골프장 CEO의 변혁적 및 서번트 리더십과 내부고객만족, 내부서비스품질 지각,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 탐색 중심의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음악은 인간의 삶과 분리되어 생각될 수 없다. 음악 속에는 인간의 영혼이 담겨져 있으며, 인간의 삶과 경험이 살아 숨 쉬고 있다. 그런데 학교 음악교육에서 ‘인간’에 관하여 충분히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여러 음악 미학적 관점들은 음악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물음에 답변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그 가운데 표현주의 미학자들은 음악의 본질이 인간의 존재, 즉 삶의 경험이나 느낌에 있다고 주장한다. 음악의 본질이 인간의 경험이나 느낌에 있다면, 그것이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데 기초가 되어야 함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것은 인간의 경험이나 느낌이 바로 음악을 생성하게 하는 근원이자 원리라는 의미이며, 학문의 생성 원리에 관한 이해는 학교 교육의 목적이자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음악교육 현장에서는 다른 두 가지의 음악 생성 원리를 중심으로 음악 감상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두 가지 원리란, 관련주의 미학에 근거하여 음악 외적 대상과의 관련성에서 음악의 본질과 의미를 찾는 경우와 형식주의 미학에 근거하여 순수한 음의 형식을 통해서만 그 본질과 의미를 찾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들과 더불어 음악을 ‘인간 경험의 특질’로서 바라보는 관점이 동등한 위치에 놓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 경험의 특질’이 음악 속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가를 탐구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인간 경험의 특질로서의 음악 이해에 해답의 실마리를 줄 수 있는 미학적 관점인 표현주의의 대표적인 미학자 존 듀이(John Dewey)는 예술은 경험의 세련되고 강화된 형식이며, 경험의 형식은 역동적인 조직화의 결과라고 밝히고 있다. 또 다른 표현주의 미학자인 수잔 랭거(Susanne K. Langer)는 예술이 감정의 역동적 형식이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듀이와 랭거는 공통적으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과 예술 형식 간의 관련성 측면에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찾으려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 및 악곡에 나타난 모습을 탐구해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불균형과 불안정의 상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성장을 이루어가는 가운데 균형과 안정의 상태를 성취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의 본질은 긴장과 갈등의 요소들을 극복하는 데 있으며, 긴장이나 갈등의 요소가 없는 경험은 그 자체로 미적 성질을 가지지 못한다. 또한 감정이라는 내적 경험의 형식에 있어서도 모든 감정에는 긴장과 이완의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은 악곡에 나타나는 긴장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악곡에는 긴장의 요소가 항상 존재하며, 그것의 이완과 해결을 지향하게 된다. 둘째, 긴장과 갈등의 상태를 극복하여 평형화의 상태에 이른 경험은 이전과는 다른 성장되고 발전된 상태의 경험이다. 즉 경험 속에는 성장과 발전의 요소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이다. 이는 음악에도 해당된다. 음악은 반복, 변형, 대조를 통하여 악곡을 성장,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그것은 양적, 질적 상태에의 도달을 의미한다. 셋째, 경험이나 느낌은 그 속에 개별성 및 통일성을 포함하고 있다. 경험이나 느낌을 이루는 각 부분들은 고유의 개별성을 지니는 동시에 전체의 통일성에 기여한다. 악곡 역시 각 부분이 개별성을 가지는 동시에 하나의 전체를 완성시킨다. 악곡의 통일성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조성과 반복, 형식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세 가지 특질 가운데 앞의 두 가지 특질을 중심으로 악곡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을 음악의 구성 요소별로 탐구해 보았다.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큼작음, 빠르기, 음색, 가락, 흐름결, 조직, 형식, 화성 요소로 나누어 탐구해 보았고, 성장과 발전의 원리는 반복, 변화, 대조 및 형식 요소로 나누어 탐구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악곡에 내재된 긴장과 이완의 원리 및 성장과 발전의 원리 탐색 중심의 음악 감상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긴장과 이완의 원리 탐색 수업을 위해 작곡가가 ‘왜 그런 기호를 쓰고, 왜 어떤 음악 구성요소에 변화를 주었는가?’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끊임없이 생각하게 하여야 한다. 둘째, 악곡 형식의 지도에 있어서 형식의 구조가 우선이 되는 수업이 아닌, 그 속에 포함된 반복, 변형, 대조의 원리에 의해 그 형식이 생성되었음을 알게 아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그 외에, 악곡의 전체 흐름을 느끼도록 하는 감상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들이 느끼고 인식하게 된 경험의 특질의 원리들을 표현해 보는 일이 필요하며, 총체적 음 현상의 탐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수·학습에 있어서의 방향 설정을 위해 적절한 발문이 이루어져야 하며, 타 예술과의 활동 연계가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가사가 있는 악곡은 기악곡 감상학습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미적 특질을 가지는 인간 경험과 유사한 좋은 악곡의 선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사점을 토대로 음악 감상 교수·학습의 지도 단계를 설정하였는데, 첫 느낌 단계, 탐색 준비 단계, 탐색 단계, 의미 도출 단계, 총체적 느낌 단계의 총 다섯 단계이다. 탐색 준비 단계는 탐색 단계에서 음악적 접근을 하기 이전에 다른 예술, 예를 들어 미술이나 무용, 문학과 관련지어 음악적 특징을 느끼도록 하는 단계이다. 탐색 단계는 음악을 반복하여 들으면서 음악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과 그 음악적 이유를 탐색하는 단계로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의미 도출 단계는 악곡에 나타나는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들이 악곡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생각하고, 생활 속 음악과 연관시키는 활동 등을 통하여 그 의미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감상악곡은 7차 교육과정의 감상악곡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 악곡에 나타난 긴장과 이완의 원리 및 성장과 발전의 원리를 음악 내적 요인을 통해 분석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위의 단계에 따라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해 보았다. 악곡 형식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을 탐색하는 음악 감상 교수·학습이 음악교육을 통한 인간과 삶의 이해 및 통찰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길이 되리라 생각하며, 음악교육이 인간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그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되기를 바란다. Music is inseparable with human life. Music contains the human spirit and reflects human life and experienc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music education in schools sufficiently considers those “human” aspects of music. Various musical angles all try to answer the questions about the essence and value of music and expressionists believe that such essence lies in human existence, namely experiences and sensations. If the core of music lies in experience and senses, it is obvious that this should be the foundation in setting goals and expectations of school music education. Again, human experience and feelings is what makes music possible, its essence. And the essence and origin of an art(music) should be a basic goal of education. In actual education, however, other two principles of