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관한 고찰

        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1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학논총 발간 20년 역사를 회고하며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대한 고찰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문분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학제간적인 연구 특성과 응용사회과학으로서 현장 실무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서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나, 동시에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에 맞춰서 패러다임을 변화하는 학문의 특성으로는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서학의 근간이 되는 심리학, 조직행동, 교육학, 관리, 정보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의 다양한 영역을 지식체별로 살펴보았고, 20년 동안 비서학이 산출한 연구결과를 이 지식체에 대입하여 기술하였다. 이 지식체를 통해서 비서학 연구가 수행되어온 것은 사실이지만, 다양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비서학에서도 나름의 독특한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 중에 있고, 비서학의 대표 이론을 발굴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출된 제안점은 ‘비서’와 ‘비서학’에 대한 연구자들간의 합의된 정의(定義, definition)가 필요하다는 것과 비서학의 이론적 결과가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향후 지식의 확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The study identified secretarial studies as having a relatively short life history, interdisciplinary, and strong tie with practice as an applied science. These characteristics partially contribute as a hindrance for Secretarial Science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could be leveraged to develop secretarial studies by changing its paradigm to meet societal needs. This study also revealed six bodies of knowledge of secretarial studies―psychology, organizational behavior, edu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and cases of applying their theories to secretarial studies. Although the bodies of knowledge have been the basis of Secretarial Science studies, secretarial studies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unique theories via various empirical research, and scholars should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representative theories in secretarial studies. In sum, this study suggested to draw agreed definitions of ’secretary’ and ’Secretarial Science’ among scholars and make more of an effort to disseminate knowledge and theories to the practice.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비서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

        백지연(Paek, Jeeyon),송민영(Song, Minyoung),심재권(Shim, Jae-Kwo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2

        사회의 패러다임이 바뀌면 교육 패러다임 역시 바뀌어야 하며 이는 단순히 교육내용이나 방법이 바뀌는 차원을 넘어서야 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 비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바람직한 미래사회의 비서직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중요역량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교과과정에 어떠한 변화나 개편이 필요할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우선 현직 재직자 대상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고, NCS 기반으로 현재 비서과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서과 교수 및 연구자, 조직의 실무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 1차 및 2차를 실시하고,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비서직의 인재상 및 미래사회 비서직에게 중요시되는 역량 10개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역량은 기존의 교과목인 〈서비스 마인드〉, 〈비즈니스 매너〉, 〈인간관계론〉,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경영학원론〉, 〈국제관계의 이해〉, 〈진로탐색〉, 〈창업과 취업〉, 〈일정 및 사무정보관리〉, 〈인사 및 총무관리〉, 〈비서실무〉, 〈비서학개론〉에서 현재 일부 배양하고 있거나 향후 추가로 배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새롭게 도입되어야 하는 교과목으로는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 또는 통계 분석〉, 정서지능이나 공감능력 등으로 배양할 수 있는 〈심리학〉교과, 그리고 새로운 기술 세계에 대한 이해를 위한 〈4차 산업혁명과 인간〉교과목이 제안되었다. Once the paradigm of society has changed, its education paradigm needs to be changed, which menas a large shift of another lever, not just a change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r delivery metho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jor competencies required for secretary jobs and determine what needs to be changed in the curriculum of secretary education to prepare for future needs toward secretary education. The imposed research methods were (1) brainstorming among current office professionals, (2) content analysis of the current curriculum of secretary department, (3) Delphi research methods among professors and researchers, and (4) survey among professionals including professors. These results identified a new definition of secretary and ten major competencies required for secretaries in the near future. They also identified 12 subjects among existing curriculum such as ‘Business Manner’, ‘Business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 and ‘Career Exploration’. The study also suggested four new subjects such as ‘Project Management’, ‘Data or Statistics Analysis’, a Psychological subject to learn empath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uman’.

