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反)자본주의를 위한 사랑의 형상화 : 김유정론

        홍래성 ( Hong Rae-se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김유정은 「病床의 생각」에서 `사랑`의 중요성을 역설(力說)한다. 그런데 「病床의 생각」의 말미에는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相互扶助論)”이란 문구와 더불어, 그 옆에 나란히 “맑스의 자본론(資本論)”이란 문구가 기술되어 있다. 언뜻 서로 연결될 수 없는 두 개의 문구이다. 본 논문은 우선 여기에 의문을 품고서 김유정에게는 두 개의 문구가 어찌하여 병립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개의 문구 간의 연결고리는 김유정이 지니고 있던 반(反)자본주의적 시선에서 연유함을 확인했다. 이어서, 본 논문은 김유정이 반(反)자본주의적 시선을 바탕 삼아 추구했던 `사랑`에 대해, 그것의 성질을 유추해보았다. 끝으로 본 논문은 김유정의 작품에서는 이와 같은 `사랑`이 어떤 식으로 반영, 투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Kim Yujeong emphasized importance of `love` in the Byung-sang- ei-saeng-gak. In the finale of this text, "Kropotkin`s Mutualism" and “Marx`s Kapital” are presented together. However, this two phrases can`t be connected ordinarily. I wondered this point, so I looked for how Kim Yujeong used “Korotkin`s Mutualism” and “Marx`s Kapital” together. In this paper, I verified that the connection of two phrases was based on Kim Yujeong`s “Critical gaze towards capitalism”. Continually, I inferred charcater of `love` that Kim Yujeong pursued based on his anti-capitalist aspect in this paper. Lastly, I checked how Kim Yujeong reflected such `love` in his work.

      • KCI등재

        조향의 초현실주의 시론의 발현과정과 특질에 대하여

        홍래성 ( Rae Seong H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3

        This study examines Jo Hyang’s initial activity, from the Nangmanpa period to the end of the 1950s, in order to consider the formation process and features of Jo Hyang’s surrealism poetics. Nangmanpa, a publication that Jo Hyang played a lead role in, may appear to be unrelated to surrealism but an analysis of Jo Hyang’s comments in Nangmanpa suggests otherwise. The romance that Jo Hyang supported differed from the existing romance and is likely to have been connected to surrealism. Therefore, Jo Hyang’s surrealism from the 1950s appears to have originated not as a result of the conversion of literary trends but from the gradual manifestation of his internal consciousness. Criticism against the literary circles of the metropoli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concrete Jo Hyang’s surrealism. Jo Hyang did not produce any visible results during the ‘Hubangi’ circle period. Jo Hyang’s activities at the time can only be observed through his writings in Jugan Kukje and the ‘College Korean Language Series’. It is from this ‘Hubangi’ period that he constantly published surrealism related writings and it can be said that Jo Hyang’s surrealism poetics were established by the end of the 1950s. Unlike the surrealism of Western European, which focused on image itself, Jo Hyang’s surrealism poetics was not only limited to image; he did not give up the world of values. In other words, Jo Hyang pursued not only images but also values. Jo Hyang first made rough drawings through automatism and then attempted to produce surrealism poems by using the montage technique. The montage technique consisted of the following two kinds: one which combined rough drawings with probability to give specific value, and the other did so without probability to disclose the image itself. As such, Jo Hyang’s surrealism poetics involved the production of poems of two different kinds of systems.

