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영광 연안김씨가의 농업경영과 자본전환의 모색

        허원영(Heo Won 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60 No.-

        전라남도 영광지역에 400여 년간 세거 해 온 연안김씨가는 일제강점기 이전에 이미 활발한 경제활동을 통하여 대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을 보유하였다. 당시 토지의 매득과 소작경영, 그리고 식리활동을 바탕으로 한 한말 연안김씨가의 경제활동은 조선후기 양반지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동시에 연안김씨가는 관료이자 지역 유지로서의 신분적 배경을 지녔음에도 경제외적 강제를 통한 경제활동은 두드러지지 않으며, 철저한 경제적 계약과 그 실현을 통한 경제활동에서는 이미 근대지주로서의 속성과 전망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근대적 속성은, 일제강점기 연안김씨가의 경제활동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되어 갔다. 근대적 속성을 지닌 양반지주로서 연안김씨가에게 있어 일제강점기는 정치, 사회적인 위기의 시기였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위기이자 동시에 또 다른 전환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의 시기이기도 하였다. 연안김씨가는 일제강점기에도 기본적으로 지주로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그 위에서 자본의 확충과 상업자본의 전환 등을 도모해 나갔다. 일제강점기에도 연안김씨가의 토지매매는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때로는 대규모 거래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확인할 수 있는 경우만 278건의 15만원 정도의 거래가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거래에는 사실상 상속과 증여에 해당하는 가구성원 간의 거래가 존재하며, 실거래가를 낮추어 계약하는 이른바 ‘다운계약서 작성’의 모습도 관찰된다. 또한 토지를 담보로 금전이나 곡식을 대여하고, 상환이 이루어지지 못했을 때 담보인 토지를 대신 취득하는 ‘유질계약’의 경우도 다수가 존재하였다. 연안김씨가의 농업경영은 기본적으로 소작경영을 기본으로 하였고, 소작인에게 수취한 소작료는 경제활동의 기본 자산이었다. 1930년대 연안김씨가는 산지를 포함하여 최소 55만평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였다. 전답과 대지만 해도 14만 3천평을 넘어서고 있었고, 한 해 소출이 3천여 석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획득한 곡식들은 대규모로 일본인과의 거래되어 자본화되었으며, 연안김씨가는 지주자본가로서의 지위를 성숙시켜 나갔다. 1920년을 전후한 무렵부터 연안김씨가는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으로부터 대규모의 부동산담보대출을 받고 있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대규모 토지방매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예전에는 보이지 않던 이와 같은 대규모 토지거래는 비슷한 시기 상업자본으로의 진출 모색과 함께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상업회사 투자를 위해, 또는 그 정리를 위하여 이와 같은 대규모 토지거래 및 대출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연안김씨가는 지주로서 토지자본을 바탕으로 상업자본 진출을 적극적으로 도모하였다. 1919년 창립된 제주물산주식회사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1920년 호남물산주식회사의 창립, 1922년 전남진흥관의 창립과 합명회사 정읍상업조합의 창립 참여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 연안김씨가의 상업자본 진출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많은 손실과 소송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연안김씨가는 기본적으로는 전시대로부터의 지주적 지위에 기반하고 있었으나, 이 시기 들어 상업자본으로의 적극적 진화를 도모해 나갔다. 그러나 대지주로서의 지위와 자본력으로도 그 변화는 쉽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일제강점기 연안김씨가의 경제활동은 전통적인 양반지주로서의 정체성을 넘어서 근대적 지주자본, 나아가 상업자본으로의 변환을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사례를 보여준다. Yeonan Kim clan having resided in Younggwang Jeollanam-do for about 400 years established financial foundation engaging in that much lively economic activities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accumulated wealth from aggressive purchase land, landowner management and profit making activities like Yangban landowner in late choseon. It carried on economic activities under economic contract rather than non-economic compulsion, and it showed what a modern landowner really is. Under Japanese rule Yeonan Kim clan went through a social and political crisis but it turned this crisis into an opportunity to seek new direc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It expanded capital and raised commercial capital based on its status as local worthies. During this time, it dealt in land on a large scale up to 278 contracts worth 150000 won . It made a contract among family members such as inheritance and gift. It made a contract to lower prices . It made a contract for foreclosure by lending money or grain holding a mortgage on land. It managed agriculture mainly giving land for tenant farming . In the 1930s, it owned 5500000 pyeong of land at least. It is thought to have 143000 pyeong of farmland and site and to make rice crop up to 3000 seok. It made a capitalize by dealing in crop with the Japanese. Since around 1920, it had the loan on real estate from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and Choseon Siksan Bank on a large scale and it tried consistently a large scale land sale , which is done in an effort to form commercial capital . At this time, it actively entered into commercial capital ; it took part in Jeju Produce Development Company in 1919, it launched a Honam Produce Development Company in 1920 and it founded Jeonnam Promotion Bureau and Jeongeup Trade Association in 1922. Notwithstanding many efforts to enter into commercial capital , it suffered a loss and was facing a lawsuit. Based on a status as landowner it made actively progress towards commercial capital. To sum up, economic activity of Yeonan Kim clan in Younggwang in Colonial Choseon shows a case to make progressive advance in traditional Yangban landowner, modern land capital and commercial capital passes.

