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M&A 관련 동향과 기업승계

        황현영(Hyun-Young Hwang)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4

        최근 M&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한 입법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M&A를 통한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관심도 높지만,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대형 M&A 거래들은 기업승계라는 관점에서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의 M&A 관련 동향을 살펴보고, 특별히 기업승계와 관련이 있다고 보여지는 19대 국회에 제출된 M&A 법안들을 검토하였다. 2014년 3월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M&A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후, 2014년 11월과 2015년 9월에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각각 발표한 우리나라의 M&A 동향을 살펴보면 M&A 거래 건수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국내 M&A의 주요 특징은, 신성장동력사업인 벤처 기업 등을 적극적으로 인수합병하기 보다는 그룹 내 계열사 간 구조조정 및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M&A가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그룹 내 계열사 간 M&A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지배주주를 비롯한 주주들의 지분율 및 기업지배구조가 달라지고 있고 앞으로도 달라질 가능성이 있어, 기업승계와 M&A를 연계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M&A의 수단과 목적이 다양하기 때문에, 제출된 법안도 다수의 법 영역에서 다양한 개정 내용을 담은 법안이 제출되었으나, 19대 국회에 제출된 M&A 법안을 그 개정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하나는 M&A 활성화라는 정책 방향에 맞춘 내용의 법안과 M&A 과정에서 특히 계열사 간 M&A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양자 모두 M&A를 통한 기업승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법안이므로 함께 살펴보되, 자산·영업·주식 양수도, 합병 및 분할 등 M&A 관련 쟁점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M&A의 동향 및 최근 논의되는 법안을 소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개별 쟁점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후속 연구로 미루도록 한다. Recently, the main issue of Corporation Act is “M&A”. After seven government departments issued a joint announcement of a plan to activate M&A, the following specific plans are currently being executed and as the result of media reports of major M&A cases done in last year and this year, M&A was drawn to the attention of people and relevant legislation was also activated. Apart from corporate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M&A, the most notable aspect of recent M&A by major corporations is that it is used for succeeding a corporation business. In this study, recent M&A trend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relevant bills proposed 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at seem to be particularly related to corporation business succession were reviewed. After government departments issued a joint announcement of the M&A activation plan in March 2014,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Fair Trade Commission published reports on M&A trends in South Korea in November 2014 and September 2015, respectively, according to which the number of cases and size of M&A are increasing. However, in South Korea, M&A is being increasingly used for restructuring subsidiaries within a group and reorganizing corporate governance, rather than for actively merging and acquiring venture enterprises. Active M&A between subsidiaries of the same corporate group changes the share of shareholders including the controlling stockholders and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therefore, investigate M&A in relation to business succession is needed. While bills including various amendments of different laws have been proposed, considered the diverse means and purposes of M&A, and the M&A bills proposed 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mendment : bills that its legislative purpose is based on the M&A activation policy and those that are focused on protecting interested parties related to M&A among subsidiaries. Both types of M&A were reviewed together because both can influence corporation business succession. In addition, the bills were examined in terms of assets, business, share transfer, merger, and division.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recent M&A trends and relevant bills, and specific analysis of individual issues will be investigat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제조물책임법 개정 논의에 따른 제조물책임보험의 개선방안 연구

        황현영(Hyunyoung Hwa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3 비교사법 Vol.20 No.2

