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wsher v. Synar 판결을 통해서 본 미국연방감사원(GAO) 법적위상 문제와 법제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황의관 감사연구원 2021 감사논집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raw the legal issues and legislative implications of the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GA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owsher v Synar Case. The issue of Bowsher v Synar is to whether the role of the GAO in the budget reduction process under the Balanced Budget and Emergency Deficit Control Act, enacted for the controlling the fiscal deficit, violat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Reviewing the issues, the U.S. Supreme Court reasoned whether the GAO's legal position is or not the executive or the legislative branch through the enabling act. The Court considered that the GAO was to be an organ of the Legislative branch due to the role of Congress for the appointment and removal of its Chief Officer in the authorizing act. In addition, the Court judged that the function of the GAO under the issued act is to ‘interpret the law’ and ‘determine the relevant facts’, so it is an executive action. Therefore, the Court ruled that this executive action is performed only by the agencies subject to the executive branch. But the issued act allowing the GAO, subject to the legislative branch, to perform executive functions violat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which forbids one branch from infringing on the other, for legislative branch’s breaching the extent of executive branch. This article critically analyzed the Bowsher v Synar judgment for the issues by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 viewpoint for the separation of power and reviewing the constitutional purse power of congres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 act of calculating the budget reduction by the GAO as an executive act. Through this critical analysis of Bowsher v Synar’s judgment, this article was able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legal aspect and the legal theory aspect. 본 연구는 미연방대법원의 Bowsher v Synar 판결의 분석을 통해 연방감사원의 법적 위상 문제와 법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Bowsher v Synar 판결은 재정적자 통제를 목적으로 제정된 「균형 예산 및 긴급 재정적자 통제법」 상의 예산삭감 절차에서 연방감사원의 역할이 권력분립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쟁점이었다. 이러한 쟁점을 심리하면서, 연방대법원은 연방감사원이 집행부, 입법부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관련 법령과 설립근거법률의 입법과정을 통해 논증하고 있다. 연방대법원은 연방감사원의 구성원 임명 및 해임절차에서 의회의 역할, 설립근거 법률의 규정 등을 근거로 연방감사원을 입법부 소속으로 보았다. 그리고 연방대법원은 심판대상 법률상 연방감사원의 기능을 ‘법을 해석’하고 ‘관련 사실을 판단’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집행적 행위가 된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이러한 집행적 행위는 집행부 소속기관만이 수행하는 것인데, 입법부 소속인 연방감사원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권력분립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집행적 기능을 입법부의 통제 아래에 있는 연방감사원이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입법부의 집행부에 대한 권한침해로서 하나의 부가 다른 부의 권한침해를 금지하는 권력분립의 원칙을 위반한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러한 Bowsher v Synar 판결에 대하여 본 연구는 각 쟁점별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방감사원의 예산감축액 산정행위가 집행적 행위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즉, 연방감사원의 당해 행위를 집행적 행위로 판단한 기준이 가지는 논리적 한계가 명확하며, 미연방헌법상 의회가 가지는 포괄적인 재정적 권한을 고려할 때, 연방감사원의 행위를 집행적 행위로 판단할 근거가 빈약하다고 보았다. 오히려 기관적 관점에서는 입법부의 소속인 연방감사원이 해당 행위를 수행하는 것이 권력분립의 원칙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Bowsher v Synar 판결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법제적 측면과 법이론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법제적 시사점은 감사원의 소속에 관한 헌법 개정 논의와 관련한 것과 재정적자 통제에 있어서 감사원의 역할에 관한 시사점이 있었다. 법이론적 시사점은 권력분립의 원칙에 대한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기능적 관점이 가지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기관적 관점으로 권력분립의 원칙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공하여 주고 있었다.

      • KCI등재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제도의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황의관 법제처 2022 법제 Vol.696 No.-

        Drugs have a larg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business and consumers, and when drug-related injury occurs,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reasons for the remedy such as causality between drugs and injuries, intention and negligence of drug manufacturers. For this reason,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has been in effect since 2014,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rug damage remedy, but several limitations have been pointed out. In this regard, this study research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rug-related injury remedy system, focusing on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And through comparative law study regarding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major countries, this study proposes the legislative improvements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and extending the area of drug consumer’s right. Chapter 1 is an introductory section that cont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drug-related injury relief system. The general system that can be used in case of injury caused by drug i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ss compensation based on the strict liability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cluding the operate system, applicable case for relief, coverage and procedures of that system, would be reviewed. Chapter 3 carries out comparative law study to research and analyze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major countries. Focusing on ‘the operate system and organization of relief’, ‘the object and scope of injury relief’, and ‘the method of financing the relief system’,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Japan and Taiwan. And with comparing these countries’ system with Korean system, this study draws legal policy implications. Chapter 4 deals with th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Problem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and comparative study. Th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for extending the medicine consumer rights include 'guaranteing the applicant's right to appeal the decision concerning whether to pay relief benefits or not', 'diversification of the method of payment of relief benefits', 'legalization of core concepts such as proper usage and adverse reaction', etc. As for the financing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relief contribution are examine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eserve system for relief benefits payment in the future is also suggested to make the financial fundament of the relief system stable. The last chapter 5 conclude with a summary of the study and deals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소비자원의 법적 성격과 시료수거권에 관한 고찰