      • KCI등재

        품사 통용어의 사전 기술에 관한 일관성 고찰 -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표제어를 중심으로 -

        허원영 ( Heo Won-young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sistency problem identified in the multi-part-of-speech words description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in multi-part-of-speech words' dictionary description: ‘arbitrary processing’ and ‘multi-part-of-speech words' homonyms processing’. First, the dictionary treats multi-part-of-speech words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inciple of multi-part-of-speech words, It is clearly used as the part of speech, and if the combination of postposition is not allowed, it is treated as multi-part-of-speech words. However, this principle does not apply consistently to all headings. In the case of ‘pyeong-saeng’ and ‘bam-nat’, ‘jeong-mal, cham, cham-mal’ and ‘jin-jja’, even though they are headwords with the same condition, sometimes they are treated as multi-part-of-speech words, and sometimes they are not. On the other hand, dictionaries sometimes treat multi-part-of-speech words as homonyms.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principle of polysemys and homonyms, if there is a semantic correlation and has the same etymology, It's not a homonyms, it's a polysemys.. However, this principle does not apply consistently to all headings. ‘a-ni’, ‘ppun’, ‘dae-ro’, ‘bo-da’ are all treated as homonyms, and these are either multi-part-of-speech words with a clear semantic connection or the same etymology. These problems eventually lead to one big problem. It is that the multi-part-of-speech words are not consistently describ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2014a/2014b) is revealing the processing principle of multi-part-of-speech words.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in itself to include multi-part-of-speech words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However, it is clear problems that these standards are not applied consistently.

