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지 삼천리 의 ‘만국부인’ 기획

        허예슬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0

        Wives over the Wor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ves) is a women's magazine published on October 1, 1932 under the planning of Samcheonri Company. In this paper, the Wives founding process itself was reviewed for the Wives founding issue, the Wives combined in the November 1931 issue of Samcheonri, and the articles for about a year between the combined vers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women-related articles," which were difficult to find in articles before Choi Jeong-hee joined the company, were also starting in the form of "world orientation," which was characteristic of Samcheonri.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oseon Women's Movement and articles on the world's women's movement began to appear between the merged Wives and the founding issue of Wives, but gradually decreased. Unlike the combined Wives, Wives tried to position a Korean woman between "women from all over the world" similar to Samcheonri's gender view. Unlike the combined Wives, which shook Samcheonri's gender perception by reporting the history or current status of the world women's movement and emphasizing the need for the Joseon women's liberation movement, voices about the reality of Korean women were omitted or deleted from Wives. In addition, it made women in Joseon face the "women of all nations" who played the role of "head of households" through labor. This can be confirmed once again in articles idealizing foreign female students who look at the 'great' rather than as the subject of the women's movement. In summary, in the early days, like women's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they were aware of the status and reality of Joseon women as the subject of the women's movement and pursued their liberation. However, in Wives,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the main body of the national movement, which is not separated by the "women's movement," is required by Korean women. Furthermore, this paper argued that through this, the Wives founding process itself needs to be meaningful as a kind of "each axis" that shows the strange aspects of competition in the "intersection" where "world orientation" and "women's movement" meet. 만국부인 은 삼천리사의 기획으로 1932년 10월 01일에 발행된 여성 교양 잡지이다. 본고에서는 만국부인 창간호를 비롯하여 삼천리 1931년 11월호에 합집된 「만국부인」 및 「만국부인」 합집호 이후 만국부인 창간 이전까지의 약 1년 간의 기사들을 대상으로 만국부인 창간 과정 자체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최정희 입사 이전의 기사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던 ‘여성 관련 기사’ 역시 삼천리 의 특징이었던 ‘세계지향성’이 기입된 형태로 출발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합집 「만국부인」과 만국부인 창간 사이에 조선 여성운동의 현황과 세계 여성운동에 대한 기사들이 실리기 시작하다가 점차 감소하였다는 점 역시 확인했으며, 합집 「만국부인」과 달리 만국부인 은 삼천리 의 젠더관과 연동하는 방식으로 ‘만국 부인들’ 사이의 조선 여성을 위치짓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회’했음을 밝혔다. 세계 여성운동의 역사 혹은 현황을 전하고 조선 여성해방운동의 필요성을 ‘돌출적으로나마’ 역설하여 삼천리 의 젠더 인식에 파열음을 냈던 합집 「만국부인」 및 그 이후 얼마간 실렸던 글들과는 달리, 만국부인 에서 조선 여성의 현실에 대한 목소리는 생략 혹은 삭제되며, 조선의 여성들로 하여금 노동을 통해 ‘가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만국부인’을 직시하게 만들었다. 이는 여성운동의 주체로서가 아닌, ‘대의’를 바라보는 외국 여학생들을 이상화하는 글들에서 또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건대, 만국의 여성단체들처럼 여성운동의 주체로서 조선 여성의 지위와 현실을 자각하고 그 해방을 추구했던 초기와는 달리 만국부인 에서는 ‘여성운동’으로 분리되지 않은 민족운동의 주체의 역할이 조선 여성에게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이를 통해 ‘세계지향성’과 ‘여성운동’이 만나는 ‘교차로’에서 벌어졌던 묘한 경합의 양상들을 보여주는 일종의 ‘각축장’의 양상으로서 만국부인 창간 과정 자체를 의미화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수용전념치료가 정서조절곤란이 있는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 회피적 정서조절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허예슬,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emotional clarity, avoidant emotion regulation, and study-related stress of adolescent with emotion dysregulation. Three hundred and fifty nine high school student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Trait Meta-Mood Scale(TMMS), Emotion Regulation Style Checklist, Study-Related Stress Scale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sixteen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ACT group and control group (eight each).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eight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Trait Meta-Mood Scale(TMMS), Emotion Regulation Style Checklist, Study-Related Stress Scale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at pre-test, post-test, and at 4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motion dysregulation, avoidant emotion regulation of therapy group decreased in the therapy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Emotional Clarity increased in the therapy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정서인식명확성, 회피적 정서조절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여자고등학교의 359명 학생들에게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특질 상위-기분척도(TMMS),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학업스트레스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 16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집단에 8명, 대기통제집단에 8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4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정서조절곤란, 회피정서조절이 감소되었고, 정서인식명확성은 향상되었으며, 그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수준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아르누보 도자 작품 분석 -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

