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이후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4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was distributed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the Liaodong area.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belongs to the Dot Zone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Liaoning style and the Korean style.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area developed in the southern and eastern areas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千山山脈). Since assemblage such as tombs and bronze arms revealed separate characteristics in time and space, it is possible that this area designates the regional culture of the Yinjiachun Complex (尹家村類型) and the Jimingcheng Complex (上堡村類型). The Yinjiachun Complex revealed the aspect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it wa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material culture of Wiman Joseon (衛滿朝鮮).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with stones (積石木棺墓),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s (合口式甕棺墓), the Yinjiachun-style Slender Bronze Daggers (尹家村類銅劍) and pottery (尹家村式土器), and mounted dishes called dou (豆) also were main cultural elements. The Liaoning-type bronze arms identified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s Phase in eastern Liaodong (belonging to the Jimingcheng Complex)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Korean type of bronze arms. The Jimingcheng-style Slender Bronze Daggers (上堡村類銅劍), the Liaoning-type Bronze Halberd (遼寧式銅戈) and bronze spearheads (細形銅鉾類), and other objects identified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s Phase were principal cultural elements. Weapons that share various attributes are distributed throughout eastern Liaodong and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 These weapons include the bronze dagger, the bronze halberd, and the bronze spearhead. As a result, we can know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third century BCE did not terminate at the Cheongcheon River (淸川江). It must be the culture of late Gojoseon (古朝鮮). It is thought that the governor of Wiman Joseon showed political authority by using iron weapons and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In the material culture of Wiman Joseon, there are various culture elements, such as the Zhongyuan style of Yan China (燕) and Han China (漢), and the Xiongnu (匈奴) style, including the nativ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요동반도와 요동 동부지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는 여순 윤가촌 유적으로 대표되며, 적석목관묘형 묘제와 직인형의 윤가촌식동검, 파수부호와 두형토기 등의 유구․유물 복합체가 특징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윤가촌유형’이란 지역단위 문화유형으로 설정된다. 요동 동부지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적석시설이 부가된 석관묘나 대석개묘가 주된 묘제이고, 검신 하부가 불룩하거나 턱이 진 상보촌류동검, 요령식 동과, 세형동모류 등의 특징적인 청동무기류와 엽맥문 청동기 등이 부장되는 점이 특징이다. 서북한지역에는 요동 동부지역의 문화요소들이 먼저 확인된다. 특히 유사 형식의 청동무기가 일정한 분포정형을 나타내며, 동종동류의 청동유물이 확인되는 것이 주목된다. 이는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 후 기원전 3세기대의 문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이후에는 윤가촌유형의 요소들이 보이는데, 이를테면 완전한 직인형의 신송리식동검, 두형토기를 부장하는 적석목관묘, 파수부호를 사용하는 합구식 옹관묘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전국말~전한초의 위만집단과 관련된 요소들일 가능성이 있다. 위만조선 최고 지배층은 철제무기와 거마구로 정치적인 권위를 표현하였는데, 거기에는 燕系와 漢系의 전통이 섞여 있었으며, 이후 匈奴系 문물까지 수용하여 대외 교류의 정점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낙랑 초기 자료에는 위만조선의 물질문화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고조선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들은 주로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에 집중되어 왔다.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설을 고려하면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 요소들이 서북한지역에 출현하는 양상들이 주목된다. 또한 서북한지역에서 요동계와 한국계의 세형동검문화 요소들이 복합되며, 이와 함께 燕․秦․漢系 철기문화 요소들이 추가되는 것이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语言学理论在中国的研究现状与展望 -以配价理论、标记理论、认知理论为中心-

