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학의 패러다임은 신기루다 : 사회학의 다중패러다임 논쟁을 중심으로

        황동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paradigm project in sociology’, which attempts to evaluate and measure the growth of sociological knowledge with the concept of paradigm proposed by Thomas Kuhn i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1962), can be successful. According to Kuhn, the scientific community that acquires a dominant paradigm goes through a process of accumulating and clarifying scientific knowledge by puzzle-solving activity of normal science, and as a result, the growth of knowledge that results in a scientific revolution occurs due to the implosion of the paradigm. The ‘paradigm project in sociology’ refers to all attempts to diagnose the state of the discipline in terms of this paradigmatic growth model, thus my question is: “Can Kuhn’s paradigm concept, which explains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be applied to sociology and suggest the growth of sociological knowledge?” However, this project runs into difficulties right from the start, as there is confusion about ‘what exactly a paradigm is’ before it can be applied to sociology. In other words, since paradigm is originally a concept specific to the natural sciences,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what a paradigm corresponds to in sociology in order to apply it to sociology. Sociologists sought to resolve the previous issue by drawing on the work of Masterman, who have similarly criticized the vagueness of paradigm and who then explicitly defines three types of paradigms, and Kuhn, who distinguishes paradigm’s concept into ‘disciplinary matrix’ and ‘exemplar’ which embodies the core meaning of the concept contrary to the former. Ritzer, who will b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argues that unlike the natural sciences, there is no dominant consensus in sociology, and therefore, against Kuhn’s intentions, the ‘disciplinary matrix’ and its counterpart, Masterman’s concept of metaparadigms, which covers a wider range than ‘exemplar’, are appropriate for sociology. Ritzer explicitly defines a paradigm as the broadest consensus or worldview with majority support by the practitioners, and diagnoses sociology as a ‘multiple paradigm science’ composed of social fact, definition, and behavioral paradigms. However, Eckberg-Hill criticizes Ritzer for distorting Kuhn and argues that without the ‘exemplar’ and Masterman’s construct paradigm which explicitly explains exemplar more fruitfully, the growth model of paradigms in sociology will not make any sense. Like Ritzer, however, they acknowledge that there is no dominant paradigm in sociology, but they do suggest ‘potential paradigms’ which might exist in some substantive fields in sociological field. However, The debate between Ritzer and Eckberg-Hill, which goes in circles repeating each other’s arguments and fails to develop in any meaningful way, epitomizes why this project is doomed to failure: they miss out to grasp the Wittgenstein’s ‘rule-following’ aspect of paradigm that Kuhn tried to pin down in his reply to Masterman’s misunderstanding of ‘exemplar’. Paradigm, which is the dominant shared practice agreed upon by the entire scientific community, is the ability and sense of being able to appropriately apply and follow the implicit