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성과감사의 성공적 정착에 대한 논의 - SWOT 분석을 중심으로 -

        공병천,윤기웅,유승현 감사연구원 2018 감사논집 Vol.- No.30

        정부의 효율적인 운영이 중시됨에 따라, 최근 감사원은 정부의 정책 및 사업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성과감사를 확대‧실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5년간(2012~2016) 성과감사 수행실적이 총 20건에 그치고, 성과감사는 수행하기 어려운 감사라는 편견이 존재하는 등 성과감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개선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는 성과감사가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SWOT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네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감사원은 성과감사를 실시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으나, 감사결과의 정치적 논란, 성과감사에 대한 막연한 오해 등 다양한 위협요인 및 취약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성과감사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감사원은 독립성을 강화하고 높은 수준의 감사기반 및 감사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용한 감사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록 많은 한계가 존재하지만, 향후 감사원의 성공적인 성과감사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public demands the government to operate efficientl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BAI) tries to expand performance audits that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program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 However, over the past five years, it has conducted performance audits of 20 cases, only about 3% of the total number (682 cases) of audits conducted by the BAI. In this respect, it is hard to say that performance audit has been activated y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trategy that the BAI should take in order to promote performance audit. Specifically, it uses SWOT analysis to examin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provide four strategies based on thi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AI has sufficient capacity to conduct performance audit, but there are various threats and disadvantages such as political controversies of audit results and vague misunderstandings about performance audit.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performance audits in such an environment, the BAI needs to ensure independence and to provide useful audit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lthough there are many limitations, will be helpful for the success of performance audit.

      • KCI등재

        오스트리아 지방자치제도와 지방자치단체재정에 대한 내․외부감사에 관한 소고

        김수진 감사연구원 2019 감사논집 Vol.0 No.32

        오스트리아 게마인데는 주민수 1만 명을 기준으로 연방회계감사원이 게마인데에 대해 직접감사하도록 연방헌법에 규정되어 있다. 오스트리아 지방자치재정에 대한 감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스트리아의 지방자치제도를 알아야 하는데, 국내에 단편적으로 소개되고 있는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오스트리아 연방국가체제 내에서 연방과 주, 지방자치단체인 게마인데와의 관계, 게마인데의 현황과 조직구조, 게마인데 재정에 대한 감사구조를 살펴본다. 2018 년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 주회계감사원이 작성한 특별심사서를 통해 상크트 볼프강 게마인데사례를 소개한다. 오스트리아의 소규모 게마인데의 재정감사과정상의 문제점을 한눈에볼 수 있는 자료이다. 마지막으로 오스트리아와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현황과 조직형태를 비교한다. 오스트리아 게마인데에 대한 자체감사, 주행정부, 주의회소속의 회계감사원, 연방회계감사원의 특별감사제도가 우리나라의 소규모 기초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감사의 형태인 주민감사청구, 감사원 공익감사청구에서 감사청구권자,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장과 감사원 중 감사담당자선정과 감사범위를 정하는데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Act of the Federal State of Austria shall the Austrian Court of Auditors examine the financial administration of municipalities with at least 10,000 inhabitants. In order to understanding this meaning, we need fundamental information for austrian federalism and local government system.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austrian federalstate- municipality system,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 internal or external audit system for small municipalities. The case of the Saint Wolfgang Municipality will be introduced, which revealed many structural and political problems of the financial audit system for small Municipality of Austria lasting for 20 years. To this end, first, the comparis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Austria and Korea will be investigated. Second, the austrian state audit system will be compared to a korean metropolitan government audit system. This study will provide a good means of drawing a potentially successful audit system. It will be suggested to choose claimant(inhabitant claim, local council or political party) and to devide the audit right between Board of Audit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 KCI등재

