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년세대의 신뢰·갈등과 복지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

        유정호(Yoo, Jeong Ho),조민효(Cho, Rosa Minhyo) 서울행정학회 201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 청년세대의 복지의식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청년세대의 복지의식을 고부담 잔여적 복지(29.5%), 제도적 복지(26.9%), 잔여적 복지(27.6%), 저부담 제도적 복지(16%)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청년세대의 복지의식 유형화의 결정요인들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사회적 요인(기관신뢰와 개인신뢰, 민주주의, 사회갈등에 관한 인식)이 개인적 요인(주관적 계층의식)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관신뢰와 개인신뢰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갈등을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이기적인 저부담 제도적 복지유형에 속할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복지국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기관신뢰와 개인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young Koreans’ welfare consciousness types and further analyze the factors which impact each type of welfare consciousness. Results from the latent class analysis indicate four distinct welfare consciousness types: residual welfare with high funding levels cluster(29.5%), residual welfare cluster(26.9%), institutional welfare cluster(27.6%), and institutional welfare with low funding levels cluster(16%). Results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indicate that social factors(institutional and individual trust, awareness about social conflict and democracy) have a stronger impact on welfare consciousness than individual factors(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s of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trust,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one belonging to the institutional welfare with low funding levels cluster. Additional effort at the social level shall be required to improve both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trust in order to develop a sustainable welfare state. Policy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기덕(Jung, Kiduck),조민효(Cho, Minhyo) 서울행정학회 201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0년도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재학 중 일자리와 전공의 일치 여부를 고려하여 어떤 재학 중 일자리가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취업성과는 월 평균 임금과 지금까지 정책 영역에서 소홀하였던 직무불일치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재학 중 전공과 일치한 일자리만 경험한 경우, 전공과 일치한 일자리를 전혀 경험하지 않은 경우보다 임금이 높았고 직무불일치 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낮았다. 한편 재학 중 일자리 개수가 증가할수록 직무불일치가 오히려 심화되었다. 이는 무분별한 재학 중 일자리가 취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보여주며, 재학 중 일자리를 전공과 연계하여 대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Using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work experience while in college on labor market outcomes upon graduation focusing on whether the type of work matches the student’s college major or not. Labor market outcomes were measured as monthly wage and the degree of job mismatch of which the latter is an outcome that had been neglected in the field of public policy. Results indicated that only experiencing work which matched one’s college major led to higher wage and less job mismatch compared to those who had never experienced work which matched their majors.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job mismatch increased as the number of work experience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work experience irrelevant to one’s college major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labor market outcome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년고용정책의 효과성 평가 연구

        정주호(Jung, JuHo),조민효(Cho, Rosa Minhyo)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대학 졸업 후 신규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시행하는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와 공공기관 청년인턴제의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청년인턴제 참여여부를 기준으로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실험집단을 선정하고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과 공공기관 청년인턴제 모두 첫 직장 취업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첫 직장 취업형태와 만족도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기관 청년인턴제에 참여하는 경우 일용・임시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층의 직장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공공기관의 청년인턴제가 체험형 중심에서 채용형 중심으로 변화하여 청년인턴제가 정규직 취업의 연결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employment policy on labor market outcomes of Korean youth graduating from college. In order to evaluate the youth employment policy, this study analyzed the youth internship program for small medium-sized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For the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youth inter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youth internships for both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getting employed for their first job. However, there was no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type or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ir first jobs. It is worth noting that when youth participated in the public institution internship, they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as daily temporary workers rather than regular worker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년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양윤주(Yunju Yang),조민효(Rosa Minhyo Cho) 한국국정관리학회 2022 현대사회와 행정 Vol.32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YP2007)」자료를 사용하여 4년제 대졸자를 대상으로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취업 기간은 4년제 대졸 자가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으로 이행하기까지의 기간으로 한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취업의 질은 경제적 요인인 임금과 고용상태, 그리고 심리적 요인인 직장만족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에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 과, 미취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용상태와 임금, 직장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이 중소기업 등 취업 선호도가 높지 않은 직장에 바로 취업하지 않고, 취업 준비 기간에 시간을 투자하는 현상이 합리적인 선택이 아님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년층의 미취업 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청년고용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term effect of the unemployment period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college gradua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iod of unemployment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2,642 college graduates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Korean Youth Panel(YP2007) data. The unemployment period was calculated by limiting the period from college graduation to the first job. Also, the quality of employment is largely divided into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re measured by employment status, average monthly wages, and current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longer the unemployment period, the more negative the employment status, wages,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ot a reasonable option for youth to invest time in job preparation periods without getting a job immediately.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youth employment policies need to be prepared to reduce the period of unemployment for youth.

