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HPLC를 이용한 고려인삼 중 진세노사이드 Rb₁, Rf 및 Rg₁의 신속분석 방법 개발

        홍희도(Hee-Do Hong),최상윤(Sang Yoon Choi),김영찬(Young-Chan Kim),이영철(Young-Chul Lee),조장원(Chang-Won Cho) 고려인삼학회 2009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3 No.1

        진세노사이드 Rb₁, Rg₁의 경우 인삼의 주요 지표성분으로서 건강기능식품법 등 국내 주요 규격 뿐 만 아니라 Codex 등 국제 규격에서도 주요한 품질지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KS 방법 및 2008년 8월부터 실효된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에 제시되어 있는 HPLC를 이용한 Rb₁, Rg₁ 분석법의 경우 분석시간이 각각 90분, 70분으로 매우 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HPLC 방법을 개선하여 진세노사이드 Rb₁, Rg₁ 및 고려인삼 특이 진세노사이드 Rf를 단시간(50분)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 후 개발된 분석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컬럼은 μ-Bondapak C18 column(3.9×300 ㎜, 10 ㎛), 이동상 용매는 water, acetonitrile로 기울기 용리를 사용하였으며, 검출파장은 203 ㎚, 이동상의 유속은 1.6 mL/min이었으며 분석온도는 35oC, 시료주입량은 20 ㎕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조건에서의 각 진세노사이드 머무름 시간(RT)은 Rg1(17.6분), Rf(18.2분), Rb1(39.1분)이었다. 진세노사이드 3종에 대한 표준검정곡선은 0.01~1.00 ㎎/mL 농도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회수율은 0.125~0.575 ㎎/mL의 농도범위에서 101.1~115.0%으로 양호하였으며, 일내(intra-day)와 일간(inter-day) 정밀도(RSD)는 0.1~2.8%, 0.7~3.2%이었다. 따라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인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Rb₁, Rg₁, Rf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imple gradient HPLC method for rapid determination of major ginsenosides (Rg₁ and Rb₁) and unique ginsenoside (Rf)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as developed. Within 50 min, three ginsenosides have been separated and identified on μ-Bondapak C18 column (3.9×300 ㎜, 10 ㎛) with gradient elution using water and acetonitrile as a mobile phase. The method was validated in terms of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for calibration curves of ginsenosides were over 0.9997. The developed HPLC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analysis of ginseng samples and the recoveries of ginsenosides were in the range of 101.1~115% with RSD<3.2%. The developed method could be used for rapid evaluation of the ginsenosides Rg₁, Rb₁, and Rf.

      • SCIESCOPUSKCI등재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홍희도(Hee-Do Hong),김영찬(Young-Chan Kim),노정해(Jeonghae Rho),김경탁(Kyung-Tack Kim),이영철(Young-Chul Lee) 고려인삼학회 200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1 No.3

