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악산 국립공원 권역의 도로명 연구 : 고성군, 양양군, 인제군, 속초시를 중심으로

        홍소영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resent study attempted a philological discussion on road names in 4 regions around the Seoraksan National Park, a well-known tourist destination, i.e. Goseong, Yangyang, Inje and Sokcho in Gangwon-do. A total of 1,241 road names in the target regions were collected. The established methodology in toponymy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road names. First, the 1,241 road names were split into front and rear part elements to determine the hierarchy of rear part elements and the combination of the split elements with the rear part elements. The rear part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Gosokdoro, Dairo, Ro and Gil’. ‘Gil’ was most productive followed by ‘Ro’, ‘Dairo’ and ‘Gosokdoro’. The rear part elements of 574(46%) road names had no split elements. The most frequently used split element was serial numbers(340), followed by composite split elements(301). This finding implied that the serial numbers and composite split elements were highly productive in the combination with the rear part elements. Regarding the front part elements of the road names collected in the target regions, 633 front part elements were philologically characterized excluding the split and rear part elements. The front part elements were analyzed in light of syllables, word types and semantics. The syllables and word typ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rear part elements, i.e. ‘Gosokdoro, Dairo, Ro and Gil’ along with the hierarchy,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semantic analysis, the rear part elements were not categorized but the naming flexibility of the front part elements were considered to explore the productive use of naming flexibility in road names. In the analysis of the syllables in front part elements of the road names collected in the target regions, the number of syllables in front part elements was analyzed. Also, the hierarchy of rear part elements, the combination of front part element syllables, and the productivity of syllable counts in road names were analyzed. 1 ∼ 6 syllables were found in the front part elements of the road names collected in the target regions. The productivity of the syllable counts in the front part elements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2 syllables > 3 syllables > 4 syllables >5 syllables > 6 syllables > 1 syllable’. Geographically, Goseong, Yangyang and Sokcho shared the syllabic count attributes of front part elements. In contrast, Inje differed from the other regions in that its road names had neither 6- nor 1-syllable front part elements and that not 2- but 3-syllable front part elements proved most productive. In addition, the frequency in the hierarchy of rear part elements combined with the front part elements was comparable across the 4 regions in order of ‘Gil>Ro>Dairo>Gosokdoro’ depending on the syllable counts of the front part elements. For the analysis of word types in the front part elements of the road names collected in the target regions, the front part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word types, which were in turn characterized. Also, the aspects of each word type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hierarchy of rear part elements. In the analysis of the word types of front part elements, 433(68.40%) Chinese words were found, indicating the highest productivity. The frequency of word types used in road names was found in order of ‘Chinese words> hybrid words>native words> foreign words’. As for the native-word road names along the hierarchy of rear part elements, 'Gil' outnumbered ‘Ro’ across all regions. Chinese front part elements were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rear part element ‘Gil’, accounting for 74.83%( 324 road names). Overall, Chinese road names were combined with ‘Gil>Ro>Dairo>Gosokdoro’ in the order named. Just two road names had foreign words in their front part elements, with one in Goseong and the other in Sokcho. Both foreign-word front part elements were combined with the rear part element, ‘Ro’. 112(17.69%) road names had hybrid words in their front part elements, constituting the second most frequently used word type. Notably, 104(92.86%) road names had hybrid words in their rear part element ‘Gil’, which significantly outnumbered the rear part element ‘Gosokdoro' and 'Ro’. Across the four target regions, the rear part element ‘Gil’ was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hybrid words. In the semantic analysis of the road names in the target regions around the Seoraksan National Park, road names were not split into front and rear part elements. Based on the meanings of front part elements, the naming flexibility was characterized in terms of ‘statutory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old place names, physical place names, history, eminent figures, regional features and representation of ideas’. The naming flexibility proved high in order of ‘old and physical place names > statutory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 regional features > history and figures > representation of ideas’. Particularly, the naming flexibility of the old and physical place names was sub-classified into ‘natural settings, topography, hypsography, orientation, location, flora and fauna, mineralogy, architecture, villages and towns’. The natural settings, topography and hypsography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semantics of the road names. Some challenges arose in this study, which could be addressed as below. First, the split elements combined with the rear part elements of road names around the Seoraksan National Park outnumbered those found in other regions. The serial-number split elements are often found in other regions, whereas the basic-number split elements are hard to find. As the basic numbers used in the road names around the Seoraksan National Park are based on the distance from a certain spot, such basic numbers are complex and hard to recognize. Many place names exist in Goseong, Yangyang, Inje and Sokcho. In lieu of road names comprised of the split elements that are hard to recognize even among residents, it would be good practice to use place names, which would be conducive to the lexical economy of road names and easier to recognize and recall. Second, the front part elements of the road names disproportionately drew on 2 syllables, which proved most productive. Quite a few road names used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old place names and physical place names in their 2-syllable front part elements. At the same time, not a few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were abbreviated into 2-syllable words. Mostly, as the abbreviated words carry the first and last part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it is difficult to spontaneously understand the meaning of a road name. For example, although a 4-syllable road name is less economic, it conveys the original form of an administrative district name and thus helps identify the meaning of the name. Despite the importance of efficiency, the functional aspect of