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젠더범주의 민주주의적 함의 - 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찬숙 ( Hong Chan-sook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7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의 한국사회를 `압축적 개인화`가 진행되기 시작한 시대로 보았다. 여기서 `개인화`는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과 엘리자베트벡-게른스하임의 개념을 빌려왔다. 1960년대에 들어서 서구에서는 계급타협의 복지제도, 가부장적 핵가족, 그리고 이러한 제도들에 기초하여 개인과 국가가 매개되는 형태인 국민국가가 완성된다. 그리고 그러한 역사적 조건을 배경으로 개인화라는 새로운 근대성의 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의 한국에서도 서구와는 매우 이질적인 양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정도로 계급타협의 복지제도와 근대적 국민국가 의식이 본궤도에 올랐으며 또 가부장적 핵가족이 중산층을 넘어 `보편화`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하여 정치적 민주화, 지역 중공업노조를 중심으로 한 노사교섭, 가족법 개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80년대를 넘어서면서 가족의 다양화와 계급의식의 약화, 시민의식의 도약 등 개인화 현상이 진행된 것으로 본다. 한국에서는 특히 생명·생활의 안전문제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개인화를 더 가속화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또한 1990년대에는 한국적 근대성의 특징인 부계혈통 중심의 집단주의에 도전하는 개인주의의 흐름이 형성되며, 그것은 `몸`과 `성`의 개인주의를 주장하는 여성의 시민권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본다. 그리하여 1990년대 여성운동의 의제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와 개인화가 동시에 압축되어 진행된 `압축적 개인화` 현상에 대해 설명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gender category in a proces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in Korea, which, I think, started in 1990s. I call this process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because it consists not only of a so called `reflexive` process of the second modernity. Due to a strong patrilineal kinship in Korea Individualism was very oppressed in modernization of Korea. It is often said that collectivism is the very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ity which differs from western modernity. In this paper I argue that it was women that advocate individualism in Korea, so to say,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of Korea since 1987. So the notion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means individualization in the usual, so to say, `reflexive` meaning and the delayed appearance of modern individualism in Korea at the same time. For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 deal wit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and compare German society since 1960s and Korean society since 1990s. For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the focus is laid on the issues of women`s movement in 1990s. I summarize the issues by 2 categories, ie. sexuality and national civil rights. I argue that the civil rights of sexuality and body can also be the starting point of individualism in Korea.

      • KCI등재

        동북아 가족주의와 한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홍찬숙(Hong Chan-So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2차 대전 이후 산업화의 성공과 함께 서구에서는 여성지위가 향상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확대, 성역할 변화, 가족행태의 개인화 또는 제2차 인구학적 전환이 관찰되었다. 흔히 이러한 변화의 구조적 원인으로 ‘노동시장 개인주의 대 핵가족 가부장주의’ 간의 제도적 충돌을 든다. 반면 국제지표들을 통해 드러나듯이 한국과 일본 여성의 지위는 산업화 성공 이후에도 크게 개선되지 않는데, 경제활동참여율 정체, 성역할과 가족행태의 제한적 변화가 그와 관련된 현상들이다. 이러한 현상들의 구조적 원인으로서, 이 논문에서는 서구와는 달리 ‘노동시장 가족주의 대 가족행태의 제한적 개인화’라는 제도 대 행위의 충돌을 든다. 여기서 기존의 관점과 달리 이 논문에서는, 동북아 가족주의의 핵심이 유교적 가족문화가 아니라 오히려 장시간 노동체제로 제도화된 노동시장 가족주의라고 본다. 노동시장 가족주의는 가부장적 가족과 달리 미시적 선택을 통해 벗어날 수 없고, 또 실상 가족문화로서의 유교가족주의는 상당히 약화되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 논문에서는 ‘동북아 가족주의’ 개념을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선 동북아 가족주의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그런 후 한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가족지위 변화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여성의 가족지위 변화가 가족주의적 기업문화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노동시장 가족주의의 성차별적 작용들이 단지 여성지위와만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문제임을 지적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familism of Northeast Asia not only with family values but also with a system of normative rules, which coordinate the institutions of family, industry, and state policies. In this system men as well as women are not typically regarded as individuals. However, it is the women to whom family roles are especially ascribed. As many global indices of gender inequality do not reflect the status of women in the family, I analyze the changes in the family status of Korean women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eria: ① how marriage is still considered a normal affair; ② whether women have the effective right to exit unsatisfactory marriages; and ③ how forcing family duties are for women. My conclusion is that there have only been limited changes in the status of Korean women in the family, particularly due to the familistic culture of the labor market — that is to say, the culture of extremely long working hours. As a result,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Korea (and in Japan, as well) seems very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Europe. The institution of extreme working hours is justified by Confucian familism, and is a main contributing factor to the low status of women in Korea. It also leads to the anomie of the female gender role and the bi-polarization of socio-economic statuses.