        허예슬,박중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과학기술과 산업혁명에 대한 반발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나타난 아르누보 양식의 영향을 받은 도자 작품을 살펴보면서, 그중 아르누보 양식의 변방에 있던 미국의 아르누보를 이끌었던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의 도자 작품에 관해 아르누보 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르누보 당시 작가들은 자연이라는 소재를 사용해 작품을 구상하였고 이러한 경향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장식표현 방법도 다양했는데, 티파니의 경우 유리, 스테인드글라스, 주얼리와 도자등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그의 아르누보 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다양한 도자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도자 분야에서 그는 당시 다른 아르누보 작가들보다 더욱 사실적인 묘사를 표현하며 살아있는 자연을 작품에 접목하여 유기적인 형태로 제작하였고, 그와 잘 어울리는 자연물을 선택해 작품에 배치하고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또한, 유약 부분의 연구에도 많은 시간을 보냈는데 자연을대변하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단색 유약을 만들고, 이를 조합해 사용하면서 표현하고자 하는것을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내었다. 티파니의 도자에서 나타나는 유약과 조각의 장식표현 방법은 지금까지도 많은 작가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그의 다른 작품 중 유리는 파브릴 글라스를 제작하면서 다양한 색깔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스테인드글라스는 새로운 제작기법을 사용하고 다양한 색상을 사용해 자연을 도식화하여 표현하였다. 주얼리의 경우 미국 디자인의 감성을 표현했고 자연의 성장 모습과색상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아르누보 양식을 적용한 도자 표현 방법에 대해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도자 표현 방식의 영역 확장 및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푸코의 초상: 한국 현대문학 학술장의 푸코 인용 양상 변화, 2008-2021 KCI 등재 학술지 논문 참고문헌 데이터를 중심으로

        허예슬,김병준,최주찬,최진석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6 No.-

        이 연구는 2000년대 후반 이래 한국 현대문학 학술장에서의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인용 양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푸코의 저술이 한국 현대문학 연구에서 수행하고 있는 역할을 확인하고자 했다. 통계 분석, 구조적 토픽 모델링, 그리고 실제 인용문의 질적 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코의 피인용수는 2020년 급감소를 제외하고는 계속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푸코의 중기>전기>후기 사유를 담은 저서 순으로 많이 인용되었다. 특히 감시와 처벌 을 향한 꾸준한 관심과 헤테로토피아 인용의 급증이라는 인용 양상의 특징적 장면을 포착할 수 있었다. 푸코를 인용한 논문과 인용하지 않은 논문간의 주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명목변수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푸코 인용 논문은 비인용 논문 대비 (정치)담론, 타자, 공간이라는 토픽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성별에서 유의미한 인용 양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미하게 푸코를 더 많이 인용하였으며, 푸코 인용 논문 안에서도 성별에 따른 주제 분화가 있었다. 여성은 타자/주체, 젠더 토픽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남성은 언어/텍스트, 비평/문학사, 토픽이 통계적인 유의미함을 보였다. 정리하자면, 푸코의 사유에서 근대문학의 기원은 언어의 위상으로부터 설명되지만, 흥미롭게도 한국의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문학 내지는 근대어 자체에 대한 푸코의 사유보다, 권력이나 정치에 대한 푸코의 사유를 더욱 열성적으로 수용하면서, 미시 권력 분석가로서 푸코의 ‘초상’을 그리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향의 한편으로, 권력에 대한 푸코의 논의가 보여주었던 정치성, 저항성은 한국에서 편역된 푸코의 논의인 헤테로토피아 의 인용 패턴을 통해 여성 연구자들의 주도로 더욱 확장되고 견고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Michel Foucault’s writings in modern Korean literary research by tracing the changes in citation patterns of his work in the Korean academic field of modern literature since the late 2000s. The methodology included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ctual cit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part from a significant decrease in 2020, the frequency of citations of Foucault’s work has been on an increasing trend. His works were cited in the order of their middle, early, and late periods, with consistent interest in “Discipline and Punish” and a notable increase in citations of “Heterotopia.”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topics between papers that cited Foucault and those that did not was examined through the effect of nomina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apers citing Foucault prominently featured topics related to (political) discourse, the Other, and space. Secondly,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itation patterns was observed. Statistically, women cited Foucault more than men. Within the gender groups, women significantly focused on the topics of the Other/subject and gender, while men were more engaged with language/text, criticism/literary history. In summary, although Foucault’s thoughts on the origins of modern literature are explained from the standpoint of language, interestingly, Korean researchers in modern literature have been more actively adopting his thoughts on power and politics, portraying him as a micro-analyst of power. Concurrently, the political and resistant aspects of Foucault’s discussions on power, particularly evident in the Korean translations and citations of “Heterotopia,” have been further expanded and solidified predominantly by female researchers.