      • KCI등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적응유형과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림 ( Hyerim Lee ),조민효 ( Rosa Minhyo Cho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에서 실시 한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2,010명)의 적응유형과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은 동화유형, 분리유형, 주변화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화유형에 속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주변화집단에 속한 여성보다 취업 할 승산비가 5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은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하는 모임(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로 측정하였으며, 분석결과 지역주민모임에 참여하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하지 않은 여성보다 취업 할 승산비가51%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형에 따른 취업효과에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government allowed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MIW) to be residents as spouses of the citizens. The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stitutionally. According to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of 2012, the Korean fluency of MIW is improved much better than NSMF of 2009. It’s the evidence of programs impact on their assimilation to Korea society. In addition, the author infers the variation of the Korean fluency of MIW is very closely related in their acculturation patterns. Therefore, the author establishes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to analyze empirically; 1) Are there difference of acculturation patterns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VMIW)?, 2) Do acculturation patterns impact on employment?, 3) Does social capital of VMIW impact on employment? The author conducted k-means clustering analysis using a sample of 2,010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VMIW)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of 2012 to analyze variation in the degree to which they have assimilated to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Results indicated that VMIW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acculturation patterns: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authors further tested whether the employment status varies across the three acculturation patterns as well as by one’s social capital using logistic regression. Findings revealed that VMIW across the acculturation patterns exhibited significantly different odds ration of employment and that those with higher social capital were also more likely to be employed. However,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patterns on employment outcomes were not found to be mediated by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한국인의 복지태도 유형 연구

        박미경(Park, Mi Kyung),조민효(Cho, Rosa Minhyo) 서울행정학회 201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4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복지태도 유형을 규명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태도이론을 토대로 복지태도를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로 구성하여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00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의 복지태도 유형은 선별적 복합 중심형(16%), 선별적 국가 중심형(54%), 보편적 국가 중심형(30%) 등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복지태도 유형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s’ welfare attitude types and further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welfare attitude. Latent Class Analysis is used on a recently collected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 residents in order to categorize attitudes towards welfare provision based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The results reveal three distinct welfare attitude types: the selective complex centered cluster (16%), the selective government centered cluster (54%), and the universal government centered cluster (30%).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보육정책의 효과성 평가연구

        박미경 ( Mi Kyung Park ),조민효 ( Rosa Minhyo Cho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3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은 자녀양육비용 완화라는 큰 맥락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보육정책의 발전 및 정책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한국복지패널」1차~7차(2006년~2012년) 자료에서 만5세 이하의 자녀를 한 명 이상 둔 가구 중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을 한 번 이상 수혜 받은 가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영유아 양육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자체가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취업여성과 미취업여성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보육정책이 자녀보육비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취업여부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고, 향후 보육지원정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은 자녀보육비용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he 2006-2012 Korean Welfare Panel Study (KWP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child care policies (that is, child allowance policy and the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on the level of household child care expenditure.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maternal employment statu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polices and child care expense. Results from family fixed-effect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both child allowance policies and the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decrease household expenditure on child care. Evidence also suggests that the amount of decrease in household expenditure is much larger for employed mothers than unemployed mothers.

