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위일체와 예배에 관한 세 가지 관점 : 제임스 토런스의 삼위일체적 예배신학을 중심으로

        안덕원,김진혁,김의창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2 Torch Trinity Journal Vol.25 No.1

        This book review attempts to assess James B. Torrance’s Worship, Community and the Triune God of Grace from biblical theological, systematic theological, and practical theological perspectives respectively. From a biblical theological perspective, it can be noted tha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derives from occasional letters that were written on specific occasions. In other words, the language of trinity appears in the Bible apparently, and it does not remain within the boundaries of doctrines but is expressed practically in the actual life and worship of believers. In this respect, Torrance’s book appropriately explains the actual biblical meaning of the trinity, that is, the meaning of worship. Also, Torrance tries to explain the understanding of the gospel and Jesus Christ through the lens of worship and community based on the NT passages. From a systematic theological perspective, Torrance’s book attempts an important understanding of a theology of trinitarian worship,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double agency” that aptl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and human agency in worship. Torrance explains the double agency through the mediating ministry of Jesus Christ as the high priest and presents the essence of the trinitarian worship, which is not human-centered. Lastly, from a practical theological perspective, Torrance’s book describes the theology of the trinity through confessional language, explaining the essence and the main point of worship. Explaining worship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acrifice and mediatory ministry of Jesus Christ, this book claims that the life of worshippers must exist based on their fellowship with the triune God. 본 서평은 『예배, 공동체, 삼위일체 하나님』에서 제임스 토런스가 제시한 삼위일체론적 예베 신학에 대하여 성경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각각 살펴본다. 성경신학적 관점은 삼위일체의 교리가 특정한 상황 가운데 쓰인 상황문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성경에는 삼위일체적 언어들이 분명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이 표현들은 교리적 담론에 머물지 않고 신자들의 실재 삶과 예배 가운데에서 실천적으로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토런스의 책은 원래 성경이 말하고 있는 예배의 의미로써 삼위일체론을 잘 설명하고 있다. 또한, 토런스는 예배와 교제라는 측면에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에 대한 이해를 신약의 본문들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다.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토런스의 책은 삼위일체론적 예배 신학의 중요한 이해를 꾀하는데, 특별히 예배에서 신적 행위자와 인간 행위자 사이의 관계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이중작인(double agency)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토런스는 이중작인을 예수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이자 중보자 사역을 통해서 설명하면서,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한 삼위일체론적인 예배의 본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토런스의 책은 삼위일체 신학을 살아있는 고백의 언어로 그리면서 예배의 본질과 핵심적인 내용을 잘 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중보를 바탕으로 예배를 설명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교제를 바탕으로 예배자의 모든 삶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책은 주장한다.

      • Seminary curriculum assessment : case of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오현주,홍경화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의 목회학 석사 과정의 커리큘럼이 현대 사회와 공동체에서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사역할 졸업생을 배출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57명의 졸업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그 중 13명의 졸업생이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졸업생들은 횃불트리니티가 자신의 소명 의식을 확인하게 하거나 강화시킨 것으로 인식했다. 더 나아가 졸업생들은 대체로 졸업할 당시 사역에 준비된 것으로 인지했다. 하지만 졸업생들이 당면하는 도전들과 커리큘럼 개정을 위해 제시하는 권고 사항들은 현 목회학 석사 과정의 커리큘럼이 더욱 실제적이고, 통합적 또는 간학문적, 성경적이며 선교적이 되도록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예레미야의 “새 언약” (렘 31:31-34) : 수사학적 긴장관계의 해결

