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전 중년여성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연관성

        전수경 ( Su Kyung Jeon ),홍혜리 ( Hye Ri Hong ),이경욱 ( Kyong Wook Yi ),박현태 ( Hyun Tae Park ),신정호 ( Jung Ho Shin ),이낙우 ( Nak Woo Lee ),김탁 ( Tak Kim ),김해중 ( Hai Joong Kim ),허준용 ( Jun Young Hur ),김선행 ( Sun Haen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3

        연구목적: 폐경 전 중년여성에서 대사증후군의 임상적 지표와 골밀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308명의 여성 중 정상대조군은 268명, 대사증후군 환자는 40명이었다. 신체계측 (키, 체중, 체질량지 수, 허리둘레 등) 및 혈청 지질검사, 공복혈당, 혈압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골밀도와 함께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대상에서 정상군과 대사증후군 환자군 간의 대퇴골 경부 및 요추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대퇴골경부 골밀도는 체질량지수 (r=0.209, P<0.001) 및 허리둘레 (r=0.142, P=0.012)와 양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요추 골밀도도 역시 체질량지수 (r=0.176, P=0.002) 및 허리둘레 (r=0.113, P=0.048)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결론: 폐경 전 여성에서 체지방의 증가와 복부비만화는 골밀도의 증가와 연관성을 보였으며, 대사증후군의 다른 임상적 지표들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폐경 전 대사증후군에 이환된 여성에서 다양한 임상적 특성들이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장기적 추적관찰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M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middle-aged women. Methods: Three hundred eight premenopausal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cluding 268 women without MS and 40 women confirmed to have MS according to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criteria. Clinical markers includ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the serum lipid profile, and glucose level were determined and analyzed with the BMD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or lumbar BMD between the controls and women with MS. In correlation tests, the body mass index (BMI)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emoral (r=0.209, P<0.001) and lumbar BMD (r=0.176, P=0.002). In addition, the waist circumference (WC)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emoral (r=0.142, P=0.012) and lumbar BMD (r=0.113, P=0.048). Conclusion: The BMI and WC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femoral and lumbar spine BMD in premenopausal women. Further studies with a large population will be needed to elucidate the combined effect of MS on BMD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142-147)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산후출혈의 치료를 위한 동맥색전술의 실패와 관련된 인자의 분석

        소경아 ( Kyeong A So ),오윤경 ( Yoon Kyung Oh ),황효순 ( Hyo Soon Hwang ),홍혜리 ( Hye Ri Hong ),조금준 ( Geum Joon Cho ),오민정 ( Min Jeong Oh ),허준용 ( Jun Yong Hur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목적: 산후출혈로 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분석하여 동맥색전술의 실패의 원인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산후출혈로 동맥색전술을 시행한 60명의 환자의 진료 기록과 동맥 조영술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성공군과 실패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동맥색전술의 전체 성공률은 88.3% (53/60명)였고 실패한 경우는 11.7% (7/60명)였다. 색전술의 실패는 비정상태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34), 특히 태반 유착이 동반된 전치태반의 경우에서 더욱 그러하였다 (P=0.009). 각 대상군의 나이, 분만력, 분만 방법, 출혈시기, 전원 여부, 시술 전 수술 여부, 시술 시 활력징후, 시술 전 혈색소 수치, 분만 후 색전술까지 시간, 중환자실 치료 여부 등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산후출혈 환자에서 동맥색전술은 성공률이 높고 합병증이 적은 안전한 시술 방법이나 출혈의 원인이 비정상태반인 경우 동맥색전술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Objective: To investigate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a failed arterial embolization for postpartum hemorrhage (PPH) and to attempt to estimate efficacy of arterial embolization. Methods: Between 2004 and 2008, 60 patient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cter underwent arterial embolization to control obstetrical hemorrhage. In all cases, arterial embolization was performed because of intractable hemorrhage unresponsive to conservative management. Medical records and angiographic results were reviewed. Arterial embolization failure was defined as the requirement for subsequent surgical procedure to control PPH with the procedure, and its results. Results: Arterial embolization was attempted in 60 of deliveries. Failures occurred in 7 of 60 cases (11.7%) and in 4 of 7 cases (57.1%) of abnormal placentation (placenta previa totalis with or without placenta accrete or increta). Comparison of the failed and successful arterial embolization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maternal characteristics, clinical status, and angiographic finding. Amount of total transfusion in failed arterial embolization group were larger than successful group although hemoglobin before embolization was not different. Conclusion: The only facto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iled arterial embolization was an abnormal placentation. Arterial embolization is a safe and highly effective method to control PP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