road names as place names need be considered, whilst more plausible and appropriate road names should be give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 the imprudent preference for native words in road names makes it hard to understand such names. Some native words are easy to understand, whereas others do not make sense in terms of etymology or semantics. Chinese word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road names around the Seoraksan National Park. Still, renaming them with native words in a good cause is likely to confuse residents especially when they are not familiar to relevant place names. As Chinese words are part of our language, it is necessary to use native words not unconditionally but reasonably given the needs of language users. This study analyzed the road names in 4 target regions around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light of the hierarchy of their rear part elements, the combination with split elements, and the syllables, word types and semantics of front part elements. Given the absence of research on road names in Gangwon-do regions, the present study delved into the road names around the most sought-after tourist destinatio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o extend the scope of research on road names. Yet, this study was not concerned with the phonology, morphology and etymology of road names, which warrants further studies. Also. the road names in other regions of Gangwon-do are worth investigating. * Keywords : road name, Gangwon-do, Seoraksan National Park regions, front part element, rear part element, syllabic analysis, word type analysis, naming flexibility *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August 2016.

      •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홍소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위한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환경 핵심역량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를 분석하여, 환경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나아가 환경 문제에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환경 관련 수업목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SCC 교수・학습모형을 활용하여 스토리 활동 – 코딩활동 - 협력활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적용 후 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내용을 추출한 후 코딩 교육과 융합하여 16차시의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공기, 물과 바다 등 8종류의 환경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주제로 하여 개발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엔트리 프로그램의 다양한 블록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을 거쳐 해결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연구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얻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환경교육과 코딩 교육의 융합적 시도로서 향후 환경교육과 관련한 융합연구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SCC 활동전략을 코딩 학습모형으로 활용하여 초등 환경교육 내용 기반의 코딩 교육의 단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SCC 학습모형의 도입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학생들의 환경 핵심역량 신장에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셋째,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생들의 환경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검사로 확인하여본 결과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연구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환경 핵심역량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 코딩 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환경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환경교육과 코딩 교육의 융합 연구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엔트리 프로그램 외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접목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지각된 부모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인지과정의 매개효과-

        홍소영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지각된 부모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인지과정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정적 인지과정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CPIC), 청소년 자기평가 척도(K-YSR), 비합리적 신념 척도(IBT), 부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K-CATS)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을 사용하였으며,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구하고 성별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비합리적 신념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매개로 아동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에서 부모갈등만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지각된 부모갈등은 아동의 내면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 비합리적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아동의 내면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지각된 부모갈등은 비합리적 신념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의해 매개되어 아동의 내면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모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합리적 신념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통해서도 아동의 내면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부모갈등과 아동의 부적응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밝히거나 부모의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시했던 것과는 달리 부모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심리적 과정, 특히 부정적 인지과정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Effect of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With Negative Cognitive Processing as a Mediating Factor- HONG SO YOUNG Counseling Psychology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Incheon The study aims to figure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cognitive processing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 of 5th graders and 6th grad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s used included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Korean-Youth Self Report(K-YSR), Irrational Beliefs Test(IBT) and Korea-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K-CATS).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SPSS 15.0 program, and Cronbach α was obtain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Final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e if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would affect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via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had differences in gender, it was more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had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ird,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ourth, the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turned out to have effects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via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denoted that the perceived conflicts not only exerted a firsthand influence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but had a secondhand impact on that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Most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figuring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interparental conflicts and children's difficulties in adaptation or unvei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but the study carried significance in that it has found that the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influence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via negative cognitive processing.