        제조물책임법은 2002년 제정된 이후 12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개정없이 시행되고 있으나 자동차 대규모 리콜 등에도 불구하고 입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그 활용이 저조한 상태이다. 한편 제조물책임법 제정 당시에는 고려하지 않았던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농산물 등 신기술 내지 첨단 기술이 적용된 제조물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책임 문제도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법무부는 공정거래위원회와 공동으로 제조물책임법 개정작업에 착수하여 개정안을 마련하였고, 입법예고 등을 거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본 논문은 제조물책임법의 입법 배경과 그동안 국회에 제출된 개정안을 간략히 살펴보고, 제조물책임법의 개정 논의의 쟁점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물 개념의 확대, 결함의 개념 정비, 손해배상범위의 확대, 입증책임의 완화와 관련된 쟁점사항을 설명하고, 해외 입법례와 비교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제조물책임법이 개정된 후 소비자입장에서는 실효성 있게 구제 받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제조물책임으로 인해 과도한 비용을 지출하여 경영 위기에 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조물책임보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조물책임보험의 현황을 설명하고 제조물책임법의 개정논의 쟁점에 따른 제조물책임보험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fter being enacted in 2002, Product Liability Law has been enforced for 12 years until now without amendment, but it is inadequately utilized due to difficulty with proof despite large-scale recall of automobile, etc. Meanwhile, due to arrival of high technology products that were not considered at the time of enacting Product Liability Law,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biotechnology, there are issues concerning the liability of these products. Therefore, Ministry of Justice, in association with Fair Trade Commission, began to work on revision of Product Liability Law and is planning to submit it to the National Assembly after prior announcement of legislation. This study briefly looks at the background of Product Liability Law and the revised bills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so far, and discuss issues regarding amendment of Product Liability Law. Specifically, issues related to expansion of the concept of product, revision of the definition of defect, range of product liability, and moderation of burden of proof will be explained and will be examined in comparison with laws in other countries. After amendment of Product Liability Law, product liability insurance seems necessary because consumers should be effectively helped and companies avoid risking management crisis after paying excessive costs for product li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current status of product liability insurance will be explained, and ways to improve product liability insurance are suggested including limited mandatory insurance for product liability, revision of insurance rate system, and revision of dispute settlement body other than the court.

      • 발사대 고각장치의 진동해석에 관한 연구

        황현영(Hyun-Young Hwang),장성현(Sung-Hyun Jang),정우영(Woo-Young Jung),최영휴(Young-Hyu Choi) 한국생산제조학회 2009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

        This paper presents the vibration analysis of an mechanism for a Guided Weapon Launching System (GWLS). The elevation mechanism of GWLS experiences severe transient vibrations during its operation because of change of vertical load according to its elevation angle. For the vibration analysis in this paper, the elevation mechanism of the GWLS was mathematically modeled as a 2-D.O.F. lumped mass-spring-damper model which were derived by using Newton' 2nd law. Natural frequencies and modes of the system were analyzed theoretically. The transient vibrations of the system due to various elevation speed input curves of the mechanism were analyzed. Furthermore harmonic vibrations of the elevation mechanism were also computed due to the seismic displacement input to the slide of the mechanism.

      • KCI등재

        공익신탁 활성화를 위한 입법 · 정책적 과제

        황현영(Hwang, Hyun-Young) 한양법학회 2018 漢陽法學 Vol.29 No.2

        Charitable Trust Act was enacted on 18th of March 2014 and the Act was enforced since 19th of March in order to contribute to spreading donation and sharing culture by raising the public’s trust for charitable trust. Charitable trust is a trust which operates for the purpose of public services, and it must receive approval from the Minister of Justice. In the past 8 provisions related to charitable trust were provided in the Trust Act. However, in the Trust Act there were no specific criteria for setting up and managing charitable trust, so it has been pointed out continuously that current trust law does not correspond to the needs of the times like activating donation culture. For this reason a separate law was enacted. First of all Charitable Trust Act unifies the authority for administering and overseeing the charitable trust as Minister of Justice, and changed previous license system into an approval system. Also, it introduced system of public announcement and prepared several ways to improve transparency of charitable trust including requiring external audit for the charitable trust which amounts to the asset of more than 10 billion won. Until today, the number of charitable trusts that received approval from the Minister of Justice is 25 and among them there are 3 charitable trusts amounting to more than 10 billion won that is under the subject of external audit after the Charitable Trust Act was enacted. The problem is that among 25 charitable trusts that received approval, there are only 4 cases in which trust assets are actually delivered trust property to public services, and other charitable trusts only accumulate fund and don’t carry out the public services. Hereupon in this dissertation the problem of charitable trust policy was analyzed and suggested a legislative policy assignment to overcome. Firstly, regul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execution of charitable trust must be prepared. Sanctions must be prepared when an assignee of charitable trust does not administer or manage funds. Also, the ways have to be examined to relax regulation so that charitable trus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econdly, I suggest establishing a committee for public interest. In order to activate charitable trust and to oversee and administer the management of charitable trust properly, not only professional independent organization is needed, but also single regulatory authority is needed in order to obtain fairness of regulation in various public interest activities such as public service corporation, crowd funding and to reduce redundant regulations. Through these policy changes, I hope that the charitable trust can contribute to public service that meets the initial legislative purpose.

