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欝島郡守 沈能益 報告書(1909)를 통해 본 울도군 상황 연구

        홍정원 한국근현대사학회 201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58 No.-

        King SunJong made a round of inspection to the southern area like Kyungsangdo which had been planned by Hirobumi Ito who was the Residency-General at the Empire of Korea in January 1909. On January 10, the king had some briefings from a provincial governor and county governors of Kyungsangnamdo at Changwon. At that time, Sim Neung-Ik Sim who was the county governor of the Ul-do made a detail report on the situation of the Ul-do county to the Goognaebu(a secretary's office of the king). The narrative from the start of the report was about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Ul-do county. The size of Ul-do was 35 old korean lee(distance measure) from the east to the west and 40 korean lee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nd This report showed that Ul-do island was from O-ki(the east) and from Sam-chuk(the west) and from Bu-san(the south) and from Won-san(the north). At that time, the O-ki island had the jurisdiction of the Dokdo since the shi-mane prefecture had incorporated Dokdo to the territory of japan in 1905. If the county governor of Ul-do had admitted that Dokdo incorporation, the report would have showed that from Dokdo(the east) in location had been. It means that th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at time was between Ul-do(Ullungdo) and Dokdo. But Sim Neung-Ik made a report that showed O-ki(the east) was. It means that th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at time was between Dokdo and O-ki. So this fact shows that the county governor denied the Dokdo incorporation from japan in 1905. and he had already known that Dokdo was under territorial jurisdiction and awareness of the Empire of Korea. The report by Sim Neung-Ik had some more details about the situation of the Ul-do county at that time.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houses and the population, and economic circumstances and so on. The main produce was a lot of beans, barley. Especially, beans was used instead of money. Sometimes, people got necessities from Ul-san and Bu-san(mainland) by the exchange of beans. Seafood was abundant in that county. For example, squid, seaweed, laver and so on. The internal-transportation of the Ulleungdo was very bad. Even from October until February the following year could not allow people to pass to anywhere because of the snow piled up. The outer-transportation of the Ulleungdo to the mainland was very limited. Regularly, a japanese sailing vessel ran between February and June, July with good weather condition. But during the winter season there was no transportation because of the bad maritime condition. Formerly, In 1906, the Uijeongbu (the State Council of the Empire of Korea), having received the report by Sim Heung-taek, issued Directive No. 3, arguing that “…that there was no basis for such an act” to instruct a reexamination of Japan’s act of incorporating Dokdo as its territory. This reaffirms that the Empire of Korea was governing Dokdo clearly maintaing sovereignty over the islands and firmly denied that incorporation by japan. The report of Sim Neung-Ik on such an extension is thought to be understood. And also, this report should be very helpful to let us know the situation of the Ul-do county in 1909.

      • KCI등재후보

        통제된 익사조건에서의 해수/담수에 따른 법의학적 소견의 차이

        홍정원,김윤신,임성철 대한법의학회 2013 대한법의학회지 Vol.37 No.3

        Death by drowning is a major cause of unnatural death worldwide.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conduct forensic examination of immersed bodies following drowning, in order to determine the diagnosis of drowning, because no specific methods have been established thus far. Therefore, we performed a series of rat experiments to compare autopsy findings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drowning cases, which included the presence of pleural effusion and histologic findings of the lu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lume of pleural effusion increased in the seawater drowning group compared to the fresh water drowning group, and the total weight of lung was affected by the type of drowning medium and postmortem interval. However, histologic findings of the lu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types of drowning mediums.

      • KCI등재후보

        통제된 익사 실험에서 규조 3종의 장기별 회수율 분석

        홍정원,김윤신 대한법의학회 2013 대한법의학회지 Vol.37 No.1

        Drown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accidental death worldwide, but its diagnosis remains a challenging task in forensic pathology. Several authors have suggested that diatom analysis be conducted via an enzymatic digestion method that uses proteinase K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for drowning; we employed this method in our study because of its superior applicability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organiz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laiming ratio of diatoms from experimentally drowned animal organs, which could be influenced by diatom morphology. The authors injected 3 diatoms species (Cyclotella striata,Navicula incerta, and Pleurosigma angulatum) into a rat’s airway and compared the detection rate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nsitivity of diato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verage reclaiming ratio in the lungs was 81.07 for Navicula incerta, 48.26 for Cyclotella striata, and 5.35 for Pleurosigma angulatum. (2) The detection rates from the closed organs in 15 experimental animals were highest in the kidney (73%, 11/15), followed by the heart (67%, 10/15), brain (60%,9/15), and liver (53%, 8/15). (3) Two Cyclotella striata was detected in the kidney of postmortem control group which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during laboratory procedure. In conclusion, the authors propose that diatom size could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for diatom extraction from the organs of drowned bodies;therefore, the results of diatom analysis must be interpreted after considering the diatom population of the drowning medium at the scene and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during the laboratory procedure.

      • KCI등재후보

        색소첨가 익수를 이용한 사후 익수 흡입의 정도 분석을 위한 동물실험

        홍정원,최철호,김윤신 대한법의학회 2014 대한법의학회지 Vol.38 No.1

        Drowning is a leading cause of accidental deaths worldwide, but its pathologicaldiagnosis remains a challenge for forensic pathologists owing to a lack of pathognomonicfindings in drowning deaths and inconclusive autopsy findings caused by postmortemchang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way takenby inhaled drowning medium through the airway after death in a variety of experimentalconditions, including underwater pressurization. We used methylene blue dye tomonitor the spread of drowning medium to the lungs. Results of theses experiments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for a significant amount of downing medium to enterthe airway during immersion after death. Our results suggest that autopsies ofimmersed bodies and interpretation of these findings should be performed with specialcare.