      • KCI등재

        한말 한 종가의 입후(立後)를 둘러싸고 발생한 사건들

        허원영 ( Won Young Heo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5

        성리학적 유교사회였던 조선후기 사회의 지배층은 양반 사대부집단이었다. 양반사대부들은 문중이나 종족(宗族)과 같은 친족집단을 구성함으로써 혈연과 신분에 기초한 지배질서를 유지해 나갔다. 종법은 바로 양반 사대부들의 친족집단을 구성하는 기본이 되었던 제도였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적장자에 의한 종통(宗統)의 계승이 놓여 있었다. 조선후기 사회에서 적장자가 한 가문의 대를 잇는다는 것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은 해당 친족집단 전체의 문제였으며, 나아가 성리학적 사회질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국가적 문제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적장자의 부재는 단지 한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적장자의 부재는 해당 친족집단 전체의 위기로 받아들여졌으며, 집단 내 해당 항렬에 속하는 자를 새로운 적장자로 입양함으로써 상황에 대처하였다. 그리고 국가에서는 입후제도를 통하여 해당 행위를 승인, 통제하였다. 이 글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의 시기에 조선의 대표적 양반가문에서 발생한 적장자의 입후를 둘러싼 사건들을 재구성한 것이다. 이 가문은 동래정씨 정난종 종가로, 현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에 세거해 왔다. 문중에서 소장해 온 다량의 고문서 등의 자료들을 통하여 해당 사건들을 상당히 치밀하게 재구성할 수 있었다. 사건은 19세기 후반 종손 학묵은 대를 이을 규석이 아들이 없이 사망하면서 발생하였다. 종손의 대를 잇기 위하여 학묵은 규석의 계후자로 덕진을 입후하였으나, 덕진역시대를 이을 아들을 낳지 못한 채 사망하고 만다. 이에 문중에서는 규선을 학묵의 새로운 적장자로 입후하였다. 이 과장에서 문종 구성원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며, 여기에 국가가 직접 개입하였다. 그러한 와중에 규석의 처 한양조씨가 친정으로 돌려보내 지는데, 이를 둘러싸고 정씨와 조씨 양 집안에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구체적인 사건들의 전개를 추적함으로써 적장자 중심의 종법질서가 지배한 전통사회의 개인과 가족의 삶을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종법의 표방 이면에 존재했던 각 인물들의 실제적인 경제적, 정치적 욕구의 대립을 통하여 종법질서의 균열이 시작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Yangban literati are believed to be the social ruling class of the later Choson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y kept status system based on ties of kinship by forming clans and lineage. Moreover, the agnatic principle is fundamental to form their kinsfolk, and where direct lineal descendants should fall heir to their family. In those days, the fact that direct lineal descendants carry on a family line is not just limited to a person or a family, but to a clan. Looking upon maintaining a social order based on Confucianism, it is extended to a nation. In this point, the absence of direct lineal descendants threatens not only specific family but also the whole clan. In such cases, they adopted a person belongs to degrees of kinship as their heir, and which is approvable at the national level. This article is to reorganize what happened over a direct lineal descendant`s establishing an heir of a Yangban family from the later 19th century to the earlier 20th century. This family is the most senior line of Dongrae Cheong, Cheong Nan-jong. They made a settlement in Sokdal, Gunpo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y hold a large amount of document, and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organize above incidents closely. It resulted from the death of Gyuseok who was expected to carry on a family line next to Hakmuk, lineage grandson but died without an heir. Unavoidably, Hakmuk adopted Deokjin as their heir instead of Gyuseok. Deokjin is gone without a son to carry on a family line, either. Under these circumstances, Gyuseon is adopted as their new heir. Going through the process, the kin conflicted each other, and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a dispute. Besides, Gyuseok`s wife is sent to her maiden home, and which caused a conflict between Cheong`s family and that of Cho. It is possible to give a vivid description of a person or a family`s life under the agnatic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times by following above mentioned incidents in the concre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tch where to disturb the order of the agnatic principle by approaching their veiled clash of political and economical wants.