      • KCI등재

        오피스매니저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백지연(Paek, Jeeyon),김민지(Kim, Minji),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3

        비서의 전문성 강화와 경력개발, 그리고 전문적인 관리 업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비서학 연구에서 비서의 경력경로상 최종단계에 있는 오피스매니저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피스매니저의 직무와 역량을 확인하고, 오피스매니저의 직무에서 교육과정에 우선 반영할 과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차 조사로 오피스매니저 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DACUM 직무분석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 8개의 책무와 113개의 과업, 오피스매니저에게 기대되는 역량(지식, 기술, 태도, 능력)을 도출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오피스매니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DACUM 결과물을 확인하고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조사하여 과업의 우선순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상대적 중요지수(Relative Importance Index) 개념을 적용하여 113개 과업을 중요도, 난이도, 빈도에 따라 각각 3개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과업의 중요도와 난이도가 모두 2등급 이상인 과업을 핵심과업으로 분류하여, 오피스매니저의 핵심과업은 총 48개가 도출되었다. 이 과업의 대부분은 크게 네 분야의 책무에서 나타났다. 자산관리업무, 각종 규정을 관리하는 정책관리업무, 인사업무, 행사관리업무가 중요하면서도 난이도가 높은 업무로 나타났다. 이 네 책무는 교육요구가 매우 높은 분야로 향후 오피스매니저의 양성과정이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a secretary’s job is expanding to managerial works and career development has been a major interest among secretaries, the role of the office manager, which is known as in the final stage of a professional secretary’s career path, needs to be clarified.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on office managers are limited. This study examined the tasks and competencies of office managers to prioritize them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office managers. In the first study, the DACUM job analysis workshop with five professional office managers was conducted. From the workshop, eight duties, 113 tasks, and the expected competencies of the office manager were identified. In the second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 office managers to confirm the DACUM results and rate the levels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asks. As a result of the second study, 113 task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through using the RII(relative importance index). Forty-eight core tasks, which were at least the upper two levels in terms of importance and difficulty, were identified. These core tasks came from four main duties: asset management, policy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vent management duties. These duties were identified as highly important and required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therefore,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educational needs with priority in office manager training.

      • KCI등재

        THE EFFECTS OF CROSS-CULTURAL MENTORING

        Paek Jee-Yon(백지연),Hong Se-Hee(홍세희)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이문화간 벤토링이 멘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5개의 멘토링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한국인 비서 멘티와 외국인 멘토의 이문화간 멘토링이 비서에게 미치는 유익과 도전요소를 파악하였다.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은 동문화간 멘토링과 이문화간 멘토링 모두 이점을 지니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멘토링을 통해 얻는 장점들 외에 이문화간 멘토링을 통해서 얻는 장점들에 대해 큰 만족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말하는 만족의 근거는 외국인과 친분을 쌓으면서 외국인의 시각으로 생각하게 되어 국제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다는 것, 도전적인 업무수행을 통해 직무만족도가 향상되고 경력의 폭이 넓어진다는 것, 언어실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외국인 상사를 보좌하고 있는 현직 비서들과 앞으로 외국인 상사를 모시게 될 예비 비서들은 이 논문의 연구결과에 나타난 이문화간 멘토링 사례들을 통해 외국인 상사와 한국인 비서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국제화된 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에게 외국인과의 멘토링 관계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 그 효능을 알릴 수 있으며, 앞으로의 이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oss-cultural mentoring on proteges. Based on twenty five mentoring cases, this study identifies and analyzed proteges' benefits and challenges from cross-cultural mentoring between Korean secretary proteges and non-Korean mentor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besides the common benefits obtained from both non-cross-cultural mentoring and cross-cultural mentoring, they experienced more satisfaction from being mentored by non-Koreans. Factors of satisfaction include: broadened perspective by thinking in the shoes of a different culture, being able to broaden their career by handling challenging projects, and increased foreign language skills. This study can aid current secretaries and secretaries in training to form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non-Korean bosses and to develop their cross-cultural sensitivity. This paper also contributes to mentoring research by broadening the scope of mentoring practice to meet the needs of the current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more psychosocial aspects including culture.

