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필리핀 빌라안 미전도종족 지도자의 리더십 개발 방안

        허진웅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21st century, sudden changes happen in every area of the world. As the world changes, it asks lots of changes in mission. The change of the world gives lots of difficulties in building the kingdom of God in mission area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mission should be approached with strategie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of accomplishing mission for Unreached People is inspiring the leadership for local leaders and changing their values. Of course it cannot be denied the mission by local missionaries,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limits in the long term and in the essence. There are unseen walls between missionaries and local people and tendencies of solving material things through missionaries. Sometimes, the mission place is in trouble after missionaries are withdrawn and sometimes the church organization collapses due to the lack of leadership. These are not happening in all mission places, but I would like to suggest an efficiency through the gospel is spread to people and established while solving things that are worried. Based on the reacher’s experience and academic viewpoint, the effective mission strategy for the unreached people is to build the leadership for local leaders, found indigenous churches, and set “Three-Self(Samja) Church” which autonomy, independence, and rotation are made. Our mission in the 21st century should be made in the strategic perspective. There is a saying that we can always win when we know the enemy and ourselves. One of the new strategies in doing modern mission is to adopt people and set local leaders frist to evangelize people. To make the world mission effective, it is the time to set the absolute leadership for local leaders rather than the missionary centered leadership. Now we should seek ways of how to make church be autonomy, independent, and rotate in the people as well as adapting them. First, it is to change the world view biblically. Every people in the world has their own world view. They see the world with glasses of their world views, think and act in the frame of their world views. Thus, we can say that the world view is the map of reality that people belonged to a community actually have and use for their lives. Since the world view is the source of thinking and action, it affects to the whole life area from a minor action to important decisions of lif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correct world view. It is because that the correct world view decides the value of life, gives a goal of life and relationship, and sees the world balanced. Second, it is to foster students who are the next generation leaders. Establishing leaders takes long time, lots of efforts from mentors, and subsequent amount of materialistic investments. The reason of fostering young students and young people is to make them live the life for Jesus Christ by establishing the biblical world view with the Word of God and when their world views are not completed yet. If we foster them with the Word of God since childhood, they will dedicate their lives in the surprising plans of God and sacrifice for the gospel. Third, it is to suggest ways of autonomy, independent, and rotate for the Unreached People. In the early days, Korean churches could grow as Samja church of automy, independent, and rotate through the ‘Nevius Strategy.’ Basically, Three-Self(Samja) church was the mission goal and the strategy of St. Paul based on the overriding necessity of Christ. Establishing the leadership for local leaders and a Samja community is an important mission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and this study set four questions. 1) What is the identity and current status of Blaan people? 2) What is the religious world view of Blaan people? 3) What are the ways of developing leadership for leaders of Blaan people? 4) What are the ways of effective Three-Self(Samja) policies for Blaan people? With these questions, the study processe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at are prepared as the study tool came from LCC leaders of Blaan people, Philippines, 7 students who receive scholarship from 'Incheon Church of Light', and students who attend LCC.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re as follows. In the research question 1, it asked ‘What kind of people is the Blaan?’ When adapting people in the beginning, they made living through slash-and-burn farming as a type of primitive tribe. Now Blaan people came down from the mountain and have religious life while working, growing fruits, farming, and living in surrounding hills near the city. The current status of Blaan people is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primitive tribe to the city. Because of that, they could not get quality jobs and the majority of people have daily jobs. People living in the nearby cities have better environments than people living in the mountain, but Blaan people appeal for the economic problems. The reason is that they have deteriorated conditions as the older generation that did not receive any school education. In the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igious world view of Blaan people?’, I could see their changes. Almost everyone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aid that they answered yes for existence of God, the heaven, and the hell. 97% of them believed in the salvation and had positive answers on the prayer, worship service, and evangelism of the overall religious life. However, they showed ‘wishing for blessing’ hoping to solve economic problems as Blaan people appealed economic problems. In the research question 3 of ‘What is the ways of leading Blaan people?’ majority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God established leaders through the training and education and believed that current LCC leaders were established by God. In addition, they answered that LCC leaders were leading their churches well and wanted students who receive scholarship should lead them and their churches. Regarding on the scholarship students, answers were very positive. They are currently the object of envy from Blaan people.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at they wanted to be scholarship students and would study hard sacrifice for their people if they become scholarship students. The current scholarship students are well prepared as the instrument of God to be used for the evangelism of Blaan people, Philippines, and the world and local students wanted that the scholarship students would lead them and their churches. For the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ways that Blaan people can do autonomy, independent, and rotate?’, the interview was performed. Through the interview, the participants said that Blaan people could operate their churches, teach, and evangelize by themselves. However, they had little for ways of autonomy, independent, and rotate. They approached believing that God would do and the prayer would solve the problem abstractly. They did not have detailed alternatives and strategies in the economic solutions as well. Most church leaders wanted farms, investments, and supports. The scholarship student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Blaan people confessed that “Blaan people should have died on the mountain due to their sins, but God loved their people, gave them the gospel, and led to the way of life. Blaan people think about God’s grace and live to return the grace they received. We praise God for saving them from the sin and solved their hunger and desperation.”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are below. First, the research on the older generation of LCC has not done in this study. We need to study what their world views are and if their world views are changed, how it happened. We also should study on their raising their children issues and what they want churches in influencing their lives. Second, we should study on the mission strategy of Muslim through Blaan people, Blaan people coexist with Muslim and evangelize the gospel to young people individually. We need to study of the mission strategy of Muslim through Blaan people. Third, we should study on the evidence of the gospel through th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of the future. Ways of supplying education to Blaan people who have educational desires should be studied. Lastly,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the mission strategy for the unreached people. The Unreached People are centered in 10/40 window area. 96% of non-Christians of the world live there as well as 82% of the poor in the world and 18 countries of 40 underdeveloped countries. 10/40 window area has no gospel and people who are suffered by materialistic poverty. Especially, it is not easy to approach with the gospel since it is Muslim area. However,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 mission strategy since it is the most necessary place for the expansion of kingdom of Go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last days. 21세기에 들어 세계는 모든 분야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세계가 변화하면서 선교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의 변화는 선교지에 하나님의 나라를 구축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선교도 전략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전도 종족의 선교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전략이 현지 지도자의 리더십 고취와 가치관의 변화이다. 