        황의관 법제처 2023 법제 Vol.702 No.-

        본 논문은 소비자권익 증진시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하여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소비자원의 법적 성격을 살펴본다. 이를 위한 전제로서 공법인의 개념과 사법인과의 구별기준에 대한 기존의 학설과 판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소비자원이 공법인지를 분석할 기준을 도출한다. 그리고 「소비자기본법」상 소비자원에 부여된 시료수거권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고 법제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소비자원이라는 특정 사례를 통하여 공법인의 개념과 사법인과의 구별기준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공법인에 대한 법제상 유용한 개념과 구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시에 소비자원의 시료수거권이 가지는 법제상 문제를 통해 공법인의 권한에 관한 입법적 문제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논문 목적을 위해 2장은 공법인의 개념과 사법인과의 구별기준에 대한 기존의 학설과 판례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학설과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목적을 위한 개념과 구별기준을 도출하고, 공법인의 분류에 대한 기존의 학설을 검토한다. 3장은 2장에서 도출한 결론을 소비자원에 적용하여 소비자원의 법적 성격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기본법」상 소비자원의 설립과 운영 및 주요 권한을 살펴본다. 또한, 관계 법률인 「공공기관운영법」상 소비자원의 위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법령상 규정을 토대로 소비자원의 공법인 여부 및 그 종류를 분석한다. 4장에서는 현행 「소비자기본법」상 소비자원의 시료수거권의 의미와 법적 성격 대하여 조사하고 이의 법제적 문제를 검토한다. 특히 소비자원과 유사한 법적 위상을 가지는 다른 기관의 행정조사권과 비교하여 문제를 도출하고 법제적 개정방안을 제안한다. 5장은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고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legal nature of the Korea Consumer Agency(hereinafter 'KCA'), which was established under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to effectively promote consumer rights and interests promotion policies. As a premise for this, the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on the concept of public Legal entity an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it from private legal entity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criteria for analyzing whether the KCA is a public legal entity. In additio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ity to collect samples granted to the KCA under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are reviewed, and legal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presented.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public legal entity an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m from private legal entity through a specific case of the KCA, and to present useful concepts and criteria for distinguishing public legal entity in the legal system.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legislative issues and improvement plans regarding the authority of public legal entity through legal issues with the KCA's authority to collect samples.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Chapter 2 examines and analyzes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on the concept of a public legal entity an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it from private legal entity. In addition,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ories and precedents, concepts and distinction standar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derived, and existing theories on the classification of public legal entity are reviewed. Chapter 3 analyzes the legal nature of the KCA by applying the conclusions drawn in Chapter 2. To this e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CA and its major authorities under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will be reviewed.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KCA under the related law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is reviewed, and based on these laws and regulations, whether or not the KCA is a public Legal entity and its type is analyzed. Chapter 4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legal nature of the KCA's authority to collect samples under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Consumers」, and reviews its legal issues. In particular, by comparing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uthority of other public establishments with similar legal status to the KCA, problems are drawn and legislative amendments are proposed. Chapter 5 summarizes the above discussion and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 KCI등재

