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연계형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사례연구

        허원회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In the 21st centur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 need of talented people who are equipped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of various industries. Each university operates a capstone design to nurture the talent needed for practical work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industry. However, since students in a single major plan as team members, there are limitations in current market situ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marketing and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he capstone design, which is carried out at the center level, engineering and design need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without focusing only on the technical par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roduces the engineering and design linkage cases of the Capstone Design Program operated by the Department of Media Software and seeks to improve them. First, the educational purpose and operation plan of capstone design in the engineering field was review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case operated by the researcher. 21세기는 4차 산업 혁명을 화두로 다양한 산업분야의 경험과 지식으로 무장한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각 대학은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을 운영하고 있는데 무엇보다 산업체와의 연계를 중요시 하고 있다. 그러나 단일전공의 학생들이 팀원을 이루어 기획하기 때문에 현재의 시장상황이나 환경에 대한 인식과 마케팅 및 디자인 부분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센터 단위로 진행되는 캡스톤 디자인의 부족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부분에만 치우치지 않고 공학과 디자인이 서로 협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공학계열의 미디어소프트웨어 학과에서 운영한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의 공학과 디자인 연계 사례를 소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먼저 공학 분야의 캡스톤 디자인의 교육목적과 운영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연구자가 운영한 프로그램 사례의 결과에 기인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위한 혁신 교과목 개발 -종합설계 교과목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허원회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1 No.2

        University education is seeking change and innovation to cultivate talent required by society to jump on the rapidly changing tim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hot topic. Above all, the engineering department emphasizes student-led learning through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uch as effective SW education and industrial talent training. In this study, the class schedule, content, and results were shared as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the researcher's the subjects (comprehensive design 1 and 2) op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innovative course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performance stage was presented in seven stages: 1. basic design (item discovery), 2. topic selection (problem solving), 3. research plan preparation and inspection, 4. work design (content planning), 5. work production (prototype production), 6. graduation exhibition, 7. final report and personal portfolio. It is meaningful that by systematically operating the subject through the presented method, students develope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produced high-quality results close to field practice. 대학교육은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급변하는 시대변화에 편승하기 위해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변화와 혁신을 꾀하고 있다. 무엇보다 공과계열에서는 효과적인 SW 교육, 산업형 인재양성 등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학생주도의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2020년 1학기와 2학기에 운영되었던 교과목 (종합설계 1과 2)에 관한 운영사례로 수업 일정, 내용, 결과 등을 공유하였다.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위한 혁신 교과목으로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수행단계를 1. 기본설계(아이템 발굴), 2. 주제선정(문제해결), 3. 연구계획서 작성 및 점검, 4. 작품설계(콘텐츠기획), 5. 작품제작(프로토타입 제작), 6. 졸업작품 전시회, 7. 최종보고서 및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의 7단계로 제시하여 진행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통해 체계적인 교과목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고 현장 실무에 가까운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산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온라인에서의 멀티미디어 교육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사이버 대학의 강의를 중심으로 With the emphasis on university online class

        허원회,정수진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200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14 No.1

        사이버 상(Intemet)에서의 멀티미디어 교육은 오프라인에서의 그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계획되고 진행되어야 하면 지식전달과 이해를 수업의 목표로 하는 텍스트 위주의 수업과 달리 시각적 청각적 감각적 감성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온라인에서의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교육방법에 대해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이버 강의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염두에 둔 방법론이 제시 되어야 한다. 이에 현재의 교육현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발전과 활용 방향에 대하여 대책을제시하고자 한다. The online Multimedia education classes should be designed and carried out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classroom classes instead of just aiming the class to feed the text information for comprehension purposes, it should emphasize and integrate more visual, audible, and emotional aspects to assist students with better understanding in order to find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online education system on Multimedia, the current problems of university online lectures and classes need to be addressed and discussed to find better solution.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urrent online classes to discuss problems and then suggest possible solution to the problem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system on Multimedia.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의 모바일 앱 사용 수준이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원회,최정일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액티브 시니어의 모바일 앱 사용 수준이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이용자 150여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초에 15일 동안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내용으로 독립변수는 “모바일 앱 사용 수준”, 매개변수는 “라이프스타일”,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각 변수 간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이 검증되었고 내적 일관성도 확보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각 항목들의 집중타당성이 일반적으로 잘 확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가설검증결과, ‘‘앱 사용 수준 ⇨ 라이프스타일’ 0.244로, ‘라이프스타일 ⇨ 삶의 만족도’ 0.707, ‘앱 사용 수준 ⇨ 삶의 만족도 0.141’로 채택되었다. 액티브 시니어의 모바일 앱 사용 수준이 높을수록 라이프스타일이 높아질 것이고, 라이프스타일이 향상될수록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며, 모바일 앱 사용 수준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앱 사용 수준과 라이프스타일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active seniors' mobile app usage level affects their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we surveyed for 15 days in early December 2021 targeting about 150 users nationwide. As the questionnaire content,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mobile app usage level”, the parameter was “lifesty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s between each variable were ver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 consistency was secure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centration validity of each item was generally well confirme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by the structural equation, 'App usage level ⇨ Lifestyle' was 0.244, 'Lifestyle ⇨ Life satisfaction' 0.707, and 'App usage level ⇨ Life satisfaction 0.141' was adopted.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obile app usage of active seniors, the higher the lifestyle. Also, the better the lifestyle, the better the quality of life. It is analyzed that life satisfaction will improve as the level of mobile app use in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it seem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app use and lifestyle.

