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學業成績의 意味에 관한 文化記述的 硏究

        仁川敎育大學校 1992 論文集 Vol.26 No.2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ived meaning of school achievement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akes the orientat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human science. Phenomenology is the study of the life-world, the world as we immediately experience it pre-reflectively rather than as we conceptualize, categorize, or reflect on it. It aims at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r meaning of our everyday experiences.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o do research is always to question the way we experience the world, to want to know the world in which we live as human beings. And since to know the world is profoundly to be in the world in a certain way, the act of researching is the intentional act of attaching ourselves to the world. What characterizes phenomenological hermeneutic research is that it always begins with the life-world. In order to obtain students' personal experiences from their life-world, this research adopts several qualitative methods: questionnaire, free-writing, searching idiomatic phrases, and lived-experience description. In current system of education, much of the criticism is given to the student assessment system, especially the grading system. Grading system has many side-effect problems because of its competitive character. For one person to get more, another must make do with less. Contesting with others over the extrinsic spoils of learning is one important aspect of children's school life. Because of the competitive nature of school examination, most children are centered in the need to come to term with failure. A psychiatrist Ronald Laing once sail that "to be a success in our society one had to learn to dream of failure." The failure may be only partial for a child. But the ethos of competitive assessment often leads the child who has failed on a few tasks to feel that he/she has failed as a person. These attitude gives children fear, envy, and resentment over school achievement and records. Children who cannot adjust to this assessment system make responses in various ways. The least active response is devaluing the examination and its result to the point where they no longer matter. They will tend to distort and degrade the assessment. But most of the children think of assessment record with the feeling of fear and resentment in terms of punishment from their parents. Grades or Numbers are hopelessly inadequate to convey the load of meaning that we sometimes believe we are putting into them. Children do not have any educational meaning over the school achievement records. They just categorize and label children. It is time, I believe, when we have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school achievement, and search for a new orientation and method in educational assessment.

      •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탐색 : 실존적 접근과 구조적 접근 Existential and Structural Approaches

        仁川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2

        This study examines the work of two critical curriculum theorists known as reconceptualists. Selected works of William F. Pinar and Michael W. Apple are reviewed as examples of existential and structural emphases within reconceptualism. The main concepts and themes of Pinar and Apple a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eir common perceptions of traditional theories of curriculum and schooling. William F. Pinar is shown to be seeking the reconceptualization of curriculum studies through a blending of phenomenological, existential and psychoanalytic though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n individual's internal experiencing of schooling. Michael W. Apple is shown to be seeking, through a primary reliance on neo-Marxist though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xternal social structure which act to shape an individual experience of schooling. Both are shown to view traditional curriculum theorizing and practice as valuing a reductionistic view of science derived from positivism, which produces the latent consequences of dehumanizing students and reproducing an unjust society.