물론 현지 선교사를 통한 미전도 종족 선교를 부인할 수는 없지만 장기적이고 본질적인 부분에서 한계가 있음이 사실이다. 선교사와 현지인들 사이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벽이 존재하기도 하고 또는 선교사를 통해 물질적인 부분을 해결하려는 경향도 있다. 또한 선교사가 철수한 후에 선교지가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도 있고, 리더십의 부재로 교회의 조직이 와해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이러한 일들이 모든 선교지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우려되는 부분을 해결하면서 복음이 종족에게 전파되어 정착되는 과정을 통해 선교의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의 경험과 학문적 연구로 볼 때, 미전도 종족을 위한 효과적인 선교전략은 현지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세워주고, 이들을 통해 토착교회를 세워 자치․자립․자전 할 수 있는 삼자교회(三自敎會)를 설립하는 것이라고 본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선교는 전략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한다는 말이 있다. 현대 선교를 수행하는데 있어 새로운 선교 전략 가운데 하나가 종족을 입양하고, 종족을 복음화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현지 지도자들을 세워가는 전략이다. 세계선교를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이제는 선교사 중심의 리더십이 아닌 현지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세워주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이제는 종족의 입양 뿐 아니라 그들을 어떻게 세워가며, 종족 안에서 어떻게 교회를 자치자립자전 할 수 있게 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첫째, 세계관을 성경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각자의 세계관을 갖고 있다. 그들은 세계관의 안경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세계관의 틀 안에서 사고하고 행동한다. 그래서 세계관은 한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이 이미 주어진 실재로 취하고 있는, 삶을 위해 사용하는 실재에 관한 지도(Map)라 할 수 있다. 세계관은 사고와 행동의 원천이므로 하나의 작은 행동부터 인생의 큰 결정까지 세계관이 삶의 전 영역에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올바른 세계관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올바른 세계관은 삶의 가치를 결정하고 삶의 목적을 갖게 하고 바른 인간관계를 가지며 사회를 균형 있게 보기 때문이다. 둘째, 차세대 리더인 학생들을 양육하는 것이다. 지도자를 세워가는 일에는 오랜 시간과 양육자(Mentor)의 많은 노력과 헌신 및 상당한 물질적 투자를 필요로 한다. 그럼에도 어린 학생과 청년들을 양육하는 이유는 세계관이 완성되지 않았을 때 하나님의 말씀으로 성경적 세계관을 정립시켜 자신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를 위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린 시절부터 그들을 말씀으로 양육한다면, 이들이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 가운데 자신들의 삶을 헌신하고 복음을 위해 생애를 바치게 된다. 셋째, 미전도 종족이 자치․자립․자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줘야 한다. 초기 한국교회는 “네비우스 정책”을 통해 자치․자립․자전하는 삼자교회로 성장할 수 있었다. 삼자교회는 근본적으로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에 근거한 선교의 목표요 사도 바울의 선교전략이었다. 미전도 종족 현지 지도자의 리더십을 세워 삼자(三自)하는 공동체로 세우는 것은 21세기 선교의 중요한 선교전략으로, 본 논문의 연구 문제를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1) 빌라안 종족의 정체성과 현황은 어떠한가? 2) 빌라안 종족의 종교적 세계관은 어떠한가? 3) 빌라안 종족의 지도자 리더십 개발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4) 발라안 종족을 위한 효과적인 삼자정책의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작성된 설문지와 인터뷰는 필리핀 빌라안 종족의 LCC지도자들과 인천빛의교회에서 장학생으로 기르고 있는 일곱 명의 학생과 LCC에 출석하는 학생들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설문과 인터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질문 1에서 ‘빌라안은 어떤 종족입니까?’를 물어 보았다. 초창기 종족을 입양할 때는 원시 부족의 형태로 화전 농사를 통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현재는 빌라안 종족이 산 위에서 내려와서, 도시 주변 야산 주위에 살면서, 직장 생활을 하고, 과일을 재배하고, 농사를 지으면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다. 빌라안 종족의 삶의 현황은 원시부족의 형태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과정에 있다. 그로 인해서 질 좋은 직장을 구할 수 없었으며, 대다수의 종족원들이 일용직을 전전하고 있다. 도시에 근처에 사는 종족원들은 삶의 환경적인 요소는 아직도 산 위에 거주하는 종족보다는 좋은 환경이지만, 빌라안 종족은 경제적인 문제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들이 학교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기성세대로서 가지는 열악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연구 질문 2에서 ‘빌라안 종족이 종교관은 어떠한가?’를 통해서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설문에 응한 거의 모든 종족원들이 하나님의 존재와 천국과 지옥에 대해서 있다고 답을 하고 있다. 구원에 대해서 97%가 확신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신앙생활에 대해서는 기도, 헌금, 예배, 전도에 대해서 긍정적인 답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앙생활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빌라안 종족이 경제에 대한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는 것처럼,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되기 바라는 기복신앙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연구 질문 3에서는 ‘빌라안 종족을 이끌어 가는 방법을 무엇인가?’에 대해서 설문에 참석한 인원들은 대다수가 지도자는 하나님께서 훈련과 교육을 통해서 세우시며, 현재 LCC 지도자들 역시 하나님께서 세우셨다고 믿고 있다. 또한 LCC 지도자들이 현재 자신들의 교회를 잘 이끌어가고 있으며, 미래의 지도자인 장학생들이 자신의 종족과 교회를 이끌어 가기를 원한다고 응답을 하고 있다. 장학생과 관련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답변이었다. 장학생들이 현재 빌라안 종족의 청소년들에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자신들이 장학생이 되고 싶은 마음을 표현 하고 있고, 장학생이 되면 열심히 학업을 연마하여 종족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응답을 한다. 현재 장학생들이 빌라안 종족과 필리핀과 세계 복음화를 위해서 쓰일 수 있는 하나님의 도구로 잘 준비되고 있으며, 현지 학생들도 장학생들이 자신의 종족과 교회를 이끌어가기를 원하고 있다. 연구 질문 4는 ‘빌라안 종족이 자치자립자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빌라안 종족은 스스로가 교회를 운영하고, 가르치며, 전도할 수 있다고 응답하고 있다. 