      • 구두 발표 : 구두발표(OA) - 농업환경 및 토양,수질 분야 ; 벼 논에서 양분생산력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려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보리의 합리적 혼파 비율 산정

        황현영 ( Hyun Young Hwang ),김필주 ( Pil Joo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The utilization of green manures as alternatives to reduce the use of mineral fertilizers is considered a good agricultural practice. Green manures, often known as cover crops, are plants which are grown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nutrient content of the soil. There are largely two types of green manure and legumes and non-legume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dopting mixtures between legumes and non-legumes can be an efficient tool to merge the advantages of the single species in the cover crop practice achieving both environmental and agronomic benefit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green manures which have different combination of leguminous and non-leguminous cover crop on rice productivity and environment, two cover crops, barley and hairy vetch, were seeded with different combination rates; barley100%, barley75%+hairy vetch25%, barley50%+hairy vetch50%, barley25%+hairy vetch75%, hairy vetch100%. And biomass productivities and nutrient values were evaluated during the fallow season. The whole biomass was incorporated as a green manure to substitute chemical fertilizers, and its application effects on rice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impact, in particular greenhouse gases emission, were evaluated in rice paddy soil during cultivation. Mixed seeding of barley and hairy vetch affected significantly increasing cover crop biomass productivity of green manure and natural nutrient supply. It turned out that mixed cover biomass of barely and hairy vetch was very effective as a substitute of chemical fertilizer on increasing rice productivity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However, its application as a green manure largely increased GHGs emission ca. 3 times higher than that in NPK treatment. Therefore, soil management which can reduce GHGs emission during rice cultivation should be introduced simultaneously under cover crop application

      • KCI등재

        주식병합과 소수주주축출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0. 11. 26 선고 2018다283315 판결 -

        황현영 ( Hwang Hyun-you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 상사판례연구 Vol.33 No.4