        공공갈등관리 기제로서 감사원 감사청구의 역할에 대한 연구

        황덕연,임다희 감사연구원 2019 감사논집 Vol.0 No.33

        This study is the basis for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s audit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to resolve public conflict. Public conflict is constantly occurring, and various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are being discus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conflicts related to certain issues have been identified as being addressed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aning of audit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s the basis for resolving conflicts, but the related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First, is there an audit on public conflict in order to confirm its role as a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 for audit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Second, what areas of conflict are audits conducted? Third, the question of research on what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found in the audit results? To confirm this,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case where the audit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flict reported. The purpose of audit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s a basis for conflict management was to identify utility as a tool for resolving public conflict in that it could enable the procurement of fairness on a procedural level. 본 연구는 공공갈등 해소기제로서 감사원 감사가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공공갈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다양한 갈등관리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상황에서 특정 이슈와 관련되어 발생한 갈등이 감사원 감사청구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갈등해소 기제로서 감사원 감사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지만아직까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감사원 감사가 갖는 갈등관리 기제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첫째, 대중적인 공공갈등에 대해서 감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어떤 분야의 갈등을 대상으로 감사가 실시되고있는가? 셋째, 감사결과에서 어떤 개념의 공익이 발견되는가?에 대한 연구질문을 제시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사가 실시된 사례와 실제 갈등이 보도된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사례연구가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갈등관리 기제로서 감사원 감사가 갖는 의미는 절차적 차원의 공정성 확보를 가능하게 할수 있다는 점에서 공공갈등 해소의 도구로서 효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와 시민 간정보비대칭의 문제와 주인-대리인 문제를 일정부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 정례회 시기별 차이에 관한 분석: 수원시 의회를 중심으로

        주희진,유민이,박지민 감사연구원 2020 감사논집 Vol.- No.35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is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enables local councils to criticize and monitor whether local policies have been properly implemented by the enforcement agency. In addition, it is a device to disclose or provide the data of the executive agency to the residents in order to satisfy the residents' right to know.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varies depending on the timing. Specifically, as the number of inquiries changed by period and audits were conducted at the 1st and 2nd regular meeting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ditors was strengthened, and the differences in audit contents by period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audits centered on issues are in progress regardless of the 1st regular meeting or the 2nd regular meeting.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QAP correlation-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audit contents by period showed approximately 11.7% correlation, and other than that, it was confirmed that independent query contents were formed by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flexibility in the audit period and devise a plan to improve efficiency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each period. 행정사무감사 조사권은 지방의회에서 지방정책을 해당 집행기관이 제대로 집행했는가를 감시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로 시민의 정보접근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집행기관이 가진 자료를 주민들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활용하면 집행기관은 사무처리 전반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의원들의 정책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렇지만 시의원들이 전문성이 다소떨어지고, 감사 거부자들에 대한 제재 수단이 미흡하며 집행기관이 처리한 사항에 관한 지방의회의 사후행정관리시스템이 미비한 점과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이원화된 운영에 의한 행정사무감사체계의 혼선 및 상급기관과의 감사 중복에 관한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행정사무감사의 시기에 따라 그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시기별로 질의횟수의 변화와 지방선거 시점에 따른 행정사무감사 차이 분석, 제1차정례회, 제2차 정례회에 감사가 진행됨에 따라 감사의 연계성이 강화되는지 여부에 관한 분석과 정례회별 감사내용 비중 차이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1차 정례회나 제2 차 정례회와 관계없이 현안중심의 감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QAP 상관-회귀분석 결과에 기반해, 정례회별로 감사내용 비중을 분석한 결과 대략 11.7%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외에는 시기별로 독립적인 질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감사시기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시기별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감사원 감사활동 관련 법적 판단에 대한 검토