        이후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9 No.-

        There have been many influential research accomplishments in Chinese grammar both at home and abroad , quite a few of which have been made by scholars’ exposure to the language reality, their rigorous study style and great concentration on research, and many of which have been made by learning from and drawing on the oversea linguistic theories and approaches.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discipline requires everyone, in fact, everyone has such responsibility, to create new originative theories and approaches of language research analysis on the basis of taking Chinese for a major. This paper summarizes the developing survey and the research situation of Chinese Cognit ive Grammar,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research. The author thinks this kind of g rammar research has a very good prospect. This paper describes the valency theory markedness theory and congnitive theory of grammar as well as in China's development research, pointed out the problems and shortcomings,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고는 90년대 이후의 중국어법학계의 配价理论 标记理论 认知语法 등 중국어 어법이론 범주의 연구동향 및 연구성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어 어법이론연구는 80년대를시작으로 이전과는 달리 새로운 연구동향이 나타났고. 특히 90년도 중반부터는 서구의 언어학이론을 운용하여 중국어 고유의 어법체계를 확립하는데 주력하여 연구영역、연구이론 및연구방법 등 많은 부분에서 눈부시게 발전했으며, 상당한 수준의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다. 본고는 90년대 이후의 관련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 성과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 평가를하였고 동시에 연구 과제별로 나누어 좀 더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보여지는 몇 가지 특징적인 연구동향들을 정리、분석、평가하였으며 앞으로 좀 더 깊이 있게 연구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과제들을 제시함으로써 관련연구의 앞으로의 전망도 제시하였다이를 중국어 어법이론 연구 및 중국어 어법교학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후 요동지역의 문화변동과 그 의미

        이후석(Yi Huseok)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요동지역에는 요서계통의 물질문화가 요중지역으로 확산되는 기원전 7세기경부터 정가와자유형의 형성 기반이 마련된다. 이후 기원전 6~5세기경에는 요중지역을 중심으로 요서계통 비파형동검문화의 중심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문화변동은 결국 정가와자유형의 정착 과정으로 귀결된다. 기원전 4세기경에는 세형동검문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주변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화된다.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야에는 요서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대개 청동유물 등의 일부 청동유물만이 전이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토기문화까지 전이되며 다양하게 복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정가와자유형의 확산 과정은 요서 계통 물질문화의 기술-이념 요소들이 요동지역의 토착문화 속에 수용되어 다양하게 변형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정가와자유형은 비파형동검문화에 속한 1기문화와 세형동검문화 단계에 속한 2기문화로 구분된다. 1기문화는 요서계통 물질문화가 정착되는 정가와 자유형의 전형이며, 2기문화는 전국연계 물질문화 요소가 유입되고, 정가와자유형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시기이다. 처음에는 심양 일대의 정가와자 유적군이 거점이었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의 탑만촌-금가보 유적군이 거점으로 부상한다. 정가와자유형은 요중지역에서 북한 서부지역까지 교통로를 따라 확산되었는데, 지역별로 거점 유적군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사회 분화가 더욱 진척되어 연맹체적 정치체가 형성된다. 요동지역에서 이와 같은 문화변동을 주도했던 집단들은 고대 중국에도 전해져서 ‘조선’으로 인식됐을 가능성이 높다. Zhengjiawazi Assemblage is Liaoxi style’s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e center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formed at Liaozhong area, and In the phase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is further strengthened. Before the formation of Zhengjiawazi Assemblage, only some bronze artifacts, such as bronze daggers and its parts, were spread, but after that, pottery culture was passed down and combin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preading process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a process in which the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elements of Liaoxi style’s the material culture are accepted into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Liaodong area an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On the other hand, the remains are divided into the first culture (the phase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and the second culture (the phase of Slender Bronze Dagger). The first culture is a time when the Liaoxi style’s material culture is settled and the Zhengjiawazi Assemblage develop, and the second culture is a time when some elements of Yan’s material culture in the Warring State Period are introduced, and Zhengjiawazi Assemblage are variously transformed. At first, the Zhengjiawazi site group in the Shenyang district was the base, but later, the Tawanchun-Jinjiabao site group in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emerged as the base.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Liaozhong area of China to the western part of North Korea during its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base historical groups by region, the network was strengthen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was further advanced. As a result, a coalitional polity was formed in the Liaodong area.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of ancient China related to Go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of Gojoseon.

