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 : 개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홍순혜,박윤숙,원미순,Hong, Soon-Hae,Park, Yun-Sook,Won, Mi-S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2 No.-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이 신변보호담당과의 업무부담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인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도모해야 하며 어떤 사회적 기술 습득을 지원해야 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변화를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이 갖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은 그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갖고 있는 장애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20개 항목을 구성하여 148명의 신변보호담당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립능력, 생활태도, 사회문화적 적응, 신변보호담당관의 지원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들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었으며, 4개 요인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장애요인들 중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요인만이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향상되었고 다른 요인들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네 가지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이 지각하는 신변보호 업무량, 업무난이도, 신변보호담당관과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는데, 생활태도와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 태도, 행동 변화를 위한 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personal fact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that obstruct their settlement in South Korean communities. It will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should be changed and what social skill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successfully adjust to South Korea. Personal obstacles were measured by police officers who are providing special protection for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who are in a good position to observe behavi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because they are spending a great deal of time with them. They can even identify the personal obstacles not perceived by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themselves. Twenty-item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personal obstacles and was found to comprise 4 obstructing factors: self-supporting ability related factor, life style related facto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related factor, and attitude toward police officer's support related factor. Among them, self-supporting ability related factor had the highest negative score.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self-support ability and life style related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burden of police officers. Th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of ethical and moral education for the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실태와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홍순혜(Soon Hae Hong),우영숙(Young Sook Woo),이문자(Moon Ja Lee),정지인(Je An Chung),현연화(Yun Wha Hyun) 한국아동복지학회 199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학교부적응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학교들은 교도교사제도, 진로상담교사제도 또는 학부모 상담자원봉사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체계의 도임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생문제의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의 도일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사회사업은 학생들이 갖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역기능을 수정, 보완하여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학교부적응으로 발생되는 학생문제를 예방함으로서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방안이다. 이처럼 학교사회사업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학교부적응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학교에서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할 때 학생복지를 위한 서비스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지 그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고, 학생부적응의 가능한 해결방법으로서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욕구를 밝혀보았다.(한국아동복지학, 1997. 5:47-70)

      • KCI등재후보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순혜(Soon Hae H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7

        본 연구는 이혼가정 자녀들과 양친부모가정 자녀들 사이에 자아존중감, 학교성적, 사회적 위축, 우울·불안, 공격성과 같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가정의 경제수준과 양육부모의 양육행동이 매개하는지, 그리고 매개한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매개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소재 중·고등학교 10개 학교를 편의표집하여 각 학교에서 3학급씩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분석에 이혼가정 자녀 101명과 양친부모가정 자녀 941명, 총 104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t-test와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혼가정 자녀는 양친부모가정 자녀와 비교해 보았을때 우울·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아존중감과 학교성적은 더 낮고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이혼은 자녀의 학교성적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그 밖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가정의 경제수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모의 이혼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가정의 경제수준은 직접적으로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어 자녀의 적응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부모이혼은 부모의 양육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행동은 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이혼이 가정의 경제수준의 하락을 초래하여 자녀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경제적 결핍관점을 지지해 주고 있으며 이혼가정의 경제적 형편이 자녀 및 부모의 적응에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혼가정을 위한 서비스에서는 이혼으로 인해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의 소득이 크게 하락하는 일이 없도록 이혼 후의 소득 보전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우선되어야 함이 시사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school performance, and withdrawn, anxious/depressed, and aggressive behavior between adolescent children living with one divorced parent and those with two biological parents. It also analyzes how family income and parenting affect the effects of divorce on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Survey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of 1042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101 from divorced families and 941 from intact families)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self-esteem and school performance were significant low and withdrawn and aggressive behaviors were high among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compared to those from intact families, while anxious/depressed behaviors showed no differences. Although divorce directly affected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it indirectly affected other psycho-social adjustment variables through family income. Family income affected by divorce either directly affected or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adjustment through parenting. Since there was no effect of divorce on parenting, parenting was not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adjustment. This result supports the economical deficiency perspective that divorce will lower family`s economical status, which will negatively affect children`s adjustment.