      • KCI등재

        예능 프로그램 PD의 게이트키퍼로써의 역할

        허예슬(Her, Yeseul),김지연(Kim, Ji Yean),김재범(Kim, Jaibeo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1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출연하기까지는 복잡한 게이트키핑(gatekeeping) 과정과 다양한 게이트키퍼(gatekeeper)가 존재하지만 대중문화에 게이트키핑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음악 예능 프로그램‘복면가왕’의 PD가 출연자 선정과정에서 게이트키퍼로써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주목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을 중심으로 한 게이트키핑 과정 중 슈메이커(Shoemaker)가 차용한 라이트와 바버(Wright &Barbour)의 여섯 가지 의사 결정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연구목적에 맞게 네 가지 게이트 모형으로 수정 · 보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면가왕’의 출연자들은 네 가지 게이트 중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통과해야 출연 섭외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네 가지 게이트 중 GATE 1에 해당하는 ‘감정 의존 전략’ 게이트는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게이트들은 서로 복잡하고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음악예능프로그램에 출연을 원하는 잠재적 출연자 및 소속사들에게 막연히 출연자 섭외에 있어 PD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을 넘어 체계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출연섭외를 결정하는지를 보여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자 목적이다. Currently, music entertainment programs are gaining in popularity, and the number of related programs is increasing, but research on such programs is inadequate. In addition, although several gatekeeping processes are required before making an appearance on such programs, research on the applications of gatekeeping for popular culture is inadequate. A music entertainment program called "Bokmyeongawang,” which mainly gained attention in South Korea, was selected, and contestants selection process for appearing on the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a producer’s gatekeeping process. Based on personal gatekeeping theory, specifically, the six decision-making strategies of Wright and Barbour, four gates were selec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e need of the present study, after which an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estant must pass one or more of the four gates to be cast, particularly Gate one, which is an “emotion-dependent strateg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various gates have complex and organic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baseline data for potential contestants who want to appear on the program in future broadcasting activities by presenting how producers, who are gatekeepers, use gatekeeping processes to select contestant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it academically explored decision-making processes related to appearance and the aftermath of appearance when the general public commonly believe that produc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determining which contestants appear on programs.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출연하기까지는 복잡한 게이트키핑(gatekeeping) 과정과 다양한 게이트키퍼(gatekeeper)가 존재하지만 대중문화에 게이트키핑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음악 예능 프로그램‘복면가왕’의 PD가 출연자 선정과정에서 게이트키퍼로써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주목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을 중심으로 한 게이트키핑 과정 중 슈메이커(Shoemaker)가 차용한 라이트와 바버(Wright &Barbour)의 여섯 가지 의사 결정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연구목적에 맞게 네 가지 게이트 모형으로 수정 · 보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면가왕’의 출연자들은 네 가지 게이트 중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통과해야 출연 섭외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네 가지 게이트 중 GATE 1에 해당하는 ‘감정 의존 전략’ 게이트는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게이트들은 서로 복잡하고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음악예능프로그램에 출연을 원하는 잠재적 출연자 및 소속사들에게 막연히 출연자 섭외에 있어 PD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을 넘어 체계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출연섭외를 결정하는지를 보여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자 목적이다. Currently, music entertainment programs are gaining in popularity, and the number of related programs is increasing, but research on such programs is inadequate. In addition, although several gatekeeping processes are required before making an appearance on such programs, research on the applications of gatekeeping for popular culture is inadequate. A music entertainment program called "Bokmyeongawang,” which mainly gained attention in South Korea, was selected, and contestants selection process for appearing on the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a producer’s gatekeeping process. Based on personal gatekeeping theory, specifically, the six decision-making strategies of Wright and Barbour, four gates were selec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e need of the present study, after which an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estant must pass one or more of the four gates to be cast, particularly Gate one, which is an “emotion-dependent strateg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various gates have complex and organic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baseline data for potential contestants who want to appear on the program in future broadcasting activities by presenting how producers, who are gatekeepers, use gatekeeping processes to select contestant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it academically explored decision-making processes related to appearance and the aftermath of appearance when the general public commonly believe that produc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determining which contestants appear on programs.