      • 중국인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아서', '-니까', '-느라고', '-므로'를 중심으로

        홍소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 -니까, -느라고, -므로’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화용적 특성에 대한 습득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연구 문제와 그에 따른 연구 가설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 30명, 고급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에는 참여를 원하는 학습자에 한하여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특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숙달도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결어미 ‘-아서, -느라고, -므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다. 다음으로 동일 숙달도 내에서의 습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중급과 고급 학습자 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급 집단에서의 인과관계 연결어미 통사적 특성의 정답률은 ‘-니까>-느라고>-아서>-므로’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아서vs-니까’, ‘-니까vs-느라고’, ‘-니까vs-므로’에서 세부 제약별 차이가 드러났다. 고급 집단에서의 통사적 특성 정답률은 ‘-니까>-아서>-느라고>-므로’ 순서로 나타났으며, 세부 제약별 차이는 ‘-니까vs-므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둘째로,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의미·화용적 특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숙달도 간 습득 양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인과관계 연결어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동일 숙달도 내에서의 습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중급 집단에서는 ‘-아서vs-느라고’, ‘-아서vs-므로’에서 통계적 차이성이 드러났으며 고급 집단에서 ‘-아서vs-니까’, ‘-아서vs-느라고’, ‘-아서vs-므로’에서 통계적 차이성이 드러났다. 셋째로, 앞서 살펴본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전체적인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에 대한 숙달도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급 집단이 중급 집단에 비하여 연결어미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 모두를 유의하게 잘 습득하였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동일 숙달도 내에서의 ‘통사적 특성 vs 의미·화용적 특성’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중급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성이 드러났다. 즉, 중급 학습자들이 통사적 특성에 비하여 의미·화용적 특성을 균형 있게 습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습득 양상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각 연결어미마다 나타난 습득 양상 결과를 참고하여, 부족한 부분에서의 교육적 제시에 대한 간단한 예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습득 양상을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에 이어서, 향후 다양한 한국어 연결어미를 대상으로 한 습득 양상 연구가 활발히 지속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ausal connective endings like ‘-aseo’, ‘-nikka’, ‘-neurago’, ‘-meuro’ for Chinese learners. In this study,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and verify three research points and their corresponding research hypotheses. In the experiments, 30 intermediate learners and 30 advanced learners of Chinese nationality took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ose who wish to join the interviews. First of all, the acquisition patterns about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were investigated. By exploring the differences of proficiency between the learn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nective endings ‘-aseo’, ‘-neurago’, and ‘-meuro’. Nex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 groups was discovered, when the acquisition patterns in the same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were researched. In the intermediate group,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syntactic characteristics was appeared in ‘-nikka’, followed by ‘-neurago’, -‘aseo’, and then ‘-meuro’. From a statistical perspective, differences were seen from ‘-aseo vs -nikka’, ‘-nikka vs –neurago’, and ‘-nikka vs -meuro’ by detailed constraints. In the advanced group,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syntactic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in ‘-nikka’, followed by ‘-aseo’, ‘-neurago’, and then ‘-meuro’. Also, a difference was captured from ‘-nikka vs –meuro’ by detailed constraint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ly, the acquisition patterns on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were studied. By comparing the acquisition patterns between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it is found out that all causal connective endings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over, when the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ame level of proficiency were analyzed, a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from ‘-aseo vs -neurago’ and ‘-aseo vs -meuro’ in the intermediate group. In the advanced group, the difference was seen from ‘-aseo vs –nikka’, ‘-aseo vs -neurago’, and ‘-aseo vs -meuro’. Third, the overal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y observing the difference between proficiency on overal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it is found out that the advanced group showed superior stance for learning al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connective endings when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group. Moreo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rom the intermediate group, when the acquisition patterns of ‘syntactic vs semantic, pragmatic’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e same level of proficiency.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from the intermediate group are not learning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in as balanced manner as syntactic characteristics. Lastly, suggestions were mad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such acquisition pattern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A brief example of educational suggestion in the deficient field is provid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acquisition patterns of each connective end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s the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causal connective endings of Chinese learners from diverse perspectiv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will continue on the acquisition patterns of more various Korean connective endings in the future.