        주식의 병합이란 회사가 다수의 주식을 합하여 소수의 주식으로 만드는 행위로, 병합의 비율이나 단주의 처리방식에 따라 주주의 이해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주식병합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단주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단주의 처리과정에서 다수의 소수주주가 축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나, 적법성 판단기준에 대한 법리가 아직 확립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2020년 11월 26일에 선고된 자본금감소 무효에 대한 대법원 판례에서 주식병합과 관련하여 중요한 법리가 설시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당 사건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주식병합과 관련하여 이 판결에서 나타난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주식병합과 관련하여 4가지 중요한 판단을 내렸다. 먼저 주식병합이 자본금감소의 목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주식병합 목적의 자본금감소도 그 자체로 위법하지는 않다. 또한 주식병합의 결과로 소수주주 축출이 이루어졌다 할지라도 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주식병합이 이루어졌다면, 소수주식의 강제매수제도를 이용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그 자체로 위법하다고 보기 어렵다. 세 번째로 주주의 비율적 지위에 변동이 발생하지 않았고 달리 원고가 그가 가진 주식의 수에 따라 평등한 취급을 받지 못한 사정이 없는 한 이를 주주평등원칙의 위반으로 볼 수 없다. 네 번째로 주식병합을 통한 자본금감소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통한 회사의 단체법적 행위로, 최대주주 외 다른 주주들의 찬성에 의해서도 해당 주식병합의 정당성이 담보되어 권리 남용금지 위반으로 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법원 판결의 의미를 쟁점별로 검토하였고, 이 판결이 향후 주식병합 사건에서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서술하였다. The consolidation of shares is the act of a company combining multiple shares into a small number of shares, which may affect shareholders' interests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consolidation or the way the shares are handl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share consolidation, the more fractional shares are issued and a large number of minority shareholders may be squeezed out in dealing with fractional shares, but laws on the basis of legal judgment have yet to be established. However, in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on the invalidation of capital reduction on November 26, 2020, important legal theory in regards to the consolidation of shares were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acts of the case and the progress of the lawsuit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issues that arose in the ruling regarding the consolidation of shares.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made four important judgment regarding the consolidation of shares. First of all, since the consolidation of shares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 of reducing capital, the reduction of capital for the purpose of the consolidation is not illegal in itself. Also, even if squeeze-out was done as a result of consolidation of shares, if the consolidation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set out by law, it would not be considered illegal in itself though controlling shareholders' acquisition of all shares owned by minority shareholder was not used. Thirdly, the proportional status of shareholders has not changed, and unless the plaintiff has been treated equa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hares he has, it cannot be regarded as a violation of shareholder equality principles. Fourthly, capital reduction through consolidation of shares is the company's act of organizational rules through a special resolut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and the legitimacy of consolidation of shares is guaranteed by the approval of other shareholders apart from the largest shareholder, thus it cannot be regarded as a violation of Prohibiting Abuse of Right. In this paper the implications of these Supreme Court ruling were reviewed on an issue-by-issue basis, and it explained the impact of these rulings on future consolidation of shares cases.

      • KCI등재

        상장회사의 감사 · 감사위원회 관련 최근 쟁점 검토

        황현영(Hyun-Yeong Hwang)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2

        감사 · 감사위원회는 주식회사 기업지배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그래서 오랫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제도의 변화가 있어왔다. 2013년부터 상장회사의 감사 · 감사위원회제도가 다시 부각되기 시작하였는데, 최근 제기되는 쟁점들은 새롭게 등장한 것이 아니라 그동안 감사 · 감사위원회와 관련하여 여러 차례 문제가 제기되어 왔고 많은 연구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감사 · 감사위원회제도가 최근의 주요 이슈로 등장하였고, 이제는 논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안을 마련하여 입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고민 하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제도 및 실무 현황에 근거한 통계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상장회사의 감사 · 감사위원회 관련하여 본고에서 제기한 쟁점과 그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3 기업지배구조 상법 개정안과 관련하여 감사 · 감사위원회에 대한 자산규모별 의무를 삭제하고 자발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되, 감사를 선택할 경우 상근감사를 설치하도록 하고 감사위원회를 선택할 경우 개정안과 같이 집행임원을 의무화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감사의 독립성 보장 및 3% 의결권 제한을 규정한 상법의 입법취지에 부합한 제도로 운영하기 위해 감사위원의 분리선출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둘째, 2014 섀도우보팅폐지유예와 관련하여 합산 3% 의결권을 단순 3%로 완화하되, 주주총회 공시에 대한 제도를 보완하여 의결권 제한규정을 제대로 준수했는지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한다. 또한 현행 정족수 규정의 입법오류를 바로잡고, 전자투표도 도입하고 모든 주주에게 위임장 권유를 한 회사의 경우, 3%의 의결권 제한을 받는 감사?감사위원 선임시에만 한정하여 출석주주 기준으로만 정족수를 산정하는 것을 대안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2014 준법지원의 확대적용과 관련하여 감사 · 감사위원회와 준법지원인의 기능이 중복되지 않고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법무부 · 금융위 등 관계부처와 거래소 · 상장회사협의회와 같은 유관기관 실무진들이 TF를 구성하고 실제 기업의 감사 · 감사위원 · 준법지원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모범기준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 In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f corporations with management separated from ownership, the role of audit supervising the execution of opera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and independence of the functions of audit, there have been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several times. After simply reviewing the history of the audit committee system introduced to the Commercial Act and the Securities & Exchange Act after IMF, and the audit system introduced to the Commercial Act legislated in 1962, and also examining the recent issues related to the audit and audit committee, this paper suggested the legislative alternatives. First, it reviewed the obligation of the executives of execution and separate election of the audit committee defined in the Commercial Act Amendment of corporate governance which was pre-announc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13 and moved by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Woo, Yun Geun. As the abolition of shadow-voting was temporarily postponed, second, the matter of quorum in case when electing auditors and audit committee was suggested. Thus, the easing of quorum rules and added-up 3% rule was suggested. Lastly, the role allocation of auditors, audit committee and compliance officers was examined as the range of corporate that should compulsorily have compliance officers was expanded in 2014.

