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IMU 센서를 활용한 온실 기초 좌표 변동 추정

        황현정 ( Hyunjung Hwang ),박재성 ( Jaesung Park ),김동석 ( Dongseok Kim ),송지수 ( Jisu Song ),정은지 ( Eunji Jeong ),유석철 ( Seokcheol 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시설원예농업은 시장개방화 시대에 국제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토지절약형 농업으로, 첨단농업기술과 자본을 통해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육성이 가능한 미래성장 산업분야이다. 국내 시설원예농업은 일부 품목의 대규모 유리온실재배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비닐온실에 의한 소규모 시설농업으로, 원예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 현상으로 기상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원예특작시설의 피해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식품부는 폭설과 강풍으로 인한 시설 피해가 빈발함에 따라, 국가 및 농업인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재해 기준 고시를 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재해형 온실 기초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센서의 성능 검증과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정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실시간 온실 기초의 안정성 데이터 계측 및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여 온실 피해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농업 현장에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한 저비용 센서를 활용하고자 한다. IMU(관성 측정장치) 센서를 통해 회전 방향과 크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거쳐, 시간에 따른 드리프트 현상과 외부환경에서 들어오는 노이즈를 최소화한다. 시설농업과 같은 실내에서는 GPS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온실 기초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수치적분을 통해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 변동을 추적한다. 실내 실험을 통해 센서의 활용성을 검증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온실 기초의 안정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외부 기상 조건과 온실 기초 안정성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상관성을 도출하고, 기상청의 기상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온실의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하고자 한다.

      • 온실 기초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IMU 센서의 활용

        황현정 ( Hyunjung Hwang ),박재성 ( Jaesung Park ),김동석 ( Dongseok Kim ),조석훈 ( Sukhoon Cho ),송지수 ( Jisu Song ),정은지 ( Eunji J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시설 농업은 내부 환경 제어를 통해 외부 위험요소를 차단하고, 안정적으로 높은 품질의 작물을 생산하여 국내 농업 경쟁력에 이바지한다. 하지만 매년 기상재해로 인한 온실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 시설재배 면적과 농가 인구가 감소하고 재배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시설재배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가 더욱 요구된다. 농업 시설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실 기초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기초부분에서 보완된 내재해형 온실을 계획하여 온실 피해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재해형 온실을 위해 센서 선정 및 센서의 성능 검증,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장에서 인력을 통해 온실 기초의 안정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기는 어려우므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계측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 연구로써 다양한 기상현상을 실내에 재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무게가 가벼워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하지만 우수한 성능의 IMU(관성측정장치) 센서를 통해 회전 방향과 회전 크기, 변위 및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센서를 통해 수집된 동적 데이터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 변동을 추적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센서의 기본 특성 평가 및 실제 외부 환경에서 사용될 센서의 민감도 분석 등을 사전 조사하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추후 온실 구조물 기초에 본 센서를 부착하여 구조물의 실제 움직임을 빠르게 감지하고, 외부 기상 조건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관성을 도출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현정(Hwang, Hyunjung),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경로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 소재 전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329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각 변인과 진로결정수준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사회적 지지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또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명확하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나아가 자신의 진로문제에 대해 원활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진로지도 및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자아정체감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한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것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ence of any path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self-identity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status) by considering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retarial studi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Does self-identity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Does social support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the career decision level?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professors, lecturers and teaching assistants from colleges in the department of secretarial studies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329 responses were considered. First, self-identity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ut a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lf-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 서울시 창조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방안

        정병순(Byeongsun Jeong),황현정(Hyunjung Hwang) 서울연구원 2011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Vol.- No.-

        Emerging of creative economy is new growth power and based on job creation of the metropolitan economy. Seoul Economy needs to develop a new growth power, because IT industry that leads economy of Seoul is in maturing steps. Considering these trends, the Creative Industries are the key issue on developing economy and industries in Seoul.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policy surroundings and current situations of creative industries in Seoul and to find strategies for developing creative industries. For this study, we analyz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for identifying creative industries’ cluster. Also, we investigate business conditions and policy demands of creative companies. In these analyses, targets are main creative industries; movie & broadcasting, game, and mobile-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reaches policy issues on behalf of sustainable growth of creative industries in Seoul. ㆍCoping actively with the mega-trend around creative industry ㆍ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and activating to enter the overseas market ㆍBuilding industrial infrastructure for the ability reinforcement of small/medium sized contents companies ㆍFinding a new strategy genre and seeking sustainable growth ㆍReacting systematically in solving the specific current issues each genre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policy issues,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four strategies and support plans. ㆍBuilding infrastructure of creative industries:the investment activation, expanding production funds, training creative human resource and supporting recruitment ㆍInvigorating the technology and contents convergence:the strategic characterization of fusion-contents, promoting content development and supporting convergence-oriented research and technical development ㆍFostering mobile-contents industry as the new growth power:building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s to produce contents, reinforcing technical competitiveness, fostering technical development and establishing policy governance to perform the strategies ㆍImproving the industrial structure in movie & broadcasting and game industries:regional specialization, strengthening production capacity, improving the distribution system, and building cluster of creative industries