      • 소그룹 놀이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홍소영 대구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arbitration through small group pla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mplicature linguistic ability of slightly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hose chronological age were 5 to 6 and slightly mentally retarded ones whose I.Q. by K-WIPPSI were measured between 65 and 75 and sociality index was below average and there was no problem in emotion and hearing ability. Basic pre-test was executed twice a week before starting therapy and 18 times, once a period, twice a week in the course of therapy, and two maintenance-tests were executed once a week after the end of th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practicing small group play program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objective mention. Second, it showed that practicing small group play program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statement. Third, it showed that practicing small group play program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the expression receiving the content of the dialog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idea that arbitration of implicature linguistic ability through small group play program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implicature linguistic ability of slightly mentally retarded children. 소그룹 놀이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가 경도 정신지체 아동들의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5세에서 6세 사이의 3명의 아동으로 지능지수는 K-WIPPSI로 측정한 결과, 65에서 75사이의 경도 정신지체이며, 사회성 지수가 평균이 이하이고, 정서, 청력 등에 손상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되었다. 기초선 평가는 치료시작 전 일주일에 2회 그리고 치료단계에서는 매주 2회씩 18회기 실시하여 매 회기에 한번 씩 측정하였으며, 유지는 종료시점으로부터 2주후 일주일에 1회씩 2회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그룹 놀이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언어중재를 한 결과 객관적 언급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 효과는 대상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에서 3점에서 8점으로 평가되었으며, 유지단계에서 10점에서 12점으로 평가되어 화용론적 언어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소그룹 놀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언어중재를 한 결과 주관적 진술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 효과는 대상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에서 2점에서 4점 사이의 평가수준을 보였으나 유지단계에서 10점에서 12점사이의 평가수준을 보임으로서 8점에서 10점정도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주관적 진술에서는 뚜렷한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소그룹 놀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언어중재를 한 결과 대화 내용 수신표현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 효과는 대상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에서 2점에서 3점의 수행평가능력을 보여준 반면, 유지단계에서는 10점에서 12점으로 기초선 단계에 비하여 8점 이상의 향상을 보여 대화내용 수신표현에서는 뚜렷한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그룹 놀이를 통한 화용론적 언어능력의 중재가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지지하고 있다.

      • Angoff와 Bookmark 방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업성취도평가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홍소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업성취도평가를 대상으로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을 적용하여 분할점수를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기준설정 방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앵고프와 북마크 방법을 통해 설정된 분할점수와 각 성취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비율은 차이가 있는가? 2)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간 성취수준별 학생 분류 결과의 분류일치도는 어느 정도인가? 3) 기준설정 방법내, 기준설정 참여자내 및 기준설정 참여자간 각 평정회차별 분류일치도는 어느 정도인가? 4) 지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의 성취수준별 학생 분류 결과의 분류일치도는 어느 정도인가? 5) 기준설정 방법에 대한 기준설정 참여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초등학교 6학년 담임 경험이 있는 교직경력 5년 이상의 교사 34명을 기준설정 참여자로 선정한 후,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를 달리하였다. 기준설정 대상이 되는 대전지역 학업성취도평가 수학검사 답지 공개를 허락한 18개교 2,607명의 자료를 2010년 2월 한 달 동안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을 통하여 성취수준별로 설정된 분할점수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준설정 방법간, 방법내, 기준설정 참여자내 및 기준설정 참여자간 일치도통계량()과 Cohen의 Kappa계수를 산출하였다. 이와 함께 기준설정 참여자들의 기준설정 방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 및 범주별 비율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을 통해 설정된 분할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우수-보통’과 ‘보통-기초’ 수준의 분할점수는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앵고프 방법이 북마크 방법보다 높게 설정되었다. 그러나 ‘기초-기초미달’ 수준의 분할점수는 A절차(앵고프→북마크)에서는 북마크 방법이, B절차(북마크→앵고프)에서는 앵고프 방법이 높게 설정되었다. 각 성취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비율도 기준설정 방법 및 시행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A절차의 경우, 북마크 방법에 의해 ‘우수’와 ‘기초미달’ 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B절차에서는 ‘우수’와 ‘보통’ 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비율은 기준설정 방법에 관계없이 40.8%로 동일하였으나, ‘기초미달’ 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비율은 앵고프 방법이 북마크 방법보다 다소 높았다. 둘째, 기준설정 방법간 분류일치도는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1차 평정에서 3차 평정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준설정 방법내 분류일치도는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앵고프 방법은 모든 평정에서 높았다. 