creation for music are the focus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e other two principles refer to aesthetic relativism, whose basic premise is to find the essence of music through elements outside of music and formalism, which seeks to extract meaning and essence through pure analysis of the form of musical notes. However, the viewpoint of valuing “Specific nature of human experience” should be equally emphasized. For this, ‘Nature of human experience’ as it manifests itself in music should be explored first. Expressionism provides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music appreciation as a specific form of human experience. According to popular expressionist John Dewey, Art is a refined and fortified form of experience, experience being the result of dynamic organization. Another expressionist aesthetician S. K. Langer argued that art is the active form of emotion. Dewey and Langer both attempted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art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 and the form of art. Based on their artistic views,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and its manifestation in music had been explored, and below is the findings. Firstly, life attempts to escape imbalance and instabi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its environments, gradually achieving balance and stability. The essence of this development lies in the overcoming of elements such as tension, and experience in the absence of such tension or conflict tends to lack aesthetic characteristics. Also even in emotion, a form of internal experience, tension and conflict is always present. Music always includes an element of tension, and its relaxation and resolution is sought for. Secondly, experience in equilibrium, having conquered its tension and conflict, becomes distinguished, being more developed and advanced. Indeed, experience always implies growth and development. The same applies to music. Reprise, metamorphosis, contrast in music develops and advances it. This leads to qualitive and quantitive attainment. Thirdly, experience and feelings contain in themselves, individuality and unity. Each part of experience retains its own characteristic while contributing to the unity of the whole. Each part of music has its own individuality while completing the page. Important elements contributing to a piece’s unity are composition, repetition, and form. The former two elements of the aforementioned three manifestations of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 in music were further investigated. The principle of tension and release was categorized and researched as dynamics, tempo, timbre, melody, rhythm, texture, form, harmony, while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and advancement was researched as repetition, metamorphosis, contrast and form elements. This research arrived to the following findings on the implications of the search of principle of tension and releas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inherent in music on musical appre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First of all, in teaching the search of tension and release, students should be required to ask the fundamental question ‘Why was this specific note used, and what implication does it have to the music?’ of themselves. Secondly, in the teaching of musical form, the repetitions, metamorphosis, contrast principles contributing to the total structure should be emphasized over formal structure. Also, teaching of appreciation of entire flow should be emphasized, and expression of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students should be emphasized, allowing for total tonal exploration. Appropriate inquiries on the direction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should be allowed, and cross-professional studies could prove effective. Music with lyrics could serve as a basis for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selection of such music that appropriately portrays human musical experience is essentia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everal steps of Music appre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had been laid down. They are the first impressions stage, exploration preparation stage, exploration stage, meaning extraction stage, comprehensive feeling stage, five in total. The exploration preparation stage serves as a step before exploration where other art genres such as painting, choreography, literature are introduced to relate with the musical features. The exploration stage involves repeated listening, to explore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and its musical background, and thus serves as the crucial step. Meaning extraction stage is where it is examined what each functions and meaning nature of human nature featured in the piece serve is viewed in light of the whole piece. It is furthered through connecting with real life activities and their meanings. The musical selection was composed of the music included in 7th amendment of Korean education course, and the tension &releas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principle of each piece was analyzed through inherent features to set educational goals. And according to the above stages, a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planne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education based on the exploration of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in music, apprehension and insight of people and their lives could become one step closer, and music education strengthens the meaning of education.