        김영신 감사연구원 2018 감사논집 Vol.- No.31

        Courts ruled that the request of action from BAI(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is not the administrative action which is suitable for filing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auditees can not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action from BAI. It was right that courts excluded judicial review of the request of action from BAI. But, by trying to cling to conventional method of administrative action, courts did not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ons of BAI which are very distinctive from ordinary agencies' actions. BAI works for the enhancement of the accountabi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stitutional mission. Actually, the processes to get the final decision of BAI are very deliberate, communicative with auditees, dynamic, policy-oriented and affecting other agencies which are not audited. So, courts should discuss the judicial deference to the actions of BAI. Because courts did not account for the unusual features of the actions and processes of BAI, the rulings of courts on the BAI's actions need some additional arguments and are contrary to the courts' own precedents on the administrative action which has been broadened to open up to more people to fil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Courts should consider the multidisciplinary aspects of BAI's actions. Through this consideration, the values and frames of good governance discussed in courts will affect positively the actual administration. 법원은 감사원의 처분요구에 대해 처분성을 부인하고, 감사대상기관의 항고소송 제기를 인정하지 않았다. 법원이 감사원의 처분요구에 대해 사법심사를 배제한 것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법원은 전통적인 행정처분 개념으로만 감사원 감사활동의 내용을 담아내려 할 뿐, 설명책임(Accountability) 제고를 목적으로 한 감사원 감사활동의 헌법적 의미나 다른 행정청과 구별되는 독특한 성질, 정책적 판단, 감사대상기관 이외 다른 기관에의 파급효과 그리고 감사대상기관과의 소통․토의 등 감사과정의 다양성․역동성 등에 대한 논의 등을 통한 사법심사 자제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 등은 판결 내용에 빠져있다. 이에 따라 행정처분의 개념을 확대하고, 행정기관에도 원고적격 등을 인정해 온 기존 법원의 판례에 비추어서 감사원 감사활동에 대한 법원의 설명은 논리적으로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향후 법원이 감사원의 감사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을 하고, 이러한 법원의 판단의 과정을 통해서 좋은 정부를 지향하면서 논의된 가치와틀이 다시 행정현실에 환류되어 행정의 설명책임을 제고하는 선순환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자체감사기구의 일상감사가 내부통제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세종,이경근 감사연구원 2017 감사논집 Vol.- No.28

        Traditionally, internal audit in public institution has performed its role to ensure a compliance with the rules. But the changing role of internal auditing is reques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s and enhancement of the control as the business environment develops and the operational functions of the organization become complex accordingly. With this reas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rnal audit strengthens the pre-audit than post-audit like inspections. Although the importance of pre-audit goes up, the studies with its influence on the internal control is not enough.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re-audit in public institution on the enhancing internal control. For this, we adopted hypothesis verification and examined the actual audit performances that all public institution’s internal audit submitted to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BAI) for evaluation in 2014. As a result, the audit performanc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ate of audit opinion or the number of auditors who conducting pre-audit. And the audit performances also positively influence on the enhancing internal control. Therefore, to enhance internal control, the public institution’s internal audit should try to increase the rate of audit opinion and the number of auditor conducting pre-audit. 전통적으로 공공기관의 자체감사기구는 합법성의 관점에서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나, 경영환경이 변화하고 그에 따른 조직운영 기능이 다변화됨에 따라 조직운영의 효율․효과성 제고와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역할수행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자체감사기구는 기관의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전통적인사후적발 성격의 실지감사보다 사전예방 성격의 일상감사를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나, 내부통제 강화와 관련한 일상감사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 공공기관의 자체감사기구가 수행하는 일상감사가 기관의 내부통제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 공공기관의 자체감사기구가 감사원에 제출한 2014년도 실제 감사성과 자료를 기반으로 가설검증형의 실증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상감사의 의견제시율과 투입인원 비율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감사성과가 향상됨에 따라기관의 내부통제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관의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자체감사기구는 일상감사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그 방안으로 일상감사의 의견제시율을 높이고일상감사 투입인원 비율을 늘리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미래위험 대응과 감사원의 역할

