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MI 스프레이 코팅막의 차폐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정확한 방법

        허정,이원희,Hur, Jung,Lee, Won-Hui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4

        EMI 스프레이 코팅막의 차폐효과(Shield Effectiveness, SE)를 측정하기 위한 정확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고주파 시뮬레이션을 한 후에 원형 동축 표준 측정기를 제작하였다. 원형 동축 표준 측정기에 삽입하기 위하여 EMI 스프레이 코팅막의 시료를 가공하였다. 차폐효과 측정을 위한 측정기는 에이질런트 8722ES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측정기와 측정시료의 구성으로 구리와 은의 혼합 스프레이 코팅 시료의 정확한 차폐효과를 측정하였다. 동박 시료의 차폐효과는 70 dB로 측정되었고, 구리와 은의 혼합 스프레이 코팅 시료의 차폐효과는 60 dB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측정 결과로 원형 동축 표준 측정기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An accurate method to measure shielding effectiveness(SE) of EMI spray coating film is presented. After high frequency simulating, Circular coaxial standard test fixture is fabricated. A sample of EMI spray coating film was fabricated for insertion into a circular coaxial standard test fixture.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an Agilent 8722ES vector network analyzer for the SE measurement. The exact SE of copper and silver mixed spray coating sample was measur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measuring sample. The SE of copper sample was measured at 70 dB and the SE of copper and silver mixed spray coating sample was measured at 60 dB.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reliability of the circular coaxial standard test fixture was confirmed.

      • KCI등재후보

        MPEG의 다차원 분석을 통한 디졸브 구간 검출 : I, P프레임의 DCT-R값을 이용

        허정,박상성,장동식,Heo, Jung,Park, Sang-Sung,Jang, Dong-Sik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4 No.3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장면전환 효과 중 디졸브(dissolve)에 의한 점진적인 장면전환 구간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처리의 효율성과 MPEG Sequence의 최소한의 복원과정을 위해 Ⅰ, P 프레임의 Color-R값에 대한 DCT계수를 사용하였다. 인간의 시각으로는 비디오의 장면전환점을 쉽게 구분해 낼수 있듯이 컴퓨터가 인식하기 쉽도록 영상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장면전환 구간을 검출하였다. 우선 각각의 영상에서 Color-R에 대한 DCT계수를 추출하고 블록단위인 8*8단위 열의 합을 구해 다시 프레임에 대한 행을 4단계로 분할하여 특징치를 분석하고 4단계의 샷 특징치를 통합하여 샷을 검출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이 영상의 단일 특징치를 사용한 방법보다 4단계의 특징치 분석을 사용함으로서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Ⅰ, P 프레임의 Color-R값의 부분적 복원과정으로 계산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The paper presents a method to detect dissolve shots of video scene change detections in an MPEG compressed domain. The proposed algorithm uses color-R DCT coefficients of Ⅰ, P-frames for a fast operation and accurate detection and a minimum decoding process in MPEG sequences. The paper presents a method to detect dissolve shot for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Image in order to recognize easily in computer as a human detects accurately shots of scene change. First, Color-R DCT coefficients for 8*8 units are obtained and the features are summed in a row. Second, Four-step analysis are Performed for differences of the sum in the frame sequenc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lgorithm has better detection performance, such as precision and recall rate, than the existing method using an average for all DC image by performing four step analysis. The algorithm has the advantage of speed, simplicity and accuracy. In addition. it requires less amount of storage.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디지털 생태계와 넷아트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4

        본 논문은 인터넷상의 네트워크와 소통 자체를 예술 창작의 재료이자 창작의 원천으로 삼고 있는 넷 아트를 중심으로 현대 예술에서 나타나는 소통의 문제를 논하고 있다. 그를 위해 본 논문은 컴퓨터가 만드는 디지털 공간에서 비트라는‘이진수 DNA’가 번식과 선택, 변이라는 진화의 과정을 겪으면서‘디지털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넷아트는 인터넷상의 정보를 수집, 가공, 재조직하여 소통시키는‘정보의 예술’이다. 넷아트에서 중요한 것은 물질적인 구조가 아니라 연결능력이다. 넷아트는 정보의 소통을 그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소통의 과정을 시각화하는 것이 관건이다. 정보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은 것이며 디지털 세계에서는 자연세계와 마찬가지로 적자생존, 돌연변이, 번식과 같은 진화의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넷아트의 작품은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적 소통을 거치는 진화의 과정으로서 존재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of communication in modern art by focusing on Net art, which utilizes the internet-based network and communication as creative source. For this, this paper begins from the underlying assumption that the evolution through reproduction, selection, and variation of “bit DNA”constructs the digital ecosystem. Net art is an "information art" that gathers, shapes, and restructures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 important thing in Net art is not its physical structure, but its connective capacity. Net art is targeted fo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the essence is to visualiz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an organism that follows the rules of evolution such as the survival of the fittest, mutation, and reproduction. Therefore, the bit is ‘information’ that is immaterial, and can be reproduced as communication genes. Net art exists as a process of evolution in the mutual communicatory environment of digital networ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의학과 예술의 융합적 상상력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2

