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리 종사원의 심리적 소유감과 직무열의 및 직장 내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경력과 성별의 조절효과

        홍윤주,방형욱,김영중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10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inary staff's psychological ownership in job engagement and workplace deviance.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by career and gender among the relations of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workplace deviance. Total 273 employees us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otal 4 hypotheses with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ulted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organization,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job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engagement. In addition, job engagement had a nega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not demonstrated in current study, although its effects on career.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자연예술을 통한 기독교 교육의 예술적 접근

        홍윤주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Modern society has various creative encounters and exchanges between religion and culture and art. In this way, the theme of culture was constantly concerned with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art', which can be said as a flower of cultur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very important topic in Christian education in recent years. Under the eco‐friendly concept, the natural art of nature itself approaches to nature and is based on the natural art of geographical concept. Therefore, there are works that use nature itself as a tool, and the ecological art that project cyclical relationship based on ecology into human society. Ecological art always speaks of 'sustainability to nature' and 'connection to life'. That is to say, 'the symbiosis of art and nature', 'the harmony of art and nature', and 'the combination of art and nature'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s. The art of land is characterized by re‐recognition of nature once again and emphasizing the creative re‐applic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t is an art created from a mixture of the tendency to deny art as 'material' and the phenomenon of semi‐civilized art culture. This natural art is a way of direct human access to nature as a creature, and it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world created by God, rooted in the universe and nature. In connection with "artistic spirituality" here, the formation of spirituality obtained through the revelation of God can express life in which God, man and nature harmonize with each other as "true beautiful life". Spiritual art emphasizes "cooperation" instead of "competition" and "sharing" instead of "conquest". In other words, most attempts of artistic spirituality involve all artistic activities by sharing, by means of cooperation of humans seeking to resemble the artist, God rather than merely an art experience of human alone. Therefore, it is said that through creative work such as natural art activities, human beings can approach God more closely, and that artistic spirituality will be deeply formed. 현대사회는 종교와 문화예술 사이에서 다양한 창의적인 만남과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문화라는 주제는 기독교 교육에서 계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었다. 특히 문화의 꽃이라 말할 수 있는 ‘예술’은 최근 들어 더욱 기독교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로 주목되고 있다. 친환경적인 관념 하에 자연에 접근하여 자연자체의 관조론적이고 존재론적인 가치에 맞는 태도를 취하는 자연예술은 지리학적 개념의 자연미술에 바탕을 두어 자연 자체를 도구로써 이용하는 작품과 생태론에 입각한 순환적인 관계를 인간사회에 투영 하려는 생태미술 등이 있다. 생태예술은 항상 ‘자연에 대한 지속성’과 ‘생명과의 연관성’을 얘기하고 있다. 이것은 그 자연지역의 독특한 환경과 인간이 함께 어우러진 문화 자체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며, 환경적 조건들과 시간적 조건들을 작품의 구성요소로 하고, 그러한 작품은 인간이 살고 있는 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자연 속에 생성시켜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게 한다. 즉, ‘미술과 자연의 공생’, ‘미술과 자연의 화합’, ‘미술과 자연의 결합’이 바로 그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대지예술은 자연을 다시 한번 재인식하고, 자연환경의 창조적인 재 응용 등을 강조한 것이 특징적이며, '물질'로서의 예술을 부정하려는 경향과 반문명적인 예술문화현상이 뒤섞여 생겨난 미술이다. 이러한 자연예술은 창조물인 자연에 인간이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한 방법이므로 우주나 자연에 뿌리를 두고 있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상에 대한 개념과 연관된다. 여기서 “예술영성”은 예술을 통해 영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얻어진 영성형성을 통해서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자연 서로 조화를 이루는 삶인 ‘참다운 아름다운 삶’을 이루는 것을 말 할 수 있다. 영성적 예술은 ‘경쟁’ 대신에 ‘협력’이, ‘정복’ 대신에 ‘나눔’을 더욱 강조하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예술영성의 시도는 단순히 인간 단독으로의 예술체험보다는 오히려 예술가이신 하나님을 닮으려는 인간들이 서로 협력하고 나누며 이루어진 모든 예술적 활동을 포함한다. 그래서 자연예술 활동과 같은 창조적인 작업을 통해서 인간은 하나님과 한층 가깝게 다가갈 수 있으며 예술적 영성이 깊게 형성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그린 어메너티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2016년~2018년 메종 & 오브제(Masion & Objet) 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홍윤주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0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Maison & Objet' exhibition which shows everything that forms a space, and seek cases where such 'green amenity' is applied. In terms of morphology, a minimal space was filled with a curved shape, and gradually a design that reproduces nature was produced. As the maximalism gradually emerged, decorative elements were added to the design, and a lot of craft products appeared. In terms of materials, the emotion of naturalism was the most common, and natural wood materials were mainly used. These materials combine with various heterogeneous materials to complete a new design, and natural elements were shaped in space. In terms of colors, the theme in 2016 was 'Wild', and it was possible to see a space where wild nature can be experienced. It showed various colors of nature centered on brown and green of trees. 'Silence' in 2017 is distinguished and characterized by its pink color. Also, pieces of warm reddish‐brown furniture were made. In the past, brass or rose gold would be trendy, but in 2017, gold or silver colors showed a greater popularity. In 2018, 'Show‐ Room' was the theme, and the representative color was green, which affected new designs with yellow and pink.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메종 & 오브제’ 전시회의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린어메너티’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다. 형태적 측면에서 미니멀한 공간을 곡선의 형태로 채웠고 점차 자연을재현하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점차 새롭게 맥시멀리즘이 대두되어 디자인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공예적인 제품이 많이 나타났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자연주의 감성이 대세로 자연적인 목재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이질재료와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완성하며 자연적 요소를 공간 안에 형상화하였다. 색채적 측면에서는 2016년은 테마가 ‘와일드 (Wild)’로 야생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볼 수 있었다. 나무의 갈색과 초록색을 중심으로자연의 다채로운 색채를 보여주었다. 2017년의 ‘사일런스 (Silence)’는 핑크 컬러의 특징이 돋보인다. 또한 따뜻한 느낌의 적갈색 계열의 가구가제작되었다. 예전엔 황동이나 로즈 골드가 유행이었다면 2017년은 골드나 실버 색상의 제품이 더 대세를 보였다. 2018년은 ‘쇼룸(Show-Room)’ 이 테마로 대표 색채는 초록색으로 노랑, 분홍과 함께 새롭게 디자인에영향 주었다.