      • KCI등재후보

        사회정의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검토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사회정의론 읽기를 통해 성인지적 사회통합모델을 모색해본다. 자유주의자 롤스, 공동체주의자 윌쩌, 신고전주의자 고씨어의 사회정의론(혹은 도덕이론)을 사회통합의 세 가지 이념형으로 이해해서 비교해보고, 여성주의 관점에서 그것들로부터 성인지적 사회통합에 대한 함의들을 이끌어낸다. 세 가지의 정의(통합)모델 사이에는 일종의 위계관계를 상정할 수 있다. 롤스의 정의관은 합헌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정당화 하는 형식적, 절차적 논의이고, 월쩌의 정의관은 롤스의 입장에서 보자면 사회정의를 위한 구체적 입법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으로서, 사회불평등의 구조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고씨어의 도덕이론은 미시적 수준에서의 쌍방의 호혜성에 대한 설명으로서, 개별 상황들에서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이 도덕적 결과를 갖게 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이들 모델에 기초하여 성인지적 사회통합의 방책으로 이글에서는 우선 적극적 차별시 정조치를 롤스의 정의관에 입각하여 살펴보고, 다음호로는 월쩌의 복잡한 불평등론에 대한 젠더적 접근올 시도한다. 이것은 오킨에 의해 이미 시도된 것으로서, 여기서는 오킨에 준거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고씨어의 신고전주의적 사회이해가 초래할 수 있는 전략적 합리성의 위험을 특히 가족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The theorists of social justice, Rawls, Walzer and Gauthier, provides very different viewpoints with regard to an ideal model of social integration. In This paper I will try a feminist reading of these male theorists, from which I will try to construct a gendersensitive model of social integration. Rawls can, for example, provide a theoretical ground for an affirmative action in order to correct the reality of sex/gender discrimination. As Okin shows, Walzer' concept of "negative goods" is very useful to analyse the complex reality of gender unequality. The neoclassical theorist Gauthier denies any social frame of justice, but speaks for "a moral as agreement" between individuals. Although his approach appears to be more or less confusing for a feminist perspective, it reveals a hidden rationality of strategic choices which is involved in our micro world of social interaction. In regard of his viewpoint I will focus on a dangerous aspect of strategic rationality which may play a role in marriage and family.

      • KCI등재

        개인화와 ‘젠더사회’

        홍찬숙(Chan-Sook Hong)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1

        현대에 들어 기존의 사회과학 개념에 기댈 경우 우리는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을 목도할 수밖에 없다. 현재 우리가 그 속에 살면서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가 도대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탈근대’, ‘신자유주의 세계화’, ‘글로벌 위험사회’ 등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이론적인 탐색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성중립적인’ 관찰방식들은 현대사회 변동의 매우 핵심적인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다. ‘돌봄경제’, ‘돌봄사회’ 등에 대한 논의는 그러한 맹점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지적한다. 그러나 돌봄에 집중하는 논의들은 아직까지 페미니즘 내부의 논의로 국한되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페미니즘 내부의 논의로 인식되는 이러한 문제들이 사실은 현대사회 변동의 핵심이라는 논증을 펼친다. 그리하여 산업사회학, 가족사회학, 인구사회학 등의 분과사회학적 관찰들이 페미니즘적 분석을 매개로 하나의 사회변동 과정 속에서 재배치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그러한 재배치가 ‘개인화’라는 접근방식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며 개인화의 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불평등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여기서 페미니즘적 분석이란 사회의 생산구조를 물질생산과 인간재생산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둘의 관계를 통해 사회변동의 흐름을 읽는 것을 의미한다. Discussions on postmodernism,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world risk society provide us various ways of observation and thinking about social changes today. But those gender-neutral ways of explaining cannot be satisfying, because nowad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that are happening is related to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not only in family, but also in every sphere of society. In the contrast, discussions on ‘care economy’ or ‘caring society’ are limited to feminist camp, even if ‘care’ or ‘caring’ is one of the key words of the time. So in this study, I try to develop an inclusive way of explaining social changes today that is neither gender-neutral nor just limited to feminism. The starting point of my argument is that feminism has in its history critically contributed to understand modern society. Feminism means here a perspective of observation that scrutinizes under the surface of modern working society the reality and realm of human reproduction.

