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개항기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의 검토

        현명철(Hyun Myung-Cheol)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교과서는 특성상 통설이나 정설로 인정된 학설을 기반으로 기술된다. 따라서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하는 것은, 한일간에 존재하는 역사인식의 차이에 대한 지적이며, 또한 통설에 대한 문제의식을 내포한다. 따라서 본고는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에 기술된 내용을 통해 한일관계사의 문제점을 지적해 보고 앞으로의 연구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게 되었다. 1. ?정한론?이 메이지 정부의 국교 수립 요청을 조선 측이 거절하였기 때문에 생겼다는 교과서 기술은 오류이다. 정한의 여론은 메이지 정부 수립 당시 일본의 외교 인식이었으며, 일본이 보낸 서계는 조선의 거절을 유도하여 정한의 명분을 얻기 위해 보낸 것이었음이 명백하다. 2. 조일수호조규로 조선이 개국을 하였다는 기술이 있으나, 조선은 원래 일본에 대해 쇄국을 하고 있지 않았고, 부산의 초량 왜관에서는 꾸준한 대화와 표류민 송환 등의 외교 업무가 지속되고 있었다. 조일수호조규는 일본의 압력에 의해, 기존의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조선 측의 양보였으므로, 지나친 평가는 검토를 필요로 한다. 3. 조일수호조규의 제1관의 자주국 규정은, 일본이 조선을 전근대 외교관계(종주국?속국)에서 벗어나게 하여 완전한 독립국으로 국제사회에 등장하도록 이끄는 내용이 아니었다. 이 규정은, 유사시 즉 조선과 일본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였을 때 청나라의 자동 개입을 막기 위한 외교적 압박의 성격을 갖는다. 이를 ‘근대적 조약’,혹은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조약’ 등으로 규정하는 것은, 일본의 침략성을 감추고 미화하는 서술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당시 일본 외교의 본심은 조선을 개항시켜 세계사 속에 편입시키고자 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조선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이권을 얻어낼 것인가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가 교과서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4. 갑오 농민운동 시 일본군의 출병은, 조선을 지배하기 위해 청과의 전쟁 준비를 끝낸 일본이 청일전쟁을 전제로 출병한 것이었으므로 침략행위였다. 이는 국제법상 근거가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이를 ‘天津조약을 근거로’,‘청나라의 출병에 대항하기 위해’ 등으로 기술하는 것은, 일본의 전쟁 도발 책임을 호도하는 기술이다. 또한 일본군이 조선 왕궁을 점령한 사실을 기술한 교과서는 2개 교과서뿐이다. 5. 러일전쟁 이후 한국강점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에서는 모든 교과서가 무력강점과 한국민의 저항을 기술하고 있어서 훨씬 성숙된 기술이 되고 있다. Because of the nature of textbooks,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tend to stand on the basis of common notion. Analysis of them, therefore, means make clear the difference over the perception of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offer a critical view about common notion. This study is critical investigation about the descriptions of Korea and Japan history textbooks and about common notions which those textbooks are based. As results, I could suggest follows ; 1. A description, which ‘Appeal of aggression Chosun to arms(征韓論)’ had been arisen because of Chosun’s refusal about Japanese ask for diplomatic relations, is not true. Because there wer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un-Japan, and a ‘Appeal of aggression Chosun to arms’ is existed before Japan send the letter. The truth is that the letter was written for incite refusal and make a excuse for aggression. 2. A description, which assert ‘A treaty of amity between Chosun and Japan in 1876’ made Chosun open port to foreign trade, is not true. Chosun had opened a port in “Cho-Ryang”, which is called ‘Waekwan(倭館)’, for Japan since 1678. At the port there were diplomatic services, such as castaways’ repatriation. Also, Chosun did not open port to other countries from that treaty. Chosun had signed that treaty just for maintain preexistence friendship. 3. So called ‘a provision of sovereign in Chosun-Japan treaty of amity’ did not aim for Chosun’s joining the family of nations as a sovereign. This provision aim for exclusion of China who is time tested confederacy of Chosun when a war occur between Chosun and Japan. At that time, Japan did not want Chosun joining the family of nations but exclusive possession of diplomacy with Chosun. 4. When peasants upraised in 1894, Japan sent a military expedition to fight against China. The goal of the action was to gain a controlling interest about Chosun. So it was an act of aggression which is not based international law. But we can not find this fact as aggression in history text books of Japan.