      • KCI등재

        뉴 실버세대를 위한 감성커뮤니케이션 콘텐츠 디자인 연구

        허원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9 No.-

        21세기는 감성커뮤니케이션 시대로 남녀노소 누구나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 예술의 접목을 통한 감성의 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며 노인을 위한 콘텐츠 제작은 미흡한 실정이다. 50대 이상의 실버세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기도 쉽지 않다. 실버세대와 디지털 콘텐츠 사이를 좁히기 위하여 노인들이 직관적으로 구조를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콘텐츠를 디자인하여야 한다. 또한 신체기능이 불편한 노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가 연구되어야 한다. 시각과 청각을 빠른 시간에 전달하는 모션그래픽을 사용한다면 효율적인 메시지를 공유함으로써 실버세대에게 보다 효과적인 콘텐츠 디자인을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21st century, everyone on the convergence of new digital technology and art of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sensibilities. However, the lack of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 people, and content production for older people is insufficient. More than 50 Silver Gener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are exposed to is not easy. Silver Generation and the older people to narrow the digital content between the an intuitive and eas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content designed to be used should be considered. The body functions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old people uncomfortable design elements that should be studied. Visual and auditory motion graphics in less time if they are using to deliver effective messages to the more effective by sharing the Silver Generation will be able to provide content design.

      • KCI등재

        청소년의 효과적 직업체험을 위한 융합진로프로그램 제안 -LTI(Learning Through Internship)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허원회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2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Information Age is progressing faster than we thought, and is developing into a diverse society specialized in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Society. In the preceding studies, the researcher argued that youth career education needs to be organized in a variety of programs to directly experience, networking, and exchange opinions, and, above all, develop active career experience programs through various regional infrastructure, such as businesses, cooperatives, and local cultural foundation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ongdong and Gwangjin LTI internship programs, the connection with practical mentors in the local community was sought and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was sought so that teenagers could establish new value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and find suitable paths for aptitude. As follow-up study, this study develops practical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e the desired course by planning the preceding program before carrying out the program of the LTI Youth Internship. 정보화시대의 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빠른 기술의 발전을 발판으로 전문화된 다양한 사회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들에서 청소년 진로 교육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구성을 통해 직접 체험할 수 있어야하고 특히 마을의 자원인 지역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을안의 기업이나 협동조합, 문화재단 등과 연계한다면 청소년을 위한 능동적인 진로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무엇보다 성동 광진 LTI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마을의 학생들이 진로활동을 통해 스스로 가치관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왔고 지역사회의 멘토와 직접 만나 자신에게 맞는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진로교육의 방향을 고민하였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로서 LTI 청소년 인턴십 프로젝트의 기업별 세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선수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해하고 좀 더 깊이 있게 원하는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예술과의 융합을 접목한 공학 종합설계 교과목 사례연구

