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결조건에 $Ta_2O_5$ 첨가된 Mn-Zn 페라이트의 전력손실에 미치는 영향

        황진현,한승기,한영호,Hwang, Jin-Hyeon,Han, Seung-Gi,Han, Yeong-Ho 한국재료학회 1996 한국재료학회지 Vol.6 No.1

        고주파 저손실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Mn-Zn 페라이트의 제조공정 중 소결조건과 Ta2O5첨가가 Mn-Zn 페라이트의전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등조성선을 따라 냉각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해서 정확하게 산소분압을 조절하였으며 적절한 등조성선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좋은 손실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CaO-SiO2 첨가계에 Ta2O5를 0ppm에서 400ppm으로 변화시켜 가며 첨가하였으며, Ta2O5 가 400ppm 첨가되었을 경우 균일한 grain 성장과 더불어 낮은 전력손실을 나타내었다. 온도에 상응하는 상평형 산소분압을 정확히 맞춰 냉각할 경우 전력손실 최소값이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킨 시편보다 높은 온도쪽으로 이동됨도 확인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Er_2}{O_3}$첨가가 $BaTiO_3$계 내환원성 X7R 재질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효과

        박재성,황진현,한영호,Park, Jae-Seong,Hwang, Jin-Hyeon,Han, Yeong-Ho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1

        Ni 전극을 사용하는 $BaTiO_3$계 내환원성 X7R 조성에서 $Er_2$$O_3$ 첨가가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환원성 분위기에서 연구하였다. $MnO_2-MgO$가 첨가된 내환원조성에서 첨가량이 조절된 $Er_2O_3$의 복합첨가로 유전율의 온도안정성이 향상되어 X7R 규격을 만족시켰으며 2,970 이상의 상온 유전상수와 1.0% 이하의 유전손실율이 관찰되었다. $Er_2O_3$가 3.0 mol% 이상으로 과량 첨가되었을 경우 유전체의 온도특성은 향상되었으나 상온 유전상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다른 첨가조성(1.5 mol% $Er_2O_3$2.0 mol% MgO)이 고정될 때 TCC곡선은 $MnO_2$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으며, 온도안정성을 향상시켰다. Effects of $Er_2O_3$ addi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non-reducible $BaTi_3$-based X7R dielectrics with Ni electrode have been studied in reducing atmosphere. X7R with moderate temperature-dependence was developed after addition of $Er_2O_3$ with $MnO_2-MgO$; room-temperature dielectric constant and dissipation factor were >2900 and < 1.0%,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Er_2O_3$ greater than 3.0 mol% improve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dielectric properties, but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dielectric constant at room-temperature was observed. The TCC curves rebated clockwise with increasing MnO$_2$ content at a given additive system, 1.5 mol% $Er_2O_3$ and 2.0 mol% MgO.

      • KCI등재

        Corosolic acid의 유방암세포 증식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손건호(Kun Ho Son),황진현(Jin-hyeon Hwang),김동하(Dong-ha Kim),조영은(Young-Eun Cho)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2

        본 연구는 인간 유래 유방 암세포 MDA-MB-231를 대상으로 CA에 의한 세포사멸, 세포 이동 및 침윤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CA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에 의한 apoptosis 양성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stain를 진행한 결과, CA 농도 의존적으로 죽은 세포를 확인하였다. MDA-MB-231 세포에서 CA에 의한apoptosis marker 단백질 발현 증가와 ROS production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에 의한 MDAMB-231의 세포 이동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의 이동과 전이 능력 또한 CA를 처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CA의 암세포 증식률 억제, 세포사멸 증가, 그리고 세포 이동 및 전이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결과를 통해서 향후 유방암에 대한 항암제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Corosolic acid (CA), also known as 2α-hydroxyursolic acid, is present in numerous plants, and is reported to exhibit anti-cancer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various cancer cells such as osteosarcoma, hepatocellular carcinoma, lung adenocarcinoma, and colon cancer. However, the anti-cancer activity of CA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remain to be elucidat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CA i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DA-MB-231. Methods: Cell viabilit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poptosis marker protein expression, migration, invasion rate,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levels were assessed by treating MDA-MB-231 cells to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ell proliferation of MDAMB-231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assess the effect of CA on apoptosis, nuclei of MDA-MB-231 cells were stained with DAPI solution. Chromatin condensation, which indicates apoptosis, was observed to increase dose-dependently. In addition, western-blot analysis revealed elevated levels of the apoptosis marker proteins (Bax and cleaved caspase 3) subsequent to MDA-MB-231 exposure to CA. ROS production was also increased in the CA-induced apoptosis in MDA-MB-231 treated cells. Interestingly, CA exposure resulted in significantly decreased migration and invasion rates in the MDA-MB-231 cells. Data further revealed that exposure to CA markedly decreased the VEGF concentr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a reduction in angiogenesis. Conclusion: Our results determined that exposure to CA induces anti-proliferation, apoptosis, and ROS production, and suppresses cell migration and invasion rate in MDAMB-231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of CA to be applied as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breast cancer.

