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도를 사례로 하는 DMZ 접경지역 경제활성화 연구

        이규일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Background of Study: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in a truce for 66 years since the Korean War in 1950, based on the Demilitarized Zone (DMZ). The existing and current governments have encouraged economic support and self-relianc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border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ng-term armistice period. But they have been stuck in their unilateral and overlapping supports rather than reflecting the residents' needs. Policy support for the self-reliance required by the border residents and analysis of opinions on the border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n-border residents is needed. And after analyzing the conservation policy for natural resources from the armistice country through the tourism industry and UNESCO listing, strategic proposals on the way to promote economic independence and activate the tourism industry are required. Purpose of Study: DMZ's four zones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Gangwon Province Zone, where Goseong, Inje, Yanggu, Hwacheon, and Cheorwon are in, and the other zone. Then the strategic support policies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from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ith the purpose of balanced development. Furthermore, views on the DMZ, promoting the linkage and independence as to the tourism industry, and on making it UNESCO list are investigated and suggested. First, from the literature research, the types of support projects for the DMZ border areas that the government has done so far has been researched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existing policy documents. Second, from the surveys, collected information about the border zone residents via offline, and opinions about non-contiguous residents via online were analyzed. The views on DMZ,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linkages in the tourism industry, and nature preservation such as UNESCO were studied respectively. Research Result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was established on July 27, 1953, along the approximate line of ground contact between the opposing forces at the time the truce ended the Korean War, under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which was signed after the war. The DMZ border areas can be divided into 4: west coast regions and islands, middle western inland regions, middle eastern mountainous regions, and the east coast regions. In the pape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s for the DMZ border areas, government support projects, tourism revitalization projects, and UNESCO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are defined. Looking at the existing support projects for the DMZ border area, we could find out that not only the state government has run overlapping and excessive projects but also local authorities have run projects without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feature, it has shown the supporting institu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s, such a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used overlapping support policies on the pretext of balanced development policy. Moreover, there have been defects in unreliable operation of the government’s support projects and redundancy benefits for some residents by operating to disregard the linkage. The next is the survey results. Most residents in the border and non-border areas expressed their opinions that the DMZ should develop with a vision for the future rather than the pains of the past. They also intended to utilize the natural resources as a tourist resource to the extent that they would not damage nature then link it to the measures for self-reliance of the region. Besides, they hoped the government would provide equal benefits for all residents that had been given to only some people. As regards UNESCO listing, they had the intention to connect with the tourism industry within the availability of preserving the natural resource. Expected Effects: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in a truce for 66 years since the Korean War in 1950, that require plans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self-reliance of the DMZ border areas. In the paper, it is proposed to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strategies for non-redundant support projects, in addition to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border area resident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specialties and the tourism industry. In the past, DMZ was remembered for a history of anger and pain. But today, it is considered as a natural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and residents of the DMZ border that the current DMZ should be a development target as a window of communication and a repository of ecological conservation.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government's policy for promoting the DMZ as a symbolization and tourist resource will link to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border residents eligible for benefits. 연구배경: 남북한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DMZ(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를 기준으로 66년 동안 휴전 중에 있다. 기존의 정부 및 현 정부에서는 장기적 휴전 기간에 따른 접경 지역주민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경제적 지원 및 자립화를 유도하고 있으나, 접경 지역주민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보다는 정부의 일방적이며 중복적인 지원사업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접경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자립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비접경 지역주민의 시각에서 보는 접경지역에 대한 견해 분석이 필요하며, 관광산업과 유네스코 등록을 통한 휴전국가의 천혜 자원 보호정책에 대하여 분석 후 경제적 자립화 및 관광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전략제시가 필요하다. 연구목적: 논문에서는 DMZ의 4개 권역 중 강원도에 위치한 고성, 인제, 양구, 화천, 철원과 그 이외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략적 지원정책에 대하여 문헌을 통하여 조사하며, 설문을 통하여 DMZ에 대한 견해와 관광산업으로의 연계·자립화 및 유네스코 등재에 대하여 조사 및 제언한다. 첫째로, 문헌연구에서는 기존 정책문헌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정부가 이제까지 추진해 온 DMZ 접경지역 지원사업의 종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둘째로, 설문조사에서는 오프라인 환경을 통한 접경 지역주민 정보수집과 온라인 환경을 통한 비접경 지역주민의 의견 수집 후 분석하며, 분야로는 DMZ에 대한 견해, 정부지원 사업분야, 관광산업 연계화, 유네스코 등의 자연경관 보전에 대한 견해를 대상으로 각각 분석한다. 연구결과: 군사분계선은 휴전이 성립된 시점의 전선을 분계선으로 한국전쟁을 치른 후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으로 1953년 7월 27일 성립되었다. DMZ 접경지역은 4개 권역인 서부해안 도서지역과 중서부내륙 평야지대, 중동부 산악지역과 동해안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논문에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DMZ 접경 지역에 대한 정부지원 사업과 관광활성화 사업 그리고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록에 대하여 정의한다. 기존에 추진해 온 DMZ 접경지역 지원사업을 살펴보면, 중복된 중앙정부의 무분별한 지원사업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중앙정부의 지원기관인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등에서는 균형발전 정책을 빌미로 중복적인 지원정책을 일삼았으며, 연계성 또한 배재한 사업 운영으로 일부 주민만의 중복수혜 및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비신뢰적 운영에 대한 허점을 보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 결과 접경지역 주민 및 비접경지역 주민 대부분이 DMZ를 과거의 아픈 과거보다는 미래를 위한 비전을 갖고 발전하자는 견해를 보였으며, 천혜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며 지역의 자립화 방안으로 연계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부지원 사업에 대하여는 일부 지역주민에게 주어진 혜택을 모두에게 균등하게 제공해 주기를 원하였으며, 유네스코 등록과 관련해서는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광산업과 연계하여야 한다는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효과: 남과 북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휴전국가로 66년 동안 유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DMZ 접경지역의 균형발전 및 자립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논문에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중복되지 않은 지원사업 전략 마련과 관광산업 및 농특산물 유통을 통한 접경 지역주민의 경제적 자립화에 대하여 제안한다.과거의 DMZ가 분노와 아픈 역사로 기억되었다면, 현재의 DMZ는 소통의 창(窓)과 생태보전의 보고(寶庫)로 발전대상이 되어야 함은 정부 및 DMZ 접경 지역주민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방향이라고 판단된다.따라서, DMZ를 상징화 및 관광자원으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과 수혜 대상의 접경지역 주민의 경제적 자립화의 연계화를 기대할 수 있다.