      • 하수처리시설 자립화를 위한 에너지 효율 개선 방안

        이문영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그동안 하수도 사업은 기반 시설 확충과 하수처리 효율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에너지 사용 효율에 대해서는 미흡하였다. 그 이유는 공공 하수도에 도입되는 기술은 하수 처리, 악취 제거, 하수찌꺼기 감량, 하수처리수 재이용 등 각 공정상의 성능향상에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이다. 하수도 보급률이 매년 증가함에 따라 하수처리시설은 하수 수집과 처리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질소(N)와 인(P) 등을 처리하기 위한 고도처리 공법 도입으로 에너지 비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하수처리시설은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설 중 하나로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안과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특히, 전력 뿐만 아니라 전력 생산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열을 최대한 이용하고, 그 다음 단계로 하수 슬러지과정에서 생산된 바이오 가스를 활용해야한다. 하수처리시설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중 전력이 98.6%를 차지하므로 전력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자립화가 꼭 필요하다.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기술은 에너지 생산기술과 에너지 절감기술로 구분된다. 에너지 자립화 기술은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기술이고, 하수처리시설에 적합한 재생에너지는 소화가스 발전과 소수력 발전이며, 지형적인 특징을 이용한 자연에너지인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이 있다. 하수처리시설은 부지 면적이 넓어 태양열 및 태양광 발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하수처리시설이 해안에 입지한 경우에는 풍향 및 풍속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시설 도입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하수처리수 방류 낙차, 방류 관거 유속 등을 이용하면 소수력 발전 도입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수는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양과 온도를 유지하므로, 히트 펌프를 활용하여 여름에는 냉열원, 겨울에는 온열원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수 슬러지는 집약형 유기성 자원이므로 소화가스 발생량을 이용한 발전 등 재생에너지로 이용할 가능성이 풍부하다. 에너지 절감기술은 기존 노후화 설비(농축기, 소화조 등)를 고효율 기기로 교체함과 운전 관리에 의한 에너지 절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방안으로는 소화조 교반기 및 농축 설비를 개선하고, 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탈황설비 및 발전설비를 신설하여 가스 활용 설비를 개선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한다. 이는 펌프의 인버터 제어, 초미세기포장치 도입,인버터형 터보블로워 도입, 반응탱크의 풍량 제어밸브 도입, 저동력․무동력 교반기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논문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정부의 정책 사업인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사업‘의 추진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하수처리시설의 소화조 효율 개선을 통해 바이오가스 생산을 극대화하는 방안과 하수 슬러지 감량화 방안을 제시한다.