      • KCI등재

        위험과 성찰성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6 No.-

        1990년대 이후 활발한 한국의 위험 또는 위험사회에 대한 논의 속에는 근대화론에서부터 개인주의 비판까지 상호 이질적인 관점들이 압축적으로 융합되어있다. 이것은 위험이 이론적 문제가 아니라 우선적으로 실증적이고 경험적 문제라는 사회학의 통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위험 또는 위험사회에 대한 논의를 한 단계 더 심화하기 위해서는 위험과 성찰성의 사회이론들에 대해 변별력을 갖추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하여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등장한 ‘위험’ 이슈를 관찰하는 세 명의 사회학자들을 비교하고자한다. 벡과 기든스는 이미 별도의 저서를 통해 특히 ‘성찰성’ 개념과 관련하여 자신들의 이론적 차이를 강조한 바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 둘의 차이는 거의 인식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위험과 성찰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식에서 벡과 기든스가 상당한 이질성을 보인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기든스가 벡뿐만 아니라 루만의 위험 개념 역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루만을 비교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sociological theories of Beck, Giddens, and Luhmann, focusing on their different uses and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s of ‘risk’ and ‘reflexivity’. It is very hard to translate these terms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so there tends to be confusion about the different notions of these concepts in Korea, especially between those of Beck and Giddens. As Giddens seems to weigh the notions of Beck and Luhmann in formulating his concepts, Luhmann is included in this study.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Giddens stands rather nearer to Luhmann than to Beck in the use of these concepts. Regarding ‘risk’, Beck uses the word in the narrowest manner of the three theorists. Regarding ‘reflexivity’, Beck emphasizes modernity’s dialectic of continuity and change as a new dynamic of the contemporary era, whereas Giddens and Luhmann postulate ever-expanding reflexivity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These differences are important for Korean sociology, because modernization in Korea contradicts the notions of reflexivity as used by Giddens or Luhmann.

      • KCI등재

        계급론 대 개인화 이론?

        홍찬숙(Chan-Sook Hong)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2

        이 논문에서는 ?계급론 vs. 개인화 이론?이라는 대별 방식을 통해 불평등 구조분석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그것이 정치적 주체의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필자는 사회학 연구에서 기능적으로 분화되어 있는 계급·계층론 영역과 정치사회학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포괄적인 관찰방식을 선택한다. 흔히 계급론은 방법론적 구조주의, 계층론은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가까운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개인화 이론을 구조와 행위를 아우르는 정치사회학적 관점인 ?방법론적 시민주의?에 기초한 것으로 해석한다. 현대사회에서 산업과 가족 간의 경계 유동화로 인해 집합단위 중심의 계급·계층론이 도전받게 되었다. 개인의 결혼지위와 노동시장지위가 모두 유동적이 되기 때문이다. 개인화 이론은 불평등의 단위를 집합체에서 개인으로 이동시키는 관점의 변화를 주도했다. 여기서 핵심적인 역사적 사실은 국민국가 및 시민권의 법제화이다. 그러나 개인을 시민권의 관점에서 규정할 때, 개인화 이론은 단순히 계급·계층론과 상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벡의 시대진단에 기초한 후속 경험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다. I summarize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sociological meanings of inequality analyses, contrasting the framing of class analysis and the individualization theory. The focus is not laid on the structure analyses itself, but on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analyses. In doing so, I go against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ociology of class and stratification on the one hand and the political sociology on the other hand. Usually we understand that a class theory represents a methodological structuralism and a stratification theory a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 argue in this study that the individualization theory represents a ?methodology of citoyen,? in contrast to the dualism of structure and agency. Conventional theories of class and stratification are challenged by the late modern phenomena of unstable family and labor market structures, which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individualization theory.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relation between class theories and the individualization theory is not only contradictory but also complementary to each other.