      • SCOPUSKCI등재

        액와부다한증에서의 흉부교감신경절제수술

        홍윤주,이두연,백효제,신화균,황정주,정은규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12

        배경: 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의 시술 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액와부 다한증의 경우 수장부나 안면 두부다한증에 비하여 절제범위가 광범위하여 이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 및 기타 합병증의 발생의 높고 액취증이 동반되어있는 경우 장기적인 만족도가 낮아서 크게 각광 받지 못해왔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는 1997년 3월부터 1999년 4월까지 45례의 액와부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내시경을 이용하여 흉부교감신경절제술 또는 잘단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28례 여자 17례로 평균연령은 28(13-46세) 였고 평균추적기간은 10개월(1-24)이었다. 24례가 액와부에만 국한된 과도발한을 호소 하였고 2례에서 수술 전 심한 액취증이 동반되어있었다. 21례의 T3,4 교감신경절제술, 20례의 T2,4 교감신경단술 그리고 4례의 T4 교감신경절제수을 시행하여 즉각적인 증상치유효과 보상성 다한증 및 장기적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흉막유착으로 5mm 내시경이 필요했던 2례을 제외한 전 환자에서 2mm 트로카 2개를 사용하여 수술을 하였다 결과: 평균수술시간은 T3,4 교감신경절제술이 46.2$\pm$11분 T2, 4 교감신경절단술이 32.5$\pm$23분 T4 교감신경절제술이 53.8$\pm$18분이 소요되었고 수술직후의 효과는 T3,4 교감신경절제술과 T2,4 교감신경절단술에서 '전혀땀이 나지 않는다'가 17례(81%) 와 12례(60%) '수술전보다 감소했으나 약간땀이 난다'가 4례(19%) 와 8례(40%) 로 모든 환자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T4 교감신경절제술은 4례중3례(75%)에서 전혀 효과가 없었다. 보상성 다한증은 T3,4교감신경절제술과 T2,4 교감신경절단술에서 각각 67%, 60%로 나타났고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의 심한경우는 10% 5%에 불과했으며 장기적인 만족도는 T3,4 교감신경절제술이 86% T2,4 교감신경절단술이 89%로 나타나 높은 성공률을 보았다 결론 : 액와부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T3,4 교감신경절제술과 T2,4교감신경절단술은 증상치유효과가 높고 절제범위의 제한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감소로 장기적 만족도가 우수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액취증이 동반된 경우 이에대한 충분한사전 설명과 원인 감별후 적절한 보조요법을 병행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를 높힐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직업 소명의식과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 조리 및 식음팀의 조절 효과 검증-