      • KCI등재

        막말 정치사와 한일관계관의 변화

        현명철(Hyun, Myung-Cheol)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5 No.-

        변혁기 한일관계사를 살펴볼 때, 일본 막부의 개국이 직접 한일관계의 변화를 초래하지는 않았지만, 막부의 개국에서 메이지 정부의 성립에 이르는 시기, 개국과 양이를 둘러싼 논쟁과 막부와 서남웅번 사이의 정쟁, 그리고 이 사이에서 활동한 쓰시마번의 존재로 인하여 한일관계관의 변화가 일본 내부에서 나타남은 주목된다. 즉,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래의 조선과의 우호 관계가 ‘구폐(과거의 폐단)’라고 표현되는 것이다. 메이지 초기의 외교를 둘러싼 갈등은, 과거의 외교 관계를 ‘폐단’이라고 규정하고 이를 개혁하려하였던 메이지 정부의 쓰시마번과, 과거의 외교관계를 ‘성신지교’라고 믿어 온 조선 동래부의 충돌이 그 핵심이었다. 본 논문은 메이지 초기의 갈등을 교과서에서 보다 올바르게 기술하기 위해, 일본 내부에서 조선 후기의 우호적이었던 한일관계를 명백하게 ‘구폐’라고 표현하게 되는 역사적 과정과, 그 ‘구폐개혁’의 내용이 무엇이었는지 복원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examining Korea-Japan relations, we can see that the opening of Japan when the Shogunate did not directly lead to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Korea. However, that period spanned the opening of the end of the Shogunat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eiji government. The presence of Tsushima, which was active between these two parties, is noteworthy in that the changes in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appeared inside Japan. In other words, the friendship with Joseon since the time of Tokugawa Ieyasu become expressed as "the abolition (of the past mistake)." Conflicts over diplomacy in the early Meiji era between Japan and Korea were characterized by the collapse of Tsushima domain, which attempted to reform the past diplomatic relations as a "mistake," and the conflict between Joseon"s Dongnaebu, which considered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past as "faithful diplomac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scribe the conflicts in the early Meiji period,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historical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1872년 일본 화륜선의 왜관 입항

        현명철(Hyun Myungcheol)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9

        메이지 정부는 왜관을 조선의 국권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 즉 외무성의 관할 지역으로 간주하고자 하였던 것일까. 일본 외무성이 화륜선을 보내어 외무관료를 왜관에 파견하였을 때 남겨진 기록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 일본 외무성이 남긴 기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부산 지역의 해안 방어 시스템, 특히 해안 감시, 예인과 입항, 그리고 문정의 모습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 『동래부계록』은 당시의 입항 모습을 복원하는 데에 좋은 자료이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왜관에서 세견선, 비선, 표류민선, 그리고 화륜선이 입항하는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으며, 『대일본외교문서』의 기술과 기존의 연구에 대해 적절한 비판이 가능하다. 부산 지역의 해안 방어와 화륜선 입항에 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황령산 봉군은 정상항로로 들어오는 배들을 발견하고 부산첨사와 동래부사에게 예외없이 보고하고 있다. 한편 간비오봉 봉군은 북으로 표류하는 배들을 발견하여 수군절도사와 부산첨사에게, 그리고 응봉산 봉군은 남으로 표류하는 배들을 발견하여 다대첨사에게 보고한다. 2. 정상항로로 들어오는 배에 대해 부산첨사는 두모포만호를 초탐장으로 파견하여 왜관으로 입항을 유도하고 있으며, 화륜선이 왔을 때에는 포이포만호나 부산진 전선장(戰船將)을 함께 파견하여 흑암에 정박시켰다. 3. 왜선이 왜관에 입항하면 훈도가 즉시 문정을 행하여, 항해 목적, 路引과 서계의 감별 확인, 승선인원과 직책 등을 手本으로 작성하여 부산첨사와 동래부사에게 보고하였다. 4. 동래부사는 훈도의 수본과 노인, 서계, 표류민 성책, 등을 첨부하여 예조, 의정부, 삼군부에 보고하였다. 5. 1872년 화륜선이 입항을 허가받은 이유는 노인을 소지한 세견선 및 표류민선을 동반하여 왔기 때문이다. 화륜선이 홀로 도항하였다는 이해는 잘못된 것이다. 6. 화륜선이 문정을 받지 않고 왜관에 입항하였으며 화륜선이 입항하였을 때 동래부민은 공포에 떨었다는 이해도 오류이다. 화륜선은 세견선보다 더 엄격한 문정을 받았으며, 도본으로 그려지고 치수가 측량되어 성책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화륜선은 세견선 및 표류민선과 함께 왔기 때문에 동래부 군민은 전쟁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7. 마지막으로 조선은 세견선과 표류민선의 입항을 중요시하였고, 화륜선 입항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 반면, 외무성은 화륜선과 자기 관원의 입항을 중요시하고, 세견선과 표류민선은 감추고자 하였으며, 또한 조선의 엄격한 검문 검색 혹은 문정의 사실을 애써 무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왜관을 외무성 관할 지역으로 간주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幕末-明治初 對馬藩 처리에 대한 考察

