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음악성검사 예언타당도 연구

        현경실 민족음악학회 2003 음악과 민족 Vol.25 No.-

        Good music aptitude tests can help discover talented students and improve music education by finding the weak and strong points of students. Especially Korean students need a music aptitude test that can measure both Western and Korean music aptitud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music aptitude test, called Korean Music Aptitude Test(KMAT), for the 3rd to 9th grade Korean students, KMAT was developed from 1996 to 2001, through twenty-one times of pilot stud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3rd to 9th grade students from 95 schools. The total number of the students is 14,630. KMAT consists of rhythm and tonal sub-tests. In the rhythm sub-test, students are required to answer "same" or "different" after listening to pairs of rhythm patterns without pitch. In the tonal sub-test, students are required to answer "same" or "different" after listening to pairs of 5-note tonal patterns without rhythm. The rhythm test items use 3/4, 4/4, 6/8, 12/8 meters. The tonal test items ar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and shape of melodies. The rhythm test reliability was .86. The tonal test reliability was .79. The researcher obtained the concurrent validities of KMAT for the 5th and 6th grades. Concurrent validity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MAT scores and the scores of a music achievement test. The concurrent validity of KMAT for the 5th grade is .55 and that for the 6th grade is .40. Both correla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e researcher obtained the predictive validities of KMAT for the 5th and 6th grades. Predictive validity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MAT scores and the scores of a music achievement test after one semester study. The first predictive validity of KMAT is .42 and the second is .34. Both correla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But to obtain better validity, music achievement tests whose validities are demonstrated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수업의 실태조사Ⅱ

        현경실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5 No.1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해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업 행동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음악 수업의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위한 것이 목적이다. 음악 수업은 일반 강의 중심의 수업과는 다른 점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 수업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한국 음악수업 분석법(KCSM)을 만들었다. KCSM은 10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항부터 3항까지는 교사의 발언이고, 제4항부터 7항목까지는 음악활동 영역별로 나누었으며, 제8항목에서 9항목까지는 학생들의 발언이고, 제10항목은 기타로 만들어졌다. 대구와 경북이 2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23개 초등학교의 23개 학문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23개의 음악수업은 KCSM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KCSM의 신뢰도는 .91이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보면 교사의 말이 62.2%로 교사의 말이 절대적으로 많았고, 반면에 학생의 말은 10.5%, 음악 활동에 할애한 시간은 18.2%로 교사의 말에 비해 너무 적었다. 둘째, 교사의 긍정적인 발언은 전체 수업의 21%이었고, 교사의 부정적 발언은 25.6%로 더 많았다. 셋째, 학생의 발언은 수동적인 발언이 능동적인 발언보다 많았다. 넷째, 음악 수업의 영역별 활동 중에서는 49.7%가 노래부르기로 가장 많았다. 가장 적은 활동은 감상으로 41.1%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의 음악 수업은 교사의 말 중심의 지시적인 수업을 하고 있으며, 음악활동 중에서는 노래부르기 활동에 편중되어있다.

      • 음악 성취 테스트의 작성 및 평가

        현경실 仁川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2

        이 글에서는 음악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음악 성취 테스트를 어떻게 작성하고 평가하는가를 자세히 제시하였다. 효과적이기 위해서 음악 청취 테스트는 음악에 관한 관념적인 지식보다는 구체적인 행위, 예를 들어 노래하기, 듣기, 손뼉치기, 춤추기 등의 음악적인 몸동작을 측정해야 된다. 작성된 테스트는 자체의 질을 반드시 평가해야 하며, 보통 테스트의 신뢰도와 타당도로서 그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침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저자가 만들어 사용한 음악 성취 테스트인 Aural Dictation Music Achievement Test (ADMAT)의 작성 및 평가 과정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how to construct and evaluate music achievement tests, which are often needed to conduct research for music education. To be effective, music achievement tests should be designed so as to measure concrete musical behavior, for example, singing, listening, musical body movements such as clapping and dancing. Moreover, designed tests should be evaluated, typically in terms of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To show how to apply these guidelines, the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evaluating a music achievement test called Aural Dictation Music Achievement Test (ADMAT), designed and used by the auth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어린이의 신체동작능력과 음악적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현경실 한국음악교육학회 2006 음악교육연구 Vol.3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수업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일 수 있는 음악에 반응하는 신체동작과 음악적성의 상관관계를 밝혀냄으로서, 아동기에 적절한 신체동작활동을 이용한 음악수업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 아동의 음악적성발달에도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초등학교 3, 4학년 186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생들의 음악에 반응하는 동작 능력 중 비이동 동작능력과 이동동작능력에는 차이가 있었다(p<.001). 둘째, 측정된 음악에 반응하는 신체동작 능력은 나이별로 차이가 있었다(p<.001). 셋째, 음악적성과 음악에 반응하는 신체 동작능력과는 상관이 깊었다(p<.001).

      • KCI등재

        신체표현을 위한 음악놀이 개발과 수업에의 적용방안

        현경실 민족음악학회 2003 음악과 민족 Vol.26 No.-

        Musical movement games are very effective in music classes, especially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basic principals and to develop games in musical movements. The purpose of movement games in music classes are following. 1) Listening to music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movement activities in music classes. 2) The students must feel and control their body freely. 3) All the concepts of music can be taught through movements in classes. 4) Games are useful for teaching movements in music classes. These are guidelines for following the comfort with movement teaching progression. 1) Devise ways for students to be as inconspicuous as possible. 2) Introduce activities that do not require specific use of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body. 3) Suggest activities that allow the students to ve successful because there is no right or wrong way to do the movement or solve the problem. 4) Use movement and imagery activities that are age-appropriate. 5) Do not introduce a creative activity without first doing some simple problem-solving or guided exploration tasks.

