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피론주의와 칸트의 비판 철학

        황설중(Sul Joong Hwang)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3

        칸트가 철학적으로 극복하려고 시도했던 난제 중의 하나가 회의주의였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흄의 회의주의는 철학의 스캔들을 만천하에 공표하였다. 그렇지만 칸트를 독단적인 선잠에서 깨운 것이 흄의 회의주의만은 아니다. 칸트의 고백에 따르면, 그를 독단적인 선잠에서뿐만 아니라 철학을 독단적인 선잠에서 깨운 것은 이율배반이다. 이율배반은 동등한 권리를 갖고 갈등하는 논변을 맞세움으로써 판단의 미결성을 초래하는 우리 이성의 기이한 현상이다. 그런데 이것은 저 고대의 피론주의자들이 독단주의자를 공격할 때 사용한 전형적인 수법이었다. 따라서 칸트가 회의주의에 대한 방어망을 구축할 때, 그것은 근세의 흄의 회의주의와 더불어 고대의 피론주의의 공격도 견디어 낼 수 있는 것이어야 했다. 그것이 바로 칸트의 초월 철학이다. 칸트는 경험적 실재론과 초월적 관념론을 통해 흄의 회의주의와 (부분적으로) 피론주의에 대답하였다. 그리고 이율배반의 해결을 통해 마침내 피론주의가 자리 잡고 있었던 터전이 오류와 가상임을 밝혀내었다고 믿었다. 이성의 자기비판을 수행함으로써 칸트는 회의주의 일반을 물리쳤다고 자신하였다. 그러나 피론주의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피론주의자의 복수를 칸트에게 대행해 주는 인물은 헤겔이다. 헤겔은 피론주의자들이 진정 제기하고자 했던 물음을 칸트가 오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헤겔은 피론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논리적인 모순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자각을 칸트의 실패를 보면서 얻게 되었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Kant was trying to overcome scepticism. Hume disclosed a scandal of philosophy and universal human reason. According to him, we could have only high probable knowledge, never absolutely necessary and universal one. How to remove the scandal of philosophy was the difficult business of the critique of reason itself. Hume awakened Kant from his dogmatic slumber. But above all, it were pyrrhonian antinomies that awakened kant from his dogmatic rest and philosophy from its dogmatic slumber. Antinomies are the apparent conflicts between thesis and antithesis. Both stand in opposition with equally plausible principles of pure reason. Antinomies are philosophical conflicts that cannot be avoided and solved in principle by any dogmatic assertions. By the way, these were the philosophical skills that the ancient pyrrhonists contrived to make an attack against dogmatists who claimed to discover the truth. So, Kant had to build a theory invulnerable not only to Hume's modern scepticism but also to ancient pyrrhonism. This defence network was the so-called transcendental philosophy of Kant. Kant answered Hume with his transcendental idealism and empirical realism. And he refuted pyrrhonists by solving antinomies. They are, in fact, the mistake of extending what holds merely for appearances to things in themselves. In short, false illusions. But pyrrhonists are not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Kant's response to scepticism. It was Hegel who got pyrrhonist's revenge on Kant. Hegel thought that Kant failed to take the core of pyrrhonian scepticism sufficiently into account. Seeing Kant's failure, Hegel recognized that a philosopher must solve the contradiction of logical concepts to overcome pyrrhonism.