또한 B절차에 비하여 A절차로 시행하였을 때 2가지 기준설정 방법 모두에서 분류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준설정 참여자내 분류일치도는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앵고프 방법이 북마크 방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절차로 진행하였을 경우, 앵고프 방법은 2차와 3차의 분류일치도가, 북마크 방법은 1차와 3차의 분류일치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B절차로 진행했을 때에는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 모두에서 2차와 3차의 분류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준설정 참여자간 분류일치도는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1차 평정에서 3차 평정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절차에서는 대체로 북마크 방법이, B절차에서는 1차 평정은 북마크 방법이, 2차와 3차 평정에서는 앵고프 방법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류일치도를 보였다. 넷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각 성취수준에 분류된 학생과 지역수준 학년말 학업성취도평가의 기준설정 결과 각 성취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분류일치도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준설정 방법에 대한 기준설정 참여자들의 인식은 각 절차에 참여한 기준설정 참여자들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① 앵고프와 북마크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및 절차적 개념의 이해도는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대체로 높은 편이었다. ② A절차의 기준설정 참여자들은 북마크 방법, B절차의 기준설정 참여자들은 앵고프 방법의 이론적 및 절차적 이해가 용이하다고 하였다. 이는 각 절차에서 먼저 시행한 기준설정 방법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통해 학습효과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③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관계없이 먼저 시행된 기준설정 방법의 1차 평정에서 토론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었다. ④ 기준설정 참여자들은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의 절차에 대하여 대체로 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⑤ 기준설정 참여자들은 수학교과에 적합한 기준설정 방법 및 설정한 분할점수에 대한 확신이 높은 방법으로 앵고프 방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⑥ 기준설정 참여자들은 대체로 기준설정 절차를 이행하는데 용이한 방법, 학교현장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방법으로 북마크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우수-보통’ 수준의 분할점수는 앵고프 방법이 높게 설정되며, ‘보통-기초’ 수준의 분할점수는 두 방법에서 유사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북마크 방법에 의해 ‘우수’, ‘기초미달’ 수준에 분류되는 학생의 비율이 앵고프 방법보다 높다. 각 기준설정 방법으로 설정된 분할점수는 시행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 A절차의 경우, ‘우수-보통’ 수준의 분할점수는 앵고프 방법이, ‘기초-기초미달’ 수준의 분할점수는 북마크 방법이 높게 설정된다. B절차의 경우, 앵고프 방법을 통하여 설정된 모든 성취수준의 분할점수는 북마크 방법보다 높다. 둘째,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간 분류일치도는 1차 평정에서 3차 평정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셋째, 기준설정 방법내, 기준설정 참여자내 및 기준설정 참여자간 분류일치도는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 모두에서 대체로 높다. 넷째, 지역수준 학업성취도평가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수학검사에서 각 성취수준에 분류된 학생의 분류일치도는 낮다. 다섯째, 기준설정 참여자들은 대체로 기준설정 방법에 대한 이해가 높으며, 수학교과에 적합한 기준설정 방법 및 설정한 분할점수에 대한 확신이 높은 기준설정 방법으로 앵고프 방법을 선호한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적용가능성이 높은 방법으로는 북마크 방법을 선호한다. 본 연구는 지역수준에서 시행된 초등학교 학년말 학업성취도평가를 대상으로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을 적용하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사용한 성취수준별로 분할점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기준설정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앵고프 방법과 북마크 방법의 시행순서를 달리한 2개의 절차를 교직경력과 6학년 담임경력이 유사한 2개의 기준설정 참여자 집단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기준설정 방법의 시행순서에 따라 설정된 분할점수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ut scores for the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the 6th grade using the Angoff and Bookmark methods and to validate the cut scores. Additio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thods for setting standards can be applied in educational circumstances.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re the cut scores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classified by achievement level by the Angoff method different from those classified by the Bookmark method? 2) How is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y between the Angoff and Bookmark methods? 3) How is the consistency within-method, intra-penalist consistency and inter-penalist consistency? 4) How is the consistency of distinguish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etween region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5) How is the recognition of panelists for standard-setting methods? The panelists consisted of 34 elementary-school teachers who have been for over 5 years with experience in teaching 6th grade. Panelis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informed about methods for setting standards in the different order of implementation. Students' answer papers for th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conducted in Daejon were collected for a month(February 2010), which resulted in the gathering of data from 2,607 students from 18 schools. To validate the established cut scores for each achievement level using the modified Angoff and Bookmark methods, consistent statistic() of inter-methods, intra-method, inter-panelists, and intra-panelist and Cohen's Kappa coefficient were used. To figure out panelists' recognition toward standard-setting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chi-square test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t scores established by the Angoff method and that established by the Bookmark method. For the 'advanced-proficient' level, the cut score established by the Angoff method was higher than that established by the Bookmark method, regardless of the order of implementation. However, for the 'basic-below basic' level, the cut score established by the Bookmark method was higher than that established by the Angoff method in procedure A (Angoff → Bookmark), and vise versa