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기반기업의 성과 영향요인 연구 : 혁신지원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정미(Hwang Jeong Mi),김병근(Kim Byung Keun) 현대문법학회 2017 현대문법연구 Vol.96 No.-

        본 연구는 성장초기에 있는 기술기반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으로 전략과 역량 관점에서 기업가지향성 및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또한, 기업가지향성 및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기업 소재 지역의 혁신지원환경의 조절효과를 검토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전테크노파크의 기업지원사업의 수혜기업 중 10년 미만 업력을 가진 기술기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집한 204개의 데이터를 다중회귀분석(OL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가지향성과 기업 역량, 지역의 혁신지원환경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런데 지역의 혁신지원환경이 기업의 관리역량을 보완하여 기술기반기업의 성과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R&D역량, 마케팅역량과 기업의 성과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지역혁신환경이 기술기반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세부 혁신역량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innovation supporting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We collected the data from survey on technology-based start-ups of less than 10 years business, which had been benefited from corporate support project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marketing programs of Daejeon Techno Park. 214 firms’ data were examined, using OLS technique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based enterpris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capabilities composed of managerial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and R&D capability. We also found that the regional innovation support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capability of technology-based enterprises and the performance of companies.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최근 국제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책연구 및 사례연구들 또한 양산되고 있는 반면, 이주의 여성화라는 큰 맥락 안에서 결혼이주 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이주의 여성화, 결혼이주와 노동이주의 관계 등 개념을 검토하고, 이주의 여성화를 추동하는 전지구적 맥락과 한국의 가족의 변화를 연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이주의 여성화를 전지구적 맥락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글로벌 케어 체인(global care chain)과 생존의 여성화(feminization of survival)를 검토해 보면, 지구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제3세계 경제가 취약해지고 생존을 책임지게 된 여성들이 열악한 조건의 이주를 감수하게 된다고 설명하는 후자의 개념이 한국의 결혼이주 급증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남성의 하향혼, 여성의 상향혼 선택이 교차하는 국제결혼 가정에서는 한편으로 가부장적 억압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반면 남성 가장의 생계부양 기능이 약화될 경우 실제로 가족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양면성이 나타난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많은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오직 사적 가족에만 소속되는 이주 경로의 취약성은 그대로 남아있다. 결혼이주와 노동이주를 ‘이주의 여성화’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보고, 여성 시민권의 공식적, 비공식적 차원을 함께 사유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Recently, case studies and policy reports on marriage migration in Korea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regards of theoretical reflection of marriage migration and cross-border marriage, we need wider perspective which can connect global tendency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Korean experience of migra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 two concepts of ‘global care chain’ (Hochschild)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Sassen) to find out some theoretical points to link global context of women’s migration toward Korean case of rapid increase in marriage migrants. The tendency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s very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sian women who enter into Korea as wives of Korean men in spite of language barrier, cultural difference, and even the possibility of unstable marriage life such as poverty, divorce and domestic violence.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change, increasing cross-border marriage meet current tendencies of diverse families in its form and scale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last decade. Marriage migrant women are often described as the ‘victim’ of oppressive patriarchy, but I think they are located on the ‘contradictory’ position with the possibility of their resistance against family control. The project of patriarchal family which try to reinforce male hierarchy through downward marriage with women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can be seriously injured if male-breadwinning fails. I think current state of marriage migration in Korea is an example of very unstable, irregular form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spite of diverse policy measures which provide language program for foreign wives, the mode of belonging for these women in host society before naturalization are still unstable, as only ‘private’ wives of Korean men in private family without any ‘public’ status.

