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식기반 전략교수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홍점숙 ( Jeom Suk Hong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식기반 전략교수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뺄셈, 곱셈, 나눗셈 유형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일반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학생 한명이었으며,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고, 각각 다른 도식을 활용하여 뺄셈, 곱셈, 나눗셈 유형의 수학 문장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식기반 전략교수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뺄셈, 곱셈, 나눗셈 유형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을 향상시켰다. 둘째, 도식기반 전략교수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뺄셈, 곱셈, 나눗셈 유형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강점을 가진 자폐성 장애학생의 뺄셈, 곱셈,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을 위한 도식기반 전략교수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ema-based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emale 6th grader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a baseline phase, a intervention phase, and a maintenance phase. The subject was taught to use schematic diagram of comparing, varying, and multiple comparing to solve the word problems of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ema-based strategy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word problem solving of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econd, the wor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maintained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In conclusion, schema-based strategy instru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word 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박경석 ( Kyeong Seok Park ),방명애 ( Myong Ye Bang ),홍점숙 ( Jeom Suk H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3명의 남자 지적장애 고등학생이었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는 기초선, 중재, 및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현금인출기 사용기술 중 입금하기와 출금하기 기술을 향상시켰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입금하기와 출금하기 기술은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효과적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통해 자기 주도적이고 독립적으로 현금인출기 사용기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지적장애 고등학생이 실제 생활에서 독립적으로 돈을 관리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화폐교육이나 지역사회 활용기술 교수와 같은 체험학습과 연계하여 교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cues on the skill of using automated teller machin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baseline phase, intervention phase, and maintenance phase.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d the strategies such as task analysis, visual cues,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time delay, and least prompt procedu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cue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deposit skill and withdrawal skill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aintained three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분석

        조수현 ( Jo Su Hyun ),방명애 ( Bang Myong Ye ),홍점숙 ( Hong Jeom Su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발표된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논문을 검색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14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 독립변인과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및 중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재를 적용한 장소가 가정인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폐성 장애학생의 부모가 연구 중재자로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 연구는 개별차원의 중재를 시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독립변인에 배경/선행사건 중심의 중재, 기술습득 중심의 중재, 후속결과 중심의 중재 및 삶의 질/생활양식 중심의 중재가 모두 포함된 연구는 5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중 예방 및 교육 중심 접근과 대상 존중접근은 분석 대상 논문 14편 모두 충족하였으나 삶의 질/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접근은 7편만 충족하였다. 넷째, 분석대상 연구가 보고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효과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과제완수율과 상호작용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의 행동지원이 향상된 것이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2008 to 2017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major factor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intervention effec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student’s home was most widely used as a place for an intervention.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ost widely used interventions were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ird, only five out of 14 studies included all four interventions: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skill acquisition-based intervention, consequence-based intervention, and lifestyle-based intervention. Fourth, in most studies, the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task completion and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ddition, parents’ behavior supports for their children were improved.

      • KCI등재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 비교 분석

        송은혜 ( Eun Hye Song ),방명애 ( Myong Ye Bang ),홍점숙 ( Jeom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2개교와 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들 가운데 인터넷 중독 척도에서 41점 이상을받은 위험군 청소년 60명과 16점 이하를 받은 비위험군 청소년 61명, 총 121명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 간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하여 두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및 정서행동 문제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비위험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가 비위험군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과 정서행동 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예방 및 중재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lf-control, self-esteem,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and those of adolescents without risk. The participants were 60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tion who scored higher than 41 points ba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61 adolescents without risk who scored lower than 16 points ba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mplemented for data analy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trol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dolescents without risk. Seco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dolescents without risk. Thir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dolescents without risk. Fourth, the self-control of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elf-esteem positively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negative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