      • 토마토 광합성 특성 분석 및 현장적용

        이문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토마토 잎들의 엽위별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고, 잎의 연령과 개화속도를 엽위별 광합성 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생육지표의 발굴에 활용하자 한다. 또한 토마토의 광합성 특성을 적용한 적정 적엽처리를 구명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토마토 잎들의 엽위별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고, 잎의 연령과 개화속도를 엽위별 광합성 특성과 비교분석하였다. 일중 광합성 속도 특성실험에서는 일출 전 2시간부터 일몰 후 3시간까지 1시간마다 4번째 화방의 하부엽 3매의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였다. 3개체를 반복으로 총 2회 조사하였다. 토마토의 일중 광합성 속도는 일출 후 1시간 동안 급격히 증가한 후, 일몰 2시간 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여 급액의 시작과 마감시각을 결정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엽위별 광합성 속도 특성실험에서는 1화방부터 4화방까지 각 화방의 하부에 있는 본엽 3개씩을 대상으로 광합성 속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광합성 특성을 분석하는데 적용하기 위해 개화속도를 조사하였다. 광합성속도는 엽위에 관계없이 꽃이 만개하는 시기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만개 이후에는 해당 화방 이하의 잎의 활력이 감소하고 생육단계가 노화단계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토마토의 개화속도와 광합성 속도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생육단계(엽령)의 차이에 의해 각 화방별 광합성 속도는 차이가 있으나, 광합성 속도로 작물의 활력을 판단하려 할 때는 개화하고 있는 화방의 하부엽을 조사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고온기 토마토 재배시 생산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적엽관리법을 구명하여 수확량과 상품성을 증대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농가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생장점부터 하부로 14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14), 생장점으로부터 하부로 20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20), 유럽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수확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Harvest), 토마토 잎의 광합성 특성을 적용한 개화 7주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7-weeks) 등 4개의 처리를 두었다. 적엽처리는 개화속도에는 영향이 미미했으나, 수확속도와 수확량 및 상품성에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확속도는 6-7일이 적당하며, 과다한 적엽으로 수확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총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적엽하지 않아야 한다. 고온기의 적엽은 Leaf-14보다 Leaf-20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7-weeks 처리도 효과적이었으나 적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배현장에 적용하기 쉽고, 적엽처리 효과가 가장 우수한 Leaf-20 처리가 고온기 적정 적엽방법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우리나라와 같이 고온기와 저온기의 경계가 뚜렷한 지역에서는 재배시기에 따른 시설내 광도,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을 고려한 적엽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토마토를 재배할 때, 생산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적엽관리법을 구명하여 수확량과 상품성을 증대하기 위해 고온기와 저온기로 나누어 1년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온기 실험의 처리로는 농가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생장점부터 하부로 14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14), 수확을 시작한 화방의 상부 1번엽 제거 처리(Start-Harvest), 토마토 잎의 광합성 특성을 적용한 개화 7주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7-weeks), 유럽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수확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End-Harvest) 등 4개의 처리를 두었다. 저온기 실험의 처리로는 농가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생장점부터 하부로 14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14), 토마토 잎의 광합성 특성과 고온기 실험결과를 적용한 수확을 시작한 화방의 상부 1번엽 제거 처리(Start-Harvest), 유럽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수확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End-Harvest) 등 3개의 처리를 두었다. 고온기 실험에서 적엽처리는 개화속도에는 영향이 미미했으나, 수확속도와 수확량 및 상품성에는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확속도는 6-7일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적엽처리로 인해 수확속도가 3-4일로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총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수확속도가 빠르면 적엽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고온기의 적엽은 Start-Harvest 처리가 가장 좋은 방법이었으며, 7-weeks 처리도 효과적이었으나 적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므로 엽수가 비슷하고 현장적용이 용이한 Start-Harvest 처리가 고온기 적정 적엽방법으로 판단된다. 저온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상품과량이 많고, 수확속도도 빠른 Start-Harvest 처리가 저온기에 적절한 적엽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즉, 본 실험에서와 같이 토마토를 높게 유인하는 경우 계절에 관계없이 수확을 시작한 화방의 상부 1개 잎까지 적엽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의 일중 광합성 특성 조사의 결과는 토마토 재배시 급액의 시작과 마감시각을 결정하는데 적용이 가능하며, 작물의 활력을 광합성 속도로 판단하고자 할 때에는 개화하는 화방의 하부엽을 측정하는 Characterization of photosynthetic rates by tomato leaf position The photosynthetic rates according to leaf positions in tomato plants were investigated. It is also analyzed in relation to leaf age and flowering rate. In the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diurnal change of photosynthetic rates, it was checked on three leaves below 4th cluster every hour from 2 hours before sunrise through 3 hours after sunset. It was checked twice with the replication of 3 plants. The photosynthetic rate increased sharply for 1 hour right after sunrise and remained steady until 2 hours before sunset. This trend can be applied to determine the irrigation schedule. In the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photosynthetic rates according to leaf positions, it was checked on three leaves below each clusters from 1st to 4th cluster. Flowering rate was also investigated. The photosynthetic rates showed the tendency decreasing steadily after flowers bloomed fully, regardless of the leaf position. It seems to be because the leaves below the cluster with fully-bloom flowers lost their activities. This result suggests the flowering