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향상 방안 연구

        홍준의,이난수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6 교육발전 Vol.36 No.1

        미래 사회에서의 생존에 필요한 역량을 핵심역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상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에 대해 분석하고 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첫째, 국내외적으로 미래 사회의 변화 예측 및 (과학) 교육 변화 트렌드에 대해 미래사회에 필요로 하는 학습자의 핵심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 능력, 시민의식, 대인관계 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등을 강조하고 있고, 21세기 기능에서도 학습과 혁신 기능, 정보와 미디어 및 기술 소양 기능, 생활과 직업기능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적인 내용은 자기주도적 역량이 매우 중요함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이란 타인의 조력 여부와는 상관없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실행하며,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학습자가 주도권을 갖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내용 체계와 내용 요소, 교수학습 평가 방법 등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5E 모형과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으로부터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학습 프로그램 체제 개발하였다. 이러한 학습 전략과 학습 프로그램 체제는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t defines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survival in the future. This study analyz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phasized in the revised scienc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ried to find a way to improve its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learners in the future about the predictions of future social change and science change trends in Korea and abroad are communication ability, self-management ability, citizen consciousness, interpersonal ability, It focuses on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In the 21st century function, it is divided into learning and innovation skills, information and media and technology literacy skills, life and coreer skills. Their common content emphasizes that self-directed competence is very important.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is a proces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self-diagnose their own needs, set learning goals, It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by which the learner takes the initiative in securing physical resources, selecting and executing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ng learning outcomes on their own. Third,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proposes to carry out the content system, content elements,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methods,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Fourth,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y was developed from the 5E model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and the learning program system was developed. This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program system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생물과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습에 대한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사례 연구

        홍준의 韓國生物敎育學會 2014 생물교육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icate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o help reflect thinking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 through analyzing their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for preparing and after teaching practice. 32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ere requested to evaluate peer biology lessons for 7 weeks before teaching practice and evaluate their experience after their 4 weeks teaching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er evaluations and comments for pre-biology lessons, self-evaluation after their student-teaching, and researchers'observation note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e-service teachers evaluate their-self, get an improving teaching technique and effective use of learning materials, correct evaluation through teaching practice. On the other hand, they felt they need training for guidance and also need helping student growth and development, and find personal difference and use psychological principle. Secondly,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peer evaluation, they need ability to make questions for provoke thinking and guide student each case, encourage student to participate to biology lesson. However, they were good at routine procedure in biology lesson. Thirdly, after pre-service biology teacher finished teaching practice, mostly they got an positive view for science teaching job, but they feel difficulties in teaching other science subject such as physics, chemistry, earth science, and control students, so on. And they feel it's very helpful pre-training for teaching practice and peer evaluation and comments.

      • KCI등재후보

        전공에 따른 예비교사의 환경 인식과 기후 변화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인식 비교

        홍준의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7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장래에 교사가 될 사범대학교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생물교육과 118명, 수학교육 과 98명, 국어교육과 71명, 사회교육과 110명으로 총 397명의 예비교사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환경의식 검사 와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검사지에 대해 반응을 보이도록 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간 환경의식의 분산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예비교사들의 응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항목은 일반적인 내용이거나, 미디어 관련 내용으로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 에 관계없이 일상적으로 많이 접하거나, 이슈거리로 제시되는 내용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생물교육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응답이 수학교육, 사회교육, 국어교육을 전공한 학생들에 비해 대부분의 질문에 대한 응 답율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과학을 전공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과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다름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전공에 따른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대 부분의 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다른 전공에 비해 생물교육과의 예비교사들은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에 관한 문제의 심각성을 더 깊이 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생물교육과 학생들 은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 문제에 대해 개인적인 실천을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는 의견에 많은 학생들이 공감 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교육과정에 생물과 환경, 혹은 환경관련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교과를 개설하는 것이 환경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마인드맵에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전기에너지에 관한 인식 연구