        홍윤주,김영중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특급호텔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직업 소명의식이 조직기반 자긍심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서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79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업 소명의식의 하위차원인 업무동일시/개인-환경 적합성, 초월적 인도력은 조직기반 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일의 의미와 가치추구, 초월적 인도력인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조직기반 자긍심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에 따른 조절효과는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업 소명의식은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을 강화하고 직무열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서양 꽃예술사 분석을 통한 현대 꽃장식 경향에 관한 연구

        홍윤주 나사렛대학교 2009 나사렛 論叢 Vol.13 No.-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theoretical establishment. Through European Artistic History Consideration. The paper analysed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floral art based on the era classification. The environmental floral art has been developed since American started to press the naturalization on 17 century. Based on the styles of cone of Byzantine and S styles of Baroque, the formative floral art has been expended since. To report the expressive floral art, the paper has chosen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external method can classify into the mix and match expression, the natural expression and ethnic expression. Particularly, the classic Georgian and Victoria expression had been a source of the mix and match expression. And the ethnic expression has developed from the old Egyptian which displayed the national character by the three primary colors (red, yellow and blue). The other one is internal expression. The internal expression has divided into the realistic and the abstract expression. The realistic expression has progressed after the Rome era which used the natural material like fresh flower bouquet. The abstract expression is more artificial method in the consideration of color and vagina. The fusion style floral art h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Victorian era which created floral art mixed with the variety of material such as shell, feather, wax and fabric. The effect of floral art has also recognised inc. emotional, decoration,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effect.

      • KCI등재

        일의 소명의식과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연구 - 특급호텔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을 중심으로 -

        홍윤주,김영중 한국외식산업학회 2024 한국외식산업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inary and food & beverage staff’s calling of work in hotels up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otal 330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9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18.0).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SEM showed the that the identification and person-environment-fit, sense of meaning and value-driven behavior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explained as well.

      • KCI등재

        밀라노 가구박람회를 통해서 본 그린공간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 2015-2017년 밀라노 가구박람회를 중심으로 -