in procedure B (Bookmark → Angoff). Similar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students classified by achievement level. In procedure A, the proportion of students in the 'advanced' and 'below-basic' levels based on the Bookmark method was higher. In procedure B, the proportion of students in the 'advanced' and 'proficient' levels was 40.8% for both methods, whi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in the 'below basic' level based on the Angoff method was higher. Secondly, the consistency of inter-methods increased as the rounds went on. Thirdly, the consistency of intra-methods was higher for the Angoff method at all rounds and was higher for procedure A than for procedure B in both methods. In the case of procedure A, the consistency was the highest in the second and third rounds in the Angoff method and in the first and third rounds in the Bookmark method. In contrast, the consistency was the highest in the second and third rounds in both methods in procedure B. The consistency of inter-panelists increased as the rounds went on for both procedures A and B. Overall, there was higher consistency for the Bookmark method in procedure A, the Angoff method in procedure B, and the Angoff method in the second and third rounds. Fourth, the consistency of the proportion of students classified by achievement level was low between nationwide and regional assessments of educational achievement. Fifth, the panelists' perception of the methods of setting standards in procedure A was different from their perception related to procedure B. ① Panelists' understanding of the Angoff and Bookmark methods was good regardless of the order of implementation. ② The Bookmark method for procedure A and the Angoff method for procedure B were easily understandable in terms of theory and procedure. ③ Panelists indicated that it took the longest time for discussion on the first round of prior method. ④ Panelists mostly agreed on the validity of the Angoff and Bookmark methods. ⑤ Panelists preferred the Angoff method as an appropriate way to set standards for mathematics; when using this method, they were more confident in cut scores they set. ⑥ Most panelists chose the Bookmark method an easier way to conduct the procedure of setting standards;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school environment. Thus, the Angoff method would be appropriate for setting standards for mathematics, but given that teachers should spend most of their working hours on teaching and additional work, the Bookmark method could be an alternative, as it offers a simple and less stressful way to make a deci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is below. First, the cut score for the 'advanced-proficient' level is higher in the Angoff method, and the cut score for the 'proficient-basic' level is similar. Therefo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classified in the 'advanced' and 'below basic' levels is higher by the Bookmark method than by the Angoff method. Each cut score established by Angoff and Bookmark is different due to the order of implementation. In procedure A (Angoff → Bookmark), the cut score for the 'advanced-proficient' level by the Bookmark method and the 'basic-below basic' level by the Angoff method is set higher. In procedure B (Bookmark → Angoff), the cut scores for all levels by the Angoff method are higher. Secondly, the consistency of inter-methods is increasing as round is repeated. Thirdly, the consistency of intra-methods, intra-panelist and inter-panelists is relatively higher in both the Angoff and Bookmark methods. Fourth, the consistency of student classification on each level between nationwide and regional assessments of educational achievement is low. Finally, the panelists understand the methods for standard setting well and prefer the Angoff method in terms of its appropriateness and the trustworthiness of the cut score they established. The Bookmark method, however, is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This study offered empirical evidence that standard-setting is generally applicable in school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reg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by the modified Angoff and Bookmark methods and establishing cut scores based on achievement level adapted in a nationwide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addition, two homogeneous groups of teachers with similar teaching careers and experiences of teaching the 6th grade were mobilized into different procedures involving the two methods. As a result, it has been proven that each cut score established by the Angoff and Bookmark methods was different due to the order of implementation.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HCA)이 고탄수화물 및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중과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홍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CA-containing Garcinia cambogia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carbohydrate or high-fat diet. Seventy male rats(Sprague-Dawley), eight weeks age, weighing 289.72±0.86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with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HCA levels(0, 1.6, 3.2%) and calorie sources(carbohydrate, fat) for 8 weeks.