      • KCI등재

        1930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여성 가정교사 재현 문제 - 김말봉 <찔레꽃>(1937)을 중심으로 -

        허예슬 ( Huh¸ Ye-sel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본고는 김말봉의 <찔레꽃>(1937)을 중심으로 1930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여성 가정교사의 재현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가정교사, 특히 여성 가정교사가 가지고 있는 위상은 독특하다. 그들은 ‘선생’이라고 불리는 엘리트이면서, 동시에 부르주아는 아닌 사람, 가족이 아닌 자가 한 가정에 머무르는, 즉 ‘더부살이’를 하지만 하인 혹은 식모와는 차별화되는 여성이다. 더불어 가정에 들어온 낯선 여성은 로맨틱하거나 에로틱한 상상력을 불러올 수 있는 존재이면서 가족구성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 존재라고 할 때, 그가 대중소설의 영역에서 제재로서 차용된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이며,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그 역사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앞서 김말봉이 왜 ‘가정’을 그 소설의 배경으로 삼았는가에 대해 해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첫째, 가사사용인의 수는 공장 노동자의 수보다 2배 이상 많았다는 것, 둘째, 부유한 권력층의 가정에 기거하는 가난한 낯선 여성이 극적인 ‘성적 긴장감’을 유지하면서도 순결을 지키고 사랑을 지켜내는 서사야말로 독자들의 흥미와 이목을 끌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였을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가르치는 공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가정교사’가 미디어에서 처음 발견되는 시기는 1907년이다. 이후 1909년에는 개인을 규정하고 신분을 보장하는 하나의 ‘직업’으로서 그 직책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일합병 이후인 191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 효과적인 일본식 가정 교육을 위한 가정교사 고용이 홍보되기도 한다. 1920년대 초부터는 조선 왕족 내 가정교사의 존재를 전면적으로 내세우는 기사가 발견되기도 하며, 누가 가정교사로 임명되었는가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보도되는 바, 상류층-가정교사의 공고한 공생관계가 지속된다. 상류층의 자녀 교육 및 입시에의 열망과 학비가 필요한 고학생의 이와 같은 공고한 공생관계는 1930년대부터 제기되기 시작한 가정교사 필요성 논란을 미끄러지게 만들었으며, 가정교사는 변형을 거칠 뿐 사라지지 않은 채 그 수명을 길게 이어간다. 한편 1930년대 여성 가정교사는 차장, 여공, 여급 등과 함께 새로 생겨난 ‘위태위태한’ 직업으로 소개되곤 했다. 이는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당시 시선처럼, 성적 위계의 문제에 있어서 ‘고용주’를 비롯한 남성들로부터 성적 대상화되고 신체적 위협을 당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남성 가정교사들이 나오는 작품들에서는 학생-엘리트, 가난 극복-성공의 서사구조로만 이루어진 반면, 여성 가정교사의 경우 그를 욕망하는 남성 인물이 등장한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그러나 이들의 노동 행위인 ‘돌봄’에서 발현되는 가장 순결한 형태의 모성은 남성 인물들로 하여금 윤리적 죄책감을 느끼게 하면서 신체적 위협을 지연시킨다. 이는 다름 아닌 이들의 노동 공간인 가정이 내재한 특수성, 즉 ‘여성으로 하여금 장래를 그르치게 할 위협을 내재한’ 공적노동 공간인 동시에 가장 순결한 형태의 모성의 발현이 가능한 사적 노동 공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여타의 직업군과 달리 그 위태로움, 즉 타락의 혐의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 대중소설의 독자층이 갈망했던 경제적 자립성과 ‘순결’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Kim Mal-bong's "Cillekot(A Brierrose Flower)" (1937). Through this novel, I want to explore female private teachers who appeared in popular novels in the 1930s. The status of private teachers, especially female private teachers, is unique. They are housekeepers, like servants or maids. But they are either romantic or erotic creatures that stimulate imagin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explain why Kim Mal-bong used "Home" as the background of the novel. First, the number of housekeepers was more than twice that of factory workers, and secondly, the narrative of poor strangers living in wealthy power families keeping purity and protecting love would have been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readers' interest and attention. Meanwhile, it was in 1907 that "private teacher," which implies the meaning of teaching space, were first discovered in the media. Later in 1909, private teachers were socially recognized as a "job" that defined individuals and guaranteed their identities. In the mid-1910s,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he employment of private teachers for effective Japanese-style home education is also promoted. Since the early 1920s, articles have been found highlighting the existence of domestic teachers in Joseon royal families. It is also reported that who was appointed as a private teacher. The solid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class and the private teacher continues like this. Such a strong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igh-class students who need education and tuitio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entrance exams has overshadowed the controversy over the need for private teachers that began to be raised in the 1930s. