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스 빅데이터로 분석한 트럼프-시진핑 시대의 미중관계

        황태연(Hwang, Taeyeon),김태종(Kim, Taejo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21 정치정보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등장 이후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해 한국 언론 보도에서 나타나는 미중 간 갈등의 주요 쟁점 및 갈등 상황의 변화, 그리고 그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여, 향후 양국갈등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 시기(2016년 2월 1일)부터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한 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바이든 차기 대통령 당선자에게 공식 축하인사를 전한 날(11월 13일)까지 빅카인즈(BigKinds) 홈페이지에 나오는 주요 언론매체 총 13개에서 보도된 5,654건의 뉴스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주요 시점을 기준으로 4개 시기로 구분하고 키워드 분포를 바탕으로 ‘의제(토픽)’를 분석하면 제1기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전까지 ‘트럼프 등장과 미중관계의 갈등 요소 증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2기는 2017년 1월 20일(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부터 2018년 3월 10일(중국 시진핑 주석 집권 2기 시작 전)까지 북핵・사드 등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경쟁 심화’로 역내 외교・안보 현안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제3기는 미국 내에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하기 전까지로 ‘무역전쟁 심화 및 전방위적 갈등 요소 확산’ 시기라 할 수 있다. 마지막 제4기는 2020년 1월 20일(미국 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부터 2020년 11월 13일(중국이 미국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에게 공식적으로 축하 메시지 전함)까지로 ‘코로나19 확산 및 전략적 경쟁’의 특징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미중 갈등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북핵・사드 문제를 시작으로 무역분쟁으로 심화되었으며 다방면의 복합적 갈등으로 발전하여 코로나19 위기를 맞아 첨예한 전략적 패권경쟁이 가시화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issues,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shown in Korean media, and seeks policy alternatives by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future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utilizes big data from news articles during the U.S.-China conflict from the Republican presidential nomination of Trump (February 1, 2016) to the day when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officially congratulated Biden on his win in the 2020 U.S. presidential election. To this end, 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5,654 news articles from a total of 13 major media outlets on the BigKinds websit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the main point of time, and "topic" is analyze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keywords. The first term can be characterized to be a time of " Trump"s emergence and conflict escal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before the inauguration of Trump. From January 20, 2017 (the inauguration of Trump) to March 10, 2018, major conflicts occurred in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during the period of "intensifying competi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THAAD. The third term is until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the United States, which can be said to be a period of "deepening trade wars and spreading all-round conflict." The fourth term is characterized by “the spread of COVID-19 and strategic competition" from January 20, 2020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the United States) to November 13, 2020 (China officially celebrated the election of Biden). As a result, the U.S.-China conflict began with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THAAD issu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tensified trade disputes, and developed into a multi-faceted complex conflict, making hegemony competition visible in the face of the COVID-19 crisis.

      • KCI우수등재

        부패방지 전략의 집합행동 문제 - 청탁금지법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황태연 ( Taeyeon Hwang ),이명석 ( Myungsuk Lee ),조민효 ( Minhyo Cho ) 한국정책학회 2018 韓國政策學會報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시행된 소위 청탁금지법의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청탁금지법의 시행이 공무원 부패 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청탁금지법 시행 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공무원 부패 중에서도 특히 수뢰 행위에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공무원의 부패가 집합행동의 문제로 이해될 수 있고 수뢰 결정 과정이 전략적 상황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참여자가 존재하는 n인 게임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합리적 선택 이론으로서 게임 모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분석적 서술(analytic narratives)방법을 모형화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뇌물 거절에 수반되는 비용 대비 편익의 비율인 r의 크기와 공무원 한 명의 청렴함으로 인한 경제적 효율성 증가분(E), 수뢰액(B), 처벌강도(F), 처벌확률(p)은 각각 양, 부, 양, 양의 관계를 갖는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SGA) which was enforced in Korea since 2016. To provide a realistic analysis on whether the ISGA would effectively prevent public servants from committing corruption, we compared how the incentive structure of accepting a bribe changes prior to and after enforcement. However, in contrast to most extant studies, we modelled the situation using N-person game theory since corruption of public officials can be understood as a problem of collective ac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should incorporate how an individual's strategic situation changes relative to others' choices. We also used the analytic narratives method to overcome limitations inherent in game theory models as actual human behavior is not always consistent with rational choice theory. Results from the analyses indicate that the effectiveness of ISGA increases with the magnitude of the benefit-to-cost ratio (r) of rejecting a bribe, with the intensity of punishment (F), and with the probability of punishment (p), while it decreases with the amount of economic efficiency (E) gained by an individual public servant's integrity.