      • KCI등재

        회사의 조직재편시 공정한 주식가치평가에 대한 제언

        황현영 ( Hyun Young Hwang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1

        상법에서 ‘공정한 가액’은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시 매수가격의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지배주주가 소수주주를 회사에서 축출하기 위하여 매수청구를 할 때 지급할 금액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회사의 조직재편시 주식가치가 공정하게 평가되는가 여부가 회사법에서도 중요하고 특히 주주들의 권리와 관련해서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 상법에서는 이에 대해 “회사의 재산상태와 그 밖의 사정을 고려한 공정한 가액”이라는 추상적인 규정만을 두고 있어, 공정한 가액을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물론 세법과 자본시장법에서 주식가치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각 법률이 추구하는 목적이 다르고 상법에서 공정한 가액이 논의되는 사안은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행사시와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행사시에 한정되므로 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주식가치평가방법과 관련하여 시장가치평가법, 델라웨어 가중평균법, 현금흐 름할인법 등이 주로 논의되고, 각 국마다 어느 하나를 채택하고 있기 보다는 상황에 따라 다른 것을 채택하는 판결을 내리고 있다. 주식의 가치평가방법은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지고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산정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법에서는 이에 대해 회사의 시장가치, 자산가치, 수익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정한 가액으로 산정하라는 기본적인 원칙을 정하고, 개별 사안에서 어떻게 가중치를 두어 산정할지는 법원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구체적 타당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조직재편이라는 특수상황에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므로 공정한 가격이 되기 위해서는 시장가치를 유일한 평가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되고, 시장가치를 제한적으로 반영하되 소수파 할인은 배제할 필요가 있다. 주식가치평가를 하는 기준일은 조직재편에 대한 이사회 결의일 이전으로 하고, 가격산정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회사가 제공하도록 의무화 하는 방안을 입법론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재편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는 유형별로 나누어 반영하여야 공정한 가액이 될 것이다. Stock value evaluation is the key in a stockholder`s appraisal right. However it is not easy to decide how to do it specifically either from the business administration perspective or legal perspective. The US where relatively more experiences and knowhow on stock pricing are accumulated, has archived vast amount of relevant rulings on stock value change by the execution of appraisal right by stockholders and pricing methods also keep changing. Company law books of each US state have exceptionally long phrases on stockholders` appraisal right, reflecting such extensive knowledge. Korea`s commercial law, however, has only abstract description stock pricing as the fair value set in consideration of a company` financial status and other situations. Of course the tax law and the capital market act provide further provisions but their legal purposes are different from the commercial act. The scope of fair value dealt with by the commercial law is limited to cases when a dissident shareholder`s appraisal right execution and a dominant shareholder`s selling claims right execution. So we can expect problems in applying those as they are.. Concerning stock value evaluation method, mostly discussed methods are Market Value Method, Delaware Weighted Average Method, and Discounted Cash Flow. Countries have ruled to use one of them depending upon situations rather than using only single method consistently. Korea usually relies on the Market Value Method for listed stocks and non-listed stocks. However, as for non-listed stocks, Korea sometimes use Weighted Average Method when it seems difficult that market value alone can lead to a fair value. When stockholders invest in companies and maintain their status as a company stock owner, they would hardly make a decision based solely on a firm`s market value. They would also consider a firm`s existing net asset value and anticipated future earning value in a comprehensive manner. Therefore, in order to assess a proper stock value required when stockholders have to sell their shares and give up their status because of corporate merger and others, and when stockholders are forced out of the firm because of a dominating holder`s sell claim right execution, many diverse factors shareholders consider should be factored in to value calculation. Stock pricing methods, however, keep being changing and improved and are subject to specific details of a case. In this sense, laws and regulations are desired to set a basic principle of evaluating stock price based on diverse factors such as company market value, net asset value, potential earnings value, etc. and build up specific details through rulings for each different case. And fair stock pricing will be made when synergistic effects, discount, etc. are also reflected together in setting a more specific price.