하지만 스스로가 자치자립자전할 수 있는 방안이 거의 없었다. 추상적으로 하나님께서 하실 것이고 기도하면 해결하신다는 믿음으로 접근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대안과 전략이 없었다. 대다수의 교회 지도자들은 농장과 투자와 후원을 원하고 있었다. 빌라안 종족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장학생들은 “산 위에서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던 종족이었는데 하나님께서 자신의 종족을 사랑하여 복음을 듣게 하셔서 이제 생명의 길로 인도하셨다. 빌라안 종족은 하나님의 은혜를 생각하며 하나님께 감사하며 주신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서 살아갈 것이다.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던 자신들을 구원해 주시고 배고픔과 절망을 해결하신 그 하나님을 찬양한다.”고 고백하고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번 연구에는 LCC 기성세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은 무엇이고, 만약 세계관의 변화가 이루어졌다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연구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자녀들에 대한 양육의 문제, 교회가 자신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기 원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는 빌라안 종족을 통해서 무슬림들의 선교전략은 무엇인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빌라안 종족은 무슬림과 공존하고 있으며, 개별적으로 복음을 청소년과 청년들이 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빌라안 종족을 통해서 무슬림 선교 전략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는, 미래적 대안으로 교육을 통한 복음의 증거에 대한 부분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이 있는 빌라안 종족에게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전도 종족에 대한 선교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미전도 종족들은 10/40창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 지역은 전 세계의 비 그리스도인의 96%가 거주하고 있고, 전 세계 빈민의 82%와 전 세계 40개의 저개발 국가 중 18개국을 포함하고 있다. 10/40창 지역은 복음도 없고 물질적 빈곤으로 고통당하는 종족들이다. 특히 무슬림 지역으로 복음의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마지막 시대에 가장 중요한 하나님의 나라의 확장이 가장 필요한 곳이기에, 이곳에 대한 선교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씨 뿌리는 자의 비유와 하나님 나라에 관계성에 관한 연구

        허진웅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고는 마태복음 13장에 언급된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하나님 나라의 주제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비유의 개념과 목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약에 이어 신약에서 비유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쓰였으나, 예수께서는 일상생활이나 사건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점을 통해 그가 가르치고자 했던 바를 전하는 수단으로 비유를 사용하셨다. 특히 마태복음 13장에 언급된 비유들은 예수께서 하나님 나라에 관한 비밀을 그의 제자들에게 전달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비유의 목적은 그 대상에 따라 두 가지로 살필 수 있었다. 비유는 하나님 나라에 참예하는 자들에게는 그 나라의 비밀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하나님 나라를 거부한 자들에게는 그 나라의 비밀을 감추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비유는 예수께서 메시야이심을 받아들이지 아니한 당시 종교지도자들에게는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숨기고 심판을 받게 하려는 은폐적인 목적과 메시야를 영접하고 마음이 열린 백성들에게는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가르치려는 계시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논고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 해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비유의 배경, 비유의 구조 및 전후 문맥, 병행 구절과의 비교 분석 등을 통해 비유는 씨 뿌리는 자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것이 더욱 설득력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씨 뿌리는 자의 비유는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고취시키는데 그 핵심 메시지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예수께서는 메시야의 임재로 말미암은 하나님의 나라는 그것을 수용하지 못하는 사람들 가운데서 결실치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 나라에 참예하는 자들을 통해 은밀하게 결실을 이루어가게 될 것을 예고하셨다. 그 결실은 좋은 땅에 뿌려진 씨들이 100배, 60배, 30배 결실하는 것처럼 상상할 수 없는 결실이 될 것이다. 겨자씨가 하나가 큰 나무가 되어 새가 깃들일 만큼의 놀라운 확장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께서는 씨 뿌리는 비유를 통해 제자들이 이 비전을 향해 바라보며 하나님 나라의 사역에 헌신하도록 격려하고 계신 것이다. N. H. Dahl에 의하면 씨 뿌리는 자의 비유는 예수의 활동이 여러 가지 점에서 성공하고 있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수확을 거둘 수 있음을 말하는 것으로 이 비유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의 전제이며 시작이라고 해석한다. 씨 뿌리는 자의 비유는 본문 구조나 문맥적 관련 속에서 마태복음에 언급된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함을 고찰하였다. 특히 마태복음에 언급된 하나님 나라는 유대 중간기의 묵시문학의 이원론적 배경을 통해 이해할 때, 하나님 나라 개념은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에 그 특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유대인들은 메시야의 도래와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임재를 기대하였다. 현재의 이방 민족의 사악한 통치 현실에 비추어 이 이방 민족의 통치에 하나님의 종말론적 개입을 통한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였다. 그러므로 예수님 당시 유대 민족은 하나님의 나라가 전적으로 미래에 임할 하나님의 우주적 통치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도래하였음을 선포하셨다. 마태복음에서 언급된 하나님의 나라의 개념은 장소나 영역의 의미보다는 하나님 통치의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상의 본 논문 요약에서 알 수 있듯이 본고의 의의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통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한 것이다. 이 관점에서 우리는 씨 뿌리는 비유를 통해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과 소망을 새롭게 새기게 된다. 옥토에 뿌려진 씨앗의 풍성한 결실의 소망을 바라보며 그 나라를 위한 사역의 비전을 새롭게 다지게 되는 것이다.