      • 농지 3차원 모델 구축 및 공간 정보 정확성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활용

        정은지 ( Eunji Jeong ),윤태양 ( Taeyang Yun ),황현정 ( Hyunjung Hwang ),최준석 ( Joonseok Choi ),박재성 ( Jaesung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최근 LiDAR센서, RGB-D 센서와 같은 공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비가 3D 모델 및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RGB 센서에서 얻은 2차원 영상을 3차원 모델로 변환하는 SfM 기법도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자료는 지점 정보뿐만 아니라 스케일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 지점별 자료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현장에서 직접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기반 3D 모델 분석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위치 및 스케일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정밀농업 구현을 위한 농지 정보 DB 구성에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농지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RGB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SfM 기법을 통해 3D 모델을 구성하였다. 구축된 3D 모델은 대상 지역의 기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준하여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통해 변환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위치정보 및 스케일 정보를 포함한 3D 모델은 동일 지역에서 저고도 UAV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3D 모델과 비교를 통해 위치 정확성 및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농경지 내 표토 입경 분류를 위한 영상 기반 딥러닝 모델 개발

        김동석 ( Dongseok Kim ),송지수 ( Jaesung Park ),황현정 ( Jisu Song ),배성규 ( Sunggyu Bae ),장성준 ( Seongjune Jang ),김주형 ( Juhyeong Kim ),박재성 ( Hyunjung Hwa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토성은 입도 분포에 따른 토양 구조, 밀도, 공극 등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기초적인 특성이다. 토양의 입경 크기에 따라 체 분류법과 비중계법을 통한 토성 분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상당량 이상의 현장 토양 시료가 필요하며, 정확한 토성 분류에 필요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몇 차례 반복적인 실험이 필요하기도 하다. 완전 건조된 토양 시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건조시간 및 분류 실험을 통해 소모되는 시간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농경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들을 이용해 토양 입자 크기별로 분류하여 실내 환경에서 소형 RGB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였다. 완전 건조 상태의 이미지와 일정 간격의 함수비 조건별로 촬영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Gray Scaling 및 HSV 색상값 등의 DIP기법과 딥러닝 기법을 통하여 토성의 입자 크기별 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 결과는 해당 농경지의 시료 채취 지점의 GPS 데이터와 결합하여 GIS 상에 맵핑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토성 분류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다수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는 토성 분류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GPS 정보와 결합한 GIS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농경지의 토성 정보를 일괄적으로 파악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해당 농경지의 토양의 함수비 및 EC, pH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추가적인 특성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표토 이미지를 통한 토양 입경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

        김동석 ( Dongseok Kim ),송지수 ( Jisu Song ),정은지 ( Eunji Jeong ),황현정 ( Hyunjung Hwang ),박재성 ( Jaesung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토성은 토양 내 입도 분포 정도에 따른 토양의 구조, 용적밀도, 공극률 등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다. 토양의 입경 크기에 따라 체 분류법과 비중계법을 통한 토성의 분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필요로 하는 시료의 양 및 완전 건조를 위한 시간, 반복적인 실험과정 등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표토의 영상 및 이미지에서 입경 별로 분류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정된 농경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들을 이용해 체 분류법을 통해 입경 크기별로 분리하여 실내 환경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및 이미지을 획득하였다. 완전 건조 상태의 입경 별로 촬영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Gray Scaling 및 edge detection 등의 DIP기법과 생성된 데이터셋에 대한 딥러닝 방법을 통하여 토양의 입경 별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토성 분류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다수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는 토성 분류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토성에 대한 정보 이외에 함수비, 용적밀도 등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모델 성능을 개선한다면 영상 기반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일괄적인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 농경지 토양 표면 거칠기 측정을 위한 무인항공기(UAV) 활용

        정은지 ( Eunji Jeong ),박재성 ( Jaesung Park ),김동석 ( Dongsuk Kim ),송지수 ( Jisu Song ),황현정 ( Hyunjung Hw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거친 토양 표면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물과 토양, 씨앗, 비료 등이 낭비되어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농기계 사용에 어려움을 주는 등 정밀농업 실현을 방해한다. 표면 거칠기가 높은 토양은 큰 입자를 가질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식물의 성장을 저해할뿐더러 토양 내 수분 배출이 원활치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토양 거칠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농지 전체의 거칠기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닌 일부 지점에서 측정한 거칠기를 바탕으로 나머지 농지 면적의 거칠기를 예측하는 측정법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UAV)를 통해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토양 표면 거칠기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상남도 밀양시 소재 농지의 40m 상공에서 4분 39초간 총 180장의 jpg 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을 취합하여 농지 일대의 *.pcd 형식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작하였으며, 이후 농지 부분의 조밀 점군만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Python과 3D 이미지 처리를 위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의 특정한 포인트를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 이내에서 가장 가까운 점 10개를 선정하여 z축 높낮이 차이를 비교하여 값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해당 연구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결과를 농지 위에 나타내어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지점의 거칠기 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하지 않고 최대한 모든 지점의 거칠기를 도출하는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측정된 토양 거칠기의 공간 정확도를 높이고 농지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