      • KCI등재

        마카 추출액의 생리활성 효과

        권윤숙(Yun-Suk Kwon),전인숙(In-Sook Jeon),황진현(Jin-Hyeon Hwang),임동민(Dong-Min Lim),강용수(Yong Soo Kang),정해정(Hai-Jung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7

        본 실험에서는 마카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카분말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6.57%, 12.83%, 1.05%, 4.80 및 74.75%로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물을 사용할 경우 46.2%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으로 추출하는 것보다 약 2∼200배 높게 나타났다. 추출용매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액에서 328.68 ㎎/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메탄올 추출액이 52.36%로 가장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물 추출액이 77.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적의 추출용매로 물을 선정하였고 물 추출 온도(30, 70, 100℃)와 시간(1, 3, 5시간)을 달리하여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에서 3시간 또는 5시간 추출할 때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이 다른 조건에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의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마카분말을 100℃에서 3시간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maca by comparing the yields, total polyphenol contents,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showed 6.57% moisture, 12.83% crude protein, 1.05% crude fat, 4.80% ash and 74.75% carbohydrate. Maca was extracted with 7 different solvents (water, methanol, ethanol,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hexane) and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biological activities. The extraction yields of water,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were 46.2%, 21.4% and 16.8%, respectively.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hexane exhibited very low extraction yield, ranging from 0.2 to 1.0%.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the highest in water extrac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he SOD-like activity were the highest in methanol extract. When water extract was drawn out at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30, 70, 100℃) and time (1, 3, 5 hr), the improved biological activities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found in extracts treated at 100℃ for 3 or 5 hrs.

      • KCI등재

        Vanillic Acid의 MC3T3-E1 조골세포 분화 및 무기질화에 미치는 영향

        서현주(Hyun-Ju Seo),손건호(Kun Ho Son),황진현(Jin-hyeon Hwang),김동하(Dong-ha Kim),박유성(Yu Seong Park),권인숙(In-Sook Kwun),조영은(Young-Eu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8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는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의 열매를 건조한 만형자(Viticis Fructus)는 오래전부터 감기, 두통, 편두통, 눈의 통증, 근육통 및 염증치료를 위해 사용된 약용식물 자원이다. Vanillic acid(VA; 4-hydroxy-3-methoxybenzoic acid)는 만형자의 생리활성 분획에서 분리된 주요 화합물 중 하나이며, vanillin의 산화형으로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암 활성 등의 약리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VA가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골세포 MC3T3-E1 세포의 분화 및 무기질화에 대한 VA의 잠재적인 항골다공증 특성을 조사하였다. MC3T3-E1 세포는 분화배지에 0, 0.1, 1, 10 μg/mL 농도의 VA를 처리하여 3일, 6일 및 9일 동안 배양되었고, ALP 활성도, Von Kossa 및 Alizarin Red 염색법 등에 의해 조골세포의 활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골 관련 단백질 발현량은 western blot에 의해 분석되었다. MC3T3-E1 세포에서 9일 동안 10 μg/mL 농도의 VA를 처리했을 때 ALP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Von Kossa와 Alizarin Red 염색 결과 VA 처리 후 3일, 6일 및 9일차의 무기질화된 결절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VA는 조골세포 성장 및 분화와 관련된 Runx2, ALP, Pro COLI, BMP 2/4 및 p-ERK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VA가 MC3T3-E1 조골세포에서 골 관련 단백질 발현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VA가 조골세포 분화 및 무기질화를 자극하여 항골다공증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anillic acid (VA), namely 4-hydroxy-3-methoxy benzoic acid, is one of the major compounds isolated from the bioactive fraction of Viticis Fructus. VA is derived from dihydroxybenzoic acid, an oxidized form of vanillin. Although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pharmacologic properties of VA have been conducte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 of VA on bone metabolism.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nti-osteoporotic properties of VA on the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These cells were cultured in 0, 0.1, 1, 10 μg/mL VA for 3, 6, and 9 days. The MTT assay results showed that VA had not changed the osteoblastic cell proliferation. Extracellular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increased as VA concentration increased at 9 days. ALP staining was also elevated as VA concentration increased at 6 and 9 days. Markedly, V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ineralized nodul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3, 6, and 9 days. In addition, V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bone differentiation marker ALP at 3 days. The expression of the bon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Runx2 protein was also elevated in the VA-treated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3 days. The expression of the downstream regulator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signaling, phosphorylation of ERK (p-ERK) was slightly elevated in VA-treated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3 days. Our results suggest that VA reg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Taken together,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VA may be useful in preventing osteoporosis through the stimula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 석유계 드라이클리닝 용제 접촉에 의한 접촉피부염

        김동훈 ( Dong Hoon Kim ),김정은 ( Jeong Eun Kim ),의경 ( Eui Kyung Hwang ),정주양 ( Ju Yang Jung ),진현정 ( Hyeon Jeong Jin ),김주희 ( Joo Hee Kim ),예영민 ( Young Min Ye ),박해심 ( Hae Sim Par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1 천식 및 알레르기 Vol.31 No.4

        Background: Petroleum-based solvents have been widely used for dry cleaning in Korea. Although there has been a few reports of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petroleum- based dry cleaning solvents, this is the first case of contact dermatitis with peripheral eosinophilia in Korea. Case History: A 53 year old man had suffered from itching sensation, erythema and bullae in both arms. The onset time was 1 hour after wearing a jacket which had been dry cleaned the day earlier. The skin lesions were localized to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jacket, and the Nikolsky sign was seen. The patient had no history of previous allergic diseases. Results: Serum total IgE levels,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eosinophil cationic protein levels and liver function test results (aspartate and alanine transaminase) were elevate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kin biopsy specimen showed epidermal necrosis with superficial perivenular lymphocytic and eosinophilic infiltration. He was negative for the patch test with maximum 1% of the solvent used at that laundry, which was composed of paraffin and naphten. Therefore, we thought that his skin lesion may be attributed to irritant reactions to this solvent. Conclusion: We report herein a case of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a petroleum-based dry cleaning solvent.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1;31:295-29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