      • GLTSCR2 is involved in ribosome biogenesis

        이규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Glioma tumor suppressor candidate region gene 2 (GLTSCR2/PICT-1) is localized within the 1.4Mb tumor suppressive region of chromosome 19q, which is frequently altered in various human tumors. GLTSCR2 has been reported to regulate phosphorylation and stability of tumor suppressor gene PTEN by direct physical interaction. Recent studies show aberrations in GLTSCR2 expression in glioblastoma and neuroblastom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biological function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GLTSCR2. Here, we show that GLTSCR2 has a novel role in ribosome biogenesis of nucleolus. We founded that GLTSCR2 is primarily localized in the nucleoli and colocalized with nuceolar protein B23 and fibrillarin. Actinomycin D, rDNA transcription inhibitor, induced the translocation from nucleolus to nucleoplasm of GLTSCR2 and reduced protein level of GLTSCR2. Also UV, nucleolar stress, induced translocation of GLTSCR2 to nucleoplasm, but etoposide did not. Etoposide induced oligomerization of GLTSCR2 and decreased monomeric GLTSCR2. We showed that GLTSCR2 localization was dependent with RNA binding using ribonuclease treatment. In the cells overexpessing GLTSCR2, there were decreased rates of pre-rRNA synthesis and process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a novel role of GLTSCR2 in ribosome biogenesis