        홍윤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 현대사회는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정보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정보기술의 발달로 혼성화, 다원화, 정보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렇게 사회 전반에 변화가 요구되면서 인간 삶의 터전인 ‘자연’에서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즉, 인간이 영위하는 공간의 질적인 향상과 함께 상대적으로 자연적인 환경에 대한 중요도가 커지면서 인간의 생활공간에 자연환경 요소를 도입한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진 것이다. 또한문화적 획일성과 단조로움으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연 환경 요소를 도입한 쾌적하고 창조적인 그린공간을 만들고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을 좀 더 풍요롭게 하는 것이 중요해 진다. 따라서 인간의 생활환경인 공간에 그린을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는 그린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세계적인 권위의 밀라노 가구박람회를 통해서 현대 그린공간디자인의 흐름을 알아보고, 인간의 삶 속 그린디자인의 표현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문헌조사를 통해 먼저, 그린공간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2015-2017년 밀라노 가구박람회의 디자인경향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전시회의 그린공간디자인작품사례를 수집하였고 밀라노 가구박람회의 디자인경향과 디자인 위크의 작품사례를 통하여 그린공간디자인의 표현적 특성과 기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린을 공간에 표현하는 것만으로 대부분 장식적, 심리적 기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그린식물이나 식물의 이미지를 공간을 두는 것으로 미적인 효과와 정서함양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간접적 표현에서는 환경성의 기능을 볼 수 없었다. 이는 살아있는 그린 식물에 의해서만 볼 수 있는데 공기정화, 산소발생, 온도조절 등의 기능적 특성 때문이다. 셋째, 직접 또는 간접, 그리고 복합적인 세 가지 표현으로 건축적 기능을 유도할 수 있었다. 넷째, 복합적 표현의 경우 장식성, 심리성, 건축성, 환경성의 4가지 기능적 특성을 대부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에 복합적 표현을 사용함으로 기능적 효과를 최대한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첫째, 공간에 살아있는 그린식물을 직접적 표현하거나, 둘째, 그린의 색채나 문양으로 간접적 표현하고, 셋째, 두 가지를 적절히 혼합하여 복합적으로 표현한 사례에서 그린공간의 장식성, 심리성, 건축성, 환경성의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린공간디자인의 기능적 특성을 보면 첫째, 선과 형태의 아름다움과 색채, 구성의 미적효과를 증대시키고 미술작품과 같은 예술성이 부여되는 장식성이 있다. 둘째, 그린으로 인해 긴장과 피로를 경감시키고 편안하고 부드러운 정서를 유발시킨다. 즉, 자연 생태계의 안전성과 균형감 유지시켜주며 산업, 디지털 환경으로 부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어 환각성이나 자극,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심리성이 있다. 셋째, 공간을 분할 및 동선의 유도를 하는 건축성이 있다. 넷째, 식물로 구성된 환경은 인간의 정신적 능률과 쾌적함을 증진시켜주며 공기정화, 산소발생, 온도 조절 등의 환경적 기능이 있다. 인간에 의해 형성된 인공적인 공간은 일단 형성된 다음에는 인간의 의식과 태도에 의한 외적요소에 의해 변화할 수... (Background and Purpose) Nowadays in modern society, we live in an age of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Thus, the hybridization, diversification, and informational are accelerat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society that demands change, we seek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the ‘nature’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as the quality of the space in which the human being operates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a pleasant environment in which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have been introduced into human living space has increased.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cultural uniformity and monotony,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inviting greenspace that incorporates the natural environmental elements and enrich human life through it.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comprises a basic literature survey based on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2015‐2017 held during their Design Week. The field surveys in Milan on April 13‐17, 2016 collect cases of works, and in this way, the design of the greenspace was analyzed through the works during this exhibition. (Result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ostly decorative or psychological functions only by expressing green in spac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have the aesthetic and emotional enhancement effects by placing green plants or images of them in these spaces.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function of the environment in indirect expression; seen only by living green plants since their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air purification, oxygen gener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Third, it was possible to induce architectural functions by direct, indirect, and complex expressions. Lastly, most of the four func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rnamental, psychological,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were found to be in the complex express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al effect is maximized by using complex expressions in space. (Conclusions) To begin, green plants which are living in a space are directly expressed. Secondly, they can be transmitted indirectly by the color or pattern of green. Thirdly, in the case of a proper complex mixture of the two, they we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psychological,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To look 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reenspace design, first, there are beauty and color of lines and forms; which is followed by a decorative effect that increases the aesthetic effect of composition and the artistic work is given. Second, the green helps to relieve tension and fatigue, resulting in a comfortable and gentle emotion. In other words, it maintains the safety and balance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it has psychological application that reduces the hallucination, stimulation, and stress by giving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the industrial and digital environment. Third, there is a construction that divides the space and induces the movement. Fourth, the environment composed of plants promotes human mental efficiency and comfort, and it has environmental functions, such as air purification, oxygen gener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The artificial space formed by human beings can then be chang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human consciousness and attitude. The environment in which nature and plants coexist has a positive and progressive effect on human beings and society, even if they are not conscious. Therefore, in order for greenspace design to have a more beneficial effect on the huma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have various studies on this matter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