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were recorded for experimental period and perirenal fat pad, epididymal fat pad and brown adipose tissue were weighed.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ctivitie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safety of experimental compound in rats and plasma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rotein nutritional state of rat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lipid metabolism,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plasma,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evels and ATP-citrate lyase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activities in liver and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excretions in feces were measured. Plasma AST and ALT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and plasma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 were in normal levels (total protein: 5.9~7.9g/dl, albumin: 2.8~4.4g/dl). Daily food intake and calorie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carbohydrate groups than high-fat diet groups and HCA groups in carbohydrate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ood intake and calorie intake compared with S0.0HCA group. HCA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gain and high-carbohydrate diet with HCA was more weight gain reduction than high-fat diet with HCA. Body weight gain and calorie efficiency ratio (weight gain(g)/calorie intake(100kcal)) in S0.0HCA and F0.0HC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high-carbohydrate and high-fat diets with HCA. HCA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 weight gain/calorie intake. Perirenal fat pad weight was no differences by energy source. Perirenal fat pad weight of S1.6HCA and S3.2HCA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Epididymal fat pad in High-fat diet groups was higher than high-carbohydrate diet groups and high-carbohydrate diet with HC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igh-fat diet groups with HCA. Brown adipose tissue weight was higher in high-carbohydrate diet groups with HCA than high-fat diet groups with HCA. Plasma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high-carbohydrate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High-fat diet.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in S3.2HC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0.0HCA group. But plasma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in high-fat diet groups were no differences by HCA.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ere not affected by HCA. Total lipid level in liver was not affected by energy sources but S3.2HC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HCA 3.2%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CA 0.0% groups. Fecal total lipids,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high-fat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high-carbohydrate diet groups. The levels of fecal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HC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fec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etary level of increasing HCA. The activities of hepatic ATP-citrate lyase and CPT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nergy source and HCA. In conclusion, intake of HCA was effective in reduction of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calorie efficiency ratio(weight gain(g)/calorie intake(100㎉) in high-carbohydrate and high-fate diet with HC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 HCA groups. High carbohydrate diet with HCA was more effective than high-fat diet with HCA in reduction of body weight and body fat accumulation. 본 연구에서는 고탄수화물 및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에게 식이를 통하여 garcinia cambogia로부터 추출한 hydroxycitric acid(HCA)를 공급하였을 때 체중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균체중이 289.72±0.86g인 8주령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 70마리를 군당 10마리씩 7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7%(w/w)fat diet)을 제외하고 고탄수화물 식이(sugar)군과 고지방 식이(fat)군으로 나누고 HCA 수준을 식이 무게의 0.0%(HCA 비첨가군), 1.6%, 3.2%로 달리하여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기간 중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을 측정하였으며 실험기간 종료 일주일 전에 이틀간 변을 채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희생 후 부고환의 지방 및 신장주변 조직, 갈색 지방 조직의 무게, 간, 비장, 신장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시료의 간기능 관련 효소 평가를 위하여 혈장의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ALT)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혈장 내 총 단백과 알부민 농도를 측정하여 단백질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의 지질대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장 내 총 지방과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하였고, 간 내의 총 지방과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변으로의 지질 배설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 내 총 지방과,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HCA의 섭취가 지방합성 및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 내 ATP-citrate lyase효소와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CPT) 효소 활성을 측정 하였다. 혈장의 AST와 ALT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군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정상수준에 근접하였다. 