      • KCI등재

        외식산업 내 디저트 브랜드 마케팅 성공 전략에 관한 연구

        황현영(Hwang, Hyun-Young),김보영(Kim, Bo-Young) 韓國商品學會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6

        최근 다양화, 전문화된 서비스와 브랜드 중심의 소비패턴이 외식산업 내 새로운 변화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문성을 갖춘 디저트 브랜드들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디저트 비즈니스 기업들은 문화콘텐츠로서 가치소비의 대상으로 재정의되는 시장 환경에 발맞춰 프리미엄 전략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메뉴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고품질을 추구함으로써 전문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브랜드 마케팅 전략들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변화된 디저트 산업이나 비즈니스에 대한 연구와 학문적 고찰이 부족한 상황이며, 세계적인 디저트 회사들의 성공적인 브랜드 경영과 감성 마케팅 성공 전략 역시 공유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산업 내 디저트 산업의 현황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저트 브랜드들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그들의 독창적이고 감성적인 마케팅 전략 성공요인과 기법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성공한 디저트 브랜드들은 디저트를 식품이 아닌 문화상품으로 재정의하였고, 맛을 넘어 감성 경험 제공을 통해 문화 소비의 대상으로 디저트 브랜드를 재포지셔닝하고, 독창적인 마케팅 기법들을 도입했다는 전략적 공통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들은 디저트 기업 들은 물론 외식 산업 내 다양한 기업들의 마케팅 강화를 위한 새로운 시사점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of the brand marketing strategies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with cases of super premium dessert brands which led to the successful global dessert business and food service industry. Pine and Gilmore(1998) describe the experience economy, as a next economy following the agrarian economy, the industrial economy and the most recent service economy. Furthermore severe competitiveness and thus sale are phenomenon many of food services are suffering nowadays. Authors believe that as one of food service marketing strategies dessert brand shops could raise competitiveness through a brand identity strategy and servicemarketing strategy. These changes are driving the emergence of the high-quality dissert brand and shops with unique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build proper brandmarketing strategy for dessert brands, one arguably should knowfirst relations among factors consisting of brand equity and service marketing mix. To support it this paper analyzed three global dessert brands have created the successful brand identity and brandmarketing strategies. The cases finally shows the service brandmarketing strategic process andmethod, and discusses the success factors like cultural contents, premiumbrand, high-quality product, customer communication, unique visual identity.