      • KCI등재

        南九萬의 대일 강경 외교와 鬱陵島爭界

        홍정원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1

        1693년 안용복의 일본 피랍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울릉도를 둘러싼 영유권 교섭, 즉 울릉도쟁계(竹島一件)가 시작됐다. 울릉도쟁계는 일본 막부의 ‘竹島(울릉도) 도해금지령’(1696)으로 매듭지어졌다는 점에서 울릉도와 독도 역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결과를 이끌어 낸 조․일 간 외교 교섭에는 안용복의 진술 및 그의 진술을 적극적으로 평가하며 교섭을 진두지휘한 영의정 南九萬(1629~1711)의 공이 컸다. 조선은 일본이 조선인의 竹島(울릉도) 도해를 금지하도록 요청한 데 대해 처음에는 온건히 대응했다. 그런데 일본 쓰시마번이 조선 書契(1693년 12월 일자)에 들어있는 ‘울릉도’ 문자 삭제를 요청하는 使者를 재차 파견하자 남구만의 주도 하에 강경 대응으로 방침을 전환했다. 쓰시마번의 요구를 울릉도 영유권과 직결된 문제로 인식한 것이었다. 조선의 대일 강경 대응 방침은 안용복이 접위관 유집일에게 한 진술보다 3개월 앞서 결정된 것이었다. 조선의 강경한 대응에 당황한 쓰시마번은 교섭 전말을 막부에 보고하고 해결책을 상의했다. 막부는 돗토리번을 통해 竹島 소속을 조사하여 竹島뿐 아니라 松島(독도)도 일본령이 아님을 확인하고, ‘竹島 도해금지령’을 결정했다. 한편, 남구만은 일본에서 소송을 시도하고 돌아온 안용복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평가하여 사형을 감해 유배보내는 것으로 결정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또 남구만은 자신이 평소 강조했던 祖宗 강토에 대한 방비책을 울릉도에도 적용, 울릉도 조사 및 정기적인 울릉도 수토를 구상하여 조선 후기 울릉도 수토 정책에 토대를 이루었다. 19세기 후반 일본인들이 다시 울릉도에 침입하기 전까지 조선이 약 2백 년간 울릉도를 평화롭게 관리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남구만의 공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처럼 남구만은 울릉도쟁계의 중심에서 대일 강경책을 굳건히 주도해나간 인물로서, 그 과정에서 일본 막부가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령이 아님을 스스로 확인하게 된 것은 현재의 독도 문제에 있어서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의 울릉도 공도정책 (空島政策)에 대한 역사적 검증

        홍정원 동북아역사재단 2022 영토해양연구 Vol.24 No.-

        조선 정부는 왜구의 울릉도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울릉도 거주민을 내륙으로 쇄환(刷還)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그 후 조선은 17세기 일본과의 울릉도 영유권 관련 교섭 과정에서 울릉도를 비워 버려뒀다는 사실을 구두나서계(외교문서)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알려 줬다. 조선과 외교를 담당하던 쓰시마번(對馬藩)은 조선이 울릉도를 비워 놓은 사이에 일본 어민들이 왕래했기때문에 울릉도가 일본에 속한다고 조선 정부에 주장했다. 일본 막부(중앙 정부)는 쓰시마번으로부터 조선과의 교섭 상황을 보고 받은 후, 울릉도에 왕래했던 돗토리번(鳥取藩)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령이 아님을 재차 확인했다. 결국 일본 막부는 1696년 1월 울릉도가 조선령임을 인정하며 도해금지령을 결정했다. 조선과 일본 정부는 일본의 울릉도 도해금지령을 외교적으로 확인하는절차를 진행했다. 조선은 울릉도가 조선령이며, 앞으로 울릉도에 관리를 보내 때때로 검찰하겠다는, 즉 수토제를 실시하겠다는 내용의 서계를 일본에전달했다. 이에 대해 일본은 조선의 서계를 잘 접수했다는 내용의 서계를조선에 보냄으로써, 조·일 양국은 외교문서 교환을 통해 「울릉도쟁계」를최종 마무리했다. 국내에서는 공도정책이라는 용어에 울릉도 영유권 포기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고, 일본에서 용어가 유래한 것이라며 용어 폐기를 주장하는 연구가 있다. 하지만 울릉도가 비어 있는 섬이 되었다는 사실은 『세종실록지리지』를 비롯해서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문헌비고』 등 조선 관찬서에 실려 있는 내용이다. 더욱이 조선 정부가 일본 측에 외교문서로서 공식 전달했던 내용이었으며, 이를 검토한 일본 정부는 울릉도가 조선령임을 공식 인정했다. 현재의 일본 정부는 조선의 울릉도 정책을 ‘공도(空島)’라고 하면서 울릉도가 방기(放棄)되었기 때문에 일본인이 왕래하며 독점적으로 사업했다고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17세기 쓰시마번의 억지 주장을 답습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울릉도 공도에 대한 문제는 이미 17세기 조선과 일본 정부 사이에 모두 끝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