      • KCI등재

        中國 東北地域 細形銅劍文化 硏究 -遼寧式細形銅劍을 中心으로-

        이후 숭실사학회 2008 숭실사학 Vol.21 No.-

        중국 동북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세형동검들은 한반도지역에서 출토되는 한국식세형동검과 대비하여 요령식세형동검이라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요령식세형동검은 중국 하북지역으로부터 한반도의 서북한지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고, 세부형태 역시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요령식세형동검은 검신 하부 형태는 주형 속성을, 등대 마디 형태는 연마 속성을 각각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두 속성간의 조합관계를 통하여 다양한 형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령식세형동검의 형식은 다양하게 분류된다.요령식세형동검은 요서지역에서 등장하여 주변으로 파급되는 과정에서 지역별로 다양한 형식을 파생시키면서 변천한다. 크게 보아 ‘과목수영자식→양갑산식,대청산-길상둔식→조가보자-유가초식→마가자-상보촌-박보촌식,오현리-왕둔식’으로 변천하는 계열과 ‘고비점식→윤가촌식→신송리식’으로 변천하는 계열로 양분된다.중국 동북지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요령식세형동검의 형식변천과 공반유물의 전개양상에 따라 크게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기(초기:기원전 4c전엽~후엽)에는 요령식세형동검이 처음으로 요서지역에서 등장한다. 요서지역에서 과목수영자식이 등장하여 유행하였으나 비파형동검이 여전히 사용된다. 요서지역 유적에는 전국연계 유물의 비중이 높아진다.2기(전기:기원전 4c후말엽~기원전 3c전엽)에는 요령식세형동검의 지역별 분화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요서지역은 점차 분포범위에서 탈락하게 된다. 천산산맥 이동의 요동동부지역에서 엽맥문 청동기가 출현하였으며, 비슷한 시점에 길림중서지역에서 촉각식세형동검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양식의 세형동검이 등장한다. 전국연계 철기문화도 요동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3기(후기:기원전 3c중엽~기원전 2c전엽)에는 요령식세형동검의 형식이 몇몇으로 고정되고, 요동서부지역이 분포범위에서 탈락하는 대신 서북한지역에서 다양한 형식이 유행한다. 다양한 형태의 촉각식세형동검이 제작, 사용되며, 이와 함께 길림중서지역에는 다뉴성문경이, 요동동부지역에는 엽맥문 청동기가 유행하게 된다. 공반유물에서 전국연계 유물의 비중이 급증하고, 이와함께 연 이외에 조․제의 유물도 부장되며, 진․한초기 유물도 유입되기 시작한다.4기(말기:기원전 2c중엽~기원전 1c초엽)에는 요령식세형동검이 지역별로 쇠퇴, 소멸하게 된다. 요동지역은 분포범위에서 제외되나 촉각식철검이나 진․한대 동검의 영향속에 일부 세형동검문화의 자취가 확인되고 있다. 요령식세형동검과 그 문화요소들은 한대철기문화의 정착과 함께 동병철검 등으로 대체되며 점차 소멸되나 일부 요소는 동남한지역을 거쳐 일본지역으로 전해진다.중국 동북지역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전개에는 요령지역 및 그 이동지역에서 중국 군현이 확대 설치되는 역사적 맥락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요동군 설치기에는 군사적인 긴장관계로 인해 전국계 철기나 청동무기 등과 같은 전략물자가 철저하게 통제되어 토착집단의 무덤에서 부장되는 예가 많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되며, 토착집단은 나름의 교류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중원계통의 청동기문화 요소를 받아들여 촉각식세형동검이나 엽맥문 청동기 등과 같은 새로운 양식의 청동기를 제작․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요동군 재편기에는 燕의 정치적․군사적 필요와 토착집단의 경제적․사회적 욕구로 인해 양자간의 관계가 보다 타협적인 상황 혹은 통제력이 약화되는 상황으로 변화하게 되어 전국계 철기와 청동무기 등의 유통이 한층 활발해졌으며, 이후 진한교체기를 통한 유이민 파동을 거치면서 주변지역으로 더욱 널리 파급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토착집단에게 제작기술이 일부 습득되어 중원계 금속제품을 모방․번안한 청동제품이나 간단한 철기도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漢에 의한 요동군 재정립 무렵에는 토착집단 역시 뚜렷한 정치체로 문헌에 등장하고 있다. 武帝代의 漢과 匈奴의 역학관계 변화와 길림중서지역에서 ‘夫餘’, 요동동부지역에서 ‘句麗’, 서북한지역에서 ‘衛滿朝鮮’이 각각 성장하는 과정은 한대철기문화의 본격적인 수용 및 세형동검문화의 쇠퇴와 표리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여겨진다.이러한 맥락에서 요동지역과 길림지역이 철기문화단계로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세형동검문화가 지속된 사정을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요서지역에는 전국후기 이전부터 전국연의 문화적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 요동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그러한 차이가 비롯된 이유에 대해서는 戰國燕과 요서지역 재지계 토착집단과의 다양한 상호작용 혹은 타협적인 정치경제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시각도 요구된다.중국 동북지역 세형동검문화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물질문화의 지역성 혹은 다양성은 비파형동검 단계 청동기문화의 내재적 측면에서 기인한 바 있겠지만 그와 함께 세형동검 단계 燕․秦․漢 등의 중원세력과 중국 동북지역 재지계 토착집단 간에 변화된 역학관계 및 문화변동 속에서 찾아야 할 것으로 본다. 요령식세형동검의 등장과 전국연의 요령지역 진출 이후 지속되는 역사문화 변동은 새로운 유형의 교섭체계 혹은 교역체계를 구축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바 토착집단 간의 청동유물과 그 제작기술의 교류 네크워크 역시 이전과는 다른 국면에서 전개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for grasping the aspect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細形銅劍文化) focused on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the Northeastern Zone of China.Slender Bronze Daggers are classified two classes. One is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遼寧式細形銅劍), The other is the Korean-type Slender Bronze Dagger(韓國式細形銅劍).The Liaoning Type Slender Bronze Dagger is distributed from Hebei(河北) Area to the Korean Peninsula(韓半島).