        국내 인삼은 대부분이 수삼 또는 백삼, 홍삼 등의 1차 가공제품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서는 인삼의 효능 및 성분 강화를 위하여 발효, 가압처리, 고온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5년근 수삼을 이용하여 9회의 증숙과 열풍건조를 반복 수행하면서 중량, 색도, 갈변도, 수분, 당류, 산성다당체, 총 페놀화합물, 조사포닌 및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의 경우 초기 73.4%에서 3회 처리 시 21.2%까지 감소하고 이후 9회 처리 시 13.7%까지 감소하였다. 최종 중량수율은 약 21.0%, 건물기준 최종수율은 79.0%이었다. 색의 경우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갈변도는 3회 증숙처리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총당은 초기 55.4%에서 9회 처리 시 38.6%로 감소한 반면 산성다당체 함량은 4.4%에서 6.8%까지 증가하였다. 총페놀함량은 초기 0.4%에서 3회 처리 시 0.9%로 9회 처리 시에는 3.6%까지 증가하였다. 물포화부탄올 추출물 즉 조사포닌 함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주요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ginsenoside Rb₁, Rb₂, Rg₁, Re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Rg₂, Rh₁, Rg₃등의 홍삼 특이성분 함량은 5번 증숙처리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sh Korean ginseng during repeated 9 times steaming processes, steaming 90~95oC for 1~3 hr followed by hot air-drying at 50oC for 36~48 hr, were investigated. The water contents decreased from 73.4% of fresh ginseng to 13.7% finally. The final yields in bases of total weights and dry matter were 21.0% and 79.0%, respectively. As the times of steaming processes increased, lightness (L value) decreased and redness (a value) increased in color of ginseng powder. Browning index also rapidly increased after 3 times of steaming process in particular. Total water soluble sugar contents decreased from 55.4% in fresh to 38.6% in final processed ginseng, but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s increased by about 50% with increasing times of steaming process.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epeated steaming processes especially after 5 times of steaming processes and crude saponin contents also increased in some degree. In the case of major ginsenosides, the contents of Rb₁, Rb₂, Rg₁, Re (representative ginsenosides in fresh ginseng) decreased, but those of Rg₂, Rh₁, Rg₃ (unique ginsenosides in red ginseng) increased after especially 5 times of steaming processes.

      • SCIESCOPUSKCI등재

        HPLC를 이용한 고려인삼 중 진세노사이드 Rb<sub>1</sub>, Rf 및 Rg<sub>1</sub>의 신속분석 방법 개발

        홍희도,최상윤,김영찬,이영철,조장원,Hong, Hee-Do,Choi, Sang-Yoon,Kim, Young-Chan,Lee, Young-Chul,Cho, Chang-Won 고려인삼학회 2009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3 No.1

        진세노사이드 $Rb_1$, $Rg_1$의 경우 인삼의 주요 지표성분으로서 건강기능식품법 등 국내 주요 규격 뿐 만 아니라 Codex 등 국제 규격에서도 주요한 품질지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KS 방법 및 2008년 8월부터 실효된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에 제시되어 있는 HPLC를 이용한 $Rb_1$, $Rg_1$ 분석법의 경우 분석시간이 각각 90분, 70분으로 매우 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HPLC 방법을 개선하여 진세노사이드 $Rb_1$, $Rg_1$ 및 고려인삼 특이 진세노사이드 겐를 단시간(50분)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 후 개발된 분석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컬럼은 $\mu$-Bondapak $C_{18}$ column($3.9{\times}300\;mm$, $10{\mu}m$), 이동상 용매는 water, acetonitrile로 기울기 용리를 사용하였으며, 검출파장은 203nm 이동상의 유속은 1.6mL/mm이었으며 분석온도는 $35^{\circ}C$, 시료주입량은 $20{\mu}L$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조건에서의 각 진세노사이드 머무름 시간(RT)은 $Rg_1$(17.6분), Rf(18.2분), $Rb_1$(39.1분)이었다. 진세노사이드 3종에 대한 표준검정곡선은 $0.01{\sim}1.00\;mg/mL$ 농도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회수율은 $0.125{\sim}0.575\;mg/mL$의 농도범위에서 $101.1{\sim}l15.0%$으로 양호하였으며, 일내(intra-day)와 일간 (inter-day) 정밀도(RSD)는 $0.{\sim}2.8%$, $0.7{\sim}3.2%$이었다. 따라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인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Rb_1$, $Rg_1$, Rf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imple gradient HPLC method for rapid determination of major ginsenosides ($Rg_1$ and $Rb_1$) and unique ginsenoside (Rf)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as developed. Within 50min, three ginsenosides have been separated and identified on $\mu$-Bondapak $C_{18}$ column ($3.9{\times}300\;mm$, $10{\mu}m$) with gradient elution using water and acetonitrile as a mobile phase. The method was validated in terms of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2$) for calibration curves of ginsenosides were over 0.9997. The developed HPLC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analysis of ginseng samples and the recoveries of ginsenosides were in the range of $101.1{\sim}115%$ with RSD<3.2%. The developed method could be used for rapid evaluation of the ginsenosides $Rg_1$, $Rb_1$, and Rf.