        문명재,이슬기,박승규 감사연구원 2022 감사논집 Vol.- No.39

        There have been growing demands for more responsible and preventive roles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in response to emerging policy issues of 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nd ambiguity (VUCA).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BAI’s function and identify expected roles based on the case study of GAO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us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government officials. This study offers suggested four major future directions for BAI including anticipatory audit and inspection (AI), data-based AI, agile AI, and resilient AI. 코로나19 이후 정부와 정부활동을 둘러싼 정책환경은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 등 소위 VUCA라 불리는 정책난제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공무원의 직무를 감찰하고 정부의 전반적인 행정행위를 감사하며 적극행정을 지원하는 최고감사기구의 역할에도 행정환경변화에 부응하는 역할변화가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고감사기구인 감사원의 미래 역할을 검토하고 새로운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미래위험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감사원의 역할과 미국 감사원(GAO)의 미래예견적・선제적 감사활동을 분석한다. 또한 우리나라 공무원을 대상으로 감사원의 미래 역할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했으며, 중앙/지방정부 소속별, 직급별 인식의 차이를 집단 간 평균비교를 실시하고, 감사원의 미래 역할에 대한 중요도-성과의 인식 차이(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향후 감사원의 감사활동(Audit and Inspection, AI) 변화 방향으로 예견적 감사(Anticipatory AI), 데이터 기반 감사(Data-based AI), 민첩한 감사(Agile AI), 회복탄력적 감사(Resilient AI)를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자치분권을 위한 자체감사의 역할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신민철,김성수 감사연구원 2018 감사논집 Vol.- No.31

        Local autonomy and the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practically affect residents’ living based on local autonomy and authority expansion from residents’ welfare and participation assurance aspect. Local responsibility consolid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local authority expansion, and thus importance of the internal audit system is gradually emphasized from such an aspect. This study seeks problem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internal audit agencies from the extended discussion of the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This study theoretically pursues purpose and role of internal audit for local governments in the local autonomy era, and als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nternal audit in the future. The analysis and discussion of internal audit agencies, centered on Seoul’s internal audit system,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 status analysis, centered on status data of internal audit agencies by each level of Seoul, was carried out. To fortify the analytical persp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ose engaged in the internal audit agencies of Seoul, and analyzed internal audit activity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internal audit agencies of Seoul lacked in independence/autonomy, professionalism, and cooperation, despite various effor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exclusively for audit and appointment of external auditors as an open position. Support from the physical aspect including budget, manpower expansion, and incentives, efforts to ensure personnel’s professionalism, and formal cooperative relationships were confirmed to be insufficient. This study especially pointed out audit activities, focused on uncovering and perfunctory routine audit system operation as problems. New role shift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audit agencies is needed to complement such problems and cement the role of internal audit agencies. In addition, internal audit agencies’ independence consolidation, competence fortification support, and practic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internal audit agencies need to be invigorated in the future. 자치분권은 지방의 자율과 권한 확대를 기반으로 주민복리와 참여 등 주민들의 삶에 실질적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자치분권의 강화는 필연적으로 지방스스로의 책임성이 전제된다는 점에서 자체감사제도 역할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권 논의의 연장선에서 현재 자체감사기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다층적 구조로 연계되어 있는 서울시 공공부문 자체감사기구를 사례로자체감사의 업무구조와 활동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자치분권 시대자체감사의 역할론을 크게 독립성, 전문성, 공정성, 협력성, 실효성 등으로 구분하고 조직 특성에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본청 자체감사기구의 경우 독립성 관점에서 감사전담기구 설치와 외부개방직감사의 임용 등 제도적 구조는 타 자체감사기구보다 높은 관심을 보이는 반면, 실제 감사기구의권한과 지위 독립성에 대한 인식은 투자‧출연기관 등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과 관련해서는 교육훈련 및 인센티브 제도 운용에 있어 기관특성에 맞는 감사절차와 기준 등 매뉴얼의 구축과 활용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공정성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의감사조치가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투명성 확보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으며, 협력성의 경우 주로 상위기관에 대한 협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민간 전문가 및 타 기관과의 협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효성의 경우 서울시 자체감사의 복무, 특정감사 비중이 높고 감사업무 외 타 지원활동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내부통제 기능 및 감사 본연의 역할집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체감사기구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중앙과 지방 감사기구 간 새로운 역할 전환이 필요할 것이며, 자체감사기구 독립성 강화 및 역량 강화 지원, 감사기구 간 실질적 교류와 협력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감사원 심사청구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감사원 심사청구 결정의 실효성 확보를 중심으로 -