      • KCI등재

        고문헌학과 민족고전학, 고문헌을 다루는 남과 북의 학문적 입장

        허원영(Heo, Won-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남한에서 고문헌을 다루는 학문은 서지학과 고문서학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반면 북한은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민족고전학이 정립되었다. 그러나 양자 모두 보편적 학문인 문헌학을 기반으로 하는 학문으로, 우리의 전통시대 문헌들을 대상으로 체계화하고 계통화하며 아울러 비평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인 동질성을 지닌다. 고문헌 가운데 고서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서지학에서 주요하게 다루어 왔지만, 남한에서 고서를 제외한 고문서와 고기록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남한에서는 1970년대 들어서야 고문서에 대하여 학술적으로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이래 1980년대에 들어서 본격화하였고, 1990년대 이후에야 학문으로서의 고문서학과 전공 연구자 배출을 위한 교육 과정이 갖추어졌다. 북한에서도 학문분야로서 민족고전학이 확립된 것은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이나 고문헌에 대한 관심은 이미 해방 직후부터 시작되어 한국전쟁의 와중에서도 지속적으로 자료의 수집과 정리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1960년 무렵부터는 고문헌의 번역 · 복각에 중점을 두기 시작하여, 『리조실록』과 『팔만대장경』 번역 사업 등을 수행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족고전학은 민족고전의 수집·정리, 번역, 평가와 해제, 한자와 한문 교육, 기초 참고서의 편찬 등을 연구방향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학, 고증학, 번역학, 한문학, 사전학 등의 연구분야와 밀접하게 관련한다. 이는 남한의 고문헌학과 별반 다르지 않다. 반면 고문헌 연구의 기초가 되는 고서와 고문서의 분류 체계에 있어서는 남한과 북한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우선 고서의 분류에 있어 남한은 전통적인 ‘經部-史部-子部-集部’의 사부분류법이나 현대의 국제적 표준에 기준한 한국십진분류법을 사용한다. 반면 북한은 전통적 분류법과 현대의 내용에 따른 분류를 결합한 독자적인 7부 48류 체계를 채택하고 있다. 고문서 분류에 있어서 남한은 협의의 고문서를 대상으로 문서의 행위주체인 발급자와 수취자를 기준으로 하거나, 광의의 고문서를 대상으로 문서의 성격과 내용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 체계를 사용한다. 반면 북한의 고문서 분류는 유형에 따라 8개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형식적인 일관성이나 학술적인 엄밀성은 부족한 상황으로, 체계적이기보다는 편의에 따른 구분에 가깝다. The discipline of historical manuscripts in South Korea has been developed around bibliography and paleography. National Classics was correspondingly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n North Korea. Both are based on the philology, which is a universal discipline. In addition, it has basic homogeneity in that it is a discipline that systematically organizes, criticizes and interprets our historical manuscripts. Old books have been dealt with early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However,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the academic approach to ancient documents and records is made in South Korea. Academic interest in ancient documents began to be taken in the 1980s, since in the inception in the 1970s. It wasn’t until 1991 that the association was founded. And only in 2000 did a graduate program be completed. It was only in the late 1970s that National Classics was established as a discipline in North Korea. However, they began to show interest in historical manuscripts just after the liberation, and collect and organize old books and documents even during the Korean War. Since 1960,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translation and retrieval of ancient texts. The National Classics focuses on collecting, arranging, translating, evaluating and releasing national classics, teaching Chinese caracters and Chinese classics and compiling basic reference books. For this purpo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earch fields such as philology, historical research, translation, Chinese literature, and lexicography.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bibliography and paleography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South and North Korea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old books and documents which is the basis of the study of historical manuscripts. First of all, in the classification of old books, South Korea uses the traditional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經部-史部-子部-集部) or KDC (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based on modern international standards.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has adopted its own 7-part 48-class system that combines traditional taxonomy with modern content. In case of old documents, South Korea uses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issuer and recipient of the document in the narrow senses and it also uses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 document in a broad senses.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cation of old documents in North Korea is divided into eight types. This classification lacks formal coherence or academic rigor, and is more of a convenience rather than a systematic one.