rate or the position of flower has deep relation with the photosynthetic rates of the concerned leaves. From the results the leaves under flowering cluster may be the good part to investigate the photosynthetic rate to evaluate crop's activity, even the photosynthetic rat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clusters. Optimum management of tomato leaf removal in summer We investigated the optimal leaf removal method that is easily applicable to tomato cultivation during spring-summer harvesting period and that improves the yield and quality of tomato produced. Four treatments of leaf removal were experimented: remaining 14 leaves from the growing tip (Leaf-14), remaining 20 leaves from the growing tip (Leaf-20), removing leaves below the truss of which the harvesting is over (Harvest), and removing leaves below the truss when its flowers have been bloomed for 7 weeks (7-weeks). Leaf removal did not affect the flowering speeds very much, but did influence the harvesting speeds and yields greatly. The desirable harvesting speed was found to be 6~7 days per truss. Total yield decreased when the harvesting speed was too fast as 3~4 days due to the application of leaf removal. Leaf-20 was found to be the optimal leaf removal method. 7-weeks treatment showed results similar to those of Leaf-20, but it was inconvenient to apply. Therefore, Leaf-20 was judged to be the ideal leaf removal metho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because it can be conducted easily and bring about the best results. Optimum management of tomato leaf removal in summer and winter Some leaves attached on the vine of tomato crop need to be removed to improve the yield and quality of tomato produced. The degree of leaf removal should va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especially different by season. We investigated the optimal leaf removal method that is easily applicable to tomato cultivation during summer and winter harvesting periods. In the hot season experiment, four treatments of leaf removal were experimented: remaining 14 leaves from the growing tip (Leaf-14), removing leaves until one leaf above the truss of which the harvesting is started (Start-H), removing leaves below the truss 7 weeks after its flowers have been bloomed (7-Weeks), and removing leaves below the truss of which the harvesting was over (End-H). In the hot season experiment, leaf removal did not affect the flowering rates very much, but influenced the harvest rates and yields greatly. The desirable harvest rate was found to be 6~7 days per truss. Total yield decreased when the harvest rate was too fast as 3~4 days due to the application of leaf removal. It shows that leaves must not be removed if the harvest rate is too fast. Start-H was found to be the optimal leaf removal method. 7-Weeks treatment showed results similar to those of Start-H, but it was inconvenient to apply. In the winter experiment, three treatments of leaf removal were experimented: Leaf-14, Start-H, and End-H. In the winter experiment, Start-H treatment showed the best results in aspects of yield and harvest rate as well. Therefore it seems to be the best to remove leaves until one leaf above the truss of which the harvesting is being done in case that tomato vine is trained high in any season.

      • 국내·외 폐기물 용출시험법 동향 및 개선방안

        이문영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나라 용출시험의 타당성 및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각 국가별 용출시험법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 용출 인자별로 비교 분석을 하였다. 각 국가마다 용출 인자의 조건이 틀리므로 그 조건을 변수로 실험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용출시험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용출 시험법에서 용출능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인자인 pH를 중심으로 국내 폐기물용출시험법(Korea Leaching Test), TCLP(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Method 1311), 수정화된 국내 폐기물용출시험법(Modified KLT), ANC(Acid Neutralization Capacity) test, 그리고 화학평형모델(MINTEQA2)으로 비교실험을 하였다. 국내 폐기물용출시험법과 TCLP법에서 용출량을 비교한 결과, TCLP법에서 용출된 중금속량이 국내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초기 pH를 조절하고 일정한 pH로 유지하면서 용출시험법을 병행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MINTEQA2을 사용한 결과 pH에 따른 용해도와 pH를 유지, 조절한 중금속 용출량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할 것을 볼 수 있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 as well as the propriety of Korea leaching test, leaching test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examined, analyzed, and compared. Since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standard for leaching test, the standard was used as a variable in the experiment,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problems and possible improvement of Korea leaching test were proposed. Method 1311, Modified Korea Leaching Test (KLT), Acid Neutralization Capacity test (ANC), and MINTEQA2 were examined and compared, focucing on pH that is the most crucial factor affecting the efficiency of leaching test. Compared to the KLT, greater amount of leached heavy metals was detected in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TCLP). Additionally, MINTEQA2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by controlling and maintaining the pH in early stage of the leaching test, and it was found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amount of the heavy metals leached by controlling and maintaining the pH according to the metals' solubility in particular pH.