rules of a set of exemplary practices in a real cases. However, by overlooking the dominant nature of paradigms, Ritzer and Eckberg-Hill, who mistakenly attribute the concept of Kuhn’s view to Masterman, are obsessed with reducing an implicit paradigm to an explicit definition, and thus fail to present not a single dominant view of sociology or a shared practice based on it. Rather, it demonstrates that sociology lacks a common set of rules, and that the analyses that attempt to impose a paradigmatic status on sociology are a result of seeing a mirage, driven by an interest in placing sociology on the same level as the natural sciences. Thus, any paradigmatic project in sociology that ignores the rule-following nature of paradigms will end in failure, and therefore measuring the growth or regression of sociology is impossible by the standard of consensus that Kuhn’s paradigm presupposes. 이 논문에서 나는 토마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1962)에서 제시한 패러다임 개념으로 사회학 지식의 성장을 평가하고 측정하려는 ‘사회학의 패러다임 기획’이 성공할 수 있는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쿤에 따르면, 패러다임을 획득한 과학공동체는 정상과학의 수수께끼 풀이를 통해 과학지식을 누적하고 명료화하는 과정을 거치고, 그 결과 패러다임의 내파로 인해 과학혁명이 발생하는 지식의 성장이 이루어진다. ‘사회학의 패러다임 기획’이란 이러한 패러다임적 성장 모델로 사회학 분과의 상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들을 일컫는다. 따라서 나의 질문은 “과학지식의 성장을 설명하는 쿤의 패러다임 개념은 사회학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회학 지식의 성장을 제시할 수 있는가?”이다. 그러나 이 기획은 바로 그 시작부터 난항을 겪는데, 사회학에 패러다임을 적용하기에 앞서 ‘패러다임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에 대한 혼란이 일어난 것이다. 즉, 패러다임은 애초에 자연과학에 국한된 개념이므로 이것을 사회학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이 사회학의 어떤 것에 대응하는지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사회학자들은 마찬가지로 패러다임의 모호함을 비판하며 이를 3가지 유형의 패러다임으로 명시적으로 정의한 매스터만과 이러한 지적에 패러다임을 ‘전문분야 매트릭스’와 ‘보기’로 구분하고 이 개념의 핵심적인 의미를 후자로 구체화한 쿤의 논의를 기반으로 앞선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사회학의 패러다임적 상태는 어떠한가? 이 논문에서 중심적으로 살펴볼 리처는 자연과학과 달리 사회학에는 지배적인 합의가 없으므로 쿤의 의도와는 달리 ‘보기’보다 넓은 범위를 다루는 ‘전문분야 매트릭스’와 이에 대응하는 매스터만의 메타 패러다임 개념이 사회학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리처는 패러다임을 대다수의 지지를 받는 가장 넓은 범위의 합의 또는 세계관을 의미한다고 명시적으로 정의한 후, 사회학은 사회적 사실, 정의, 행태 패러다임으로 이루어진 다중패러다임적 상태라 진단한다. 그러나 에크버그-힐은 리처가 쿤을 왜곡했다며 패러다임을 ‘보기’와 이를 보다 잘 설명해주는 매스터만의 구성물 패러다임으로 적용하지 않으면 사회학에서 패러다임의 성장 모델 또한 어떠한 의미도 갖지 못할 것이라 비판한다. 하지만 이들은 리처와 마찬가지로 사회학에는 지배적 패러다임이 없다고 인정하면서도, 다만 어떤 실질적인 연구분야에서는 패러다임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리처와 에크버그-힐 간의 논쟁은 각자의 주장을 반복하는 공회전에 빠질 뿐 유의미한 방향으로 전개되지 못했는데, 이는 사회학의 패러다임 기획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왜냐하면 이들은 쿤이 ‘보기’를 통해 매스터만의 오해를 비판하며 보여주고자 했던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따르기’ 측면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패러다임이란 모범적인 여러 사례들을 이루는 암묵적인 규칙을 실제 상황에서 적절하게 적용하고 따라갈 수 있는 능력이자 감각이며, 이는 과학공동체 전체 합의하는 지배적인 공유된 실천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패러다임의 지배적인 성격을 간과한 리처와 에크버그-힐은 매스터만의 지적에 의해 쿤의 보기 개념이 도출되었다고 잘못 이해한 나머지, 암묵적인 패러다임을 명시적인 정의로 환원하는 것에 집착한 결과, 사회학의 지배적인 보기나 이에 기반한 공유된 실천을 전혀 제시하지 못한다. 이는 오히려 사회학에 공통의 규칙 따르기가 부재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학에 패러다임적 상태를 부과하고자 하는 이들의 분석은 사회학을 자연과학과 동일선상에서 두고자 하는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신기루에 불과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따라서 패러다임의 규칙 따르기 성격을 간과한 사회학의 패러다임 기획은 실패할 수밖에 없으며, 사회학의 성장 혹은 퇴보를 측정하는 것은 쿤의 패러다임이 전제하고 있는 ‘합의’라는 기준에 의해서는 불가능하다.