        최순진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1

        “위로의 책”이라고 흔히 알려져 있는 예레미야 31-33장의 중심이 되는 31:31-34은 예레미야의 “새 언약”을 지칭하는 본문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신약의 “새 언약”에 영향을 받아서, 예레미야 선지자 당시의 청중이 유다의 멸망과 포로생활이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새 언약”을 어떻게 이해했는가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이 논문은 예레미야 당시의 역사적 상황에 초점을 맞춰 “새 언약”의 의미를 살펴본다. 예레미야서의 핵심어는 언약적인 관점에서 “거짓”이다. 여호와의 말씀을 전해야 할 선지자들이 거짓 말씀을 전했으며, 말씀을 가르쳐야 할 제사장들이 말씀에 무지했으며, 언약적 공의로 통치해야 할 왕들이 도리어 백성을 억압했다. 이것이 예레미야가 말하는 “거짓”이며, 당시 사회 전반에 만연되어 있어서 심판이 불가피 했다. 신명기적 관점에서 볼 때, 언약파괴의 결과는 심판이다. 예레미야서의 “거짓”과 “여호와를 알다”는 것은 예레미야서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논점이다. 심판 후, 미래가 불투명할 때, 예레미야의 “새 언약”은 이스라엘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인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호와를 진실로 “아는 것”이 미래에 대한 희망의 실마리가 된다. 여호와는 여전히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며, 이스라엘은 여전히 하나님의 언약백성이라는 것을 “새 언약”은 보장한다. “새 언약” (new covenant)의 “새로운” (new)의 의미에 관하여, 본 논문은 “새 언약”이 이전의 언약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언약이라기 보다는 방식 (mode, form)만 다르고 이전의 언약과 내용에 있어서는 같은 언약이라는 것으로 이해한다. Jeremiah 31-33 is often known as “The Book of Comforts.” At the center of the Book of Comforts stands 31:31-34 which talks about “a new covenant” (Jer 31:31). Rightly or unduly influenced by the “New Covenant” in the New Testament, the prior studies often overlooked how the people of Jeremiah’s time understood the idea of “a new covenant” in their historical situation.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idea of “new covenant” in Jeremiah’s historical situation. “Falsehood” is a key word in the book of Jeremiah. Falsehood was rampant throughout the society from the greatest to the least. Judgment was unavoidable. From the perspective of Deuteronomy, the consequence of the covenantal breach is death. Israel was condemned to exile. Jeremiah’s message of “new covenant” provides the future possibility when there appears no hope. “Falsehood” and “Knowing the Lord” are closely related to understand the message of the “new covenant” in Jeremiah. Previously people knew God nominally. This is falsehood in a covenantal perspective. The “new covenant” confirms that Israel is God’s people and the Lord is God of Israel. “New” in a new covenant is new in its contents, but in its form or mode.

      • 루터와 경천애인 : 루터의 성경 해석에 나타난 “하나님 경외”의 한국 교회에 대한 실천적 적용

        김의창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8 Torch Trinity Journal Vol.21 No.1

        본 논문은 루터의 여러 글들 가운데에서 나타나는 하나님 경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의 개혁과 발전의 방향성과 대안을 강구해 보고자한다. 루터의 신학 사상 가운데에서 하나님 경외 사상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루터는 하나님과 사람의 바람직한 관계를 하나님 경외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루터는 여겼고, 더 나아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곧 경천, 敬天)은‘ 이웃을 사랑하는 모습’ (곧 애인, 愛人)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경천애인’의 사상은 한국 교회와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하나의 좋은 신앙적 모범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논의를 루터의 성경 해석, 특별히 그의 빌립보서 2장 이해를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루터는 빌립보서 2장 설교 가운데에서 ‘하나님 경외’ (경천)에 대한 ‘신학적인 논의’와 더불어 ‘이웃 사랑’(애인)에 대한 “실천적인 적용”을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특별히 루터의 두 종류의 의로움 논의는 어떻게 경천과 애인의 이해가 결합되는지 잘 보여준다.

      • 삼위일체와 성서 : 케빈 밴후저의 제일신학을 중심으로

        김진혁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8 Torch Trinity Journal Vol.21 No.1

        성서 무오설의 주요 목적은 한편으로는 성서의 권위를 확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인에게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오설의 이중 과업을 북미 복음주의 신학자인 케빈 밴후저의 성서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밴후저의 주요 관심사는 무오설의 목적과 기능을 현대적으로 재발견하는 것이기에, 그는 이 교리에 대해 전적으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가 볼 때 무오설은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다뤄져서는 안 된다. 이 교리는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이 누구시며, 하나님은 어떻게 역사 속의 인간과 소통하시며, 어떻게 우리는 지금 여기서 그분 말씀을 들을 수 있는가라는 문제와 통합적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그는 다음과 같이 수정된 정의를 제시한다. “성서의 무오성이란 성서가 원본에 있어, 의도한 뜻대로 해석될 때, 주장하는 모든 바에 있어 진실하게 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밴후저는 성서의 권위와 학식 있는 해석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함으로써, 성서학의 결과물과 세계 기독교 시대의 도전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유연한 성서론의 틀을 현대인에게 제시하고 있다.