      • KCI등재

        미, 중, 일 3개국의 비서, 비서교육 및 비서학 연구현황에 대한 비교연구

        백지연(Paek Jeeyon),서리리(Xu Lili),조현정(Cho Hyun Jung),김혜원(Kim Hye Won) 한국비서학회 201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활발히 연구 교류를 시도했던 미국, 일본, 중국의 비서에 관한 포괄적인 비교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다양한 국가의 비서에 관한 연구수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비서학이 미국, 일본, 중국의 나라별 비서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 상황, 비서협회, 비서의 유형과 유형별 교육내용, 교육기관, 비서자격제도, 비서에 대한 연구학회 및 학술지 등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의 경우에는 비서의 유형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고 민간차원의 협회가 발달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근무하는 비서가 많으며 이에 따라 비서가 높은 사회적 위상을 차지하고 있고, 성, 도시 별로 다양한 학회와 협회가 존재하여 활발한 교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에는 미국과 비슷한 다양한 산업분야별 비서의 유형을 보이나, 일본 조직의 특성에 따른 그룹형태의 비서진이 특징적이었고, 일본비서학회가 일본비즈니스실무 학회로 전환하는 등의 비서직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적용이 이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미, 중, 일 3개국의 비서교육과 비서연구에 대한 현황을 비교 분석한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이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인 나라별 비서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research about secretaries in various countries through a preliminary comparative study on secretaries in the USA, Japan, and China. This study compared and researched each country's secretaries in general, the current status of secretaries, secretary associations, secretary education, secretary research associations, and research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US, types of secretaries are segmented and secretary association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private sector. However, in China, secretaries working for governments obtained a relatively high status, and various associations and scholarly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in urban and regional levels. Japanese secretaries show similar segments compared to those in the US; however, a group-form of secretaries is a feature of Japanese secretaries which is unique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addition, the Japanese Society of Secretary Studies changed its name to the Japan Society of Applied Business Studies in order to expand its boundari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s the first comparative study about foreign secretary education and secretary research, and it sugges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and more specific and in-depth studies about each country's secretary education.

      • KCI등재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이 비서의 경력변인에 미치는 영향

        송민영(Song, Minyoung),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환경의 복잡한 관계와 상호작용을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개인-환경 적합성과 경력변인과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비서직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상사 적합성과 경력몰입, 경력만족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분야의 비서를 제한 없이 무작위 표집법으로 추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62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몰입과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개인-상사 적합성은 경력만족과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비서직의 경우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과 직무에 적합도가 높아야 하며 경력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과 직무보다는 상사와의 적합도가 높아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서직을 대상으로 적합성 개념과 경력변인과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서의 채용이나 교육 및 인력운용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working environments. Although the person-environment fit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few studies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cience have examined. In this regard, this sutdy focuses on effects of secretaries’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based on an empirical analysis. For this, an an online survey of incumbent secretaries randomly extracted from various fields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162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e verified hypothesis,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person-job fit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commitment, and the person-supervisor fi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This implies a need to improve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person-job fit to enhance career commitment, and the person-supervisor fit to increase career satisfaction. The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hiring and training secretaries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tasks, and supervisors. Som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상사의 시각으로 본 우수 성과 비서의 역량 및 행동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홍진민(Hong, Jinmin),백지연(Paek, Jeeyon),이지연(Lee, Ji Yon)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2

        인공지능 로봇의 등장으로 인력 시장의 변화가 예측되는 시대다. 하루가 다르게 비서 모바일 앱과 관련 기기가 업그레이드되는 환경에서 비서직 역시 역량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비서직 역량 연구는 주로 비서의 시각에서 조사되었다면, 비서직 역량에 관한 요구를 연구하는 데 사용자인 상사의 시각에서 비서의 역량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가 인지하고 있는 우수한 성과를 내는 비서의 역량과 행동특성, 비서 평가 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 및 역량, 그리고 미래 비서직의 전망 및 비서의 기대역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는 15명의 상사들과 일 대 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비서들의 구체적인 업무 행동을 수집하기 위해 중요사건기술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로 국내 대기업 6명, 다국적 기업 5명, 그리고 특수펌 4명 총 15명의 상무급 이상 혹은 파트너 이상의 임원들로 구성하였으며, 각각 1시간 가량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주제분석법을 사용하여 답변들을 주제별로 카테고리화 및 코딩한 후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 성과 비서의 행동특성 26개가 도출되었고, 28개의 필요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비서의 평가에 있어서 상사가 고려하는 요소 및 역량을 도출하였다. 셋째, 기계가 못하는 사람 비서만의 업무 영역이 있고, 그 영역들은 우수 성과 비서의 행동특성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사의 시각에서 비서의 역량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상사의 구체적인 의견들을 바탕으로 우수한 비서의 행동을 기술함으로써 비서학 분야에서 사례들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직 비서들과 비서직을 준비하는 학생을 교육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on the competencies and the roles of a secretary, research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competencies that are recognized by a superior―who is served by a secretary―has been limited. Under this circumstance, it seemed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of a capable secretary from a superior’s perspective. He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suggest the competencie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capable secretary, the important factors in evaluating a secretary, the prospect of a secretary in the future, and the expected roles of a secretary from a superior’s perspective. To address the research topics, a qualitative study through a one-on-one interview with superiors was conducted.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5 executives who are managing directors or partners and above the company structure.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 following evidence. Firstly, 26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capable secretary were found with “proactively carry out tasks by identifying a superior’s needs without constant instructions” at the top of the list for most desirable competency. Secondly, “performance” w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evaluating a secretary,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hirdly, regarding the future prospect of a secretary, mos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human secretaries may decline as technologies replace some tasks of a human secretary. However, the participants also suggested that some tasks are non-replaceable since only the human secretary is capable of handling particular tasks. This present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that demonstrate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the secretaries’ competencies and the superior’s point-of-view of the secretary’s competencies, which hold significance in the rarity of its kind. Moreover, this research suggests practical significance for incumbent and would-be secretaries who need more training and education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비서직의 업무적 특성과 조직문화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보람(Seo Boram),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의 감정노동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행하였으며 업무적 특성과 감정노동, 조직문화와 감정노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업무적 특성과 조직문화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궁극적으로는 비서직의 감정노동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서직 종사자의 업무적 특성 중 업무의 돌발성, 상호의존성, 상황 대기 현상이 비서직의 감정노동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조직문화의 유형 중 집단적 문화와 합리적 문화가 비서직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의 돌발성, 상황대기 현상, 합리적 문화가 정의 영향력을 작용하고 집단적 문화는 음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의 감정노동의 원인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큰 의미를 가지며, 향후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한 다른 원인들을 분석하는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 culture and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via an Internet survey. No demographic- statistical limitations were applied for participants in order to have participant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ut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00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job diversification, job interdependence, and the standby-situation phenomenon out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secretaries were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and the control effects of the personalities of individuals, job diversification, the standby-situation phenomenon, and r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while group culture had negative effects. Job diversification had the highest effects while rational culture had the lowest effects. The personalities of individuals did not have control effects, but independently had sufficiently high effects on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 KCI등재