      • KCI등재

        『황혼』 다시 읽기 : 1930년대 후반 상황과 한설야의 입장, 그리고, 핵심 인물 경재에게 초점을 맞추어

        홍래성(Hong, Rae-seong)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본 논문은 1930년대 후반 상황과 한설야의 입장, 그리고, 핵심 인물 경재에게 초점을 맞추어 『황혼』을 꼼꼼히 분석해보려는 의도로 쓰여졌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황혼』의 창작 배경을 파악하고자 신건설사 사건 이후 한설야가 발표한 언설들을 탐색해보았다. 한설야는 이 언설들에서 기존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지닌 도식성을 타파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쳤거니와, 이를 위해 진실한 인간을 그려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황혼』은 이러한 견해를 담아내고자 한 작품이었다. 둘째, 『황혼』의 핵심 인물 경재를 둘러싼 문제를 탐색해보았다. 한설야는 『황혼』을 구상할 당시 경재를 핵심 인물로 설정했는데, 이는 전형기라는 시대적인 분위기를 고려한 것이었다. 또한, 한설야는 『황혼』을 써나가면서 원래 의도와는 달리 경재보다도 여순, 준식을 더 매력적으로 형상화해 버렸는데, 이는 무의식적 동일시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셋째, 『황혼』에서 경재가 처한 현실적인 제약 및 경재가 보여준 관계 맺음 방식의 한계를 탐색해보았다. 경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딜레마에 놓여 있었거니와, 이로부터 회피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한설야의 의도를 따른 것이었다. 더불어, 경재는 여순에게도 현옥에게도 ‘동정 → 사랑’의 감정 메커니즘으로 관계를 맺었는데, 이는 근원적인 한계를 지니는 것이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carefully analyzing Twilight, focusing on the situation of the late 1930s, Han Seol-ya"s position, and main character Kyung-jae. This paper proceed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plored the criticisms published by Han Seol-ya after the Sin-geon-seol-sa incident. This was to understan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Twilight. In these criticisms, Han Seol-ya argued that the stereotypes of old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be overcome. Also, he insisted on portraying a true human being. And, Twilight was a work that reflected Han Seol-ya’s view. Second, this paper explored the problem surrounding the main character Kyung-jae in Twilight. The reason why Han Seol-ya set Kyung-jae as a main character is because he considered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called Transition Period. In addition, Han Seol-ya has more attractive features of Yeo-sun and Jun-sik than Kyung-jae by writing Twilight. The reason was unconscious indentification. Third, this paper explo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Kyung-jae and the way of establishing relationship of Kyung-jae. Kyung-jae was in a dilemma. Also, Kyung-jae showed a side to avoid this dilemma. All of this was Han Seol-ya’s intention. In addition, Kyung-jae has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Yeo-sun and Hyun-ok as mechanism of ‘sympathy → love’. This kind of relationship has fundamental limitations.

      • KCI등재

        1990년대 김종철의 생태(주의)적 사유를 살피려는 하나의 시론

        홍래성 ( Hong Rae-se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5 No.-

        본 논문은 『녹색평론』이 창간된 1991년 전후 무렵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이때부터 주로 근 10년간 김종철이 어떤 생태(주의)적 사유를 펼쳐나갔는지를, 그 자체로도, 또, 문학과 관계한 측면에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김종철은 과학기술을 비판했고, 이를 추동하는 배경인 산업문화를 비판했다. 또한, 공동체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그 일환으로써 농업 중심 생활을 강조했다. 더불어, 이들 전체를 실현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으로 내면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근대-자본주의’에서 벗어나자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근대-자본주의 속에서 살고 있는 일반에게 김종철의 생태(주의)적 사유는 그저 공허하다고만 여겨질 위험성이 높았다. 그래서, 김종철은 나름대로 실천 방법을 제시했으나, 그것들이 정말로 진정한 대안일 수 있느냐는 분분한 논란거리였다. 바로 지금 여기에서의 실제적인 가능성 문제에 봉착하는 까닭이다. 한편, 김종철은 1990년대쯤부터 문학에 흥미를 잃었다고 밝혔다. 자연히 김종철은 문학평론을 생산하는 일도 점차 그만두게 된다. 그렇지만, 김종철이 문학을 전적으로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1990년대 이후로도 나름대로 문학 활동을 계속 펼쳐나갔음이 확인되거니와, 여전히 시, 소설에 대한 기대를 거두지 않았음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김종철은 시, 소설을 대할 때도 생태(주의)적 사유를 기반으로 접근했다. 그러니까, 김종철은 시에도, 소설에도 내면 변화를 이끄는 공동체에 대한 감각이 담기길 바랐던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Kim Jong-chul’s ecology in two aspects in the 1990s. One was the characteristic of Kim’s ecology. The other w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s ecology and Kim’s literary view. Kim criticized technology and industrial culture. Also, Kim emphasized the need for communities and agricultural life. In addition, Kim appealed for inner change. As a result, Kim’s argument was to break away from ‘moderncapitalism’. However, Kim’s argument could not be recognized by people. So, Kim offered some alternatives, but people thought it was not realistic. Meanwhile, Kim has lost interest in literature since the 1990s. Kim gradually stopped writing literary criticism. However, Kim did not give up literature. Kim still had expectations for poetry and novels. Kim hoped that poetry and novels would convey a sense of the community.