      • 陸机文學創作硏究 : 從理, 情, 辭三要素來考察

        李揆一 北京大學 2002 해외박사

        RANK : 1839

        This thesis aims to discuss Lu Ji' s literary works, using three concepts: "philosophy" (li), "emotions" (qing) and "rhetoric" (ci). It is commonly understood that literature in the Jian An period placed emphasis on emotions, Dong Jin period on philosohy and Xi Jin on rhetoric. This perspective is true, but overlooks the unique articulations of emotions and philosophy of literature in the Xi Jin period. With their academic roots in Xuan Xue and Confucianism, literati of this period replaced the idealistic realms reflected in Jian An works, with their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life. Xi Jin literature works sought language and structural breakthrough, achieving stylistics of elegance and intricacy. Lu Ji was a representative literati from this period. His contributions to the progress of Chinese literature lied in rhetoric, but the philosophy and emotions in his works were also reflections of the transitional phenomenon of the literatures from Jian An period to Nan Chao period. Lu Ji' s literary theory encompassed by "object/ meaning/ word" system proposed in "Wen Fu" was the fruit of hi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in literature. He believed that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object could only be enhanced through the attainment of the meditative state. In this meditative state, the essence of the object was grasped through "sympathetic" and "empathetic" means, which were important elements in Lu Ji' s works. His portrayal of objects was highly acclaimed for writing techniques. His expressions of emotions were peppered with stylistics of argumentative pieces. Critics on Lu Ji were varied throughout the dynasties. Lu Ji' s pieces expressing emotions, had very distinct philosophical tones, thematically focused on the pursuit of social status and the contemplation of life. On the whole, most of the pieces were too generalized and concept-loaded. His concept-driven approach to literary works had handicapped his expressions of emotions. This wa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expression via imagery" from Xuan Xue. Lu Ji' s emphasis on rhetoric, was the reason Zhong Rong traced Cao Zhi as the origin of Lu Ji's literary style. Lu Ji had illustrated the vast gap between ideas and their expression and had placed very pragmatic and specific guidelines on rhetorical aspects of literary works in "Wen Fu" . Lu Ji' s poetical explorations, with the focus on narrative, alliterations, structure and sculpting reflected his aesthetic inclinations for "order". His literary pieces basically were exemplification of his literary propositions in "Wen Fu". Keywords: Lu Ji Literature of the XiJin period philosophy emotion rhetoric [解題1] 陸機(261-303)는 西晉(265-316)시기의 대표작가이다. 