      • KCI등재

        대표이사의 위법한 주식처분행위에 대한 주주대표소송의 쟁점 - 대법원 2021. 7. 15. 선고 2018다298744 판결 -

        황현영 ( Hwang¸ Hyunyou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1 상사판례연구 Vol.34 No.3

        상법에서는 이사의 위법ㆍ부당한 행위에 대하여 회사가 책임을 추궁하지 않을 경우 주주가 회사를 대신하여 이사의 책임을 추궁할 수 있도록 하는 주주대표소송을 인정하고 있고, 실제로는 이사의 위법행위를 원인으로 하는 대표소송이 대부분이다. 문제는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회사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대표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해 회사 외부에 있는 주주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더욱이 자본금 10억 원 미만의 소규모 회사로 이사를 1-2명 두고 있는 회사의 경우에는 이사회도 존재하지 않아서, 대표이사의 행위에 대해 정확히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해 대표이사의 위법행위로 회사에 손해를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대략적으로 파악한 주주가 대표이사를 상대로 책임을 추궁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주주는 소를 제기하기 전에 먼저 회사에 대하여 소의 제기를 청구해야 하는데, 제소청구서에 위법한 대표이사의 행위에 대해 어느 정도로 자세하게 기술해야 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즉, 회사가 주주의 제소청구를 받고도 이사의 책임을 추궁하지 않는다면 주주가 직접 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데(상법 제403조 제3항), 대표소송의 진행 과정에서 대표이사의 행위가 구체적으로 드러났을 때 제소청구서에 기재하지 않은 책임을 추궁할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다음으로 이사의 법령위반행위에 대하여 책임추궁을 하기 위한 판단기준이 문제된다. 마지막으로 주주가 처음 청구한 청구 원인과 이후에 추가한 청구 원인이 있을 때, 법원이 이를 어떻게 정리하여 판단할 것인가도 문제된다. 그런데 2021년 7월 15일에 선고된 주주대표소송 사건에서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나타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제소청구서에 기재되지 않은 청구원인의 인정여부, 자본금 감소절차를 거치지 않은 주식소각에 대한 대표이사의 책임, 주주대표소송에서 선택적 병합과 지연손해금에 대한 판단을 살펴보았다. 대상 판결을 통해 주주 입장에서는 향후 대표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는 주주가 이사의 책임을 추궁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고, 재판 실무에서도 주주대표소송 진행시 어떠한 기준을 통해 제소청구서의 적법성과 상법 제399조에 따른 책임추궁 여부를 판단할 것인지 뿐 아니라 주문 작성 및 지연손해금 판단에 대한 지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mmercial law recognizes derivative suit by shareholders, which allows filing a lawsuit against directors to compel them to perform their obligations, and in fact most of the cases are ‘derivative suits’ that view directors’ illegal act as the cause. The problem is because of information asymmetry it is difficult for shareholders outside the company to accurately identify the illegal act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 within the company.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small company with a capital less than 1 billion won with 1-2 directors, even a board of directors does not exist, making it hard to identify exactly the CEO’s conduct. As a result, shareholders, who have roughly understood that the CEO's illegal act is causing damage to the company,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questioning the CEO for responsibility. Before shareholder files complaints firstly shareholder may claim that the company files a lawsuit against directors, and this claim under the preceding paragraph shall be made in document. However, it may be questionable how much detail should be written in the Pre-suit Demand document about the conduct of an illegal representative director. Also, if the company does not question the responsibility of the director even after receiving the claim from the shareholder, the shareholder may file a derivative suit,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responsibility that is not stated in the claim can be questioned when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conduct is specifically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derivative suit. Finally, when there is a claim first done by shareholders and a claim later added, it is also questionable how the court will arrange and judge it. The court's judgment on these issues is shown in the derivative suit by shareholders, which was sentenced on July 15, 2021. This case was the case of a family enterprise, and the case in which shareholders questioned the responsibility of the directors for the act of acquiring the shares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 by the company. This case includes judgment on the specificity of the claim in the derivative suit by the shareholders, judgment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 who made the retirement of shares without the process of reduction of capital, and the court judgment on the selective consolidation of claims and damages for delay in the derivative suit. Through these cases shareholders, who are unable to know the exact information about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illegal act, can get the implication about what to do to question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responsibilit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