      • KCI등재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순혜(Soon Hae Hong),이숙영(Sook Young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8

        본 연구는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관계에서 주양육자의 아동방임과 주양육자-아동 간 의사소통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08년 구리시 위스타트 마을사업에 대한 평가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기초생활보장 수급가족, 모부자가족, 차상위계층 가구 중 4-12세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191세대의 주양육자와 이들 가족에서 양육되고 있는 244명의 아동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아동의 우울감, 공격성, 사회성의 문제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전반적 건강상태와 주양육자 배우자의 음주문제, 자가 주택 소유여부도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양육스트레스가 클수록 주양육자의 아동방임이 높고 주양육자-아동 간 의사소통이 부정적이었다. 아동방임은 또한 아동의 연령이 높을수록, 전반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주양육자 배우자의 음주문제가 심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방임과 의사소통은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우울성, 공격성,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동방임과 부정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아동의 문제행동을 야기 시킨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개입, 양육자로서의 일관된 아동보호와 긍정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교육, 가족기능강화 및 가족 내 음주문제 감소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childrearing stress of primary childrearers affects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and it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child negle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childrearers and children. The data collected for the evaluation study of Guri We-Start Village Project were used. The data of one hundred ninety one primary childrearers and their 244 children of age 4-12 from low-income families were analyzed.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was childrearing stress, the higher were depression, aggression, and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 of children.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was also affected by general health status of children, alcoholic problem of childrearers` spouses, and whether or not the family owns a house or apartment. Seondly, the higher childrearing stress, the greater child neglect by primary childrearers and the more negative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childrearers and children. Child neglect was greater when children are older, their health status is worse, and alcoholic problem of a primary childrearer`s spouse is more severe. Thirdly, child negle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childrearers and children were found to be partly mediating the effect of childrearing stress on depression, aggression and social relations of childre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o reduce childrearing stress and foster family functioning, parent education to improve consistent childcare and positive communication, and programs to reduce family alcoholic problems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 및 과제

        홍순혜 ( Soon Hae Hong ),방진희 ( Jin Hee Pang ),김선화 ( Sun Hwa Kim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서울·경기·인천에 위치한 44개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설문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관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업 비중에 대한 인식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사회복지관이 실시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회봉사, 사례관리, 학생 자원봉사 활동 지원 순이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학교급이 낮을수록 사례관리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봉사프로그램 및 자원봉사활동 지원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기관차원의 어려움에는 예산·인력 부족, 학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사업 효과성 증대를 위한 여건의 불안정이 제시되었고, 학교 차원에서의 어려움은 학교의 협조 부족과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해·신뢰 부족, 학교 내 일정한 담당부서의 부재, 시간 조율 및 배분의 어려움,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개입의 제한, 학교와 기관 프로그램의 중복으로 인한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실무자 차원에서의 어려움으로는 학교와의 의사소통 및 업무조정의 어려움, 기관-학교-교육청 간의 평등한 상호관계 형성의 어려움, 잦은 외근과 5일 근무제로 인한 학교와의 프로그램 연계 어려움, 학교와 자신의 소속 기관 모두 신경을 써야 하는 부담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더불어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의 활성화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to seek measures for activating such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urvey targeting forty-four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welfare centers had considerably high recognition level with respect to school social works. Second,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carried out by th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community service, case management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order of frequency. While the case management was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lower level, the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were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higher level. Third, the following difficulties were raised in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in terms of center, a manpower shortage, difficulty in providing services to satisfy schools` demands and unstable conditions for the increase in the effect of the social work; in terms of school, a lack of school cooperation, insufficient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f the social welfare, absence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difficulty in adjusting and distributing time, restriction on continuous cas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nd overlapping programs between the school and the center; and in terms of hands-on worker,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school and adjusting works, difficulty in forming equal relationship among the center, the school and the education office, difficulty in linking a program to the school due to a frequent outside work and a five-day work week and burden of taking care of both the school and the center.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of the analysis, an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measures for activating and improving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have been presented.