      • KCI등재

        중국 국가감찰위원회 신설과 특징: 권위주의적 통제강화와 법·제도화의 딜레마

        黃泰淵 ( Hwang Taeyeon ) 현대중국학회 2020 現代中國硏究 Vol.22 No.3

        중국은 2018년 3월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를 개최하고 「중화인민공화국헌법 수정안」을 심의 통과시켰다. 헌법 수정안을 통해 가장 주목받은 부분은 ‘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 사상’의 삽입과 국가주석 및 부주석의 연임제한을 명시한 조항을 삭제한 것이다. 이와 함께 중요하게 평가된 것은 ‘국가감찰위원회(國家監察委員會)’의 신설 및 ‘중화인민공화국 감찰법’의 제정이었다. 이를 통해 시진핑 집권 2기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권위주의와 일인체제 강화라는 측면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새로 설립된 감독감찰기제로서의 국가감찰위원회의 특징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국가감찰위원회의 신설 목적은 표면적으로 반부패 사업에 대한 법치의 보장을 통해 국가감찰체계를 제도화하여 국가통치체계와 관리능력이 법·제도화되는 것이지만, 이것은 기존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당내 감독과 국가감찰기능을 통일시킴으로서 당의 직접적 관리와 통제 범위가 강화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는 법의 지배(rule of law)를 통해 정부 권한을 규정하고 법적 한계를 명확히 설정하는데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진정한 의미의 법치주의로 이해하거나 반면에 법에 의한 지배(rule by law) 및 제도화라는 측면에서 감찰대상을 공산당원 이외에 전 방위적으로 확대해 그들의 권리를 제한하는 통제 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상호 모순을 갖고 있다. 결국 새롭게 설립된 국가감찰위원회 및 감찰법 제정을 통해 살펴본 중국의 국가감찰체계 구축의 특징은 그 목표에서 밝혔듯이 법치의 보장과 국가통치체제 및 관리능력 현대화 전략의 추진이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 권위주의적 통제강화, 즉 중앙의 관리와 감독, 통제의 대상 확대 및 심화 속에서 정치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딜레마가 존재한다. China held the 13th National People’s Congress in March 2018 and pass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The most notable part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the insertion of the “Chinese distinctive socialist ideology of the new era of Xi Jinping” and the deletion of the clause limiting the reappointment of presidents and vice presidents. In addition, what was noted was the creation of the “The State Committee of Superviso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enactment of the “Supervision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rough this, Xi Jinping’s second term was characterized as authoritarianism centered on one ma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Committee of Supervisory as a newly established supervision and inspection mechanism. The State Committee of Supervisory is established to institutionalize the national inspection system and legislate the national governance system and management capacity for the purpose of legalizing anti-corruption projects. However, this resulted in the range expansion of the party’s management and control by unifying the functions of the CPC Central Commission for Discipline Inspection. There appears to be inconsistent results in whether this will be understood as a principle of restricting their rights by expanding the scope of inspection in terms of rule by law and institutionalization, or as a genuine rule of law in terms of contributing to defining government authority and setting legal limits clearly through rule of law. After all, as the Chinese government argued, the newly established the State Committee of Supervisory and the Supervision Law have positive aspects of ensuring the rule of law and improving the government’s management capacities. However, it has a dilemma that further authoritarian control can be exerted with the expansion of central supervision.

      • KCI등재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지역사회통합 수준 비교

        이민화(Lee, Minhwa),황태연(Hwang, Taeyeon),서미경(Seo, Miky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한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지역사회통합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중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 자 142명과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정신의료기관에서 외래치료만 받는 비이용자 140명의 지역사회통합(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통합) 수준을 조사하였다. 먼저 지역사회통합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연령, 직업유무, 자원접근성이 통합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예측요인들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제하여 두 집단의 세 가지 영역의 통합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통합에서만 이용자의 통합수준이 의미 있게 높았고, 사회적 통합의 사회관계망 크기는 비이용자가 더 높았다. 그리고 사회적 통합의 두 번째 차원인 접촉빈도와 심리적 통합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우리나라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여부가 지역사회통합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정신장애인 회복에 특히 중요한 사회적 통합을 높이기 위한 가능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re looking forward to community integration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he aim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tribution levels of community integration of community-based services compared to 142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ho us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nd 140 non-users who only use outpatient treatment. Each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including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We noted that age, job, resource accessibility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community integration. By controlling these predictors as covariates,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physical integration and social network siz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ontact frequency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As a results, we suggest that community-based service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community integration.