        미국행정법의 행정입법에 대한 집행전 사법심사에 대한 연구― Abbott 판결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황의관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1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e-enforcement judicial review of agency rule in U.S. Supreme Court’s Abbott case and subsequent cases. The Supreme Court has long held that an agency rule is not reviewable unless and until it is ripe for review. Until 1967, it was extremely difficult to obtain judicial review of agency before the rule was applied in a particular case because courts concluded that a rule rarely is ripe review unless and until it is applied in a particular case. That difficulty of ripeness standard had enormous practical effects. Most agency rules were never subject to judicial review. That situation changed dramatically with the Supreme Court’s issuance of its landmark opinion in Abbott Laboratories v. Gardner. The Court held the everytime rule ripe for pre-enforcement review by applying a new three-part test: (1) Is there evidence that Congress intended to preclude pre-enforcement of rule issued to implement the statute at issue? (2) Are the issues raised appropriate for judicial resolution at this time and in the abstract context of pre-enforcement review? (3) Would the petitioner suffer hardship if review were deferred until the agency’s application of the rule in a particular case allows the court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ule and its factual components. The Court stated the first step in the negative, rather than asking whether there was evidence that Congress intended to authorize pre-enforcement review. However, in its 1994 opinion in Thunder Basin Coal Co. v. Reich, the Court suggested that it was no longer interpreting the first part of the Abbott test as it did ar the time it decided Abbott. Therefore ripeness doctrine of judicial review of pre-enforcement of agency rule comprised of two-part test that is (2), (3) components at Abbott test. In its 1993 opinion in Reno v. Catholic Social Services, the Court suggested that rules governing eligibility for government benefits rarely would qualify for pre-application review because, unlike regulatory rules, benefit eligibility rules do not create hardships by imposing penalties on those who violate them. In the comparative law study viewpoint, judicial review doctrine of agency rule in U.S. is the abstract context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ve instruments. On the other hand, Korea’s judicial review system of agency rule is the concrete context control of agency rules which is similar to pre-Abbott era U.S. system. The reason of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is that concept of Korean agency action due to the that of germen administrative act, which is made up of agency’s concrete and individual act. So U.S. Supreme Court’s doctrine to control agency rule suggests that judicial review of agency rule in abstract context does not result abuse of action and restricts scope of that doctrine. The implication of the U.S. abstract context control of judicial review of agency rule provide Korean administrative law system for rethinking the jurisprudence of administrative act concept and reasonable litigation reform direction. 본 논문은 행정입법의 집행전 사법심사를 허용한 미연방대법원의 Abbott 판례를 중심으로 미국의 행정입법에 대한 규범통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 행정법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행정법상 상황성숙성 원칙의 의미와 위상을 파악하고 Abbott 판결 이전의 연방대법원의 판례태도와 이에 대한 비판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행정입법의 집행전 사법심사를 허용한 Abbott 판례를 상세히 고찰하여 판결내용과 함께 상황성숙성에 관한 소위 Abbott 테스트의 2가지 요건을 도출한다. 더불어 Abbott 판결과 동일한 날에 선고된 동반판례를 통해 동 판결의 의미와 동반사건과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이러한 연방대법원의 판례분석을 통해 Abbott 테스트의 2가지 요소인 ‘사법심사에의 적합성’과 ‘당사자가 겪는 어려움’의 의미와 내용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세 번째로, Abbott 판결 이후의 연방대법원 판례를 통해 행정입법의 집행전 사법심사를 허용하는 경우에도 이의 적용에 있어서 존재하는 제한을 고찰한다. 여기에는 Abbott 판결 후의 행정입법의 집행전 사법심사의 인정여부에 관한 연방의회의 의도를 해석하는 연방대법원의 변경된 판례도 함께 살펴본다. 또한, 개별적인 행정입법의 특성에 따라 Abbott 테스트의 적용여부와 범위를 한정하는 연방대법원의 판례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방대법원의 Abbott 테스트 적용범위를 파악하고 최근의 판례태도도 도출한다. 연방대법원의 행정입법에 대한 규범통제에 관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현행 행정소송에서 이러한 미국행정법상 판례가 어떠한 유용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행정소송법상의 행정입법에 대한 규범통제를 간략히 살펴보고 연방대법원의 판례가 우리 법제에 어떠한 부분에서 기여할 수 있을지를 논증한다. 그리고 행정입법의 집행전 사법심사를 허용하더라도 이를 개별사건에서 일정한 제한을 하는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통해 우리 행정소송법개정의 지향점과 행정입법의 규범통제를 허용할 경우에도 이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결론에선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미국행정법상 행정입법의 규범통제제도를 통해 우리 행정법의 위상과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 어린이 안전 관련 조례 정비방안 연구

        황의관,지광석 한국소비자원 2023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따르면 어린이 안전사고는 매년 15,00건 이상, 최근 5년간 약 10만 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총인구 대비 어린이 비율은 11.9%이지만 어린이 안전사고는 전체 안전사고의 21.4%를 차지하고 있어 인구 대비 높은 수준이다. 어린이 안전사고의 지속적인 발생에 따라 정부는 어린이 안전에 대한 체계적·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어린이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2020년 1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어린이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 이후 일부 지자체는 동법의 규정을 반영한 어린이안전조례를 제정·시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종래 영역별 어린이 안전법제에 따라 다양한 어린이 안전 관련 조례가 제정·시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한 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포함한 어린이 안전 관련 법제에서의 지자체의 역할, 조례에의 위임규정 등을 분석하고, 지자체의 어린이 안전 관련 조례의 제정현황과 주요 내용을 조사·분석하여 지역 내 어린이 안전강화를 위한 조례 정비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어린이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과 지자체 어린이안전조례의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해 “어린이안전조례 표준(안)”을 마련하여 제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안전 관련 영역별 법령의 주요 내용과 지자체의 영역별 어린이 안전 관련 조례의 분석을 통해 법령상 위임사항을 충실히 반영하고 지역 내 어린이 놀이시설과 식생활 안전 강화를 위한 조례의 정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child safety accidents, the government has enacted the 「Child Safety Management Act」 to prepa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asures for child safety, and the Act has been in force since November 2020.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Act, some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and implemented ‘child safety ordinances’ that have reflected the provisions and contents of the Act, but in most local governments have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the various child safety-related ordinances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child safety laws by sector. Therefore the need for alignment of these child safety-related ordinances is being raised. Therefor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child safety-related legislation, including the 「Child Safety Management Act」, and the delegation provisions to ordinances, and researches and analyzes the currently enactment status and main contents of child safety-related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s. Suggests ordinance alignment measures to strengthen childrens safety in the local region. To this end, this study prepares and suggests the “Child Safety Ordinance Model Rule”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Child Safety Management Act」 and local government child safety ordinances.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in contents of child safety-related legislation and the various child safety-related ordinances by sector of local governments, faithfully reflecting the matters delegated by laws and regulations, and suggesting ordinance improvement measures to strengthen childrens play facilities and dietary safety in the local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