혈장 총 단백과 알부민의 농도 또한 정상 수준 (총 단백: 5.9~7.9g/㎗, albumin: 2.8~4.4g/㎗)에 해당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일일 열량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탄수화물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sugar+0.0HCA군에 비하여 sugar+HCA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열량 섭취량이 낮았으나 고지방 식이군들에서는 HCA의 공급에 의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Surat+ HCA 첨가군들과 fat+HCA 첨가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중증가량은 HCA 비첨가군들에 비하여 HCA 첨가군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fat+HCA 첨가군에 비하여 sugar+HCA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이는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열량섭취 100㎉당 체중 증가량은 열량급원 및 HCA의 영향이 유의적이었다. HCA는 열량 효율을 낮추어 sugar+HCA 첨가군들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fat+HCA 첨가군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는 sugar+0.0HCA군과 비교하여 sugar+HCA 첨가군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HCA의 영향이 유의적이지 않았다. Fat+HCA 첨가군들에 비하여 sugar+HCA 첨가군들에서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신장주변 지방 무게는 HCA의 영향이 뚜렷하여 sugar+0.0HCA군에 비하여 sugar+3.2HCA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갈색 지방 조직의 무게는 sugar+HCA 첨가군에 비하여 fat+HCA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장 내 지질수준을 살펴보면 총 지방,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농도 모두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고탄수화물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장 내 총 지방과 중성 지방의 농도는 sugar+0.0HCA군에 비하여 sugar+HCA 첨가군들에서 감소되었으나, 고지방 식이군에서는 HCA의 영향이 유의적이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HCA의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농도와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은 HCA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내 총 지방 수준은 열량급원의 영향이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sugar+3.2HCA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 내 중성지방의 수준은 열량급원과 HCA의 영향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탄수화물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HCA 비첨가군들과 비교하여 HCA 3.2% 첨가군들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변에서 측정한 총 지방,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의 배설량은 모두 고탄수화물 식이군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지방과 중성지방 배설량은 HCA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HCA 비첨가군들에 비하여 HCA 3.2% 첨가군들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지방산의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ATP-citrate lyase의 활성은 열량급원과 HCA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고탄수화물 식이군에서는 HCA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ATP-citrate lyase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방연소를 촉진하는 효소인 CPT의 활성은 HCA의 영향이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고탄수화물 식이군에서는 HCA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CPT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HCA의 공급은 체중 증가량과 열량효율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고지방 식이에 비하여 고탄수화물 식이와 함께 HCA를 공급하였을 때 열량 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체중 증가량 및 체지방량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 학교폭력 관련 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홍소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관련 학생들(가해자, 피해자, 주변인)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2012년도 2월부터 2022년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23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MS Excel 2013을 사용하여 코딩하고,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 CMA2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분석대상 연구의 특성’이다. 발생 시기별 분포는 2012년을 기점으로 2017년까지 증가 및 유지되었다. 이후 2018년부터 2022년 2월까지 연구물이 대폭 감소하였다. 이는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 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도가 감소하였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한편 학위 논문 관련 전공은 사회복지학, 상담 및 심리 등의 순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상담·심리학과 사회복지학이 실제 학교폭력 관련 학생을 만나, 상담과 복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가 필요했으리라 본다. 또한 학술지는 청소년학연구, 사회복지학연구 등의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연구자가 직접 설문조사를 실 시하는 연구자데이터보다 패널데이터가 더욱 많았다. 이는 학교폭력 연구 특성상, 설문지와 같은 연구자데이터 확보에 대한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심리사회적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먼저 가해자는 위험요인이 보호요인보다 더욱 큰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가족, 개인, 환경요인 순으로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컸다. 이는 가정폭력, 부모양육태도, 애착과 같은 가족요인이 가해자에게 크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피해자는 환경, 개인, 가족요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요인 모두 효과크기가 .5를 넘는 큰 수준이었다. 이는 피해자에게 교사지지, 또래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도움이 될 수 있고, 가족분위기와 같은 가족요인, 대처방식과 같은 개인적 특성 또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주변인 학생은 위험요인이 보 호요인보다 더욱 큰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가족, 개인, 환경 모두 .3 이상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 관련 학생 중 가해자와 주변인이 위험요인에 더욱 큰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학교폭력이 아직 미해결과제로 남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폭력 관련 학생 상담 시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은 줄이고, 보호요인은 강화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가해자는 가족요인이 중요하기 때문에 부모교육이 함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해자는 환경요인과 같은 교사지지, 또래지지 등 의 자원을 확보하도록 조력하는 방안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학교폭력 관련 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