      • 초등학교 저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이야기 말하기에 나타난 문어적 특성

        황동준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어(literate language)란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하는 말이 아닌 일반적으로 형식적인 학교수업, 강연 등에서 사용하는 말을 의미한다. 이처럼 문어는 읽기와 같은 문해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학령전기부터 문어발달이 시작되며 점차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추상적인 단어와 빈도가 낮은 어휘들을 사용한다. 또한 수업 듣기, 토론하기, 쓰기, 읽기 와 같은 학업활동을 통해 문어 발달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언어와 문어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은 문어적으로 경험이 또래보다 적기 때문에 문어를 경험하고 기능, 구조를 내면화하는 기회가 제한되어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또한 문어 발달이 학업이나 학교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일반아동에 비해 문어 발달이 낮은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은 점차적으로 모둠활동 및 의견표현하기와 같은 어려움을 겪어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어의 발달을 통해 학습능력 및 언어발달 등 학업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문어를 통해 아동의 각 언어 하위 영역들의 결함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아동들의 문어적인 특성을 평가하는 일은 꼭 필요한 부분이라 볼 수 있으며 학업수행들을 통해 아동의 문어 능력을 통해 교사는 아이들의 발달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문어를 평가하는 것은 언어치료사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문화에 맞게 개발 된 한 장 그림과제를 통하여 이야기 과제에서의 저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들과 일반아동의 이야기에서 문어적 특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4명으로 총 28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아동들에게 두 개의 한 장 그림을 보여주고 스스로 꾸며 말하기(generation)를 하게 하여 이야기를 수집하였다. 두 집단 아동들의 문어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C-unit당 관형절수,C-unit당 정신동사의 수, C-unit당 발화동사의 수, C-unit당 심리형용사의 수, C-unit당 접속부사 및 일반부사의 수, 그리고 C-unit당 한자어를 산출하고 T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아동들이 산출한 C-unit당 관형절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C-unit당 정신동사, 발화동사, 심리형용사 수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unit당 일반부사와 접속부사의 수에 있어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C-unit당 한자어의 수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들의 문어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관형절이나 한자어와 같은 문어적 항목은 일반적인 언어적 지표보다 언어평가뿐 아니라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언어중재를 위한 방향 설정에도 보다 훨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대상자 수와 불균형한 학년 분포 및 이야기 과제 등의 문제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대상자 수의 확보와 각 학년의 동일한 피험자 배분 등을 통해 방법론적인 문제들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 Three-dimensional nanostructured multilayers from cross-linkable block copolymer

        황동준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work, we fabricated three dimensional nanotemplates using crosslinkable block copolymers (BCPs). We synthesized crosslinkable BCPs, P(S-r-(S-N3))-b-PMMA, in which 1.5 mol % of crosslinkable azide (N3) groups were incorporated. The block composition was controlled to have cylindrical or lamellar microdomains. First, thin films of P(S-r-(S-N3))-b-PMMA block copolymers, exhibiting either perpendicularly oriented cylinders or lamellae, were prepared on the silicon substrates that were neutralized with PS-r-PMMA random copolymers. To construct the BCP multilayers, the films were thermally crosslinked, and then cylinder- or lamellar-forming BCPs were prepared on top without disturbing the underlying layers. Interestingly, it was observed that lamellae on cylinder layers and cylinders on lamellae layers exhibit the perpendicular orientations. This may suggest that the underlying layers could neutralize the interfacial interactions as PS-r-PMMA random copolymers. We attribute such registration to the minimization of wetting energy at the interface, while the perpendicular orientation of lamellae can be also affected by other factors, such as the nematic interaction, quenching of polymer chains at the surface, the substrate roughness, etc. These results demonstrate a promising strategy for designing well-defined 3D nanotemplates for advanced BCP nanolithography.