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s can be divided into six small unit-areas as follows.The Liaoxi(遼西) area:Kezuo-Choyang(喀左-朝陽) District of Dalinghe(大凌河) basin.The southern area of the Liaotung(遼東南端地域):Talien(大連) District of the southern coast of Liaotung Peninsula(遼東半島).The northern area of Liaotung(遼東北部地域):Shenyan-Benjie(瀋陽-本溪) District in the east area of the Liaohe(遼河) basin.The estern area of the Liaotung(遼東東部地域):Dandong-Tonghua(丹東-通化) District of the southern area of the Hunchiang(渾江) basin and the Amnokgang(鴨綠江) basin.The middle-western area of Zilin(吉林中西地域):Zilin-Changchun(吉林-長春) District of the east area of the East-Liaohe(東遼河) basin and the western area of the Sungari(松花江) basin.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西北韓地域):Pyeongyang(平壤) District of Daedong River(大同江) basin.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s were excavated with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s on their Back(多鈕粗文鏡), the Dong Zhou-type Bronze Dagger(東周式銅劍), the Zhongyuan-system Bronze Halberd(中原系銅戈), the Zhongyuan-system Bronze Spearhead(中原系銅鉾), the Bronze Axe, and so forth.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 and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s on their Back;especially Bronze Mirror of Star-shaped Geometric patterns(多鈕星文鏡) are symbolic artifact at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Northeastern Zone of China.In its early stages, the Slender Bronze Daggers were manufactured by making the body and haft of the dagger separately(劍柄別鑄) and then tanging them;this differed somewhat from the method used in China. But in its lately stages, that were manufactured by making the body and haft of the dagger together(劍柄一鑄). That is what is called ‘the Bronze Daggers with Bird-shaped Haft’(觸角式銅劍).In the early forth century B.C.,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 was formed in the Liaoxi Area, and then was diffused into the east area of the Liao-ho basin. In the late second century B.C., however, that disappeared gradually in the Northeastern Zone of China. In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exceptionally, it went on to the early first century B.C.. Thus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 was made use meaningfully about 300 years.Therefore,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which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 was the typical artifact was progressed, as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which The Korean-type Slender Bronze Dagger was the typical artifact at the Korean Peninsula.In this paper, I examined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Northeastern Zone of China and divided it into 4th phase. And I proved that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Northeastern Zone of China has been prevalent for long time with reflecting cultural diversity as the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 텍스트 구조 학습이 ADHD 초등학생의 설명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후,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텍스트 구조 학습이 ADHD 초등학생의 설명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 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DHD로 진단 받은 초등 6학년 남아이다. 연구는 2022년 3월~5월까지 2개월 간 사전검사, 기초선(A), 중재기(B), 재기초선(A’)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 단계에서 평균 5점으 로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중재 단계에서 평균 13.2점으로 약 8점 가량 상승하였으며 재기초선 단계에서 평균 11.5점으로 기초선 단계와 비교하여 약 7점 가량 상승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