      • KCI등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

        허원영(Heo, Won-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이 글은 1978년 6월 3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개원 이래 장서각이 수행해 온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4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장서각의 고문서사업은 한국의 고문서를 대표하는 많은 성과를 제출했다. 그동안 장서각이 수집한 고문서는 44만 점을 넘어서는 엄청난 양이다. 그중 107개 소장처의 6만 2천여 점은 장서각에 기증·기탁되어 있으며, 10만 5천여 점은 정리 중에 있다. 나머지 27만여 점은 실물은 비록 장서각에서 떠났으나, 마이크로필름이나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그 이미지 정보를 장서각이 축적하고 있다. 자료집을 중심으로 그간 간행한 도서도 300여 책에 달한다. 장서각의 고문서 사업을 대표하는 『고문서집성』이 126권까지 출판되었고, 『이재난고』를 비롯한 일기 등 주요 자료를 대상으로 간행한 『한국학자료총서』도 51책이 간행되었다. 학술적 가치는 물론 예술적 가치도 높은 명현들의 간찰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한 『한국간찰자료선집』이 22책, 전시회 도록과 『명가의 고문서』를 합쳐 25책의 도록 자료가 공간되었다. 최근에는 스토리텔링을 포함하는 연구서와 역주서, 영문번역서 등 장서각 고문서 사업을 통하여 간행하는 도서의 깊이와 폭이 더욱 심화, 확장되어 가고 있다. 무엇보다 장서각 고문서 사업은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한국의 고문서 환경에 선구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한국의 고문서 사업과 고문서학의 토대를 놓고 확장, 발전시켜 나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장서각 고문서 사업은 민간에 산재한 고문서의 조사·수집의 방법론은 물론 기증·기탁과 기초연구, DB구축 및 활용에 걸치는 고문서 사업의 모든 부분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하면서 전범을 세워왔다. 또한 협의의 고문서 정의에 따르는 고문서 사업이 아닌 광의의 관점에서 고문서의 정의를 세우고 고문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혹여나 흩어질 수도 있었던 고문서의 아카이브학적 가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보다 직접적으로는 우수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보급함으로써 한국의 고문서학과 고문서 사업의 확장과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직접 장서각 고문서 사업을 통하여 배출된 연구자와 전문인력만 해도 90여 명에 달한다. 이들은 이론과 실무 경험을 겸비한 인재들로 사실상 한국의 고문서학계와 고문서 사업을 이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눈부신 성과를 쌓아 올린 40년 역사이지만, 변화하는 환경과 그 속에서 요구되는 역할 속에서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방향과 가치를 어떻게 설정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회의 다양한 학문 분야 및 대중적 수요에 대한 대응으로서, 문화콘텐츠 원천자료 제공을 위한 가공과 서비스를 위하여 장서각 고문서 사업이 제안하고 있는 것이 현대화와 대중화, 세계화의 방향으로, 역주와 스토리텔링, 영문번역과 한문 워크샵 등 세계화 및 웹서비스의 강화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results of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sinc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pened in 1978. Jangsoegak represents Korean research projects of old documents and has achieved many research achievements over the past 40 years. The documents collected by Jangseogak amounted to a total of 440,000 pieces, of which 62,000 are donated and deposited to Jangseogak, 105,000 pieces are being organized and the rest 270,000 are stored in a microfilm or in a digital image. Jangseogak has published 300 books including data collection. Old document integration (古文書集成) is a representative compilation of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and up to 126 books have been published. Col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on Korean Studies (韓國學資料叢書) is a series that published diary materials including Ijaenango (頤齋亂藁) and up to 51 books have been published. Selected Collections of Korean Old Letters (韓國簡札資料選集) is a series that published letters by noted wise men and published up to 22 books. 25 art brochures including Historical Manuscripts from the Eminent Families in Transitional Korea are published as books. Recently studies that include storytelling, copies of translation with notes and English version books are published, and publications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s are expanding in depth.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plays a pioneering role in research of old documents of Kore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old documents research and developed it. This research project laid down standard for Korean old documents research by providing research methodology in old documents, basic research on donating and deposit of documents and research on building and utilizing databases. It defines a concept of the old documents from a broad perspective not a consultation perspective and perform research projects with this point of view, and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archive value of the old documents.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ancient document research in Korea by training and dissemination of excellent professionals. The number of talented professionals produced through this project is up to 90 and those who combine theory and practice play a key role in the sector of Korean old documents research. After 40 years of remarkable achievements,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is now required to think about how to set the direction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role required. As a response to the diversif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ociety, it proposes to give storytelling work, copies of translation with notes, English translation and Chinese workshop to provide original data for cultural contents and to strengthen web services in terms of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document materials.