      • KCI등재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홍희도,김영찬,노정해,김경탁,이영철,Hong, Hee-Do,Kim, Young-Chan,Rho, Jeong-Hae,Kim, Kyung-Tack,Lee, Young-Chul 고려인삼학회 200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1 No.4

        국내 인삼은 대부분이 수삼 또는 백삼, 홍삼 등의 1차 가공제품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서는 인삼의 효능 및 성분 강화를 위하여 발효, 가압처리, 고온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5년근 수삼을 이용하여 9회의 증숙과 열풍건조를 반복 수행하면서 중량, 색도, 갈변도, 수분, 당류, 산성다당체, 총 페놀화합물, 조사포닌 및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의 경우 초기 73.4%에서 3회 처리 시 21.2%까지 감소하고 이후 9회 처리 시 13.7%까지 감소하였다. 최종 중량수율은 약 21.0%, 건물기준 최종수율은 79.0%이었다. 색의 경우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갈변도는 3회 증숙처리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총당은 초기 55.4%에서 9회 처리 시 38.6%로 감소한 반면 산성다당체 함량은 4.4%에서 6.8온까지 증가하였다. 총페놀함량은 초기 0.4%에서 3회 처리 시 0.9%로 9회 처리 시에는 3.6%까지 증가하였다. 물포화부탄올 추출물 즉 조사포닌 함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주요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ginseno-side $Rb_1$, $Rb_2$, $Rg_1$, Re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Rg_2$, $Rh_1$, $Rg_3$ 등의 홍삼 특이성분 함량은 5번 증숙처리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sh Korean ginseng during repeated 9 times steaming processes, steaming $90{\sim}95^{\circ}C$ for $1{\sim}3\;hr$ followed by hot air-drying at $50^{\circ}C$ for $36{\sim}48\;hr$, were investigated. The water contents decreased from 73.4% of fresh ginseng to 13.7% finally. The final yields in bases of total weights and dry matter were 21.0% and 79.0%, respectively. As the times of steaming processes increased, lightness (L value) decreased and redness (a value) increased in color of ginseng powder. Browning index also rapidly increased after 3 times of steaming process in particular. Total water soluble sugar contents decreased from 55.4% in fresh to 38.6% in final processed ginseng, but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s increased by about 50% with increasing times of steaming process.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epeated steaming processes especially after 5 times of steaming processes and crude saponin contents also increased in some degree. In the case of major ginsenosides, the contents of $Rb_1$, $Rb_2$, $Rg_1$, Re (representative ginsenosides in fresh ginseng) decreased, but those of $Rg_2$, $Rh_1$, $Rg_3$ (unique ginsenosides in red ginseng) increased after especially 5 times of steaming processes.

      • SCIEKCI등재
      • KCI등재

        고려인삼 추출물이 고온환경에 노출된 흰쥐에 미치는 영향

        홍희도(Hee-Do Hong),김영찬(Young-Chan Kim),최상윤(Sang-Yoon Choi),노정해(Jeonghae Rho),이영철(Young-Chul Lee),서주연(Joo-Yeon Seo) 고려인삼학회 2006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0 No.4