그의 출신지역은 소설<삼국연의>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東吳이고 오나라 장수 육손의 친손자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①陸機는 오나라가 西晉에 의해 패망하면서 인질로 잡혀와 낙양에서 일생을 마쳤는데 그의 入洛시기와 배경, 그리고 낙양에서의 대우에 대해서는 학계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儒者로서의 진중한 성품과 학자적 경향이 강했던 陸機는 낙양의 북방호족들과 많은 마찰이 있었으며 이는 남북이 대치중이던 정치적 상황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남방의 天人感應論에 기초한 보수적 학풍과 북방의 玄學으로 대표되는 신흥학풍, 이 상이한 두 문화의 충돌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치적, 문화적 배경은 陸機의 문학창작에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가? ②陸機의 入洛은 西晉의 문인들에게 혁신적 반향을 가져왔다. 그는 곧 西晉의 문단을 주도하여 西晉 최고의 작가로 평가받게 되고 이러한 평가는 南朝까지 이어지게 된다. 齊梁시기 출간된 <文心雜龍>, <詩品>, <文選>등의 문학전문저작 및 선집에서는 陸機에 대해 曺植 謝을靈運을 연결하는 최고수준의 작가로 평가한다. 그러나 唐朝를 기점으로 陸機 문학에 대한 평가는 현저하게 낮아지고 詩話저작이 성행한 明淸에 와서는 그에 대한 평가가 극명하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인식은 현재의 문학사서술에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남아있어서 그를 南朝에 가장 영향력있던 시인의 한 사람으로 자리매김하면서도 그의 창작 실제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분량을 할애하지 않는 모순된 태도를 보인다. 도대체 그의 창작이 갖고 있는 핵심적 특징은 무엇이고 우리는 그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③중국시가는 魏晉시기로 접어들면서 창작의 주도권이 민간으로부터 문인계층으로 명확하게 전이되는데 魏晉에서 南朝까지의 중국詩史는 詩歌文人化의 현상이 더욱 공고해지는 시기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시기에 經典적 시인으로 추앙받던 曺植과 陸機, 이 두 사람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하여, 그리고 이 두 사람의 계승관계에 대해 심도깊은 분석이 필요하다. ④본 논문의 준비과정 중 수집된 자료에 의하면 陸機문학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그의 문예이론저작인 <文賦>에 집중되어있으며 최근 몇 년 간 대륙학자들을 중심으로 단편논문들이 발표되어 적지 않은 진전이 있었으나 개별적인 문제들로 논점이 분산되어 있다. 陸機의 문학창작을 주제로 하는 전문저작은 60년대말 홍콩과 대만에서 두 권이 출판된 바 있으며 그 이후로는 유일하게 南京大學에서 박사논문이 한 편 발표 된 적이 있다. 필자는 기왕의 연구성과들이 자료의 발굴과 분류, 정리에 충실을 기하여 진일보된 연구로 나가기 위한 충분한 조건이 되었다는 판단하에 陸機의 작품분석을 기초로 그의 思想, 思惟方式, 人格理想, 人生價値觀, 心理狀態 등 주관적 요인들을 결합하여 陸機의 문학 창작이 文學史 속에서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解題2] 문학비평의 영역 내부에서 理는 이념이나 사상, 情은 감정 , 辭는 기교와 형식적인 측면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한 개념들이 중국문학비평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청대 葉燮, 翁에方綱에 이르러서 인데 葉燮은 시의 창작객체를 理, 事, 情으로 구분했으며 翁方綱은 理의 범주를 ○理, 義理, 條理, 文理등으로 세분화하여 이해하였다. ① 본 논문이 理, 情, 辭의 개념으로 陸機문학을 분석하는 틀로 삼은 것은 建安-西晉-東晉의 문학발전의 추세가 각각 情, 辭, 理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이 삼요소가 魏晉詩歌의 발전을 개괄할 수 있는 핵심적 개념이며 陸機의 문학창작에서도 내재적인 축을 형성하고 있다고 파악했기 때문이다. ② 陸機와 理: 陸機는 天人感應의 漢儒學風을 숭상하는 家風의 영향하에서 성장하였고 이 는 그의 사유방식과 인생관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동시에 名理學을 기초로 하는 현학적 사고체계를 이론과 창작에서 보여준다. 논리와 규격을 중시하는 문풍은 그의 학자적 기질에 기인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그의 작품속에 내재된 理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③ 陸機와 情 : 陸機에 대한 평가가 반락한 가장 큰 이유는 陸機문학의 抒情性에 대한 인식의 변화이다. 陸機문학을 재평가함에 있어 시급한 것은 "陸情"의 객관적 실재에 대한 탐구이다. ④ 陸機와 辭: 陸機가 詩史의 흐름에 영향을 준 것은 문예의 순수미감을 발굴한 점과 창작기교를 발전시킨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더욱 주목해야할 사실은 陸機의 문예형식에 대한 다방면의 탐색과 실험이 최종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尙規矩"의 美學이라는 점이다. 詩歌文人化 현상에 대한 陸機문학의 역할은 이 점을 기초로 평가해야 한다. [내용요약] 南朝이래의 文學史家들은 建安-西晉-東晉의 문학발전의 흐름을 情(風骨)-辭(繫縟)-理(玄風)의 관점으로 서술해왔다. 이런 평론은 風格論 비평의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지만 魏晉詩歌의 발전방향을 이해하는데는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준다. 