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허정(Her Jung),이길재(Lee Gil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최근 고등교육 정책의 핵심 관심 주제 중 하나인 BK21 플러스사업이 대학원생의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인적자원개발 정책 사업인 BK21사업이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사 실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은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의 효과 분석은 물론 추후 계속될 사업 설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 BK21 플러스사업 미래기반 분야에 선정되어 2019년까지 계속 지원받은 341개 학과 중 경향점수매칭(PSM)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86개 학과를 대상으로 성과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BK21 플러스사업 참여는 대학의 지원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참여 대학원생들의 능동적·협력적 학습과 학습량은 사업 미참여 대학원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참여의 주요 하위 요소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전반적으로 사업 참여 대학원생과 미참여 대학원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주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BK21사업의 기획과 추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Brain Korea21 PLUS(BK21) project 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comparison with graduate students in between BK21 PLUS departments of universities and non-BK21 PLUS departments. In order to select the comparison group, the study employed the PSM(propensity scoring matching) method that is well known to be useful in reducing the sample selection bias. Samples include 43 departments of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the project for 7 years(2013~2019) Students from the BK21 departments show a higher level of university supportive environment which means giving variety programs such as scholarship and research supports from BK21 PLUS is on effect. In case of student engagement,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quantity of learning show a higher level compared to students from non-BK21 departmen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indicator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Learning outcomes also show higher level to students from BK21 PLUS departments both learning competency and research performance. The result reveal that BK21 PLUS project is making progress not only a students’s research performance but also the learning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consistently create and expand positive outcomes through the BK21 project.

      • KCI등재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BK21 PLUS의 학습플랫폼 거버넌스 관점을 중심으로

        허정 ( Jung Her ),박성민 ( Sung Min Park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4

        국가주도의 대표적인 인적자원개발 정책인 BK21사업의 정책효과는 지금까지 사업 참여교수의 연구실적 향상여부에만 초점을 둔 분석이 다수를 이루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 본 연구는 Astin(1993)의 학습참여이론을 바탕으로 BK21사업 지원이 참여대학원생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촉진하여 학습성과를 높이는지, 대학원에서도 학생의 개인특성이 학습참여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참여가 학습성과 향상을 매개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BK21사업 지원을 받는 대학의 지원환경과 개인특성은 학습참여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습참여를 매개로 학습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BK21사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재정투입이 대학의 지원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를 촉진하여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원 내의 학습과 연구과정에서 대학의 지원환경 개선과 학습참여 촉진이 학습역량과 연구역량을 제고하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새롭게 시작된 4단계 BK21사업 플랫폼에서 학생중심의 성과관리와 대학원 교육혁신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While the previous studies on BK21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rofessors’ research performance, this study was mainly conducted based upon the student engagement theory which illustrates the logic of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their academic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t each stag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in the results of various preceding studies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n the ba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jor field, degree course, degree period, and program beneficiary period, etc. Second, structural equation (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main antecedent factors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have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has a indirect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competencies by promoting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