      • KCI등재

        개인화의 양면성과 두 가지 경로

        홍찬숙(Chan-Sook H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이 논문에서는 청년층의 거주지 분리와 관련하여 남-북 유럽 간에 차이가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들로부터 중요한 쟁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구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가족(문화)-(노동+주택)시장-복지제도’의 삼각관계가 중요하다는 데에 이의가 없다. 논의가 진행되면서 점차 문화적 차이가 강조되었으나 결국 ‘가족-시장-복지’의 매트릭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회귀함으로써, 논의가 계속 순환하는 양상이다. 말하자면 문화에 대한 접근이 조심스럽다 못해서 ‘판단정지’의 상황으로 고착되는 듯하다. 이러한 이론적 답답함을 돌파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단순히 남-북 유럽이라는 ‘공간’의 문제로만 이해하지 말고 세대간의 전승 또는 단절이라는 ‘시간’의 문제로도 이해해야 함을 강조한다. 대개의 경우 연구자들은 ‘공간’의 프레임에 갇혀서 ‘시간’ 차원을 간과한다. 이 논문에서는 청년기 거주지 분리와 관련하여 남유럽에서 세대 간의 이질성 또는 문화적 갈등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그것이 남-북 유럽의 가족문화 차이에서 갖는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를 위해 벡의 개인화 이론이 포괄하는 시대적 특징의 ‘양면성’을 강조함으로써, 남-북 유럽의 차이가 단순한 문화적 차이가 아니라 ‘개인화의 두 가지 경로’로 이해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Europe with regard to the pattern of home leaving among youth. Usually the difference is explained through a matrix of causes like different structures of youth labor markets, different housing markets, different education systems, different welfare regimes, and different family cultures. The core issue of this study is a theoretical one that concerns the meaning of this complexity. Though the analysis is more elaborative if complexity is emphasized, it also tends to be static. In order to try a more dynamic approach, I focus on the possible heterogeneity of family culture between generations in Southern Europ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Europe does not merely reveal the geographical contrast between individualism and familism which exists traditionally, but shows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can be interpreted more dynamically as two paths of individualization, which is more or less a common social process in contemporary Europe. I develop this argument grounded on Beck’s notion of the ambivalence of individualization.

      • KCI등재

        ‘물질적 전회’를 통해서 다시 본 벡의 제2근대성 이론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7 사회와 이론 Vol.30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물질적 전회’의 관점을 통해서 벡의 제2근대성 이론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그런데 ‘물질적 전회’가 다양하고 이질적인 이론적 시도들을 포괄하는 매우 느슨한 집합적 개념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벡이 자신의‘실용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한 라투르와 해러웨이에서 시작한다. 벡이 실용주의를 주장하는 출발점인 ‘과학에 의한 무지의 생산’ 또는 라투르가 말하는 ‘다자연주의’나 ‘복수의 과학들’ 개념으로는, 민주적이지만 위험천만한 ‘시행착오’만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행위가 어떻게 물질적 실재와 관련되는지에 대한 좀 더 세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구성주의와의 단절을 한층 명확히 한 버라드의 ‘행위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준거로 삼았다. 또한 ‘실재론 대구성주의’의 이론적 문제를 명확히 제시하기 위해서, 특히 루만의 복잡계 사회이론과 한국이론 물리학의 ‘서울해석’을 참조·비교하는 방법을 취했다. 연구결과, 벡의 실용주의는 과학에 대한 다분히 고전역학적인 그의 관점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했다. 결론적으로 버라드의 개념을 사용하여, 벡이 말하는 제2근대성의 발현은 새로운 ‘생태-역사적 절단’의 문제라고 해석했다.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Ulrich Beck’s concept of “second modernity,” in particular via the so-called “material turn”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The discussion starts with Haraway’s and Latour’s approaches and extends to Barad’s “agential realism.” Beck presents second modernity as a pragmatic choice of the contemporary risk society where science produces risk, disasters, and uncertainty. His pragmatism is indeed situated between realist and constructive approaches to risk and risk politics. My thesis is that this pragmatism, which can be not only inclusive but also irritating, is a remnant of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y of classical physics. So I introduce Barad’s agential realism, the product of a realist interpretation of Niels Bohr’s quantum physics, and also conduct a theoretical comparison between Luhmann’s constructivist complexity theory and Beck’s pragmatism or between the so-called “Seoul interpretation of quantum physics” and Barad’s agential realism. In conclusion, I interpret the second modernity as a social “cut” in the material-discursive world, in which ecology and human history are entangled.