        주기적인 고온환경 부가와 백삼 및 홍삼 추출물의 투여가 흰쥐의 체중, 식이섭취량, 혈액성분, 장기중량 및 간의 지질과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모델 실험결과, 매일 38oC에서 5시간씩 7일간 고온환경을 부가한 경우 주당 평균체중 증가률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뚜렷한 식이섭취량 변화는 없었다. 반면 고온환경 부가전후에 백삼과 홍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고온환경 부가에 따른 평균 체중증가률 감소가 억제되었다. 고온환경 부가에 의한 혈액성분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적혈구수와 혈색소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백혈구수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인삼 추출물 투여는 백혈구수 증가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온환경 부가에 따라 장기중 간 장의 중량비가 감소하였고 간의 MDA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인삼 추출물 투여시에 고온환경부가에 따른 간의 중량감소 및 MDA 함량 증가 등의 변화도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간의 중량변화 및 간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에 있어서는 백삼보다 홍삼 추출물의 효과가 다소 우수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다. 향후 인삼중의 유효성분 구명이나 관련 물질 들의 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고온 등 급격한 주위환경가 변화에 대한 인삼의 생체항상성 유지효과를 일부 증명할 수 있는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It was investigated that how the periodic exposure to heat environment, and the treatment of Korean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had effects on the weight, diet uptake, blood components, organ weight, and the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male S.D. rats. In the result of experiments using rats, chronic heat environment for 7 days at 38oC, 5 hrs per day, induced significant decrease of an average increase rate of body weight, but diet uptake was not affected clearly. In heat environment, the number of red blood cells and hemoglobin were not changed, but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ver weight against body weight was decreased in rats. Also, MDA contents, related to lipid peroxidation,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rat liver by heat environment. These physiological changes were attenuated by treatments of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heat environment, particularly in growth rate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Also, red ginseng extracts had a better effect, though it was not that significant, than the white ginseng on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weight change of liver. Alth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ive components and the study on the activity changes of associated materials are needed to perform, these present results imply that Korean ginseng may contribute to protection of body homeostasis against drastic climate changes.

      • KCI등재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정경희,홍희도,조장원,이민영,최웅규,김영찬,Jung, Kyung Hee,Hong, Hee-Do,Cho, Chang-Won,Lee, Min-Young,Choi, Ung-Kyu,Kim, Young-Cha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 처리를 통한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산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총 페놀 함량은 14.76 mg/g으로 기존의 수삼 3.59 mg/g과 홍삼 3.93 mg/g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은 농도 $1{\sim}100mg/m{\ell}$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4.8~78.4%, 수삼 1.0~47.4%, 홍삼 1.8~56.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고온고압 처리 홍삼 8.9~99.8%, 수삼 3.4~96%, 홍삼 1.2~96.5%를 보였다. 신규 홍삼에서는 maltol,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산 성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페놀산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ell}$의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81.5%로 수삼 16.6%와 홍삼 32.9%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THP ginse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inseng) with improv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acid composition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rocess. The HTHP ginseng extract was analyzed for the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enolic acid composition.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increased in HTHP ginseng (14.76 mg/g) compared to raw ginseng (3.59 mg/g) and red ginseng (3.93 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THP ginseng, raw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s were 4.8~78.4%, 1~47.4% and 1.8~56.5% at $1{\sim}100mg/m{\ell}$ concentration. Also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THP ginseng, raw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s were 8.9~99.8%, 3.4~96% and 1.2~96.5% at $1{\sim}100mg/m{\ell}$ concentration. In HPLC analysis, amounts of measured phenolic acid of HTHP ginseng greatly increased than raw ginseng and red ginseng, but salicylic acid was not detected in HTHP ginseng.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olic acid from HTHP ginseng was increased. Consequently, we believ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rocess is better method than existing method to increase the bioactivity of ginseng.