      • KCI등재

        국정과제 시민평가에 대한 심층분석: ChatGPT를 활용한 국정과제 정책만족도 시민의견 분석을 중심으로

        윤수재 ( Sujae Yoon ),황태연 ( Taeyeon Hwang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국정과제에 대한 일반국민의 개선의견을 유형화하고 분류함으로써 일반국민이 지닌 정책에 대한 의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개방형 문항으로 응답된 일반 국민의 개선의견은 시민평가의 관점에서 큰 가치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분석에 수반되는 시간과 비용으로 인하여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행한 2021년 국정과제 정책만족도 조사결과 중 100대 국정과제에 대한 일반국민의 개선의견이다. 개선의견의 유형화를 위해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총 11가지의 주요 개선의견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개선의견을 분류하였다. 이후 경제정책과 복지정책간의 개선의견 유형 비중 차이를 비교하였고, 리커트 척도로 측정된 정책에 대한 만족도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 간의 개선의견 유형 비중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복지정책에서는 정책 목표와 정책수단 간 정합성 및 연계성에 관련된 개선의견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고, 경제정책에서는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적극성 및 추진력과 관련한 개선의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주로 정책의 목표와 수단 측면보다는 정책홍보나 정책목표와 수단 간 정합성 및 연계성 향상에 관련된 개선의견이 많이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정책목표의 조정이나 의견수렴 등 정책의 근본적인 측면에 대한 개선의견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주요 개선의견 유형 분포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국정과제 군집이 도출되었고 군집별로 서로 다른 개선의 방향성이 요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전문가로 여겨졌던 일반국민, 즉 시민들이 제시한 정책 개선의견이 지닌 가치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the general public's opinions on policies by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thei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regarding national policy agendas. Despite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general public's improvement suggestions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 evaluation,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utilized due to the time and costs associated with analysis. The data used for analysis are the improvement suggestions from the general public on the 100 major national policy agendas, which are part of the results of the 2021 National Policy Agenda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For the categorization of improvement suggestions,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deriving a total of 11 major types of improvement suggestions, and individual suggestions were classified based on this. Subsequently, the proportions of types of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compared between economic and welfare polic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s of types of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verified between the groups with higher and lower policy satisfaction measured on a Likert scale.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welfare policies, a large proportion of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related to the consistency and linkage between policy goals and means, whereas in economic policies,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related to the government's proactivity and driving force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Furthermore, the group with higher satisfaction primarily showed improvement suggestions related to policy promotion and enhancement of consistency and linkage between policy goals and means, while the group with lower satisfaction showed a large proportion of improvement suggestions on fundamental aspects of policy, such as adjustment of policy goals and gathering opinion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major types of improvement suggestio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ing in the derivation of four clusters of national policy agendas, confirming that each cluster requires differen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atively verifies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the value of policy improvement suggestions provided by the general public, or citizens, who have been regarded as non-experts.

      • 설계자용 전과정평가 프로그램

        허진호,황태연,정연하,황종수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00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 No.1

        제품의 친 환경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정량적인 환경성 분석이 필수적이다. 전과정평가는 제품의 전과정에 거친 환경영향을 정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친 환경설계를 위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전과정평가를 제품의 설계 단계에서 적용하기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한다. 특히 이 중에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은 설계단계에서 전과정평가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이다. 이와 같은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과정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제품 설계시 설계자가 제품 또는 부품의 환경성을 간단하게 평가해 볼 수 있는 도구가 필수적이다. SPEED는 제품의 친 환경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제작된 국내 최초의 설계자용 전과정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설계자가 활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향후 SPEED를 제품의 다양한 환경적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지원도구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The completion of quantitative environmental analysis is a prerequisite o 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 of products. Life cycle assess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for 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 of products because of its ability for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whole life cycle of products. Generally, life cycle assessment requires much more time and cost than other tools to be applied to product design. Especially, the worst problem in that Life cycle assessment much time to apply to product design, For tide over a defect of life cycle assessment, using the simple tool is necessary for a designer to assess his designing products or parts in designing step existing life cycle assessment results. We made SPEED for our companys designer, which is easy to use for the first LCA Tool of designer in Korea. Also we will develop SPEED as a general supporting tool for design, which can assess products environmental implications.

      • 컴퓨터의 전과정평가

        조희주,정연하,황태연 한국전과정평가학회 1999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1 No.1

        본 논문은 삼성전자에서 수행한 컴퓨터의 전과정평가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컴퓨터의 환경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해 컴퓨터의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상제품은 Pentium Ⅱ 프로세서를 장착한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와 17인치 모니터로 구성된 컴퓨터 1세트이다. 현장 데이터를 위주로 부품 및 제품 제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현장데이터의 수집이 어려운 물질 생산 및 에너지 관련 데이터는 문헌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목록분석을 거쳐 무생물자원고갈, 지구온난화, 성층권내 오존감소, 광화학산화물 생성, 산성화, 부영양화, 인간독성, 생태독성 8개 영향범주의 환경영향을 정량화하였으며, 이를 정규화 및 가중치 부여를 통해 단일한 환경영향지수값으로 통합하였다. 컴퓨터의 전과정에 걸친 환경영향의 54.8%가 사용단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니터, 주기판(Mother Board), 전원공급장치(SMPS), 모뎀(Modem), 하드디스크(HDD) 등의 주요 부품의 제조로 인한 환경영향이 비교적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의 환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외 구매자에 대한 환경정보 제공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The life cycle assessment on a computer i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the life cycle of a computer and to establish the database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uters. This article contains simplified results from the life cycle assessment on a computer. A desktop PC set that consists of a PC mainframe (including Pentium Ⅱ processor) and a monitor (having 17-inch screen) is chosen as the functional unit for this study. Site-specific data are collected for the component production processes and the assembly processes. Material production and energy related data are derived from literature since it is too difficult to collect site-specific data for those. The impact categorie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abiotic resource depletion, global warming,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photochemical oxidant creation,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human toxicity and eco-toxicity.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are integrated into single value through normalization and weighting. The use phase in the life cycle of a desktop PC is the most major contribution as 54.8% of total impact assessment value. And other major contributing components in production are monitor, mother board, SMPS, modem, HDD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e life cycle assessment on a computer are used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improv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computer and to prov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custo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