      • KCI등재

        팬데믹 위험사회와 돌봄의 사회적 의제화: 사회학의 패러다임 전환 촉구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21 사회와 이론 Vol.39 No.-

        중범위 이론을 지향한 사회학자로서 벡은 당시에 경험한 문명위험을 중심으로 ‘위험사회’라는 새로운 사회학적 관점을 제시했다. 그리하여 1980년대 ‘위험사회’ 개념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 신자유주의 경제 세계화에 대한 논의를 거치며 ‘세계위험사회’로 개념을 발전시켰다. 여기서 핵심은 방법론적 일국주의에서 방법론적 세계시민주의로, 개인화라는 일국적 변동에서 세계시민주의적 세계위험공동체의 발현 가능성으로 옮아갔다. 그러나 현재 벡이 경험하지 못했던 ‘팬데믹’이라는 새로운 위험이 닥치면서, 벡의 논의를 다시 확장 또는 수정할 필요성이 대두했다. 이 논문에서는 팬데믹 현상이 개인화의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자율성에 기초한 근대적 ‘개인’ 개념에 변화를 촉구한다고 본다. 따라서 개인화에서 세계시민화로 시민 정치의 논의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돌봄영역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고 본다. 인식론에서도 방법론적 세계시민주의로 관점의 확장만이 아니라, 방법론적 페미니즘으로의 질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논증한다. Intending to propose a middle-range theory of sociology, Ulrich Beck suggested the concept ‘risk society,’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discussions on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since 1990s to the concept of ‘world risk society,’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observations of his times. Now that a new risk of COVID 19 Pandemic, which was him unknown, is rapidly changing social actions, I take a new discussion of Beck’s theory for necessary. So I suggest a new concept of ‘pandemic risk society,’ in order to emphasize its new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 interdependence among Individuals and the importance of care labor visible. And for a turn to care politics in sociology, I suggest a methodological feminism compared with Beck’s methodological cosmopolitanism. Leaning on the physicist and feminis Karen Barad, I suggest a concept of diffractive modernity instead of Beck’s reflexive modernity.

      • KCI등재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와 ‘하위 정치’의 마키아벨리즘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4 No.-

        이 논문에서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이론을 그동안 많이 조명되어온 ‘위험’의 관점에서보다는 사회이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결속 형태의 변화이다. 벡은 개인화 테제를 통해서 위험사회의 위험이 생태적 위험인 동시에 사회 통합의 위험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혔다. 자본주의 산업사회가 생태계를 착취하고 타자화함으로써 생태계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생산했다면, (노동)시장의 논리가 사회세계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게 됨으로써 계급적 결속력과 국민국가의 결속력, 가족의 결속력을 모두 약화시킨 것으로 본다. 이것은 개인들을 제1근대성의 준신분제적 구속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인 동시에, 그들을 새로운 빈곤과 불안으로 몰아넣는 이율배반적 과정이다. 그러나 맑스와 베버가 목격했던 근대 초기와 달리 현재의 이러한 이율배반은 생태계의 파괴와 인류의 절멸 가능성이라는 인류 공통의 막다른 골목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위험사회를 산업사회로부터 구별하는 시대적 특징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계급과 민족을 초월한 보편적 사회연대의 가능성을 강압하는 실존적 조건을 이루며, 다른 한편으로는 위험을 정의하고 규정하는 담론 정치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하위 정치의 공간을 여는 근거가 된다. 위험의 담론 정치, 하위 정치는 의사소통의 성찰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근본주의 등 파시즘적 요소들을 결집시킬 수 있는 반동적 가능성 역시 포함한다. 이러한 정치적 충돌의 가능성으로 인해서 위험사회의 하위 정치는 도덕 정치의 성격이 아니라 마키아벨리즘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것으로 필자는 이해한다. Ulrich Beck’s risk society deals with not only ecology dangers, but also a danger of social disintegration. This represents the thesis of individualization. As the capitalism of industrial society has produced ecology risks, so the growing (labour) market erodes the unity of a class, a national state and a family. Individualization means a freedom from a traditional class and family identity as well as a drop into a new poverty and uncertainty. This differs, however,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of Marx and Weber, for today the individualization occurs in front of a real existing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catastrophe. This possibility of a humankind’s disaster works, paradoxically, constructive for a universal solidarity of societies. On the other hand, as the possibility of disaster is only one thing that is real, other aspects of danger (definitions, measuring, prevention, etc.) depend on knowledges and discourses. This transforms the political into sub-politics. And this way to a second, reflexive modernization is in fact an ambivalent process of political confrontations. What we expect in this process, is, I think, a new era of Machiavellism, and not a era of moral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