      • KCI등재

        개발국가의 해외이주 정책과 젠더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재외한인 정책의 현재적 특성이 개발국가의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착안, 한국에서 해외이주가 확장된 시기(1962~1987년)의 출국자 통계 추이와 해외이주를 규정하는 프레임들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한다. 출국자 통계의 흐름을 보면 해외이주가 증가함과 동시에 여성은 이민 목적, 남성은 취업 목적으로 이주 경로가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주 목적지별로 나누어 고찰해보면 또 다른 성별 차이가 발견된다. 1970년대 초반까지는 유럽 및 아시아로 해외취업한 여성들이 증가하였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고, 대신 연고형 이민이 늘어났다. 개발 초기 여성의 해외취업을 ‘생존의 여성화’ 차원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음이 드러난다. 한편, 이 시기 해외이주를 인식하는 지배적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담론분석을 통해 세 가지 프레임을 발견했는데, 해외이주를 경제개발을 위한 인력수출로 보는 시각, 국제결혼이나 이민의 부작용을 여성화하는 프레임, 그리고 이주자를 개척자와 도피자로 양분함으로써 ‘이주의 자격’을 국위선양 여부에 따라 구분하는 프레임이다. 한국 여성들의 다양한 이주 경험은 국위선양과 개척형 이주를 상상하는 개발국가의 남성중심적 프레임, 국가 민족주의의 틀 안에서 왜곡되거나 배제되어 왔으며, 특히 생존을 위한 여성의 다중적 역할이나 유급 및 무급 노동에 대한 기여는 비가시화된다. 단순한 순혈주의와는 다른, 개발시기의 국가 민족주의와 결합된 개발 프레임의 광범위한 영향력과 젠더 편향성을 보다 정교하게 비판하고 극복할 수 있는 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며, 그러한 기반 위에서 한국 여성들의 해외이주 경험을 새롭게 재조명하는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The number of ethnic Koreans living overseas has exceeded 7 million people. They have emerged as a group of people who also needs policy attention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number of policies to build a homeland tie with them. However, the policies are partly, or predominantly gender biased and also looked as being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fered by so called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from 1962 to 1987.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kept the strong view on Korean migrants as human capitals who could be utilized for the home country’s economic growth. This study argues that this perspective is still prevalent in both Korea’s emigration and overseas Korean policies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state’s policy discourse to trace a set of ideas, such as gender norms and nationalism, incorporated into both past and current policies.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emigration statistic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s policy regime and analyses gender implications from trends and patterns of emigra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conducts the discourse analysis on the collected news 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1962 to 1987. This is to show the prevalent image of Korean emigrants which was mostly represented as a pioneer or an escapee under the nationalism interconnected with developmental ideas.

      • KCI우수등재

        젠더 관점에서 본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황정미(Hwang, JungMee)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4

        이 글은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에서 ‘성평등’이 어떤 의미로 의제화되고 공론장에서 논의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민주화 공간에서 여성운동은 국가 정책을 통해 성평등 의제를 추진하고자 했으며, 이는 ‘성평등 제도개혁’이라는 현실적 성과를 낳았다. 그런데 법과 제도를 개선하는 성과는 역설적으로 성평등 의제를 사회의 다양한 영역으로 더 확산시키기보다는 관료제적 합리성 안으로 제한하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제도 외부에서 여성문제와 성차별을 이야기하는 대중적 페미니즘 담론이 다양한 형태로 확대되었다. 한편에서는 여성정책과 여성가족부를 비난하며 ‘역차별’을 문제시 하는 안티페미니즘 담론, 다른 한편에서는 여성정책이 포괄하지 못한 실질적 성차별과 가부장적 문화에 저항하는 급진적인 영 페미니스트 담론, 그리고 식품 안전과 생활안전을 정치적 의제로 확산시키는 촛불시위 참여 여성들을 통해 새로운 성평등 의제가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폭넓은 성평등 의제의 등장과 논쟁의 흐름에서 이 글은 공공 페미니즘과 정체성 정치라는 두 가지 상이한 정치적 기획을 주목한다. 공공 페미니즘은 여성단체들이 주도한 법 · 제도 개선운동에서 보듯이 실현 가능한 개혁에 우선 집중하는 경향이 있지만, 더 좋은 사회를 위해 실천하고 참여하는 시민적 미덕(civic virtue)을 지향하며 여성들의 경험과 시각을 민주주의의 한 축으로 보편화함으로써 좋은 시민의 영역을 확장하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확산된 대중적 페미니즘 담론은 개인적 삶과 일상생활에서 체감하는 차별과 억압을 정치적 문제의식으로 상승시키고 젠더 정의의 실현을 요구하는 정체성 정치의 흐름을 보여준다. 여성정책을 법제화하려는 노력이 20여 년간 있었지만, 양극화와 불평등이 심화되는 신자유주의 세상에서 여성들의 삶을 누르는 사회적 배제와 차별, 노동시장의 성별 분리 등 강고한 기득권 구조에 개입할 만한 정책 수단을 여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정책의 한계인 동시에 민주주의의 한계이기도 하다.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가 직면한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젠더를 민주주의의 보편적인 문제로 숙고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젠더 없는 민주주의는 새로운 민주주의의 대안이 될 수 없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agenda’ in public sphere of Korean society sinc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1987. In the hegemonic space opened by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women’s movement sought to promote the gender equality agenda through public policies, resulting in a realistic achievement of ‘gender equality reforms’. Paradoxically, the achievements of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have led to unintended consequences, confining gender equality agendas into bureaucratic rationality rather than spreading them to various spheres of society. In response to these ambivalent achievements of gender reforms, discourses of popular feminism has been generated in various forms. On the one hand, an anti-feminist discourse extended, and it strongly condemned women’s policies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s practicing counter-discrimination against men. On the other hand, young generation of feminists criticized dominant patriarchal culture persisting in civil movement sectors and concealing various gender violence. Candlelight protests strongly initiated by young women since 2008 also suggest new gender equality agenda including not only safety of imported foods but also everyday life politics. In regards of diverse gender equality agenda and controversies, this paper focuses on two different but related political projects: public feminism and identity politics. Although public feminism tends to concentrate on possible reforms as seen in th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reforms initiated by women’s movement groups, it intends to expand civic virtues and practice of democratic citizens for ‘good society’. New popular feminism discourses include identity politics which problematiz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occurred in personal and everyday life, and claim gender justice. In order to form a new vision of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as a universal problem of democracy, and genderless democracy can not be an alternative to new democrac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황정미(Hwang Jung-Me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亞細亞硏究 Vol.53 No.4