        창의성이 발현되는 비서 업무에 대한 질적 연구

        원윤정(Won, Yoonjeong),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창의성은 모든 조직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핵심역량이다. 상사의 지시대로만 움직이는 보조자 역할에서 벗어나 협력자 혹은 파트너로서의 역할까지 확대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비서에게 창의성이 필요함을 연구자들은 주장한다. 하지만,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수동적이고 전문적이지 않은 비서의 이미지와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업무가 주를 이루는 비서의 업무에서 과연 창의성은 필요한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인터뷰를 실시하여 어떤 비서 업무에서 창의성이 발현되는지 그리고 비서의 업무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2명의 현직 비서들을 인터뷰한 결과, 비서직에서 창의성은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었고, 창의성을 센스나 문제해결능력, 임기응변능력, 위기대처능력, 편리함과 효율성을 위한 업무개선능력,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업무 태도로 정의할 수 있었다. 또한, 창의성이 발현되는 업무 내용을 Kaufman과 Beghetto(2009)의 창의성의 4가지 수준과 연결하여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사소해 보이는 업무부터 상사의 긴급한 요구까지: 나 스스로 만족하는 미니 창의성(mini c), 둘째, 자료 및 문서 관리부터 출장 업무까지: 나와 남의 편리함,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작은 창의성(little c), 셋째, 이벤트/회의 기획 및 준비 업무부터 프로세스 개선 제안까지: 주도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전문 창의성(Pro C)이다. 본 연구는 비서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업무 내용에 대해 처음 살펴본 연구로, 추후 비서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와 비서직으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나 현직 비서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Creativity is core competency for all employees in an organization regardless of the occupation.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laim that creativity is also significant to secretaries in contemporary business environment as the role of secretaries is moving from assistant to co-worker or partner. However, people think that creativity has been known to be irrelevant to secretaries because they should perform their work given by the boss’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ontents of secretary’s work are manifested in creativity and what creativity is expressed in secretary’s work.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based on one and one 12 incumbent secretaries. As a result, all of participant agreed that creativity is needed in secretary’s work and was defined by sense, problem-solving skills, ability to cope with crisis, ability to improve work, active and leading attitude. In addition, there are three group of the contents of secretary’s work where creativity is appeared as follows; firstly, from small job duty to urgent needs of boss: mini creativity(mini c) satisfying myself; secondly, from data and document management to business trips: small creativity (little c) for the convenience of others and efficiency of work; and lastly, from event/meeting planning and management to suggestion for improve process: professional creativity (Pro c) working active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resource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pursue their career as a secretary or secretaries who are working at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