      • 학교 밖 탈북청소년 교육·적응 실태

        홍순혜 ( Hong Soon-hae ),원미순,이윤선,방진희 남북하나재단 2010 연구총서 Vol.2010 No.0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experiences in education, career, and life settings, and to suggest policy makers what effectiv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to adapt to the new culture in South Korea. Forty one participants from both big cities and suburb area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asking their educational and working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friends, and the communities from which they got the services. An individual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explore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experiences in dep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had limited choices in education although they were exposed to a variety of the educational settings, schooling in North Korea, in countries they spent time before coming to South Korea, and in South Korea. Becaus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s in the different places, financial difficulties,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age gap with classmates,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earched for alternative ways to continue their education rather than attending public school after they came to South Korea. Most of the participants addressed the importance of the high school diploma in order to get a good job in South Korea, thus, they planned to take the high school qualifying exam. Only a few participants planned for college education due to the big achievement gap with South Korean students.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work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positively and negatively influenced them on their education. Their working experiences affected them not to attend schools and lowered their academic motivation. However, working experiences helped them to have 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outh Korea. Regarding to their self identity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howed self identity confusion; however, their passion and hope to succeed in South Korea were more powerful than their self identity confusion. Their peer and family structures also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y left North Korea. Although the size of the family has been reduced,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bonding to their family appeared stronger than when they lived in North Korea with the large family. Most of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y have fewer friends in South Korea and had desires to make South Korean friends. Given that peer interactions are very important at their developmental stage, friend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m to adapt to the new culture. Their experiences with the community services appeared positive but the half of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more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ir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 Finally, all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at South Koreans have against North Korean migrant people. They hoped that South Koreans treat them as a productive member of South Korean society.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for policy makers. First, in order to help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open services and one-stop support are required. Currently, many services for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are provided from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some of which had the overlapping services. It is important to combine the all programs available and create a full service program to help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to have the maximum benefit of the services. Second, a speci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help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who came to South Korea without family.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who settled down in South Korea without family had a difficult time to start the new life. Especially in the beginning of their settlement in South Korea, a group of supporting crew from different field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current community services having been provided to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hould be further expanded. For instance, a general schooling guideline for the secondary school, a college entrance preparation program, career decision assistance, and connecting programs to local educational service centers should be considered for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Finally, the social interest in North Koreans living in South Korea should be developed. Moreover, education for South Koreans to learn how to understand and live with different ethnic groups in South Korea needs to be undertaken.

      • KCI등재

        공공아파트에서의 연령 및 장애에 따른 주민혼합과 노인의 적응

        홍순혜(Soon Hae Hong) 한국노년학회 1994 한국노년학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노인들을 위한 공공아파트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연령집단 및 장애집단과 노인들과의 혼합거주가 노인들의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 Minnesota주 Minneapolis시에 위치한 공공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 아파트군에 존재하는 세 가지 형태의 거주유형 1) 거의 노인들만 거주, 2) 노인들과 장애를 가진 비노인들과의 혼합 거주, 3) 노인들, 장애를 가진 비노인들, 장애를 갖지 않은 비노인들과의 혼합거주에 따라, 노인들의 적응이 친구관계, 사회활동참여도, 거주환경만족도와 혼합거주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실제로 다양한 주민 집단의 혼합거주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노인주민들이 궁극적으로 어떤 거주형태를 선호하는지, 그것이 거주유형별로 어떻게 다른 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개인적 및 환경적 특성변수에 대한 통제 후에는 거주유형 자체가 노인들의 친구관계, 사회 활동참여도, 거주환경 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반면 혼합거주에 대한 태도는 특성변수들에 대한 통제 전과 후 모두 거주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노인들이 대부분인 아파트에 사는 노인들보다 비노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의 노인들이 혼합거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약 과반수의 노인들이 노인들만의 분리거주를 원하는 반면, 노인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아파트에 사는 노인들보다 노인들로 거의 구성되어 있는 아파트의 노인들이 노인들만의 분리거주를 더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integration of tenants of different ages and disabilities on the adaptation of older tenants. Three types of tenant integration currently existing in Minneapolis public housing were studied : 1) segregation of older tenants, 2) integration of older tenants with younger disabled tenants, and 3) integration of older tenants with younger disabled tenants and younger tenants without disabilities. The study focused friendship,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hous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enant integration as aspects of the adaptation of older tenants to their housing. In addition, tenant integration types that older tenants prefer most were studied. The study found that tenant integration itself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ocal friendship, activity participation, and housing satisfaction, whereas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mo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ose variables. However, attitudes toward tenant integra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integration with younger tenants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Another study finding was that although almost half of older tenants preferred segregation from younger tenants, more older tenants currently living with younger tenants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preferred tenant integration of different ages and disabilities compared to older tenants living with almost all older people.

      • KCI우수등재

        부부갈등과 이혼상황에서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홍순혜(Soon Hae Hong),김은영(Eun Young Kim) 한국아동학회 2005 아동학회지 Vol.26 No.2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living in situations of high parental conflict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low parental conflicts, and with those in parental divorce. Ten high schools were chosen in Seoul and Kyunggi areas and all the students in three classes of each school replied to a questionnaire. Data consisted of the replies of 126 students living with parents in high marital conflict, 101 with parents in low marital conflict and 101 with a divorced par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living in high parental conflict compared to those in low parental conflict, showed a lower level of adjustment in all of the psycho-social adjustment variables except social self-estee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in high parental conflict and those in parental divorce.