        This article is a statist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Korean people based on a nationwide survey dat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an be defined as a permissive attitude toward multi-ethnic society and increasing immigrants who have diverse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st be a very complicated concept which contains multiple dimension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However, I’d like to emphasize that multicultral acceptability is highly interconnected with national identity and citizenship values in a globalizing world.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magined identity constructed and reinforced by cultural symbol and political institution of modern nation-state. In this analysi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assumed as a two-layer concept. The first sub-factors is positive recognition of universal rights of immigrant people, and the second one is collective perception of threat due to increasing migr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pride of national homogeneity and positive attitude to the virtue of participatory citizenship are introduced in this analytic frame.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negatively influenced by pride of national homogeneity. On the other hand, i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sympathy to active citizenship. Acceptance to multicultural values is concerned not only with generosity to immigrant but also with the new politics of membership which could bring in a new perspective on the boundary of political commun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emerging post-national citizenship.

      • KCI등재

        한국 스튜어드십과 주주행동주의의 고찰 -영국 스튜어드십 코드의 개정과 주주행동주의-

        황정미(Hwang, Jung-Mi) 한국기업법학회 2020 企業法硏究 Vol.34 No.3

        스튜어드십 코드는 2008년의 세계금융위기의 원인을 ‘소유 없는 회사’에서 찾은 영국에서 제정한 것이다. ‘소유 없는 회사’는 회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을 적절히 견제하지 못한 기관투자자들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 책임투자 원칙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국내는 다른 국가와는 다른 독특한 기업환경인 가족경영에서 주주권의 하락과 더불어 기업가치의 손실, 나아가 국가적 신뢰 하락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관투자자의 소극적 주주 활동이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라는 반성에 의하여 도입되었다. 게다가, 재벌 기업이라는 특징으로 다른 기관투자자들보다 준정부기관인 NPS의 적극적인 주주 활동이 두드러지고 있다. 영국은 스튜어드십 코드를 제정한 이후, 개정과 평가, 인증을 통하여 스튜어드십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고 있다. 스튜어드십 코드 2020의 개정은 제정 후 7년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스튜어드십의 개념을 EGS로 확대한 점, 스튜어드십의 대상을 상장 주식으로 제한하지 않은 점,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이행설명서의 공시를 강화함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아직 도입 초기 단계인 국내 스튜어드십 역시, 중간 점검을 통하여 더욱 발전된 방향성을 가지고 미래지향적인 스튜어드십 코드의 정착을 위하여 영국 코드 2020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Stewardship Code was established in the UK, which found the cause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by a “Ownerless company”. “Ownerless company” emphasizes the principle of responsible investment as well as a theory of responsibility for institutional investors who fail to properly check the company’s board of directors and management. In particular, in family management, which is a unique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Korea shareholders lose their corporate value along with the decline in shareholder rights. Furthermore, it was introduced by reflection that the passive shareholder activity of Korea institutional investors is not a desirable direction in a situation where it is also affecting the decline of national trust. In addition, NPS, a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 is more active than other institutional investors due to its characteristic of being a ‘Chaebol’ company. After establishing the Stewardship Code, the UK intend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tewardship through revis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The UK Stewardship Code 2020 was revised seven years after its enactment. The main contents are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stewardship to EGS,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stewardship is not limited to listed stocks,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disclosure of the stewardship performance statement of institutional investors. The Korea stewardship, which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its introduction, also has a more advanced direction through an interim inspection, and the UK Code 2020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enactment of a future-oriented stewardship cod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