        Hyun Myung Cheol(玄明喆) 일본사학회 1995 일본역사연구 Vol.2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nature of the dealing of the Tsushima clan in 1861-1872. In the Tokugawa period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was carried out by the Tsushima clan. But the opening of Japan in 1854 required the Tokugawa bakufu to deal with diplomatic relations by itself. As from 1862 the movements of Joi(攘夷) intensified, the Tokugawa bakufu was obliged to proclaim that foreigners were to be excluded from the ports, and the bakufu efforts to deal Tsushima ended. Stimulated by the battle fought between Korea and France in 1866(丙寅洋擾) the bakufu tried again to have direct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and it made plans to dispatch its mission to Korea. The new bakufu policy required the dealing of the Tsushima clan. With the downfall of the Tokugawa Bakufu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Meiji government the bakufu plan to dispatch the diplomatic mission could not be materialized. Japan’s direct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was to be carried out by the Meiji government. As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proclaimed that direct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should be handled by itself, the issue of dealing the Tsushima clan was brought up again. The Tsushima clan insisted that Japan’s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should be reformed since they occupied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clan’s econmy. The Meiji gorvernment granted the Tsushima clan 35,850 koku(石) to help Tsushima maintain economic independence from Korea, and it decided to dispatch diplomatic officials. But the Tsushima clan, not being satisfied with this bakufu policy, wanted to maintain its right to have commerce with Korea. The Meiji government instructed diplomatic officials to find a way to compensate Tsushima clan’s loss, and the Tsushima clan was given 8,500 koku (石). As the domains were abolished and turned into prefectures (廢藩置縣) on July 14 of 1871, the dealing of the Tsushima clan was finally realized. It was followed by the dealing of Tsushima’s commerce and Wakan(倭館) on May 28th of 1872.

      • KCI등재

        제1차 修信使行의 외교사적 위치

        현명철(Hyun Myung-Cheol)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6 No.-

        수신사 일행의 외교사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사의 파견과정과 성격, 그리고 수신사의 활동을 복원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수신사는 강화도 조약을 완수하기 위한 사절이었으며, 그들은 강화도 조약을 막부시절의 우호 관계를 메이지 정부에서도 지속하자고 양국이 합의한 조약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신사는 조선이 서양 열강에 대한 쇄국 단행을 지속할 것이며, 또한 서양 문물의 도입에도 큰 관심이 없음을 일본에 어필하려고 노력하였다. 수신사가 일본 천황을 알현하면서 전통적 외교 의례를 관철한 것, 근대 문물에 충격을 받으면서도 오히려 성리학적 전통의 우수함을 주장하고 근대 문물의 수용에 관심이 없음을 표현한 것, 귀로에 서양인 기사를 하선시키라고 강하게 요구한 것 등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수신사는 일본과의 우호관계를 회복하고, 한 일간의 전통적 외교 의례에 변함이 없음을 확인하며, 쇄국과 서양인 배척은 지속될 것이라는 조선의 의지를 명백하게 일본에 전달한 사절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 제1차 수신사의 외교사적 위치가 존재한다. 따라서 강화도조약이 조선이 개국으로 나아가는 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지만, 강화도 조약 그 자체를 개항조약으로 표현하는 것은 지나친 평가이며, 수신사를 개항에 따른 견문사절로 보는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수신사는 일본과의 전통적인 우호를 회복하여 쇄국을 유지하고 성리학적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도를 사행 중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 활동은 중요한 것과 합의가 가능한 것들을 먼저 합의하고, 합의가 어려운 문제는 싸우지 않고 뒤로 넘기는 것이다. 강화도 조약에서 중요시 된 것은 대등한 외교 관계와 우호에 대한 약속이었고, 수신사는 그에 대한 확인이었다. 앞으로 일본은 이 조약과 세계의 흐름을 앞세워 점차 많은 변화를 조선에 요구 설득할 것이고, 조선은 국교회복에 만족하면서 거부하다가 점차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변화해 갈 것이다. 남은 문제는 조선 조정이 합의를 통해 개국을 결정하고 개화 자강정책을 추진하게 되는 시점은 언제인지, 그 정책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주체적이고 단계적으로 살펴보는 일이다. 주체적인 역사 서술만이 실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역사적 소중한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diplomatic meaning of the Susinsa(修信使), we have restored the dispatching process, nature, and activity of them. As a result, the following two facts were confirmed. First, the Susinsa(修信使) were the ambassador to fulfill the Ganghwado Treaty, and they recognize the treaty as two countries were agreed to Traditional Friendship will continue with Meiji government. Second, the Susinsa(修信使) tried to appeal that Korean will continue to Isolation policy, and that there is no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rtifacts. As a fact, Susinsa(修信使) wanted that the ceremony of diplomacy not be changed. So they met the Emperor of Japan as same ceremony as meeting King of Korea. And though they were being shocked by the modern artifacts exhibited by Japan, They claimed the superiority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 And a strong demand for the withdrawal of a Western man from their ship was the will of the Isolation policy and also diplomatic efforts. Here, the diplomatic location of the first Susinsa(修信使) exists. As results, Although the Ganghwado Treaty can not be denied as an important occasion to opening country, but it is not true that Ganghwado Treaty itself was opening treaty. And It is an obvious mistake to see a Susinsa(修信使) as an informant for opening. Because the Susinsa(修信使) were show the intention to maintain the secular state and maintain the order of the neo-Confucianism in various places while restoring the traditional friendship with Japan. Diplomatic activity is agree only what can be agreed, and turning th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gree on back without fight. What important thing in the Ganghwado Treaty was the promise of equal diplomatic relations and friendship, and the Susinsa(修信使) was a confirmation diplomacy of that. After Susinsa, Japan will demand and persuade more and more changes to Korea based on this treaty and on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Korea will refuse while satisfied with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and gradually change while choosing. The remaining issue is to examine the timing when the Korea administration will decide the opening country through consensus, and why the modernization policy was not successful. Only the subjective historical narrative can gain valuable historical lessons from failures. I will try to be a future research project.〈End〉