      • KCI등재

        정적교합 동안 힘껏 삼키기가 건강한 성인의 목뿔위근, 목뿔아래근, 깨물근의 활성, 근 활성 시작 시간 및 활성기간에 미치는 효과

        허원영 ( Won-young Heo ),문종훈 ( Jong-hoon Moon ),김택훈 ( Tack-hoon Kim ),원영식 ( Young-sik Won ) 대한신경치료학회 2021 신경치료 Vol.25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the onset time, and the duration of the suprahyoid, infrahyoid, and masseter muscle of effortful swallowing with static occlusion in healthy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healthy adults. In this study, four swallowing methods were compared. Normal swallowing (NS) (5 times), normal swallowing with occlusion (NSO) (5 times), effortful swallowing (ES) (5 times), and effortful swallowing with occlusion (ESO) (5 times) were counterbalanced to exclude the order effect. NS (5 times), NSO (5 times), ES (5 times), and ESO (5 times) were counterbalanced to exclude the order effect. The time interval between each swallow was 30 seconds, and a rest of 5 minutes was provided between swallows according to each state.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nalyze the activity of the suprahyoid, infrahyoid, and masseter muscles activation, onset time, and duration. Results The activity of the suprahyoid muscle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swallowing methods (p<.05). The activity of masseter muscle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swallowing methods in ESO (p<.05). As a result of onset time analysis, ESO, ES, and NSO appeared significantly faster than NS in the suprahyoid muscle (p<.05), and among them, ESO appeared the fast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wallowing duration, ESO was the longest in the suprahyoid muscle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SO may be more effective in response time to swallowing than conventional ES or NSO.

      • KCI등재
      • KCI등재
      • 강진의 고문헌과 연구 현황

        허원영(Heo, Won-Young)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2 다산과현대 Vol.15 No.-

        강진 고문헌은 지역학으로서의 강진학 뿐만 아니라 한국학의 제 분야 연구에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강진의 고문헌을 개괄하고, 그 연구 성과를 간단히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주요 문화재로 지정된 강진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강진 고문헌과 그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들은 강진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강진 고문헌과 연구의 성격을 살펴 볼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둘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주요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강진 고문헌의 현황과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들 고문헌은 강진이란 지역적 제한을 벗어난 것으로, 강진 내의 고문헌과는 다른 성격의 주요 정보들을 제공한다. 강진 고문헌과 강진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중요자료라 할 수 있다. 셋째, 국사편찬위원회의 강진 지역의 사료 조사성과를 검토하였다. 이는 조선후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개인과 문중, 마을 등 강진의 여러 주체들에 의해 생산, 전래된 것들로, 강진 고문헌에 대한 가장 폭넓은 사례를 보여준다. 넷째,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http://hnkostma.org/)에 탑재된 강진 고문서를 대상으로 강진 고문서의 현황과 성격을 검토하였다. 강진의 고문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며,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에 탑재된 강진 고문서의 현황과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그 이유를 검토하였다. 강진에는 개인과 문중, 마을 등 다양한 주체들이 조선후기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헌들을 소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량 소장처가 없고, 자료의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조선후기로부터 현재까지의 연속성을 지닌 자료군이 존재한다는 점과 특히 마을과 지역에 밀접한 자료가 다수 존재한다는 점은 강진 고문헌의 뚜렷한 특징이자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강진의 고문헌은 지역사와 마을사 연구에 중요하며, 활용성과 확장성은 충분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진 지역 내 고문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지역 외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지역 내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하게 요청된다. 또한 강진 외부에 존재하는 강진 고문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정리도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19세기 濟州島의 戶籍制 운영과 가족제도의 변화