      • 미전도종족 개척 선교에 대한 연구 : 인천빛의교회를 중심으로

        허진웅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선교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내리신 명령이다. 선교라는 지상 명령을 받은 우리 가 이 명령 앞에 어떻게 순종하며, 말씀을 온전히 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본고가 시작되었다. 제가 2011년 인천 빛의 교회에서 필리핀 민다나오 젠센에서 비전 캠프에 참석하 게 되었습니다. 캠프에 참석하면서 저는 커다란 충격에 빠지게 되었다. 복음의 능력을 보았고, 영혼들의 외침을 보았으며, 영혼들이 탄식하며 주님을 찾는 모습을 보면서, 선 교 대학원에서 공부하기로 마음먹고 입학하게 되었다. 선교 대학원에 입학한 후에 처 음으로 들었던 과목이 한정국 교수님의 미전도종족학이었다. 수업을 들으면서 인천 빛 의 교회의 비전 캠프를 생각하게 되었고, 그때의 감격을 토대로 연구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인천 빛의 교회는 빌라안 종족이 있는 곳까지 리서치 하시며, 그들에게 복음을 제시하기 위해서 전략을 가지고 많은 시간과 물질을 드려서 빌라안 종족에게 복음 전 하는 것을 선교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면서 느끼게 되었고, 그것을 연구하고 싶어서 본 고를 저술하게 되었다. 많은 교회들이 선교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고, 선교사들을 파송하고, 전심을 다 해서 복음을 전하는 모습을 잘 알고 있었지만, 그 속에서 많은 문제점과 한계를 보면 서, 본고에서 대안을 제시하고, 사역을 소개하면서 종족을 리서치하고, 입양하고, 전략 을 가지고 그들에게 복음을 독특한 방식으로 전하고 있음을 연구하고 싶었다. 특히 한국 교회의 선교는 물량주의로 주는 선교를 많이 하고 있지만, 인천 빛의 교회의 사역은 네비우스 정책을 잘 활용하고 있다.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면서 그들의 교회를 세우고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또 지도자를 양성하여 종족의 복음 화를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것을 연구하면서, 한국 교회의 새로운 전략의 모습을 가진 인천 빛의 교회의 사역을 연구하면서, 한국 교회 새로운 선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본 율곡의 수기론

        허진웅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율곡의 수기론이 현대 도덕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음을 발견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필자는 선진유학부터 송대 신유학까지 유학사상가들의 주요 사상을 통하여 율곡 수기론의 연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율곡의 수기론을 목적과 내용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율곡 수기론의 가치를 찾아내고, 실제 도덕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먼저 율곡 수기론의 연원은 공자의 ‘극기복례론’과 맹자의 ‘호연지기론’에서 찾을 수 있었다. 공자는 ‘극기복례론’을 통하여 인간이 사사로운 욕구를 극복하면 도덕적 인간이 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맹자는 ‘호연지기론’을 통하여 인간이 도덕적 실천을 함으로써 마음의 올바른 기운을 확충할 수 있음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송대 신유학자인 정호와 정이는 각각 다른 관점에서 인간의 수양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는 정이의 사상을 심화하여서 인간의 마음을 수양하고 이치를 밝혀야 함을 이야기 하였다. 율곡의 수기론은 이러한 선진유학부터 송대 신유학의 수양론을 토대로 확립된다. 율곡은 본인이 편찬한 󰡔성학집요(聖學輯要)󰡕의 「수기(修己)」편에서 수기를 13가지의 요목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수기」편의 내용들을 목적과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율곡은 수기의 목적을 ‘명명덕(明明德)’과 ‘지어지선(止於至善)’으로 보았다. ‘명명덕’은 인간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선한 본성을 보존하고 발현하는 것이다. ‘지어지선’은 만물이 각자 가지고 있는 밝은 덕을 밝힘으로써 만물이 지극한 선의 경지에 머무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수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율곡은 단계를 나누어 수기의 방법을 제시한다. 율곡은 수기의 방법을 ‘궁리(窮理)’, ‘양기(養氣)’와 ‘교기질(矯氣質)’, ‘정심(正心)’과 ‘검신(檢身)’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한다. 이것은 인간이 이치를 깨닫고, 잘못된 기질을 교정하고, 마음과 몸을 바르게 단속하는 실천적 단계로 나아가는 수양의 과정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수기의 단계가 한 단계를 끝마친 후에 다음단계로 나아가는 순차적인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수기의 과정은 동시적이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율곡 수기론의 의미를 찾고, 그것을 현대 도덕교육에 적용해 보았다. 궁리는 현대 도덕교육이 말하는 도덕적 탐구가 추구하는 방향을 내면의 도덕성을 함양하는 것으로 재설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교기질은 현대 도덕교육이 학습자의 다양한 기질에 맞는 도덕교육을 해야 하며,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비도덕적 행위를 제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정심과 검신의 내용을 도덕교육적으로 해석하고, 구체적으로 도덕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심은 바른 마음습관을 갖는 도덕교육을 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덕적 마음일기쓰기’이다. 검신은 모범적인 행동을 습관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도덕적 자기점검표’를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을 통하여 본 논문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율곡의 수기론이 도덕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현대 도덕교육에 적용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수기는 인간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욕을 극복하여 공동체 일원들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수기를 통한 도덕교육은 인간사회에 반드시 존재하는 경쟁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도덕교육의 목적은 교육을 받은 학습자를 도덕적 인간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율곡의 수기론은 현대 도덕교육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교육을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 주희 심성론의 도덕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허진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학의 사상이 현대 도덕 교육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관하여 본 연구는 남송(南宋) 시대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의 심성론을 해결의 단초(端初)로 삼는다. 그래서 본 연구의 순서는 먼저 주희 심성론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을 현대 도덕 심리학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주희 심성론에 기반한 현대적 도덕 교육론을 구성해보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논의의 방향은 주희 심성론의 심 개념 안에 포함된 통합적 특징이 도덕 심리학자들이 지향하는 통합적 관점과 맞물려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주희의 심성론은 심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성의 발현을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과정으로 바라본다. 마찬가지로 통합적 도덕 심리학을 주창하는 학자들 또한 도덕성의 발현과정이 인지, 정서, 행동만의 단일한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없으며, 인간의 복합적인 심리 과정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두 학문은 도덕성의 발달이 결코 단일한 기제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복잡한 심리 과정 안에서 상호 통합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주희 심성론의 핵심을 담당하는 ‘심(心)’은 지각 작용을 담당하고, 성ㆍ정을 주재하며, 심리구성 요소들을 모두 통괄하는 통합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심’은 주희 심성론의 구성 요소인 성(性)ㆍ정(情)ㆍ의(意)ㆍ지(志)를 주재하며, 그들의 관계가 통합적인 양태로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심’을 중심으로 운용되는 주희의 심성론은 도덕 심리의 발현과정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점이 주희의 심성론을 도덕 심리학적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게 만드는 출발점이 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총 세 단계의 과정을 밟아나간다. 첫 번째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남송 시대의 학자인 주희의 심성론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통합적 도덕 심리학의 관점으로 주희 심성론의 개념들을 해석하고 도덕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주희 심성론의 도덕 모형을 바탕으로, 그에 따른 도덕 교육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희 심성론에 기반한 도덕 심리모형 및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허령지각(虛靈知覺)을 중심으로 한 도덕 판단 모형이다. 도덕 판단 모형은 주어진 도덕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도덕적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과정을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이해와 판단 능력 향상을 위하여, 도덕 판단 모형에 기반한 격물(格物)과 치지(致知) 교육을 제시한다. 둘째는 성발위정(性發爲情)을 중심으로 한 도덕 반응 모형이다. 도덕 반응 모형은 마주한 도덕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적절한 도덕적 행위를 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정체성의 자각과 도덕적 직관력의 향상을 위하여, 도덕 반응 모형에 기반한 함양(涵養)과 과욕(寡欲) 교육을 제시한다. 셋째는 심발위의(心發爲意)를 중심으로 한 도덕 숙고 모형이다. 도덕 숙고 모형은 즉각적 도덕 반응과 도덕적 판단이 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숙고를 통한 올바른 도덕 행위의 발현을 중점으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사려와 체화를 위한 성찰(省察)과 역행(力行) 교육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의미는 유학의 개념이 현대 도덕 교육에 어떠한 모습으로 접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선례를 남긴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삼아 관련된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유학을 접목한 도덕 교육에 대한 논의의 장이 확대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