      • KCI등재

        2부 헤겔논문 : 얼굴과 폭력 그리고 사랑 -레비나스와 헤겔을 중심으로-

        황설중 ( Sul Joong Hwang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현대 철학자들 가운데 얼굴을 정면으로 주제화한 인물은 레비나스이다. 그는 타인의 얼굴을 자기 철학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그가 보기에, 서구의 현대사가 야만과 폭력으로 점철된 것은 바로 동일성과 전체성의 철학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폭력이 난무하도록 이론적 자양분을 제공한 대표적인 철학자로 레비나스는 헤겔을 지목하고 있다. 헤겔 철학에서는 동일성에 포섭되지 않는 타자란 존재하지 않는다. 레비나스는 타인의 얼굴을 통해 헤겔 변증법이 의존하고 있는 전체화에 저항함으로써 폭력이 아니라 평화가 우리의 삶에 깃들기를 간구하고 있다. 그러나 레비나스만큼 사랑을 추구했고, 사랑을 철학 자체의 원리로 삼으려고 했고, 식어버린 사랑을 부활시키려 했던 철학자가 바로 청년 헤겔이다. 그는 사랑을 통해서만 주관과 객관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헤겔은 사랑을 추구하는 가운데 사랑의 형이상학이 빠질 수밖에 없는 맹점을 간파하기에 이르렀다. 사랑은 과도한 주관적인 열정으로 인해 사람들을 광신으로 이끌고, 그리하여 사랑의 미명(美名) 아래 끔찍한 만행을 저지르게 만든다. 무엇보다 사랑이 갖는 한계란 그것이 어디까지나 느낌이기에 현실에서 객관적으로 사랑을 실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사유를 할 수 없게 한다는 데에 있다. 역설적이게도 사랑은 현실에서 불쌍한 이웃을 돕고 섬기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만다. 그래서 분명히 레비나스의 얼굴 철학에 열렬히 공감했을 청년 헤겔은 철학의 원리로서 사랑을 포기하였던 것이다. 전체성의 폭력을 조장하기는커녕 오히려 사랑을 구체적으로 현실 속에서 실현하기 위해 청년 헤겔은 사랑에서 상호 인정의 세계로 전향하였다. 레비나스가 헤겔을 비판하는 가운데 놓쳐버린 무엇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사랑을 추구하면서 청년 헤겔이 걸어간 사유와 반성의 길일 것이다. Among contemporary philosophers, it is Levinas who does philosophy on the subject of face. He takes the face of others as the starting point of his philosophy. In his view, view, the western modern history has been filled with a lot of barbarous violence because philosophies of identity and totality hav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modern life. Levinas is pointing to Hegel who is a major philosopher nourishing a theoretical basis of actual violence in the world. In Hegelian philosophy, there is no difference which could not be reduced to sameness, no others who could not be included in I(self-consciousness). Levinas tries to resist the Hegelian dialectical totalization by means of the face of others, thereby prays for the peace and devine love. However, surprisingly, it was young Hegel who enthusiastically pursued the love as the principle of philosophy itself as much as Levinas does. Young Hegel strived to revive the love that lost it`s power at his own time and regarded it as the only way to unite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By the way, the pursuit of love made Hegel recognize the blind spot about love metaphysics. Loves has essential nature to lead to fanaticism and commits terrible atrocities under the name of love owing to it`s excessive subjective passion. Moreover, the philosophy of love could be thought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to actualize the love objectively in the real world because love is just sensitive feeling in so far as it is love. Paradoxically, in reality, love reveals it`s limit to helping the poor neighborhood. So young Hegel had to give up the love as the principle of his philosophy while expressing sympathy with the face philosophy of Levinas. Far from encouraging the violence of totality, young Hegel rather changed over from love to mutual recognition for the concrete achievement of love in world. This is perhaps what Levinas is missing in reviewing Hegel philosophy.

      • KCI등재

        헤겔 이론철학에 있어서 자기관계적 부정성의 구조에 관하여

        황설중(Sul Joong Hwang) 철학연구회 1999 哲學硏究 Vol.45 No.-

        헤겔은 사유규정들이 그 자체 스스로 운동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헤겔의 경우 사유규정들이 주관을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사유규정들 스스로가 총체적인 연관을 존재론적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유규정들이 자기운동하는 주체의 지위를 지닌다면, 이제 무엇보다 사유규정들 자체의 변증법적인 운동을 추동하는 방법적 규정으로서의 자기관계적 부정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헨리히는 어떻게 헤겔의 자기관계적 부정성 이론이 자의 이고 직관적인 원칙에 의해서가 아니라 일련의 논리적인 규칙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가를 부정 이론에 관한 그의 여러 논문들 속에서 정밀하게 보여준다. 자기관계적 부정성이 지닌 구조를 순수이론적으로 재구성한 헨리히의 부정이론을 분석하면서, 이 글이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물음의 방향은 대체로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헤겔의 변증법이나 부정 이론을 正·反·合이나 즉자 대자 즉자대자의 도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는 믿음은 정당한가? (2) 헤겔의 자기관계적 부정성이 모든 구별을 동일성 하에 포섭하고, 무관계한 타자를 자기관계를 지니는 타자로 변형시킨다면, 이것은 구별과 타자성을 억압하는 체계를 형성하는 것은 아닌가? (3) 자기관계적 부정성이 매개를 결여한 직접성을 허용할 경우, 헤겔 이론은 새로운 경험적 내용을 흡입할 수 있는 개방성을 갖는 것으로 곧바로 해석할 수 있는가? 이런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찾아봄으로써, 헤겔의 부정 이론을 자명한 것으로 전제하거나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단정적인 태도에 앞서, 헤겔의 변증법적 사유를 좀더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라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흄의 회의주의와 퓌론주의