      •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을 활용한 창작 음악극 수업 지도안 연구 : 예술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이문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21세기 4차 산업시대에는 창의적 사고 능력과 협업학습 능력을 중요시 하고, 코로나 19시대를 지나며 비대면 수업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되어졌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장점을 결합한 교수법인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지식을 함양하고 의사소통법을 배우며 적극적으로 학습자가 참여하고 창작 음악극 활동을 통해 2015 교육과정의 핵심내용인 창의·융합·협업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을 활용하여 대표적 학생 중심 학습 활동인 창작 음악극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특히 예술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서양 악기가 친숙한 학생들에게 판소리 ‘흥보가’의 줄거리를 사용함으로써 국악극을 클래식 악기로 각색하고 연주하여 장르의 경계를 넘어 학생들이 협동하여 창작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국악에 대한 친숙함을 본인의 서양악기를 통해 구현하였다. 수업지도안은 1차시와 2차시는 비대면 수업, 3차시와 4차시는 대면 수업으로 총 4차시로 구성하였다. 1차시 수업은 음악극의 개념과 종류를 제시하고 ‘흥보가’를 제재 작품으로 사용하여 대본 각색을 계획하였다. 교사는 모둠별 전공악기 구성이 다양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모둠을 구성한다. 또한, 학생은 온라인 플렛폼 ‘Zoom’ 소회의실을 통해 모둠별로 토의·토론한다. 2차시 수업은 모둠별로 대본에 어울리는 배경음악 선정을 계획하였다. 학생은 원작에 제한받지 않고 교과서에 제시된 제재곡을 활용하여 창작 음악극 활동에 창의적이며 자주적인 태도로 참여하고, 교사는 각 모둠의 소회의실을 이동하며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3차시 수업은 각 모둠별로 극 중의 역할을 정하여 리허설 활동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맡은 역할에 높은 책임감을 갖고 공연할 수 있도록 한다. 4차시 수업은 모둠발표와 평가 및 피드백을 계획하였다. 본 논문은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을 활용한 창작 음악극 지도안을 통해 창의적 협업의 인성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음악극 활동으로 동료 학습자와 협력하여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고 개인의 역할에 높은 책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창작무용에서 연출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문영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aise the value of dance creation nurturing producers specialized in dancing by making dance director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ance producing. In this thesis,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the needs for the producing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basic principle of producing in creating a dance and the way of presenting the whole plots on the stage is also investigated, and then re-thesis of the phase of a producer as the center of the work is performed. For the investigation, data were gathered using previous theses, periodical publications, art books, and the internet. Investigating of the needs for producing in a creative 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change of the work, as well as effective contrast and comparison can be obtained with the help of producing. Second, making full use of the theatrical art, more dramatic effect can be obtained by producing. Third, experimental work can be created by new attempts when the producer cooperates with the choreographer on the basis upon his objectivity. Completeness and artistic value of a work can be achieved when the producer gives full play to his ability understanding the work objectively and creating inclusivel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dance producing once again through this investigation, dance performances can be on a high level and such a number of producers specialized in dancing can be nurtured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reative dance. 이 연구는 창작무용에서 연출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안무가에게 무용연출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연출의 기능을 활용하여 전문적인 무용 연출인을 육성하고 무용 창작이 종합예술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무용 창작 작업에서 기본적으로 밟아 나가야 할 연출의 기본 원리를 통해 연출의 방법과 필요성을 모색해 보고 전체 구성을 어떻게 무대화하는지 살펴보았으며, 연출가가 작품의 중심에 서서 작품을 이끌어 갈 수 있는 협력관계의 위상으로 재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무용관련 서적, 전문잡지,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학위논문 및 연출과 관련된 타 분야의 논문과 서적을 통한 문헌적 자료를 통하여 무용 창작 과정을 연출의 입장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창작무용에서 연출의 필요성에 관하여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출의 도움을 받아 구성한 작품은 다양한 변화와 대조 및 대비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둘째, 무용에 있어서 연출이 참여한 작업은 무대 예술의 총체적 활용으로 작품에 보다 극적 효과를 불러 올 수 있다. 셋째, 연출자의 객관성을 토대로 안무자와 상호 협조하여 구성한 무용공연에 있어 새로운 시도방식과 실험성이 돋보일 수 있다. 무용 연출은 연출자가 작품을 객관적 입장에서 파악하고 포괄적인 시각으로 창작하여 그 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때 작품의 완성도와 예술적 가치를 이룰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연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면 무용은 현재의 단순한 공연예술로서가 아닌 수준 높은 공연으로 자리 매김 될 것이며, 무용을 전공한 많은 전문 연출가가 육성되어 창작 무용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