      • SCOPUSKCI등재

        Electronic Structure and Photoreactivity of N-Methyllutione

        심상,현명,채규호,Shim Sang Chul,Hyun Myung Ho,Chae Kyu Ho Korean Chemical Society 1977 대한화학회지 Vol.21 No.6

        4-피리돈과 루티돈의 전자구조를 SCF MO-CI PPP 방법과 configuration analysis 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계산결과와 스펙트럼 분석치와는 잘 일치하였으며 첫번째 $({\pi},{\pi}^*)$ 단일상태는 두 화합물 모두 장축 방향으로 편극되어 있다. Configuration analysis 결과 가장 낮은 $({\pi},{\pi}^*)$ 단일 상태에서는 C=O 작용기의 ${\pi}$ 결합궤도로 부터 디비닐아민 부분의 ${\pi}^*$ 반결합 궤도로 전하가 이동되어 있으나 가장 낮은 $({\pi},{\pi}^*)$ 삼중상태에서는 반대로 디비닐아민 부분으로 부터 C=O 작용기 쪽으로 전하가 이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4-pyridone and lutidone are studied by the SCF MO-CI PPP method and by the configuration analysis method. The spectral data are consistent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method. The polarization of $S_1({\pi},{\pi}^*)$ state is along the long molecular axis in both compounds. The lowest $({\pi},{\pi}^*)$1 state shows significant charge transfer (16∼18%) from ${\pi}$ bonding orbital of C=O moiety to ${\pi}^*$ antibonding orbital of divinyl amine moiety. The lowest triplet state shows much larger charge transfer (24∼29 %) but in opposite direction compared to that of $S_1({\pi},{\pi}^*)$ state.

      • SCOPUSKCI등재

        N-메틸루티돈에 대한 광화학적 연구

        심상,현명,이승한,Shim Sang Chul,Hyun Myung Ho,Lee, Seung Han 대한화학회 1976 대한화학회지 Vol.20 No.6

        피리미딘 염기의 모델 화합물인 N-메틸루티돈을 벤조페논과 같이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313nm 자외선으로 쪼여준 결과 네가지 생성물이 생겼다. 이중 세가지를 확인한 결과 N-(벤즈히드릴메틸)루티돈, 루티돈, N-(4-벤조일벤질) 루티돈임을 알았으며 이들의 양자수득율은 각각 $5.07{\times}10^{-3},\;1.84{\times}10^{-3},\;and\;1.43{\times}10^{-3}$이었다. A model compound for pyrimidine bases, N-methyllutidone, was irradiated with benzophenone in acetonitrile at 313 nm. Three of the four photoproducts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characterized. N-(Benzhydrylmethyl) lutidone, lutidone, and N-(4-benzoylbenzyl) lutidone were formed with quantum yields of $5.07{\times}10^{-3},\;1.84{\times}10^{-3},\;and\;1.43{\times}10^{-3}$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