        현대사회의 복잡계 현상들은 더 이상 근대 이후 각 분야별로 전문화된 지식으로는 파악되기 힘들다. 이런 맥락에서 융합은 21세기 디지털 문명사회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고 있다. 그런데 모든 분야에서 융합이라는 거대담론을 논하며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은 하고 있으나 융합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들은 아직 적극적으로 모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융합은 단순히 이질적인 분야들이 만나는 것만으로 구현되기는 힘들다. 각 분야들의 만남을 넘어서 구체적으로 화학작용을 일으킬 때 진정한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타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전혀 다른 맥락에서 발전되어 온 의학과 예술 간의 상호교차적 소통을 통해서 융합 문화현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의학이 예술에 미친 영향들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또한 역으로 예술이 의학에 영향을 끼친 구체적인 보기들을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의학과 예술이 융합된 메디컬아트들에 대한 사례들을 통하여 오늘날 의학과 예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네트워크 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의학과 예술의 융합이 어떠한 새로운 담론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새로운 담론이 각 분야에 어떠한 상호보완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Current society`s complex phenomenon can no longer be understood simply through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separate fields. Because of this, convergence is the most important keyword of the 21st century`s digital civilization. In all fields, the great discourse on merging is dealt with and its necessity is agreed upon, but the reality is that the specific plan for putting convergence into practice is not found. Convergence cannot simply be expressed by different fields meeting together. Going beyond the meeting of various fields, there should be a chemical reaction for a true merging to take place, and in order to do this, preceding studies and interests must take place.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specifically the converged cultural phenomenon through the mutual intersection of medicine and art, which has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in drastically different contexts. For this, the article will examine cases in which medicine has affected art, and those in which art has affected medicine. Moreover, through the cases of medical art, in which medicine and art are converged together, it will examine exactly how today`s medicine and art are networked. In addition, it hopes to discover what discourses can be produced from the convergence of medicine and art, and how that new discourse will be able to affect each field with a mutual supplement.

      • KCI등재

        논문 : 이미지와 소리의 상호매체적 교차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0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21 세기 디지털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문화콘텐츠들이 감각화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문화콘텐츠의 가장 중요한 리소스인 이미지와 소리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을 한다. 보는 것이 곧 진리라는 명제를 확립한 서구의 시각중심주의는 형이상학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시각과 청각의 분리를 가져온 서양의 전통적 사유에 대해 본 논문은 이미지와 소리가 역사적으로 분리주의의 길을 걸어 온 것이 아니라, 매 시대마다 공존적 동반자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한 시대가 시각중심주의 또는 청각중심주의라는 생각에서 탈피하여 이미지와 소리가 상호 교차하고 있는 문화현상을 밝힘으로써 문화콘텐츠디자인의 한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19 세기 말과 20 세기 초유럽에서는 시각예술과 청각예술의 위상이 획기적으로 바뀐다. 즉 이미지와 소리는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되면서, 이미지의 청각화와 소리의 시각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와 소리의 교차현상은 시간성이나 공간성과 관계된다. 공간적 특성을 가지는 이미지에 시간이 개입되고, 시간을 존재의 특성으로 가지는 소리에 공간성이 개입되는 예술적 시도들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미지와 소리의 상호작용은 예술사에서는 장르들의 혼합현상 또는 상호매체적 현상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의 배후에는 이미지와 소리가 각각 단일매체로서 가지고 있는 표현의 한계를 넘어 서로를 보완함으로써 다감각적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것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시각과 청각의 융합현상은 더욱 더 활성화되고 있다. 이미지와 소리는 정보화된 데이터로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들의 자유로운 조합을 통해서 이미지와 소리는 무한히 변형 가능하게 된다.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fact that all contents are being sensitized due to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is tries to examine the cultural history of image and sound, the two most important resources of cultural contents. The Western visualism which is seeing is knowing primarily has its roots in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Due to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image and sound has been separated, however,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image and sound have not walked the path of separatism, but have always inter-related. Also, it plans to set a foundation for cultural contents design by clarifying the cultural phenomenon of image and sound mutually intersecting, other than centralizing only on sound or imag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 phase of visual art and sound art changes drastically in Europe. With image and sound facing a new conversion in the reciprocally supplementing relationship, sound becomes visualized and image becomes sound and vice versa. The interrelation between image and sound represents the phenomenon of genres mixing and the intermedia in art history. Such a phenomenon is closely related to image and sound each trying to overcome the barrier of expression in order to supplement each other to fulfill the desires of a multi-sensual expression.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merging phenomenon of image and sound is being further activated. With such combinations of data, image and sound become infinitely transformable. The sound and image that become data are drastically changing art production and the formula of design. It is creating a new creative concept through the combination of data and network, and intends to unify the sense of the multimedia age. In this aspect, this article indicates the issues of an image-centered cultur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ewly rising sou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