문학창작의 중점이 이런 순서로 전이되고 있음을 西晉문학연구에 적용한다면 西晉문학의 내부 에서도 理, 情, 辭의 요소들이 상호보완작용을 하며 여러 가지 독특한 현상들을 생산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西晉文人들은 대부분 매우 높은 수준의 학문과 문화소양을 구비하고 있으며 玄學과 儒學을 자신들의 학술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西晉文學의 특수성을 형성한다. 그들의 功名意識은 매우 강렬했지만 建安文人들과 같은 理想化된 精神境界가 결핍되었으며 이로 인해 玄學적 사고방식과 개인적 人生感懷를 결합시켜 생명주제 속에서 운명을 한탄하는 방식을 즐 겨 채용했던 것이다. 문학예술의 기교적 측면에서 보자면 그들은 언어적 , 구성적 형식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優雅함과 섬세함이 경비된 문풍을 형성했다. 이런 특징들은 玄風과 儒風 공존하던 西晉의 학술적 분위기와 문화생산의 주체인 文人들의 기질, 의식 등에 기인한다. 陸機는 西晉文學의 대표작가로 이런 특징들을 전형적으로 체현하고 있다. 그가 문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이 辭의 영역에 있다는 사실은 의심 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理, 情의 영역에서도 建安문학에서 南朝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현상들을 보여주는 점도 陸機문학이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陸機문학의 理는 먼저 <文賦>의 이론이 "物 - 意 - 文"의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점에서 두드러지게 표현된다. 그는 "物"을 완벽하게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虛靜"이라고 하는 고도의 주관적 심리상태를 통해서만이 "物"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物"이 "意"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虛靜"의 상태가 "物"을 접수하고 처리하는 방식은 "感物"과 "體物"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陸機문학의 매우 특수하고도 중요한 일면이다. 그에게 있어서 "感物"은 天道를 감지 하는 방식인데 이런 사유방식은 漢代儒家의 天人感應사상의 연속선상 에서 형성된 것이다. 陸機의 抒情문학에 天道에 종속되는 抒情自我형상이나 "感受의 槪念化", 혹은 格言化된 抒情方式등이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 陸機문학의 理는 사물 본질에 대한 탐구적 경향에서도 보여진다. 이는 "體物"의 특징을 통해 나타나는데 일군의 작품들은 주제 자체가 상당히 무겁고 진지하며 筆法 또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사물의 다면적 속성과 형태를 묘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그의 詠物賦가 첫구에 개념을 정의하고 연역적인 방법으로 묘술을 한다든가 주관적 요소의 개입을 최대한 피하고 객관모사와 반복열거를 주요 서술방식으로 하는 창작방법이다. 심지어 그의 일부분 抒情작품들도 論體文의 창 작방식을 채용하여 이성적이고 추론적인 인상을 준다. 본 논문은 역대 문인들의 陸機에 대한 평가가 심한 편차를 보이는 이유가 그의 抒情方式에 대한 이해의 정도에 달려있다고 본다. 陸機의 抒情문학은 매우 농후한 사변적 경향을 보여주는데 그 문학주제는 功名意識의 표현과 生命에 대한 감상에 집중되어 있다. 功名주제는 家族意識, 國家觀念, 人生選擇의 세가지 측면에서 주로 표현되고 生命주제는 天文, 流水, 途路, 이 세 종류의 意象을 통해 표현된다. 총체적으로 볼 때 대다수의 작품들이 개괄성과 관념성이 강하고 天道, 人道, 人生의 吉凶禍福등의 개념어를 통해 前途에 대한 불안감이나 우려의 심리를 표현한다. 陸機문학은 抒情性 자체를 소홀히 했던 것이 아니라 抒情方式에서 이념성을 더 중시했던 것이다. 여기서 陸機문학과 玄學의 관계를 찾을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들은 玄學의 "立象以盡意" 이론이 文學化된 것으로 보여지며 理의 요소와 情의 요소가 창작 속에서 교통하는 특징이기도 하다. 陸機문학은 辭의 영역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는데 鍾嶸의 <詩品>이 陸機문학의 원류를 曹植으로 규정한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본 논문은 두 시인의 계승관계를 "情兼雅怨"의 서정방식, 比興에서 警策으로 주제전달 방법의 전환, 文體의 세가지 측면으로 분석했다. <文賦>는 "文不逮意"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착상과 표현간의 거리를 어떻게 해결 할 것인지에 대해 매우 매우 실질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로 접근해 언어의 선택 , 警策, 裁斷(削減), 音律 등의 방면에서 매우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陸機는 시가창작의 중점을 "부서", "排偶", "構結", "雕刻"에 두고 五言詩의 신모델에 대한 다방면적인 모색을 하며 "尙規矩" 의 美學理想을 추구했다. <擬古詩>十二首는 古詩의 情理와 구성을 최대한 재현하려한 실험작으로 보인다. 이러한 창작실천들은 기본적으로 <文賦>의 이론을 실현한 것이며 文人詩가 정형화되어 가는 방향과 일치한다.