        허원영(Heo, Won-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30

        오늘날까지 제주의 많은 동리에는 18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戶籍中草가 다수 전해지고 있다. 동리별로 매 식년마다 작성된 호적중초들은 현재까지 21개 동리의 700여 책이 확인된다. 호적중초는 호적의 작성과정에 호적대장의 저본으로서 동리별로 작성하게 되는 것으로, 제주의 호적중초 역시 호적대장의 저본으로서 제작되었다. 그러나 호적대장의 작성이 마무리된 후, 호적중초는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부세수취를 포함한 면리 행정의 기초대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호적의 작성에 있어 지리적 위치로 인한 기한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주 역시 육지와 마찬가지로 진행되었다. 다만 모든 동리별로 호적중초를 작성하였다는 점, 그리고 육지에 비해 훨씬 확실하게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은 제주의 큰 특징이었다. 조선왕조는 제주민에 대한 강력한 통지를 통하여 家戶와 개별 人身을 대상으로 進上과 貢物을 포함하는 각종 부세와 軍役을 비롯한 身役, 還穀 등을 운영해 나갔다. 그리고 그 바탕에 엄격하게 작성된 호적이 놓여 있었다. 따라서 호적의 등재는 官民 상호간에 매우 예민한 문제일 수밖에 없었고, 각자의 이해와 의지를 관철시키려는 갈등이 상존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호적은 작성 그 자체로 제주민의 삶에 많은 고충을 가져왔다. 호적의 등재가 부세와 관련하여 지니는 부담 등으로 인하여 제작 와중에 많은 폐단이 발생하였다. 호적 작성에 소요되는 잡다한 항목의 부담들도 제주민들을 괴롭혔다. 호적에 올라가는 매 호구는 호적미라는 명목의 곡식을 납부해야 했으며, 호적을 작성하는 色吏에게도 온갖 명목의 수수료와 비공식적 재물을 바칠 것을 강요받았다. 전국에서 종이가 가장 귀한 곳으로서 호적지를 구비하는 것도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일이었다. 제주민의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호적의 작성과 戶政의 운영은 오늘날까지 유지되는 제주도의 가족제도 형성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가혹한 자연환경으로 인한 낮은 생산력과 해녀로 대표되는 여성노동력의 큰 비중으로 인하여 제주의 가족제도는 부부를 기본으로 하는 단혼 소가족 형태가 지배적이다. 혼인을 하게 되면 장남도 분가를 하였고, 같은 울타리 내에 거주하더라도 가계를 완전히 분리해서 생활화였다. 그러나 公簿의 등재를 비롯하여 대외적으로, 특히 공적부담 등의 대외활동에 있어서는 부자간에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하여 함께 대응해 나가는 이중적인 가족의식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창기나 현용준 등의 선행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중적인 가족의식을 실제 생활단위로서의 ‘對內家族’과 公簿상에 나타나는 ‘對外家族’으로 규정하였다. 제주도의 이중적인 가족의식은 호적의 작성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부세수취에 대하여 민과 관이 상호 갈등하고 조정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특히 19세기 초중반의 還政과 대한제국기의 戶稅의 운영이 주요 원인이었다. 戶等制로 운영된 제주의 환정에 있어서는 핵실한 조사를 통하여 재원을 확보하려 한 관의 의지와 호구의 누락 및 合戶를 통하여 호구수를 줄임으로써 부담을 회피 또는 감소시키려는 민의 의지가 충돌하였다. 호세의 수취에 있어서는 직접적으로 현재의 대내가족과 대외가족의 관철을 둘러싼 관민간의 갈등이 존재하였다. 관의 입장에서는 대내가족에 해당하는 독립적인 가계운영을 하는 煙戶를 조사, 이를 단위로 호세를 징수하려 하였다. 반면 제주민들은 대외가족에 해당하는 울타리를 경계로 하는 가족집단을 호적상에 등재함으로써 호세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호적의 작성을 둘러싼 관민 상호간의 갈등과 조정이라는 역사를 거치면서 제주도에는 대외가족과 대내가족이라는 이원적 가족의식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The archives including Hojeokjungcho recorded for nearly a century in Jeju area are very important for all of the residents. It is much more than a census register enough to make them to pray to God for help.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on the basis of a census register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ir lives. Jeju as an geographically isolated island is a producer of special tribute and the local people groaned under the poor natural environment like a scarcity of land. On the basis of a census register Joseon Dynasty imposes a tax on the local people such as laying a tribute, levying of military service and physical labour. The census register made out every three years was followed by various evils. Every registered family should pay rice called Hojeokmi and offer a bribe to tax collector. It cost a lot to prepare census register paper short of paper. Because of these circumstances, the residence of Jeju wanted to be rid of extortion of taxes by praying to God for family register. They tried to relieve a burden by joining together among families, reducing the family members, conceal their ages or rising a forced labour and a social status. They even raise a riot in a critical situation. In this history, Jeju has dual family system such as inner family and external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