      • 반도체 산업의 테스트베드 구축에 대한 고찰

        황동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emiconductor industry can be said to be a key industry that has led the domestic industry. The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 is facing a growth limit due to quantitative growth centered on memory semiconductor. This is the system semiconductor market with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the technology to improve precision and refine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highly integrated semiconductors according to the limitations of Moore's Law are at the level of latecomers.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re the basic raw materials, but the localization rate of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production is low due to the lack of technology of domestic suppliers, so raw materials are dependent on imports from abroa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ase study on a test bed that can support the R&D of domestic material, parts and equipment companie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product. As a way to solve such structural problems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how to build a Korean Test-bed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Korea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Test-bed construction case studies and industry survey data analysis. These considerations will be helpful in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materials and parts technolog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creating a robust industrial ecosystem in the actual semiconductor industry by suggesting a support plan for basic performance evaluation prior to application to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Cu-10wt%Sn 소결베어링 제조시 공정변수가 소결특성에 미치는 영향

        황동준 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90wt%Cu-10wt%Sn, oil-less bearing 재료의 소결실험에서 공정변수들 중에서 분말입도, 분말종류, 성형밀도 및 소결온도가 치수변화, rupture strength, 기공률 및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구리분말은 전해동분과 분무환원동분 두 가지를 사용하였으며 분말 입도는 전해동분의 경우 상용분말 ECu-200. ECu-325, 분급된 분말인 -200~+325mesh 및 -325mesh를 사용하였고 분무환원동분은 ACu-140, ACu-325, 분급된 분말 -200~+325mesh를 사용하였다. 시편은 이론밀도의 70%, 75%. 80%로 성형되었고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740도와 800도 온도에서 소결되었다. 성형체의 소결 전후 치수를 비교하여 보면 Herring의 이론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분말입도가 작을수록 수축이 일어났으며 성형밀도가 낮을수록, 소결온도가 높을수록, 소결후 수축이 일어났으며 분무환원동분 보다 전해동분의 치수변화율이 더 크다. Rupture strength는 미세한 분말의 분포가 더 높은 전해동분이 분무환원동분 보다 높았으며 성형밀도가 높고 소결온도가 높을수폭 강도가 높다. 소결온도가 높을수록 합금화가 더 진행되기 때문에 강도는 소결온도 증가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기공률 및 함유량은 분무환원동분을 사용한 시편에 1차기공인 공극이 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해동분 보다 분무환원동분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석 성형밀도가 낮고 소결온도가 높을수록 용융량이 많아지면서 용융액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2차기공인 주석분말 자리가 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높게 나타났다. The dimensional change along with the microstructure, particularly the pore structures, and the sintered strength after the sintering of Cu-10wt%Sn bronze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s to the size and shape of copper powder, compaction density and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ing the compaction density generally decreased shrinkage rate at all conditions. Electrolytic copper powder having high surface area produced more dimensional change and distortion than atomized copper powder, but the effect is much more pronounced at the higher sintering temperature of 800℃. Little difference in dimensional chang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powders when sintered at 740℃ at all compaction densities. The lower sintering temperature produced a better dimensional change stability but a much lower sintered strength. At all processing conditions, the ratio of open porosity to total porosity is higher and the pores are more uniformly distributed when atomized powder was used. The differences of the dimensional change, pore structure and the strength can be explained by comparing the relative amount of the transient liquid phase formed and the duration of it's existence in regards to the shape and the extent of the boundaries between the copper powders during the sintering.

      • 이웃한 두 개의 원형 실린더 주위의 유동 및 입자 거동 해석

        황동준 금오공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Numerical simulations of particle-laden flow around two nearby circular cylinders are carried out for side-by-side and tandem arrangement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particle Stokes number and the spacing between two cylinders on the particle dispersion and deposit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flow structure. The motion of particles is calculated by a Lagrangian approach based on one-way coupling. Results show that the particle dispersion pattern changes significantly due to the modification of wake structure for both cylinder arrangements. However, only the tandem arrangement affects the particle deposition strongly, especially on the downstream cylinder. The deposition efficiency of downstream cylinder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single cylinder and it becomes zero for small cylinder spac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