      • 공간단위에 따른 대중교통 접근성 비교 연구

        이규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Domestic public transport policy is moving forward to establish a transport policy fundamentally focused on the public. In order to ensure the right of movement for all people to enjoy the basic rights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government should make various efforts such as introduction of new transportation, measures for the traffic disadvantaged and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in vulnerable areas. However, prior to the various improvements, the analysis should be based on the quantified indicators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nd distinguished from the exact area. In the past, various studies have analyzed quantitative indicators to evaluate the most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by utilizing zone-based or individual-based of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One of the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alysis is how to set the spatial unit on subject analysis. In the case of analyzing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by using zone-based administrative units, advantages are utilization of various statistical values, time and cost reduction and reduction of calculation amount. On the other hand, unrealistic assumption of homogeneity in the space and error of analysis result can be considered as disadvantages. Likewise, individual-based units also have pros and cons. High reality reflectivity and high accuracy are the advantages. However, it will create burden of time and cost, and massive calculation amount. In this respect, comparisons of various spatial unit setting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Trad-off problem. Hence,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spatial units, two units are selected in this study: the unit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ich is the space mostly used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and the output unit, which is the space unit below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n the basis of these two spatial units, the standard deviation of travel time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in the spatial units are first calculated, and then compared by selecting Noonwoong, Eunpyeong, Songpa, and Gwanak as analysis areas. Also,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on each aspect of travel behavior and transport infrastructure was compared by utilizing GIS. 국내 대중교통정책은 사람중심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정책을 수립하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다. 대중교통 중심의 정책수립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누려야하는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신교통수단 도입, 대중교통 취약지역 개선, 교통약자를 위한 개선방안 도입 등의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다만, 다양한 개선사업에 앞서 반드시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정량화된 지표를 기반으로 분석이 진행되어야 하고 개선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식별되어야 한다. 과거 다양한 연구에서 대부분의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위한 정량화된 지표를 존(Zone)기반 또는 개별(Individual)기반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가 분석대상의 공간단위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이다. 존기반의 행정동 단위로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을 하게 될 경우 다양한 통계수치 활용, 시간 및 비용 절감, 계산량 감소 등의 장점이 있지만, 공간 내 동질적이라는 비현실적 가정, 분석결과의 오차 등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개별기반의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의 경우 높은 현실반영성, 높은 정확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시간 및 비용의 부담, 방대한 계산량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Trad-off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단위 설정에 대한 비교와 대중교통 접근성에 대한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단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비교대상을 교통부문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공간단위인 행정동 단위와 행정동 이하의 공간단위인 집계구 단위로 선정하였다. 두 가지의 공간단위를 기준으로 분석대상지역을 노원구, 은평구, 송파구, 관악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간단위 차이에 따른 통행시간 오차량 산출하고, 통행행태 측면과 교통인프라 측면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GIS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 소설교육의 요소와 방법 연구

        이규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1839

        A novel deals with our lives and has the form which is familiar to our recognition ability of outside information. If human beings need education in order to live as a human being,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provided as the easiest way for a learner to understand. To judge from the human traits, a novel taking the form of a story is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al method. Therefore, we can convert the educational contents to lead a decent life into a novel and what we need to comprehend the value of life conveyed by a novel is novel education. The history of discussion of the novel education is not that long. It was not until the mid-1980s that novel education became a research topic. For around ten years before 1997 when the 7th Curriculum started, the study of novel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such as the analysis on novel education and literary works in the textbooks, the study of novel learning model suggestion, the study of the methodology of novel education adopting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novel, the study of the essence of a novel.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7th Curriculum, the novel education underwent substantial chan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echnology, there were active studies of the methodology of the teaching process using media and a variety of approaches of thematics about the curriculum based upon pluralism were dominating. However,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twice since the 7th Curriculum and the objective of curriculum has been also modified, yet as for the study of novel education it was not discussed how the objective of education could be achieved when reading a novel. Thus, the study of the essence of literature education was definitely needed. In this thesis, recognizing the current problematic situation, I discussed how to read a novel accurately based on the research for the essence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thesis is on how to analyze the elements of novel education and conduct the instruction. There are largely two elements of novel education. One is the internal element of the novel and the other is the external element of the novel. I analyzed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novel into the three categories: ‘the formation of characters and conflict’, ‘the construction of a story and events’, ‘the discovery of the background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studied the external elements of novel education as the three categories: ‘the reenactment and comprehension of histor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elf and others.’ The premise of such novel education is self-directed learning. The internal element is the guidance of the teaching method through discovering learning and the external element is the proposal of the teaching method through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he core of this part is the grope for the role of the teacher for the successful self-directed learning. Novel education is focused on internalizing how the learner does literary activities actively, especially reads novels, and appreciate them. This study shows that we could achieve the subject objectives of literature in the present curriculum by understanding and internalizing the elements consisting of a novel. This study shows that we can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literature of the current curriculum through the way of reading a novel correctly. Based on this I look forward to becoming the foundation for the following studies, stabilizing in the process of the curriculum to be revis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and to study novel reading educational methods more minutely.