        김희진 감사연구원 2018 감사논집 Vol.- No.31

        In the event of passing the Decision of the BAI’s Claims System through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Audit and Inspection Act 1994, appellate procedure of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is exempt and the administrative measure that is passed through the Decision of the BAI’s Claims System by the revision of the BAI Act 1995 was able to fil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within 60days.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Claims System is made as a whole proces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case that the claim is set to be judged based on the required administrative judgment principle, such as tax treatment,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meeting requirements. If it is not the case of the necessary administrative decision-making system, utilization rate is not so much high in free of effectiveness of the decision of the BAI’s Claims system. Although the BAI’s Claims System is set up as a system to relieve the public's rights, the BAI failed to enact regulations with correspond to such speed as administrative judgment or decis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does.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decision of the BAI’s Claims system was not effective in various case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BAI’s Claim System can be utilized in various cas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recognizing the increased speed and execution of the decision of the BAI’s Claims system.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the BAI by looking at the BAI’s status and authority and clarifies differences in other right-rescue measures, such as administrative trials and lawsuits. In additio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will present the problems of the BAI’s claims system and how to improve them. Through the study, the BAI’s claims system will be able to be invigorative as the public’s right-rescue measure by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cision of the BAI’s claims system. 1994년 「국세기본법」의 개정으로 감사원 심사청구 결정을 거친 경우 「국세기본법」의 불복절차가 면제되고, 1995년 「감사원법」 개정에 의하여 감사원의 심사청구 및 결정을 거친 행정처분에 대하여는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되었다. 감사원 심사청구는 행정심판보다 청구인적격, 대상적격 측면에서 제기요건의 충족이 유리하여과세처분과 같은 필요적 행정심판전치주의를 규정한 사건인 경우, 행정소송의 전심절차로서 감사원 심사청구가 운용되고 있다. 한편 필요적 행정심판전치주의가 아닌 사건에서는 실효성 없는 감사원 심사청구 결정 효력으로 인해 활용도가 높지 않다. 이는 감사원 심사청구가 국민의 권익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로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사원의 기본적인 역할인 감사기능에 치우쳐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의판결과 같은 기속력에 해당하는 규정을 제정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감사원 심사청구 결정에대하여 실효성이 담보되지 않아 다양한 사건에서 활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감사원 심사청구제도가 다양한 사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감사원 심사청구 결정에 대하여 강화된 기속력과 집행력 등을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야할 것이다. 본 논문은 감사원의 의의, 감사원의 지위와 권능을 살펴봄으로써 감사원의 위상을 분석하고감사원 심사청구제도의 내용검토를 통해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과 같은 다른 권리구제수단과의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감사원 심사청구제도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감사원 심사청구 결정에 실효성이 확보됨으로써 감사원 심사청구제도가 국민의 권익구제수단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감사의 역량이 공공기관의 청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률,한동숙 감사연구원 2020 감사논집 Vol.- No.34

        The roles of internal auditors in public institutions are important as much as integrity and anti-corruption are. To secure integrity in public institutions, the government obliges them to systemize internal audits an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Though the government monitors internal audits’ capacity as an indicator of evaluation, stu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audits’ capacity on the organizations’ integrity are sca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audits’ expertise and independence or morale as factors of capacity on the organizations’ integrity. We classify the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into four categories, and examine the degree of expertise, independence or morale and integrity by the types. Furthermore, we find that the expertise of internal audits has an impact on their organizations’ integrity.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organizational integrity. 공공기관의 청렴도와 반부패 정립이 중시되는 만큼 조직에서 내부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청렴도 확보를 위해 공공기관은 감사제도를 의무화하거나 감사직무실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감사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있다. 감사의 역량 또한 평가지표로 점검하고 있지만, 감사의 역량이 기관 청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의 역량을 전문성과 독립성・윤리성으로 구분하여 기관 청렴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을 유형에 따라 4개로 구분한 뒤, 전문성, 윤리성・독립성, 청렴도 수준이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관 유형 중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의 상임감사 및 감사위원의 전문성과 청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임감사 및 감사위원의 전문성은 청렴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관 청렴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