        홍준의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2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에너지로 주목을 받고 있는 전기에너지에 관하여 초등학생들의 마인드맵에 나타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1명이 참여했으며 전기에너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전기의 이용’과 ‘에너지와 생활’ 등 과학교과의 수업을 모두 마친 후에 마인드맵에 전기에너지로부터 연상되는 단어를 그리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마인드맵은 대표성, 독립성, 포괄성을 나타내는 중심원과 단계의 수, 잔가지의 수, 위계성 등을 나타내는 가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제시한 전기에너지라는 중심 주제에 연결된 단어와 문장들을 보면 전자기기, 에너지와 관련된 내용, 기계 및 기구, 전기 자체에 대한 내용, 놀이기구, 기타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전기에너지와 연결된 개념들은 대표성이 있고 포괄적인 개념보다는 전구, 선풍기, 핸드폰과 같은 전기를 이용하는 생활 소품을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마인드맵의 중심원의 분석결과 대표성은 1.58로 나타났다. 즉, 중심 주제에 관련된 주요 개념들은 평균 60% 미만으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마인드맵의 분석에서 가지를 보면 단계의 수는 평균 2.31, 잔가지 수 2.38, 위계성 2.10을 나타났다. 마인드맵은 주어진 주제에 대해 연상되는 개념을 이어가는 방식에서 학생들은 그것과 연관 짓는 방식의 활동에는 익숙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과학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중심으로

        홍준의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2

        The primary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life science teachers can be considered as one way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part of teaching-learning dealing with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y and teaching-learning model among subjects related to subject pedagogy from 2014 to 2022, when the primary examination for secondary biology recruitment changed from a multiple-choice selection method to a narrative-essay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e knowledge evaluation was changed to an item evaluating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for the overall class situation. Second, it is not limited to understanding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models, but it is also showing a tendency to evaluate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life sciences that must be dealt with in class situations. Third, it is the most used in life science classes and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 the secondary biology recruitment exam is circular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ircular learning, that is, the ability to organize classes for each situation, is a major evaluation factor. Fourth, the ability to apply various teaching-learning theories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specific teaching-learning theories or models is positioned as important. This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odels dealt with in subject education and the ability to compose content are becoming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on. It is unique that several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models that have not been asked before are presented. 생명과학 교사를 선발하는 중등 생물임용시험은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생물임용 1차시험이 객관식 선발 방식에서 서술-논술형 선발방식으로 바뀐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교과교육학관련 문항 중에서 과학 교수-학습 이론과 교수-학습 모형을 다룬 교수-학습의 실제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지식 평가에서 전반적인 수업 상황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결합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바뀌었다. 둘째, 과학 교수-학습 이론과 모형에 대한 이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수업 상황에서 다루어야 하는 생명과학 관련 내용학 지식도 함께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생명과학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기도 하며 중등생물임용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것은 순환학습이며 순환학습의 여러 유형별 특징에 대한 이해와 적용, 즉, 상+황별 수업 구성 역량이 주요 평가요인이 되고 있다. 넷째, 특정한 교수-학습 이론이나 모형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능력이 중요한 의미로 자리잡고 있다. 교과교육학에서 다루는 여러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와 내용 구성 능력이 평가의 중요 사항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에 출제되지 않았던 여러 교수-학습 이론과 모형이 출제된 것이 특이하다.

      • 학생의 인지 수준과 순환 학습이 '삼투'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

        홍준의,정완호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8 No.1

        Scientific knowledge is acquired through th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and contents to be learned. It was identified that previous concepts acquired before formal learning opportunity have a crucial influence on the following science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ycle approach to change the concept of 'osmosis' by cognitive level. Therefore, instruction program using Learning Cycle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modify students' misconception on osmosi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83 eleventh-graders in Seoul Korea.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the instruction of Learning Cycle approaches. The control groups received a traditional text-book oriented form of instruction that included reading, discussion, and laboratory activities. 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instruction approaches in changing of the concept on osmosis was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cientific concepts were developed better as their cognitive levels increase. (2)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at the .01 level. Therefore, it was found that Learning Cycle approaches were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in the change of concept on osmosis.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asting of scientific concept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