      • KCI등재

        발효 조건이 막걸리 술덧 유래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에 미치는 효과

        이영경(Young Kyoung Rhee),남소현(So-Hyun Nam),김혜련(Hye-Ryun Kim),조장원(Chang-Won Cho),이영철(Young-Chul Lee),김영찬(Young-Chan Kim),홍희도(Young-Ch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2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중적인 한국의 전통주 막걸리의 제조과정이 기능성 분획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ae 균주별, 발효온도별, 발효기간 별로 다르게 만든 막걸리로부터 ethanol 침전법을 이용해 crude polysaccharides(CP-M)를 분리하여 peritoneal macrophage 활성화 효과와 세포 배양액 중의 interleukin(IL)-6와 -12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cerevisae 89-1-1, 98-2, 268-3, 113-4의 4가지 효모 중 S. cerevisae 113-4로 발효한 CP-M을 peritoneal macrophage에 10 ㎍/mL 처리했을 때 세포 배양액 중 nitric oxide(NO) 농도 33.3 ㎛로 가장 높았으며, IL-6와 -12의 농도 역시 116.3 pg/mL와 59.8 p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 cerevisae 113-4를 접종하여 온도별로 발효한 발효물에서 분리한 CP-M 중 25℃에서 발효 후 얻은 CP-M을 peritoneal macrophage 세포에 처리했을 때, NO 농도가 Control 대비 2.7∼3.3배, IL-6 농도는 5.7배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15, 20, 30℃에서 발효하여 얻은 CP-M의 경우 peritoneal macrophage의 NO와 IL-6 생성량에는 Control(무처리구)과 비교하여 영향이 없었다. 발효기간별 영향을 관찰한 결과 5일째 술덧에서 분리한 CP-M에 의한 NO 생성량이 가장 높아 0일째 MCP에 비해 2.2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급격하게 IL-6와 -12의 농도가 감소한 10일째 MCP를 제외하고는 발효기간에 따른 IL-6와 -12의 유의적인 농도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장 활성이 좋은 발효 조건은 S. cerevisae 113-4를 접종하여 25℃에서 5일간 발효시킨 술덧의 CP-M이었다. 이때 CP-M의 조성은 neutral sugar 함량 78.6%, acidic polysaccharide 11.6%, 단백질 9.8%였다. 특히 neutral sugar의 구성당 비율은 mannose 47.8 ㏖e%, glucose 29.6 ㏖e%, galactose 12.7 ㏖e%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면역증강 활성이 있는 기능성 조다당 CP- M은 mannose 함량이 높은 yeast 유래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로 추정하였다. Various microorganisms are involved in the fermentation of Mageoli, Korean traditional liquor. Among them, the most predominant microorganism is yeast, including Saccharomyces cerevisa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Mageoli mash (CP-M) on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in cell culture medium. Four types of yeasts, S. cerevisae 89-1-1, 98-2, 268-3, and 113-4, were used. When peritoneal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10 ㎍/mL of CP-M fermented with S. cerevisae 113-4,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 (NO) in the medium was highest (33.3 ㎛). The concentrations of IL-6 and -12 were also highest at 116.3 pg/mL and 59.8 pg/mL,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P-M cultured at 15, 20, and 30℃ after inoculation with S. cerevisae 113-4 and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production of NO and IL-6 by peritoneal macrophages did not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For CP-M obtained after fermentation at 25℃, however, NO concentration increased 2.7~3.3 fold and IL-6 concentration by 5.7 fold compared to the control. Furthermore, the effect of fermentation period on expression of CP-M functionality was examined. NO production by CP-M of the 5th day mash was highest, increasing 2.2 fold compared to 0-day CP-M.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of IL-6 or -12 according to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although CP-M showed a large decrease after 10 days. The results show that fermentation conditions with the highest activity were observed in CP-M inoculated with S. cerevisae 113-4 and fermented at 25ºC for 5 days. CP-M consisted of 78.6% neutral sugar, 11.6% acidic polysaccharide, and 9.8% protein. In particular, the sugar composition of neutral sugar consisted of mannose (47.8%), glucose (29.6%), and galactose (12.7%). Based on the results, CP-M is assumed to b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iginating in yeast with high mannose content.