        황설중(Sul-Joong Hwang)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2 No.-

        애초부터 근세 철학은 퓌론주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퓌론주의에 우호적이든 적대적이든) 필연적으로 ‘퓌론주의에 대한 관계 설정’을 과제로 삼을 수밖에 없다. 흄의 회의주의는 이런 관계 설정의 불가피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로 간주될 수 있다. 흄의 회의주의의 총체적인 모습은 그의 ‘완화된 회의주의’에서 나타난다. 완화된 회의주의란 극단적인 퓌론주의자로서의 흄과 자연주의자로서의 흄의 인과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흄의 완화된 회의주의란 퓌론주의에 대한 이중의 전도이다. 먼저 실천적 영역에서 흄은 자기 자신을 자연에 의해 퓌론주의를 반박할 수 있는 반퓌론주의자로 여기지만, 이때 그는 정작 퓌론주의 자이다. 고대의 퓌론주의자들이야말로 삶의 영위 불가피성을 자각하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연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이론적인 영역에서 흄은 자기 자신을 퓌론주의자로 여기지만, 등치의 방법을 상실하고 순수하게 직접적인 지각을 확실한 전제로 설정함으로써, 흄의 퓌론주의는 실상은 고대 퓌론주의자들이 겨냥하고 있는 독단주의에 속한다. 물론 흄이 퓌론주의를 이중으로 전도시켰다고 해서 그것이 완전히 부정적인 의의만을 갖는 것은 아니다. ‘퓌론주의와의 관계 설정’에서 흄의 중요한 철학적 공헌은 (역설적으로 보이겠지만) “왜 흄의 퓌론주의가 독단주의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가?”를 각성하게 만든 점에 있다. 퓌론주의자 들이 볼 때 무엇인가 절대적으로 확실한 것의 포착에 대한 주장은 모든 철학적 지식의 정당성을 의심하는 그들의 작업과 종국에는 충돌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흄 회의주의가 독단주의로 전락하게 되는 과정은 거꾸로 퓌론주의의 문제를 문제로서 드러날 수 있게 해 주는 동시에, ‘퓌론주의와의 관계 설정’이라는 맥락에서 방향 선회의 기점을 마련해 준다. 흄 회의주의의 퇴락을 통해서 칸트와 헤겔은 퓌론주의의 진정한 이론적 강점이 어디에 있는가를 새삼 깨닫게 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부 일반 논문 : 가다머와 회의주의

        황설중 ( Sul Joong Hwang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7

        이 글의 목표는 가다머가 어떻게 회의주의를 극복하려고 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그가 회의주의와 거리를 두고 있고, 또 그것에 반대하고 있다는 것은 거의 철학적 상식에 속한다. 그렇지만 ??진리와 방법??에서 그가 겨냥하고 있는 회의주의의 정체는 좀처럼 드러나 있지 않다. 이런 불투명성은 회의주의에 대한 대응과 관련해서 가다머가 어떤 점에서 획기적인 전환을 이룩했는지를 모호하게 만든다. 회의주의와의 관계에 있어서 가다머가 개척한 길의 새로움을 충분히 깨달으려면 회의주의를 물리치려는 그의 철학적 기획의 거시적인 맥락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가다머가 대결해야 하는 회의주의 자가 분명하게 밝혀져야 하고, 회의적 논변에 대응하는 보편적 해석학의 이론들이 하나 하나 검토되어야 한다. 이런 연후에야 비로소 ??진리와 방법??에서 가다머가 전개하고 있는 여러 이론들의 진의(眞義)가 좀 더 심도 있게 간취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how Gadamer could overcome scepticism. It is an almost philosophical common sense that he is far from scepticism and even opposed to it. However, the identity of scepticism which Gadamer wants to attack is hidden in Truth and Method. So it is difficult to apprehend the significant changeover he has made in relation to the response to scepticism. If we are to recognize a new way Gadamer has developed in this subject, we have to investigate his philosophical project in the context of long history of philosophy defeating scepticism. Only by this work what Gadamer is trying to say in Truth and Method could be exposed more clearly and concretely.