      • KCI등재

        경기도 G시 위스타트 5년 사업 성과 평가

        홍순혜(Soon Hae Hong),정소연(So Yon Jung),방진희(Jin Hee Pang),엄경남(Kyoung Nam Eu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1

        본 연구는 2012년 현재 위스타트 사업이 시작된 지 5년이 된 경기도 G시를 대상으로 위스타트 사업의 성과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위스타트 사업 대상 아동과 양육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이 사업이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대해 2012년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비동일통제집단사후검사설계에 기반한 본 연구는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정과 교차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위스타트 참여집단과 비교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검증된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스타트 참여 아동이 비교집단 또래 보다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였으며 학령기아동의 경우 비교집단 보다 더 건강한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둘째, 위스타트 참여 아동들은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사회적 위축 정도, 우울 및 불안 감정의 정도가 더 낮았으며 학습습관은 더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위스타트 대상 아동의 주양육자들은 비교집단 보다 양육스트레스와 무망감 정도가 더 낮았다. 또한 아동의 아버지 집단에서 음주문제 역시 비교집단 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위스타트 참여 아동의 주양육자들은 비교집단 보다 아동의 학교과제 및 준비물을 더 자주 점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부분에서는 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함께 위스타트 사업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ipants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eir counterparts living in a neighboring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early March, 2012.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rimar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were more likely to be in good health,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e-Start participants aged 7-12 were fou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mood and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ir peers in the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children in the We-Start program, on average, ha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ipants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eir counterparts living in a neighboring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early March, 2012.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rimar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were more likely to be in good health,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e-Start participants aged 7-12 were fou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mood and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ir peers in the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children in the We-Start program, on average, had better study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3)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reported low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and feeling of helplessnes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4) In terms of good parenting,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checked and supported their children's homework more frequently than the parents in the comparison group. Lastly,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e-Start Projects an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치매 및 우울의심 노인과 정상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비교 연구

        홍순혜(Soon Hae Hong) 한국노년학회 1999 한국노년학 Vol.19 No.2

        최근 노인 부양문제에 있어 학계나 실천 현장에서 큰 관심 중의 하나는 노인을 둘러싼 다양한 비공식적, 공식적 지지망의 개발 및 활용이다. 본 연구도 이런 관심으로부터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성 성신질환자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의 강화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경기도 광주군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나 우울이 의심되는 노인들이 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정상노인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치매집단, 우울집단, 치매ㆍ우울집단, 정상집단의 4개 집단을 비교하였는데, 가족망은 집단간에 대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친구망은 우울 가능성 노인들을 포함하고 있는 우울집단과 치매ㆍ우울집단에서 낮게 나타났다. 친교집단과의 교류는 치매ㆍ우울집단에서 가장 저조한 반면 의료적, 사회적 서비스 제공기관은 우울집단에서 가장 빈번히 이용되고 있었다. 노인이 받고 있는 지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치매, 우울, 치매ㆍ우울집단이 모두 정서적, 활동적 지지를 정상집단보다 적게 받고 있었으며 도구적 지지는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의 제한이 정신질환의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본 논문에서 밝힐 수 없으나, 치매나 우울이 의심되는 노인들이 친구망 및 공식적 관계망의 부족 또는 축소와 지지 내용의 제한을 경험하고 있다는 결과는 앞으로 정신질환의 예방적인 차원에서건 치료적, 부양적 차원에서건 이들 집단에 대한 사회적 지지망의 보완 및 강화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One of the recent concerns of scholars and field practitioners who are interested in elder care is how to develop and expand informal and formal social support networks for the elderly. In order to get basic knowledge before trying to expand social support networks for the elderly residing in communities, this study compared social support networks between the elderly groups suspicious of dementia or depression and those without those mental illness. The study had four groups to be compared : dementia group(Dem-G), depression group(Dep-G), dementia/depression group(DD-G), normal group(No-G). While family network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friend network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DD-G and Dep-G. Dem-G, Dep-G, and DD-G tended to have less emotional and social activity support than No-G. Dep-G and DD-G also had a smaller support network in terms of leisure and friendship groups, but Dep-G more frequently used medical or social service ag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