      • KCI등재

        디지로그, 생명자본주의, 새로 쓰는 한국문화론의 행방에 대하여

        홍래성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7 No.-

        이 글은 이어령의 후기 사유에 해당하는 『디지로그』(2006)와 『생명이 자본이다』(2014)를 대상으로 그 성격과 특질이 어떠한지를 석명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우선,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를 살피기에 앞서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닌다고 판단되는 두 편의 글을 검토하며 전반적인 맥락을 파악해보았다. 이를 통해 ‘쌍방향성’, ‘상대적 관계’, ‘둘 다’라는 개념이 차후 이어령의 언설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원형질로 삼아질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다음,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으로 나아갔다. 『디지로그』는 제목처럼 디지털과 아날로그 간의 결합을 모색하는 글이되, 실제로는 디지털이 마냥 강조되는 분위기에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아날로그가 가진 중요성을 환기하려는 의도 및 곧 도래할(혹은, 이미 도래한) 정보시대에서 한국인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를 밝히려는 의도를 담아낸 글이라고 파악된다. 한편, 『생명이 자본이다』는 기존의 자본주의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판단 아래, 새로운 형태의 자본주의를 제창해보려는 거대한 포부를 보여준다. 더하여, 『생명이 자본이다』는 『디지로그』와 동일한 의도를 품고 있던 바, 마찬가지로 생명자본주의를 실현하는 데 있어 한국인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에 관한 서술을 문면의 이곳저곳에서 드러낸다. 생명과 자본주의를 연결 지으려는 시도는 일종의 패러다임을 뒤집으려는 행위로써 충분히 경청할 만하되, 아직은 더 구체화하여야 할 부분이 많은 듯 여겨진다. 기실,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는 서언·선언의 기획에 해당한다. 그렇기에, 불투명하다거나 추상적이라는 느낌을 주는 대목이 없지 않다. 다만, 생의 끝자락에서 출간된 『너 어디에서 왔니』(2020)와 사후에 출간된 『너 누구니』 (2022), 『너 어떻게 살래』(2022),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예정인 그 후속작들을 통해서 이어령의 목소리가 좀더 선명해지리라는 기대를 품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log(2006) and The Vita Capitalism(2014). Before examining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I read the two texts to grasp their overall context. This confirmed that the concepts of “interactive”, “relative relationship”, and “both” play and important role in Lee O-young’s writings on the future. Then, I analyzed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As the title suggests, Digilog is a text that seeks convergence between digital and analog. However, in reality, it is intended to emphasize analog, opposing the atmosphere that emphasizes digital. It also has the intention of emphasizing the suitability of Korean culture to the information age. The Vita Capitalism contains the huge ambition of proposing a new form of capitalism, under the judgment that existing capitalism has reached its limit. The attempt to link life and capitalism is a paradigm-shifting act. However,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need to be more specific. In fact,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correspond to the introduction or declaration of a larger project, meaning that they often feel opaque or abstract. However, it can be expected that Lee O-young’s voic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his works in his later years and works that have not yet been pu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