      • KCI우수등재

        니체와 고대 피론주의 ‒니체의 관점주의와 아이네시데모스의 트로펜을 중심으로‒

        황설중(Sul Joong Hwang)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이 글의 목표는 니체와 고대 피론주의와의 불가분의 관계를 구명하려는 것이다. 나는 단순히 양자의 유사성에 대한 확인을 넘어서, 고대 피론주의자들의 논변 이론이 어떤 점에서 니체의 인식론이라고 할 수 있는 ‘관점주의(perspectivism)’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를 구체적으로 추적하고자 한다. 니체는 서양 철학을 지배해 온 독단주의자들을 공격하고자 하였다. 그들이 얼마나 독단적인 병적 확신에 빠져 있는가를 폭로함으로써 니체는 영혼의 건강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렇게 하기 위해 그는 고대 피론주의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였다. 니체의 관점주의는 고대 피론주의자들의 ‘논변형식들(tropen)’을 차용한 것이다. 초월적이며 영구불변하는 진리 발견을 공언해 왔던 온갖 종류의 독단주의자들을 내리치기 위해 그가 들었던 해머의 정체는 아이네시데모스의 트로펜이었다. 내가 볼 때, 고대 피론주의를 수용함으로써 니체는 자신에게 가해진 비판, 즉 그가 ‘자기 지시적 모순(self-referential inconsistency)’의 오류를 범했다는 혐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얻는다. 이런 해명의 가능성은 좀처럼 다른 지적 경로를 통해서는 확보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니체가 수미일관하게 피론주의자로서 머물러 있었던 것은 아니다. 양자의 결별은 니체가 피론주의자의 공격에 노출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니체가 열어젖힌 철학의 새로우면서도 도발적인 지평을 드러내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philosophy and ancient scepticism, especially pyrrhonism. I try to not only confirm the similarity of the two but investigate specifically how the forms of argument of pyrrhonists, that is tropen, had a decisive influence on Nietzsche’s perspectivism. Nietzsche attempted to attack the dogmatists who had dominated Western philosophy. He wanted to restore the health of their soul by revealing their illness caused by dogmatic convictions. To do so, he accepted fully the arguments which pyrrhonists designed and employed. Nietzsche’s epistemology, namely perspectiveism, consists of the arguments of ancient pyrrhonsm. The hammer he chose to beat down all kinds of dogmatists professing to discover transcendent and permanent truth was the tropen of Aenesidemus. In my view, Nietzsche gains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of self-referential inconsistency by accepting the rhetoric strategy pyrrhonists adopted to escape from the same contradiction. The way of such disentanglement could hardly be obtained through other intellectual channels. Nietzsche did not, however, consistently remain as a pyrrhonian sceptic. The separation of the two means that Nietzsche is exposed to attacks from the pyrrhonists, but on the other hand that he opens up a new but provocative horizon of the philosophy.

      • KCI등재

        데카르트는 회의주의를 극복하였는가?