      • KCI등재후보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음악성 비교 연구

        현경실 한국국악교육학회 1993 국악교육 Vol.11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음악을 습득할 수 있는 잠재력과 서양음악을 습득할 수 있는 잠재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모 음악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전원(94명)에게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음악성 테스트인 Musical Aptitude Profile(MAP)을 실시하여 음감과 리듬감을 측정하고, 그 뒤 이 년 후에 동일 학생들의 서양음악 성취결과와 한국음악 성취결과를 측정, MAP접수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서양음악 성취도는 저자가 만든 청음시험(Aural Dictation Music Achievement Test : ADMAT) 점수를, 한국음악 성취도는 학교 실기 선생들에 의하여 측정된 실기 점수를 각각 사용하였다. MAP점수와 ADMAT점수 사이의 2년간의 예언적 타당도 계수는 .33에서 .66이었으며, 모든 계수는 통계학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었다(p<.01). 반면에 MAP 점수와 한국음악 실기 점수와의 예언적 타당도 계수는 -.01에서 .28이었으며 대부분 통계학적으로 의의를 갖지 못햇다. 이 결과는 서양음악 음감과 리듬감이 한국음악 습득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중거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국음악의 음감과 리듬감은 서양음악의 음감과 리듬감과 같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 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음악을 잘 할 수 있는 잠재력과 서양음악을 잘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한국음악의 교육방법과 서양음악교육방법이 같을 수 없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 음악성 개발을 위한 컴퓨터 게임의 설계

        현경실 한국음악교육학회 2005 음악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어린이의 음악성 개발을 위한 수준별 컴퓨터 게임을 설계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게임은 뮤직 스페이스라 이름 지어졌으며, 리듬, 가락, 화음의 세 게임으로 만들어졌다. 게임의 주 대상은 만 9살 이전의 어린이이다. 뮤직 스페이스는 어린이들의 듣기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모든 게임은 먼저 음악을 여러 번 듣도록 설계되었으며 듣고 난 후 악보를 보는 연습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게임은 어린이들이 즐기는 가운데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 졌으며, 수준별 개인별 학습도 지원한다. 본 논문이 기술하는 게임의 설계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이 게임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음악과의 수행평가 : 리코더를 중심으로

        현경실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 교육과정에서 리코더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한 지도과정과 그에 따른 수행 평가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우리 나라, 미국, 일본의 교과서와 여러 가지 리코더 문헌의 리코더 지도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 학생들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교수-학습 순서를 정하고 학습지도안을 구안하고 그 지도 과정에 적합한 수행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어린이들의 음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듣고 따라하기, 즉흥 연주하기, 변주하기, 전조하기등을 강조하였다. 리코더를 가르치는데 음 소개 순서는 오른 손 운지만으로 연주할 수 있는 음부터 시작하여 왼손과 오른손 운지를 동시에 쓰는 음, 왼손 엄지의 반 막음을 하는 음으로 가되 사장조와 바장조의 연주를 위해 f#과 bb를 중간에 넣었다. 분량은 1차시에 30분 정도로 30차시의 학습 지도안이 구안되었다. 학생들의 리코더 학습을 돕기 위해 위의 학습계획에 따라 각 시간 학습지의 형식으로 수행평가가 만들어졌다. 만들어진 수해평가는 자가평가, 동료평가, 교사평가의 세 가지로 만들어졌다. 그중에서도 자가 평가를 위주로 만들어졌다. 자가 평가는 관찰하기, 연주하기, 표현하기, 활동하기, 이유 알아보기, 정리하기, 태도 확인하기 등 7가지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만들어졌다.

      • KCI등재

        중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실태조사 연구

        현경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usic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9 schools in Seoul and Kyunggi-Do, both of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assessment constituted 70 percent of the total evaluation in the majority of schools. Seco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singing, instrument, appreciation, and creation, with equal emphasis on each field. Third, only the results of education were evaluated. Fourth,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lassified into "excellent, good, average, improvement needed, and improvement very much needed". More objective and fair evaluation methods are required. Fifth, a new view of evaluation is needed. Evaluation is part of educat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consider evaluation as part of learning rather than as a form of competition. Sixth, all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ly once and only by teachers.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the evaluation correspond to the purposes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과의 수행평가의 실태를 조사하여 수행평가의 원래 의도가 현장에 잘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아 문제점을 진단함으로서 우리의 음악교육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음악과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 둘째, 수행평가는 각 영역에서 어떤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가? 셋째,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평가 기준은 어떠한가? 넷째, 수행평가의 바람직한 평가 방안은 무엇인가?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 중 무작위로 119개 학교, 321개 학년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연구에 따른 결론은 첫째, 우리나라 음악과의 수행 평가는 전체의 70%를 적용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우리나라 음악과 수행평가는 가창, 기악, 감상, 창작 부분에서 골고루 평가되고 있어 영역별로 치우침 없이 운영되는 편이었다. 셋째, 평가 방법을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학교에서 학습의 결과만을 평가하고 있었다. 결과도 중요하지만 학습과정의 평가도 필요하다. 넷째,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기준은 '매우우수-우수-보통-노력필요-매우 노력 필요'의 형태가 가장 많았다. 좀 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하는 방안이 노력되어야 할 것이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기준을 잘 세우는데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한다. 평가 기준을 세분화 시키고, 실험하고, 교사들 상호간에 서로 검증하는 등의 노력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평가는 학습의 일부이다. 여섯째, 조사 결과 모든 평가는 교사에 의하여 이루지는 일방적이고 단회적인 평가뿐이었다. 학습의 효과를 위하여 음악일기라든지, 관찰지, 동료평가, 자기평가, 보고서 등 다양한 형태의 평가가 개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