        허원회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4

        21세기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최첨단으로 발전하고 있는 다양한 기술들의 융합에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해 융합 교육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미래사회의 인간과 기술의 접점 에서 발생하는 복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예술적 접근을 통한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제 대학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 학적으로 종합설계를 운영하려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운영한 예술을 접목한 공학 종합설계 교과목의 운영사례를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1. 문제 인식 및 정의, 2. 아이디어 도출 및 평가, 3. 프로젝트 개발, 4. 발표 및 시연의 프로세스 운영방식을 적용하여 종합설계 교과목에서의 예술 융합형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개발에 있어 예술적 심미안과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게 함으로써 공학 계열 종합설계 교과목에서의 예술 융합 운영방식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opic of the 21st century, lies in the convergence of various technologies that are developing to the cutting edge. Therefore, convergence education is essential to solve problems from various perspectives. Above all,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 problem arising from the contact point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in the future society, it was considered that insight through a humanities and artistic approach was necessary. Now, universities are trying to run a multidisciplinary comprehensive design to adapt to the new digital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operation case of an engineering comprehensive design subject incorporating art operated by a researcher was described. The researcher presented an art convergence curriculum in a comprehensive design subject by applying 1. problem recognition and definition, 2. idea derivation and evaluation, 3. project development, 4. presentation, and demonstration process operation methods.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presented a method of operating art convergence in engineering comprehensive design subjects by allowing students to attempt an artistic aesthetic and emotional approach to project development.

      • KCI등재

        지역사회와 연계한 공학계열 종합설계 연구

        허원회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4차산업혁명시대, 국제 경쟁력과 신기술을 갖춘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공학 계열 교육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공학 계열에서의 종합설계는 설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산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미래형 인재를 길러내는 교과목으로써 학생들이 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실무와 관련한 실제 프로 젝트를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2019년 공학 계열 종합설계 교과목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대 학에서 배운 신기술을 실제 실무에 적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지역 복지시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실무중 심의 결과물을 개발한 운영사례를 제시한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지역사회 복지시설의 문제를 찾고 사회적 약자를 위 한 재난대응 교육 VR 콘텐츠를 개발한 교육과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기존 지진 VR콘텐츠의 움직임 한계를 모션 체어와 연결함으로써 해결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현장에서의 적응능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에 필요한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재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cultivate excellent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new technologies the university's engineering education is gradually improving through a number of studies. Comprehensive design in engineering is a cours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and nurtures future talents that are practically need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searcher's 2019 engineering-related comprehensive design courses students apply new technologies learned in college to actual practice propose creative ideas and develop practical results that solve problems of local welfare facilities. The curriculum was described in which students took the initiative to find problems in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and developed VR contents for disaster response educat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rough this study, students solved the motion limitations of existing earthquake VR contents by connecting them with motion chairs. As a result, it is meaningful that students contributed to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cultivating their ability to adapt in the field.

      • KCI등재

        모바일 앱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현 -실버세대를 중심으로-

        허원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디지털 모바일 기기 활용으로 대표적인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연령층이 손쉽게 이용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노화로 인한 시각적 어려움을 지닌 실버세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서는 앱의 접근성을 높이는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의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로써 제안하였던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보완한 서울시 시니어포털 50+서울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해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서울시 시니어포털 50+서울 앱의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선하고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다.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의 평가방법인 참여자의 의견, 아이디어,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한 정성조사방법으로 실시한다. With the use of digital mobile devices, typical smartphone apps need to be easily accessible to users of various ages. In particular, for the convenience of the silver generation with visual difficulties, an interface design that increases the accessibility of the app is urgent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50+ Seoul App Interface Design of Silver generation, which is based on the app interface design guideline that was proposed as a follow - up study of the researcher 's previous studies. First, based on the interface design guidelines proposed in the previous research, we appl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eoul city senior portal 50+ Seoul app to improve the interface design and evaluate usability. It is conducted by the qualitative survey method to find the opinions, ideas, and problems of the participant who is the evaluation method in the previous research for the silver generation.

      • KCI등재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석 -‘시니어포털 50+서울’ 앱을 중심으로-

        허원회,조정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as been generalized aging society and we are trying to solve realistic problems through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country. In an aging society that is fast-pace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essential not optional for silver generation. Smartphone apps need to be easily accessible to users of various ages and the ease of use of the silver generation requires an interface design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app.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researcher's previous study which examined the issues to be considered for efficient use of digital devices in silver generation at present in Korea, which is entering into a serious a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50+ Seoul app interface design of Seoul senior portal, which is based on the app interface design guideline proposed in the previous research. 고령화 시대의 노인복지서비스는 일반화 되었고 국가에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을 통해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세대의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연령층이 손쉽게 이용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실버세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서는 앱의 효율성을 높이는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심각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시점에 실버세대의 디지털 기기 사용에 있어서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점검하여 제안하였던 연구자의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제안하였던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현재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제작된 서울시 시니어포털 50+서울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