        황설중(Sul Joong Hwang)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4

        데카르트는 자신이 최초로 회의주의를 물리친 철학자라고 자부하였다. 데카르트가 회의주의자의 의심을 뒤엎어버렸다고 선언했을 때, 이 회의주의는 다름 아닌 고대 회의주의였다. 과연 데카르트는 스스로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고대 회의주의를 영원히 패퇴시켰는가? 가상디에 따르면 데카르트는 이 기획에서 완전히 실패하였다. 그는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여러 논변들을 동원하여 데카르트의 주장이 정당화될 수 없음을 밝히는 데에 몰두하였다. 데카르트가 내세운 진리 기준과 신 존재 증명을 검토하면서 가상디는 데카르트가 독단적인 전제 설정과 순환 논증에 빠졌다고 비판하였다. 가상디와 (가상디가 의존한)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에 의해서 데카르트는 피론주의를 극복하기는커녕 오히려 피론주의에 의해 정복당하는 신세에 놓이게 되었다. 데카르트와 가상디 사이에 전개된 갑론을박은 회의주의의 물음이 어떻게 근세의 여명기에 새롭게 시작되어 근세 철학의 문제틀을 형성하며 전개되어 갔는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指標)라고 할 수 있다. Descartes considered himself to be the first philosopher ever to overturn the doubt of sceptics. It was the ancient sceptics (including pyrrhonists) who seemed to be defeated by the father of modem philosophy. Did Descartes really overcome scepticism? Descartes and Gassendi were the first two significant philosophers among the modem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scepticism, especially of pyrrhonism, as serious key subjects for the knowledge. According to Gassendi, Descartes's plan failed completely. Gassendi devoted himself to disclosing the weakness of Descartes by using of the ancient sceptic skills developed by Sextus Empiricus. Gassendi and Sextus Empiricus showed that Descartes was conquered by pyrrhonists whom Descartes declared to overcome. Their controversy over the conquest of scepticism was a mark which indicates the essential framework of modem philosophy.

      • KCI등재

        버클리와 회의주의

        황설중 ( Sul Joong Hw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4

        "어떻게 회의주의를 근절할 것인가?"하는 물음은 버클리 철학의 가장 핵심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버클리가 회의주의의 위력을 알아챈 것은 당대의 피론주의자였던 벨을 통해서였다. 로크에 대한 벨의 비판을 보면서, 버클리는 마음 밖의 대상에 집착하는 모든 철학은 회의주의의 희생양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버클리는 회의주의를 성립시키는 기본 원리들에 대한 논박을 수행하면서 회의주의자들이 제기한 물음이 사이비 물음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는 우리의 지각에 기초하여 새롭고 확실한 지식을 정초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런 그의 비유물론은 회의주의자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쳤다. 그래서 그는 모든 회의적 반론들을 단 한 번에 잠재울 전가(傳家)의 보도(寶刀)를 꺼내 들었는데, 그것은 영원히 깨어 있는 신이었다. 그러나 신을 입증하기 위해 직관과 반성과 추론의 영역으로 들어서자 그는 또다시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신을 입증하기 위해 추론적 논증을 구사하는 영역이야말로 고대 회의주의자들의 홈-그라운드였기 때문이다. 버클리는 추론의 영역으로 들어서기를 꺼렸지만 회의주의자의 공세를 막아내기 위해 이 세계로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가 모든 것을 해결하고자 몸을 피했던 그곳이 바로 회의주의자들이 창궐하는 본거지였다. 회의주의를 극복하고자 했던 버클리의 기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리고 이렇게 참담한 결과를 빚은 원인은 고대 회의주의자들이 고안해내었고, 데카르트가 원용했던 악마의 가설이었다고 할 수 있다. 버클리의 작업을 통해 흄과 칸트는 회의주의의 문제의 심각성을 목격하게 되었고, 다른 해결 방안을 찾지 않으면 안 되었다. Berkeley recognized a power of scepticism by help of Bayle who was a representative of the ancient pyrrhonism in the modern philosophical history. Seeing Bayle`s criticism of Locke, Berkeley got an insight that all kinds of philosophies searching for an objective reality outside mind had to be a victim of scepticism. How we can eradicate scepticism? This was the central issue that captivated young Berkeley. He was trying to refute the main (four) principles which he thought lead to scepticism. He was so confident to disclose a trick sceptics had played for a long time and to establish a new certain knowledge based on our perception. Sceptics began to attack and demolish an immaterialism citadel as soon as Berkeley was sure that it was invincible. It was danger of falling to the enemy. So He could not help but appeal to the infinite mind (God) staying awake through all eternity. But this is not the end of a problem but the beginning of real difficult trouble.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God he was forced to go into the sphere of inference which had been the typical home ground of sceptics. It was an omnipotent demon hypothesis invented by ancient sceptics and used by Descartes that dealt Berkeley a mortal blow. Berkeley finally failed to refute scepticism, rather sceptics just swallowed Berkely. Berkeley`s defeat made Hume and Kant find another way to overcome scep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