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결정요인분석 -시장구조 및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은정,Hwang, Eun-Jeong 대한경영정보학회 2007 경영과 정보연구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structure, measured by Herfindahl-Hershmann Index(HHI), and financial factors, and innovation in Korean industry panel datasets for 2000-2006. Results show that debt ratio and scale of the firm has a con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s more scale of the firm is getting bigger, the investment in R&D decrease. Also, as more debt ratio of firm rise, the investment for innovation increase. Concentration ratio, the HHI and the classification factor of High-tech industry and Low-tech industry has a con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Factors affecting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clude marke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y as well as the internal affairs of the firm.

      • KCI우수등재

        도시재생의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행위자의 특성, 협력의 과정, 그리고 제도적 성과 - 이화 창업 스타트업 52번가 사례를 중심으로 -

        황은정 ( Eunjung Hwang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4

        도시재생에서 예술가나 청년의 역할이 주목 받고 있다. 그리고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 민관 협력과 이해당사자의 참여가 강조되고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열띤 논의가 진행 중이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이론은 중앙정부 주도의 국토계획과 하향식 도시개발의 유산이 남아 있는 현실에서 협력을 이끌어 내는 정부의 역할을 조명하고 이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에 협력적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도시재생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청년몰사업을 사례연구 하였다. 그리고 2016년부터 1년간 수행된 ‘이화 창업 스타트업 52번가’ 사례를 선정하고, 청년몰 정책을 협력적 거버넌스 이론에 비추어 살펴보았다. 먼저 거버넌스의 구성과 참여자의 역량 측면에서 살펴보면 제도형성자로서 중앙정부, 협력의 장으로서 지방정부가 공공부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상인회, 예비창업자가 비공공부문으로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성하였고 함께 도시재생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협력의 과정에서 발전에 대한 참여자 간의 이해와 발전상이 달랐으며, 공식적인 의사소통과 주요 행의자의 의견 수렴과 의사결정이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정책이 공공부문은 인접 지역에서 다른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임대료 동결은 무산되었고, 대부분의 청년 창업자는 지역을 떠나는 결과가 나타났다. In urban regeneration, the role of artists and the young, referred to as the creative class, are drawing attention. As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stakeholder engagement in addressing social issues are emphasiz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ie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have been discussed. In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operative governance is one of the useful framework in explaining the role of the government leading and building cooperation in which the legacy of central government-led land planning and top-down urban development are. In this regard, the youth mall project, which has been spotlighted as a means of urban regeneration, was studied in terms of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aspec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of 'Ewha Start-up 52nd Street' is one of the exemplary case.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of the case was consisted with and collaborated for not only the central government as the institutional organizer, the local government as the venue for cooperation, but also, Ewha Womans' University, the merchant association, and the start-up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the understanding on ‘development’ among participants were different. In addition, formal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were inoperative. As the result, after the program, the cooperative governance in Ewah Star-up youth mall did no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fter the program, the public sector carried out o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neighbouring areas, and rent freezes were abandoned, and starters left the area.

      • KCI등재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적 명성의 동인-다규모적 중재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황은정(Hwang EunJung),이용숙(Lee YongSoo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2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has gained its international fame and contributed to regional development. In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globalizing cultural festival and its success, we create a concept of a multi-scalar mediator as an enabler of strategic coupling between translocal actors and regional assets. We pay analytical attention t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scalar mediators, who has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her/his fields and regions, the multi-scalar networks, and autonomous self-motiv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y can facilitate the strategic coupling between global actors such as global movie directors/film makers/distributors and regional assets and thus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globalizing cultural festivals and eventually regional development. This case study is methodologicall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site visit, and archival analyses. 본 연구는 부산을 영화의 도시로 재탄생시킨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과 그 동인 을 세계생산네트워크 관점에서 설명한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어떻게 국제적 명성 을 획득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세계생산네트워크 논의에서 도출된 ‘전략적 결합’(strategic coupling)에 주목하고 전략적 결합의 작동 기제로 서 ‘다규모적 중재자(multi-scalar mediators)’ 개념을 제시한다. 다규모적 중재자란 지역적 자산과 초국적 행위자 간의 필요를 매개 및 중재하는 일군의 행위자로서 자신들의 전문적 지식, 다규모적 네트워크와 자기 동기화를 바탕으로 지역적 자 산과 초국적 행위자 간의 전략적 필요를 중재한다. 본 연구는 전략적 결합의 기 제를 밝히고 지역개발에서 탈 물질적 가치 창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을 통해 세계생산네트워크의 이론적 논의를 심화한다. 또한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부문을 사례로 다루면서 기업과 제조업 중심의 기존 세계생산네트워크 논의의 지평을 확대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사례연구로서 문헌연구, 심층면접, 참여연구에 기반 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중심으로