      • 지체장애인의 의료시설 접근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이규일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Many hospitals are not providing adequate facilities to the handicapped. This situation has been so neglected that even people with minor injuries are having trouble let alone the handicapped. But still too many hospitals are proving to be too much problematic for the handicapped resulting from obstacles such as no railways or car within the confinements of the hospital. Most of the people to come to the hospital are patients who come to be treated, and from those patients most are either temporarily or permanently handicapped, so we must come up with a plan which must ease these difficulties in trying to access the hospitals. This study mostly concentrates on the ease of access to the hospital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I will present an improvement plan which will deal with the issues of the facilities brought forth by my survey, This study was done 1) to analyze the current inefficiencies of OPD facilities and 2) to help improve the situation. A present survey was taken limited to the OPD facilities of twenty-two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 improvement plan which will deal with the safety and accessibility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for regular patients are as follows. 1) Outside the hospital we must construct a safe passage way which must have easy accessibility to the entrance and the parking lot. 2) Within the hospital we must rid of any unnecessary obstacles and widen the pathways through doors so that people on wheelchairs may easily pass through. We must especially focus on not segregating between regular patients. and handicapped patients in the waiting room and must construct the hallways like an alcove or with folding chairs so that both the patients and the handicapped may all move as on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here needs to an in-dept look into the facility manuals of OPD's for the handicapped because as of right now the Facility Installation Law is inefficient to the need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atients.

      • 체육교과 내용지식의 체계 : 게임의 형성과정과 교육내용 유형화 탐구

        이규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Recently, a tide of education was to provide a direction of integrative learning for understanding by concretely di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with a perspective of learning. Physical education researchers also provided the frame of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integrative learning in 7th revised curriculum in Korea. However, it had a limit that didn't provide a practical content that could teach in P.E. lessons. Specially, we had to be worthy of note on ball games(or ball sports) in perspective that ball games were the content to warrant that P.E. was the subject to aim at ?whole person education?. Ball games were the products that have been evolved in historical context. However, researchers in P.E. passed over these traits of ball games. Accordingly, we had to explore ball games as the history and the culture in order to teach them properly, and then, we had to be able to provide the frame work of content and instructional design to move toward an integ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explo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find out the concrete educational content to teach games properly for understanding as inquire into history of ball games, second, to classify the educational content of ball games in compliance with P.E. learning domain on the basis of the above inquiry, third, to provide a frame work of physical educational conten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ly, ball games have been evolved constantly in compliance with interaction between game rules, game ethos, and game play. Consequently, the educational content is classified as three domains such as game form, game play, and participational attitude. Examining concretely, first, game form is the content to demand to understand games. I provide it as 1) Comprehending the point of difference and sameness between games, 2) understanding the culture inhered in the games, 3) interpreting the whole context of game history. Second, game play is the domain in relation to play the game skillfully. For example, students have to learn by stages of the level of play, game, and sport in order to do it well. Third, in the domain of participational attitude is emphasized on that players regulated their game behavior in compliance with game ethos. Therefore, teaching the game properly means to teach all of three domains. Accordingly, the educational content of game needs to be classified with three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 performance, and attitude. Secondly, the result that classify the educational content of game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domain is related with game form, game culture, game history. Most of games can be classified formally by rules, that is, games are categorized in a point of sameness and difference of rules. In this domain, students learn to comprehend a formal trait of the game as learn the rules that categorize and classify games. Next, we have to focus on the cultural traits of a social class in the late sixteen and seventeen century(the late Middle Ages) that early game appeared. Games that appear in the era are classified with Football type, Tennis type, and Baseball type. The culture of Football type is constructed as 1) a combative masculine culture and 2) a spectating culture passionately, Tennis type was 1) an elegant manner culture and 2) mixed sports leisure culture, and Baseball type is 1) the culture enjoying the time and space at one's leisure and 2) American heroism and recordism. Last, students have to understand the whole context of game history and the evolutional process of ball&#985103;games. As a result, sports as leisure have gone through the evolutional process of combat sports, bloody sports, leisure sports, modern sports, and participational sports. I defined it as ?phylogenetic evolutional model?. Also, ball games which were originated from leisure sports became the modern sports as have been gone through the process of removal of violence, security of general competition, and pursuit of enjoyment. I defined it as ?ontogenesis evolutional model?. Second,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domain included foundational skills, basic skills, game skills, play skills in stages. At first, foundational skills are the forms of movement that construct a human movement, basic skills are the skills combined with individual forms of movement. Next, game skills are added the concept of objective in combined skills. The examples of the skills are to pass to a player at hand or far off in soccer game, to throw toward rim in basket ball game, to send shuttle cock to multi directions. Last, play skills are skills to include a tactical concept that is needed in game situation. Third, the content of the attitude domain includes game ethos to play a role to judge whether behaviors of themselves were proper or not in the game situation. And, first and foremost, there is focused on things in relation to emotion in this domain, because there is emotion behind human psychological background. Concretely, in this domain, students have to understand game ethos (example of, amateurism, fair play, teamwork for competition et. al.) and emotional system, and can apply practically in game situation. For that, the connected process that makes an attitude is provided as learning content. I indicated the process as the emotional regulation(an emotional induction, an emotional management) and the cognitive regulation(an emotional interpretation. a cognitive self&#985103;regulation). Thirdly, examining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game, at first, I suggested the frame of the understanding domain as a concentric circle in perspective that the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domain emerged such as comprehension of game form, understanding of game culture, and interpretation of game history. Next, I suggested the frame of the performance domain as a step by step shape such as foundational skills, basic skills, game skills, play skills. Finally, I suggested the frame of the attitude domain as a brickwork shape in perspective that a direction of regulation expanded from individual internal regulation to external regulation,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d from information in relation to emotion to information related with value, the focus on regulation converged from emotional regulation to cognitive regulation that include more careful contemplation process. Based on these structure and framework of the content, I suggested the alternative game curriculum program that included the objectives to attain in the game lessons, the instructional design to move toward an integrative learning. Finally, I suggested the subject matter that should be studied more deeply in relation to P.E. content research hereafter, such as content research for educating pre&#985103;teachers and instructional system of individual domains.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 인증부문을 중심으로