      • KCI등재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

        유정호 ( Jeong Ho Yoo ),김민길 ( Mingil Kim ),조민효 ( Rosa Minhyo Cho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2

        본 연구는 서구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발전한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이 한국적 맥락에서도 적합한 지를 사회연결망 분석으로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위해 고용허가제 사례를 옹호연합모형으로 분석하고, 정책행위자들의 옹호연합 형성 및 변화양상, 정책학습 및 정책중재자를 신문기사 코딩을 통한 사회연결망 분석으로 연구하였다. 1993년 산업연수생제도 도입 이후 고용허가제에 관한 필요성이 제기된 제1시기, 2004년 고용허가제 도입 전후의 제2시기, 2014년 이후 고용허가제 정착된 제3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고용허가제 찬성 옹호연합은 인권보호라는 규범핵심적 신념으로, 반대 옹호연합은 국가경제 및 노동자 공급이라는 규범핵심적 신념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시기에 따라 두 연합을 구성하는 단체 및 기관들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제1시기에는 김영삼 대통령과 중앙부처들, 경제단체들로 구성된 반대옹호연합의 세력이 강하여 정책변동이 없었으나, 제2시기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노동부,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찬성옹호연합이 강해지면서 고용허가제가 도입되었다. 제3시기에는 옹호연합이 거의 와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책변동이 옹호연합간의 협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대통령)가 속한 옹호연합의 신념체계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전통적 옹호연합모형에서 강조하는 정책학습과 정책중재자를 통한 정책변동이 아닌, 정책중재자 부재와 상호 적대화(devil`s shift)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뢰가 낮은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adaptability of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CF) in Korean context by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suggest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by ACF and formation, changes and policy learning in advocacy coalition of policy actor and policy broker by SNA with the coded media articles. We select three target period, and the first period is 1993 when industrial trainee system is enforced and needs fo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raised. Second period in 2004 whe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enforced. Third period is after the 2014 whe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stabilized. As a result, policy core belief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dvocacy coalition(coalition A) is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core beliefs of industrial trainee system advocacy coalition(coalition B) are national economy and supplement of laborer. In each period, members of advocacy coalition is changed dynamically. In first perio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declined, because coalition B had a political power with support of president Kim Young-sam(a conservative) and government departments. In second perio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enforced, because coalition B gained political power after president Roh Moo-hyun(a progressive) and ministry of labor supports this coalition. In third period, each coalition has been dismissed. According to this results, policy change is not made by negotiation of coalitions, but caused by government included coalition. And coalitions is came to devil`s shift, so, policy learning and negotiation which are emphasized in ACF cannot be occurred. So, ACF model has some limits in Korean context which has low trust.

      • KCI등재후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 서울시 금천구와 서초구를 중심으로

        김진주 ( Jinju Kim ),함주빈 ( Jubin Ham ),조민효 ( Rosa Minhyo Cho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1

        사회복지 서비스의 지방분권은 지역 주민의 수요에 대응하고 지방 정부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천구와 서초구 주민을 대상으로 가족복지 수요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담당자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구조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두 자치구 주민들이 느끼는 가정생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와 가정 내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의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은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보다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국민의 의식을 변화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 정책에 대한 잠재 니즈를 해소시켜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건강가정지원센터 담당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아직 지역 주민의 특성과 수요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기 힘들며 더욱이 예산의 권한이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아닌 여성가족부에 집중되어 있어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자치구별 맞춤형 가족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주민 수요 조사를 실시하는 것과 더불어 예산의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Decentralization of social services is considered to improve the productiv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while also enhancing their ability to meet the demands of their residents. In this study, we used a mixed method approach by analyzing quantitative survey data as well as qualitative interview-based data. The paper first sets out to examine whether the demand for family-related welfare services varied across 200 residents in two local districts, Seocho-gu and Geumcheon-gu, within the city of Seoul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urvey data. Next, interviews with employee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HFSC) were conducted and analyzed to better understand management related structural problems under the decentralized social welfare syste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stricts for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troubles experienced within the fami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residents did not report statistically different needs for the five different types of family support programs between the two districts implying that family dissatisfaction or troubles do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higher demand for welfare services.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enters were not providing customized regional service geared toward residents` needs even though they aimed to do so. Thi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financial authority and budget related decision making were domina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 little input from local governments. The paper concludes that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to local residents effectively, the HFSC should conduct systematic surveys regularly to better identify local demand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allocate financial authority to the local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