        황은정(Hwang Eun Jeong),문숙자(Moon Sook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전남 소재 S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전공만족도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영역에서 가족지지는 모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students from S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in Jeonnam,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5, 2020 to October 23,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Resul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but family support had a full mediating role in all sub-areas. Conclusions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emer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universities need continuous training and support to measure and cultivate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간의 생성 및 재구조화: 몽실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황은정 ( Hwang Eun-jung ),박상현 ( Park Sang-hy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3 공공정책연구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역공간(Liminal space)을 원용해 몽실학교를 검토한다. 몽실학교는 학교이지만, 학교가 아닌 공간, 나아가 마을과 학교가 연계하는 역공간의 정체성을 지닌 공간으로, 도시의 유휴 공간을 성공적으로 재활용한 사례이다. 이러한 몽실학교의 설립과 정은 협력적 거버넌스의 형성과정을 잘 드러낸다. 이 글에서는 역 공간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거버넌스라는 개념 틀을 세우고, 이 공간의 분리, 전이, 통합의 세 단계를 구분해, 공간의 생성과 재구조화 과정을 살핀다. 거버넌스가 형성되기 전 분리 단계, 거버넌스가 형성되는 이행 과정으로서 전이 단계, 마지막으로 협력적 거버넌스가 이뤄지며 실행되는 통합 단계의 세 단계는 각각 몽실학교 공간의 특성변화에 조응한다. 즉, 분리 단계에는 위계적이고 관료적인 공간 특성을, 전이 단계에는 다공성과 다양성의 과정적 특징을, 통합 단계에는 공식, 비공식의 특성을 모두 갖는 경계 공간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 면접, 현장방문, 문헌연구에 근거한 사례 연구를 수행한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analyzes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space creation and restructuring, using Mongsil School as an example.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school successfully utilized urban under-use space, serving as a liminal space linked to both the village and school. Through in-depth interviews, literature review, and field visit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stages of separation, transition, and incorporation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governance and space creation and restructuring.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during each stage of the proc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during the separation stage, governance was not established,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dominated by the bureaucratic system. In the transition stage, the main governance structure was formed, and the space showed characteristics of process space with porosity and diversity. Finally, in the integration stage, cooperative governance was achieved, and the identity of the school as a liminal space that integrates formal and informal elements was established.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space creation and restructuring, with implications for similar initiatives in other contex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OECD 국가의 아동가족복지정책 유형과 아동웰빙의 관계

        황은정(Eun Jeong Hwang),장혜림(Hae Lim Ch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2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아동가족복지정책을 지출 수준과 급여균형성 두 차원에 의거하여 유형화하고, 아동웰빙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아동웰빙 증진을 위한 급여균형성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아동가족복지 지출 수준에 따른 급여제공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대상은 OECD 24개국이고, 자료는 OECD SOCX 가족부문 지출과, UNICEF와 아동종합실태조사의 아동 결핍 지수, 아동 삶의 만족도를 활용하였다. 퍼지셋 분석에 따른 유형화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지출수준이 높은 유형에서 아동의 객관적 웰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출수준이 높은 경우서비스급여중심 유형에서, 지출수준이 낮은 경우 현금급여중심 유형에서 객관적.주관적 웰빙 수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가족복지정책 급여균형성은 지출수준이 낮은 한계점을 보완하여 아동의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제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급여제공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출 수준이 낮은 유형의 국가들은 아동의 객관적 웰빙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출수준을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 둘째, 지출수준이 높은 국가의 경우 서비스급여를, 지출수준이 낮은 국가의 경우 현금급여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동의 객관적 웰빙과 주관적 웰빙을 모두 증진시키는 최선의 전략이 될 수 있다. 셋째, 지출 수준을 단기간에 끌어올리기 어려울 경우 급여균형성 확보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ology of child and family welfare policies, which were based on the level of public expenditures and thebalance of cash and in-kind benefits, and child well-being among OECD countri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o improve welfare benefits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 and family welfare expenditures an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balancing benefits for improved child well-being. The analytic sample was composed of 24 OECD countries. The data included multiple indicators for family welfare expenditures, a child deficiency index, and satisfaction of child life, all of which were collected from multiple external sources, including OECD, UNICEF, and KIHASA. Four types of child and family welfare policies were created through a fuzzy-set analysis: (1) high levels of both welfare expenditures and balancing cash and in-kind benefits; (2) high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but low levels of balancing benefits; (3) low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but high levels of balancing benefits; and (4) low levels of both welfare expenditures and balancing benefits. Each of the two types with low levels of balancing benefits was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 benefits were cash benefits or service-oriented benefits, yielding a total of six types of child and family welfare polic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child and family welfare policies with high levels of public expenditures showed high levels of objective child well-being. Second,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child well-being were high in the type with high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and service-oriented benefits as well as in the type with low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and cash-oriented benefits. Third, balancing cash and in-kind benefits wa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subjective child well-being in a way that complements low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The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child and family welfare benefi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tries with low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need to raise the levels of expenditure steadily to improve objective child well-being. Second,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child well-being could be improved by intensively providing service-oriented benefits in the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and cash-oriented benefits in the countries with low levels of welfare expenditures. Finally, subjective child well-being could be improved by securing the balance of cash and in-kind benefits when it is difficult to raise the level of welfare expenditures in a short period of time.