        이규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39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매우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사고 또는 질병으로 인해 후천적 장애인이 되는 경우도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모든 사람은 잠재적으로 장애인이 될 수 있으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신체적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자 및 장애인의 이동 및 접근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가 2008년부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으며, 해가 지남에 따라 인증 취득건수는 점차 증가하고 장애물 없는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제 인증을 취득한 건축물의 현황을 살펴보면 장애물의 제거라는 인증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평가점수만을 획득하기 위한 계획‧시공이 이루어지는 일부 사례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획득한 건축물을 대상으로 인증평가지표와 실제 인증을 받은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BF인증을 취득한 건축물의 심사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 인증의 전체적인 적용 수준을 파악한 후, BF인증 건축물의 세부적용사례를 분석하여 현 인증제도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BF 인증지표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지표 내용의 객관성이 부족하여 인증 심사시 심사단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는 항목은 지표의 정량화를 통해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바닥재 마찰계수와 충격의 흡수성 평가지표를 설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한 계측치를 제시하였다. 둘째, 인증신청자가 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인증 적용기준이 요구하는 기본 의도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고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하여 지표의 난이도를 높임으로써 통해 올바른 적용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비영구적이며 적정하지 않은 설치방법을 통해 인증지표가 요구하는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쉽게 점수를 획득하는 항목은, 해당 성능에 해당하는 평가등급보다 낮은 등급을 받도록 지표 등급을 하향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편의증진법상 설치의무가 없는 건물이 BF인증 평가를 받을 때에, 법적 의무 건축물에 비해 더 많은 인증 노력이 필요함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보상적인 측면을 고려하고, 인증 확대를 유도하기 위하여 지표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증 적용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표를 보완함으로써 인증 참여를 독려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편의증진법과 인증 평가지표 등급간의 구성체계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일부 항목의 경우 편의증진법과의 체계 및 BF수준을 고려하여 지표 등급을 조정하여 보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여섯째, 공중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을 평가하기 위한 현행 BF인증지표로 주거용도의 건축물을 심사하기에는 일부 항목에서 평가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동주택 등의 주거용도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지표를 신설하여 적용하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인증평가항목 배점 가중치의 중요도 조사를 통해 매개시설과 안내시설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인증 배점의 조정방향으로 제안하였으며, 인증 현장의 보편적 시설적용여부 및 타 항목 배점과의 상대적인 관계 등의 면밀한 검토 후에 향후 인증지표 관련 개정시 배점의 가중치와 관련하여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