      • SCIESCOPUSKCI등재

        수삼의 증숙 횟수에 따른 페놀산 함량 변화와 라디칼 소거활성

        김영찬(Young-Chan Kim),홍희도(Hee-Do Hong),노정해(Jeonghae Rho),조장원(Chang-Won Cho),이영경(Young-Kyung Rhee),임주혁(Joo Hyuk Yim) 고려인삼학회 200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1 No.3

        본 연구는 증숙 횟수에 따른 인삼의 총페놀 화합물 함량과 페놀산 획분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시험하고, 개별 페놀산 조성과 함량을 GC로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0.53-2.89%로 증숙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결합 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의 함량은 결합형>에스테르형>유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세 획분의 총량 (1.03-1.41%)은 증숙 횟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각 획분에서 salicylic, cinnamic, ρ-hydroxybenzoic, gentisic, vanillic, syringic, caffeic, ferulic aicd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gentisic acid와 ferulic acid가 주된 페놀산으로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각 페놀산 획분은 50% 이상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결합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각 획분별로 증숙 횟수에 따라 라디칼 소거활성이 차이를 보였으며, 증숙 횟수가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acid fraction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Also the individual phenolic acid compositions and contents were analyzed by GC. The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proportionally increased from 0.530 to 2.893% according to steaming times. Phenolic acid fraction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bound types, and the insoluble bound form fraction showed the highest contents followed by ester form fraction and free form fraction. The total contents of these three fractions (1.031-1.416%)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teaming times. Salicylic, cinamic, p-hydroxybenzoic, gentisic, vanillic, syringic, caffeic, ferulic acid were found in each fraction, and gentisic and ferulic acid were the major phenolic acid. Each phenolic acid fraction showed over 50%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phenolic acid fractions according to binding type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ffected by a number of steaming times and augmented as steaming times increased.

      • KCI등재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찬규(Chan-Kyu Han),홍희도(Hee-Do Hong),김영찬(Young-Chan Kim),김성수(Sung-Soo Kim),심건섭(Gun-Sub Sim) 고려인삼학회 200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1 No.3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사포닌 성분, 당류, 페놀성분, 미세구조 및 소화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미삼의 추출된 조사포닌 함량은 팽화처리후 약 26.5% 증가하였다. 사포닌 조성에서 팽화홍미삼은 홍미삼에 비해 Rb₁, Rb₂, Rc, Re, Rg₁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Rd와 Rg₃함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Rg₃함량은 0.49 ㎎/g에서 0.72 ㎎/g로 증가하였다. 가용성 총당은 팽화전후 비슷하였고, 산성다당체 함량은 각각 7.15, 6.44%로 팽화후 다소 감소하였다. 총페놀함량은 7.86%에서 9.94%로 증가하였다. 개별 페놀산의 경우 gentisic acid는 홍미삼에서만, salicylic acid는 팽화후 홍미삼에서만 검출되었고, gal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및 ferulic acid 등은 팽화로 크게 감소한 반면 syringic acid는 약 6배 증가하였다. 팽화후 홍미삼의 절단면 미세구조는 팽화전보다 훨씬 균일화한 입자모양을 나타내었으며, 팽화전후 펩신소화율은 각각 22.4, 4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결과는 팽화처리에 의해 홍미삼의 생리활성성분의 증가와 기호성 및 소화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puffing treatment on saponins, total sugars, acidic polysaccharide, phenolic compounds, microstructure and pepsin digestibility of dried red ginseng tail root were tested. Puffing samples of dried red ginsneng tail root were prepared at 20rpm, 15 ㎏/㎠, 120~150℃, and for 30 min by a rotary type apparatus of 5 L capacity. Crude saponin content of puffing red ginseng tail root was increased 26.5% compared to non-puffing, especially Rg3 content was increased from 0.49 ㎎/g to 0.72 ㎎/g. Total sugar content was not changed, but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from 7.15% to 6.44% by puffing treatment.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increased from 7.86% to 9.94% by puffing. In terms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salicylic acid was quantified in puffing tail root, but gentisic acid was quantified in non-puffing. Syring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phenolic acid, increased to about 6 times by puffing treatment. On the other hand, gal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and ferulic acid were highly decreased. Microstructure of crosssection in puffing tail root was shown to more uniform shape compared to non-puffing. Pepsin digestibilities of puffing and non puffing red ginseng tail root were 22.4% and 46.2%, respectively (p<0.05). The results indicated that puffing treatment might be useful increasing the bioactive components, preference and digest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