      • HEREMENEUTICS AS A MODE OF EDUCATIONAL INQUIRY

        HUR, SOOK 仁川敎育大學校 1988 論文集 Vol.22 No.1

        본고는 오늘날 철학과 사회과학의 탐구에 하나의 새로운 논리와 밥업을 제시해주고 있는 이해의 철학으로서의 해석학의 관점이 어떻게 전통적인 경험과학적 탐구들이 갖는 제한점을 극복해 줄 수 있으며, 교육의 문제를 탐구하는 데에 어떻한 시사를 줄 수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해석학이란 의미의 해석에 관한 이론이나 철학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해석학은 오랫동안 신학에서 성서의 해석과 관련하여 발전되어 왔으나, 여러 철학자, 사회과학자들의 노력에 의해 “이해의 철학”으로 확립되어 왔다. 특히 하이덱거 이후 현대 해석학의 한 지류를 대표하는 인물로 가다머를 들 수 있다. 그는 하이덱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이해이론을 계승하고, 이에 이해의 역사성과 언어성을 강조함으로써 이해의 보편철학으로 해석학을 정립하였다. 가다머는 인간 이해의 비중립성을 인정하고 이해의 지평을 형성하는 선입견이란 개념을 확립하였다. 그에 따르면, 선입견이란 부정적 의미의 개념이기 보다는, 인간의 모든 이해활동에서 필연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전제조건이다. 이러한 조건은 언어라고 하는 보편적 매체를 통하여 전통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전달되며, 전통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을 통하여 우리는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해석학에서의 이해라고 하는 개념은 한가지 단순한 문헌해석의 기법이거나 혹은 이론적 차원의 활동이 아니다. 그것은 언어라고 하는 인간의 존재적 특성을 통하여 인간의 삶 그 자체의 탐구를 추구하는 이해의 철학이다. 인간의 삶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측면은 의미의 탐구이며, 이는 곧 보다 완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인간의 행위를 규정짓는다. 교육탐구도 넓은 의미의 인간의 삶과 행위의 탐구일진데, 이러한 인간 이해의 철학은 교육의 탐구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질 수 있다. 교육탐구를 위해 해석학의 논리로부터 질문과 해답의 논리, 이해의 순환성 그리고 이해의 실천성을 시사받을 수 있다. 이는 곧 지금까지의 교육탐구가 설명의 논리에서 이해의 논리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해석학은 교육탐구를 위한 우리의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Understanding Discourses on Teacher Education Reform : The Cases of Korea And Canada

        Hur, Sook,Erickson, Gaalen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99 교육논총 Vol.16 No.-

        본 연구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7월까지 Canada의 British Columbia 대학에 있는 교사교육연구소 (Centre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에서 두 공동연구자의 성례적인 교사교육 세미나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한국과 캐나다 양국의 교사교육 현황과 개혁의 방향을 탐색하고, 교사교육의 연구와 논의 과정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담론(discourses)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교사교육에 관한 양국간의 이해적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한국의 교사교육이 갖고 있는 특징은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분리 양성체제와 학교 교육과정의 중앙집권적 개발체제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확립 문제가 논의되었으며, 캐나다 교사교육에서는 교사양성 체제가 종합대학의 학사과정이나 학사 후 과정으로 전환된 이후 대학과 학교 현장간의 거리와 협조체제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교사교육의 현실 속에 담겨있는 변화와 개혁을 위한 담론 속에서 "교사 유능성"과 "성찰적 실천"이라고 하는 두 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검토되었다. 교사 유능성(teacher competence)의 문제는 두 나라 공히 교직을 전문직으로 이해하고 정립시키고자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괴리와 갈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교직이 아직 진정한 전문직으로서 자리잡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최근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성찰적 실천 행위 (reflective practice)"에 대한 학자들의 담론 내용을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성찰적 교수활동의 논리는 교사교육의 실천을 분석하는 한가지 틀을 제공해 주고 있으며, 새로운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캐나다 양국의 교사교육의 현황과 문제, 그리고 개혁의 방향과 논리를 단순히 제도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내용적 담론의 차원에서 비교하고 상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교육대학생의 학습량 조사 분석 연구 : 과제물의 양과 해결을 중심으로

        고대혁, ,한안진,김규환 仁川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2

        University education is not enough with only lectures in order to achieve its educational goals. University is, by definition, a place where inividual academic researches and studi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are to take place. For this purpose, university students are required to do various kinds of home work, individual study, and report writing.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amount of individual learning tasks which is provided to the students of Inchon National Teachers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kinds of individual learning tasks : reading books, finding material, observation and experimentation, skill practice, and report writing. As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an find that : (1) Students are required to take more or less than 10 courses in a semester and every course require 2 or 3 reports. (2) Many students feel that the amount of individual tasks are too heavy to solve within the given time. Especially, the most heavy amount of tasks are given during the third year of university curriculum. (3) Most of the students think that individual study tasks are necessary for university education. But they hope the tasks should be inquiry-oriented rather than memory or mechanical work-oriented. (4) Students want to have a space like Curriculum Material Preparation Area(CMPA) in order to make individual learning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