      • 여성 계몽에 의한 일본 사회변혁의 비전: 하니 모토코와 전국붕우회

        타카미자와 에이꼬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1

        전국붕우회(全国友の会)는 1923년에 하니 모토코(羽仁もと子)가 일본에 창설한 크리스천 부인단체이다. 이 단체는 모토코가 출판한 「부인의 친구(婦人の友)」라는 잡지 구독자들의 모임에서 출발했는데, 회원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오늘날까지도 2만 여명의 회원 수를 확보하고 있다. 전국붕우회의 발전의 이유 중 첫 번째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할 수 있다. 당시 일본은 메이지 유신 시절로서, 사회가 다양한 방면에서 급격히 변혁하고 있었다. 서양의 정보가 물밀 듯 들어오고, 일본 여성들도 오랜 인습에서 해방되어 새로운 여성상을 요구했다. 그 무렵 YWCA나 일본교풍회(日本矯風会) 등의 기타 여성 크리스천 단체도 창립되었다. 두 번째 이유는 하니 모토코의 개성 및 재능, 유소년 시절의 경험이 바탕이 되어, 여성으로서의 바람직한 삶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모토코가 청년기에 만난 기독교는 그녀가 추구한 것에 대한 확증과 방향성을 제공해 줬다. 세 번째 이유로 비전을 공유하는 남편, 하니 요시카즈(羽仁吉一)와의 만남을 들 수 있다. 그의 인생철학은 모토코와 하나가 되었고, 그의 조직력과 출판 능력을 통해 단체가 전국적 규모로 확대되었다. 네 번째로 조직 구조이다. 붕우회는 전국에 인근회(近寄り会), 방면회(方面会), 전국 붕우회를 개설하여, 각각의 모임이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구조를 형성했다. 이것은 한 사람의 회원이 활성화됨으로써 집단의 힘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조직구조이다. 이에 따라 중간리더가 육성되었고, 모토코의 사망 이후에도 모임의 운영과 발전을 짊어지는 인재가 준비되었다. 이 단체는 전국으로 전개되는 과정 속에서, 하나의 사회적 운동 양상을 띄었다. 전국대회에서는 여성생활 및 가정생활에 대한 치밀하고 실제적인 연구가 발표되어, 미디어의 주목까지 받을 정도였다. 그러나, 1975년을 계기로 회원 수가 감소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그 주요 이유는 일본사회의 경제 상황, 가정 환경, 여성의 역할 등이 크게 변화된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전국붕우회의 향후의 발전을 위해서는 오늘의 사회 상황에 어느 정도의 상황화(Contextualization)를 이루는 지가 관건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s for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of the Zenkoku Tomo-no-Kai, a Christian women’s organization founded 100 years ago in Japan. The organization grew up to more than 30,000 memberships in its highest time, and 22,000 members are still active today. The finding shows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s follows. 1) The founder Motoko Hani’s creative and innovative visions on women’s roles were ushered by the flux of Western culture after Meiji restoration. Her personal characters as well as her upbring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er vision. Christianity she encountered provided her greater perspective on life and value of women, which attracted many women who had been oppressed in feudalistic society. Motoko’s keen focus on “life” as expression of faith helped women to accept her style of Christianity. 2) Motoko’s husband, Yoshikazu, helped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He began publishing women’s magazines to spread Motoko’s vision. The readers formed local groups, which became support groups for members to become more effective in family and society. 3) Later, the small groups formed middle size regional groups, which eventually formed the nationwide Tomo-no-Kai. The organic concentric structure of the groups provided strong ties among the members and greater significance of their contribution. 4) The nationwide campaigns of concrete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women to improve their family life were based on solid researches, and it became social phenomena of those days. Continuous publication of Motoko’s writings contributed to the preserving the original vision of the founder. 5) Gradual decrease of the members in recent years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change of women’s life in the age of consumerism when more and better materials are pursued. These findings suggests Japan mission to reflect on the cognitive Christianity, confessional conversion rather than life style conversion, and conversion focused church ministries rather than disciple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