      • KCI등재

        일개 공공병원 금연클리닉 이용 흡연 환자의 금연 성공 및 유지 요인

        황은정(Eun-Jeong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흡연관련 특성 측면에서 프로그램 시작 6주 후, 12주 후 금연성공 및 유지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2014년 공공보건의료프로그램 중 금연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금연 프로그램은 6주 동안 중재가 진행되며, 12주째 금연 유지 상태를 점검한다. 자료분석방법은 카이제곱 검정,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90명이며, 남자는 85명(94.45%), 여자는 5명(5.55%)으로 대부분 남자였다. 금연프로그램 종료시점인 참여 6주째 금연성공군과 금연실패군간에 가족유형(χ²=4.496, p=0.037), 최종 교육정도(χ²=12.253, p=0.002), 프로그램 참여 전 하루 흡연량 (t=-2.906, p=0.005), 프로그램 참여 전 니코틴의존도(t=-3.081, p=0.003)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금연 프로그램 참여 6주 후 금연성공 요인으로는 종교유무(OR=3.719, 95% CI=1.076-12.859)와 프로그램 참여 전 니코틴의존도(OR=0.713, 95% CI=0.520-0.97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프로그램 참여 12주 후 금연 유지 요인으로는 가족유형(OR=0.017, 95% CI=0.001-0.507)과 금연의지(OR=2.062, 95% CI=1.059-4.01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이 성공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별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 및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patient demographics and smoking factors on smoking cessation success and maintenance of subjects at the 6th and 12th week at a public hospital. This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collected through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of the 2014 public health care program, which is mediated for 6 weeks and checked for maintenance on the 12th week.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90 subjects in total, 85 men (94.45%) and 5 women (5.55%). The smoking success group and smoking failur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type (χ²=4.496, p=0.037), education (χ²=12.253, p=0.002), smoking amount per day before program (t=-2.906, p=0.005), and nicotine dependence before program (t=-3.081, p=0.003) after 6 weeks.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success were religion (OR=3.719, 95% CI=1.076-12.859) and nicotine dependence before program (OR=0.713, 95% CI=0.520-0.976).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maintenance were family type (OR=0.017, 95% CI=0.001-0.507) and no-smoking willingness (OR=2.062, 95% CI=1.059-4.015). For smoking cessation to be successful and sustaina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specific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cordingly, continuous research and support are needed.

      • KCI등재

        남녀 독거노인의 행복감 예측요인 비교 연구

        황은정(Eun Jeong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독거노인과 여자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물리적 환경 만족도, 사회적 연결망, 사회활동의 정기적 참여, 주관적 건강수준, 우울감을 중심으로 행복의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로부터 총 2,768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은 Chi-square test, Mann-Whitney test,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는 605명(21.86%), 여자는 2,163명(78.14%)이었다. 이 연구결과, 남자 독거노인의 유의한 행복 예측요인은 월평균 수입(OR=2.363, 95% CI=1.473-3.791), 기초생활수급권자 여부(OR=1.903, 95% CI=1.144-3.167), 이웃과의 신뢰(OR=2.018, 95% CI=1.263-3.225), 종교활동 참여(OR=2.098, 95% CI=1.314-3.349), 주관적 건강수준(OR=2.753, 95% CI=1.217-6.228), 우울감(OR=0.852, 95% CI=0.803-0.905)이었다. 여자 독거노인의 유의한 행복 예측요인은 월평균수입(OR=2.407 95% CI=1.362-4.253), 기초생활수급권자 여부(OR=1.350, 95% CI=1.019-1.788), 친구와의 접촉빈도(OR=1.879, 95% CI=1.323-2.669), 종교활동 참여(OR=1.372, 95% CI=1.124-1.676), 여가/레저 활동 참여(OR=1.608, 95% CI=1.161-2.228), 주관적 건강수준(OR=5.327, 95% CI=1.347-21.070), 우울감(OR=0.864, 95% CI=0.840-0.890)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자 독거노인과 여자 독거노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고려하여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predict happiness among aged males and females who live alone, and we focused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socio-physical environment, their social network, regula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if they suffer from depression. A total of 2,76 people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ir average age was 65 years old, they lived alone and all of them were selected from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The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Chi-square test, the Mann-Whitney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s were 605 males (21.86%) and 2,163 females (78.14%).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of happiness for aged males living alone were monthly income (OR=2.363, 95% CI=1.473-3.791), basic livelihood rights (OR=1.903, 95% CI=1.144-3.167), trusting their neighbors (OR=2.018, 95% CI=1.263-3.225), religious activities (OR=2.098, 95% CI=1.314-3.349), subjective health (OR=2.753, 95% CI=1.217-6.228), and depression (OR=0.852, 95% CI=0.803-0.905).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of happiness for aged females living alone were income (OR=2.407 95% CI=1.362-4.253), basic livelihood rights (OR=1.350, 95% CI=1.019-1.788), contact with friends (OR=1.879, 95% CI=1.323-2.669), religious activities (OR=1.372, 95% CI=1.124-1.676), recreation/leisure activities (OR=1.608, 95% CI=1.161-2.228), subjective health (OR=5.327, 95% CI=1.347-21.070), and depression (OR=0.864, 95% CI=0.840-0.890). In conclusion, programs to enhance happiness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ged Korean males and females who live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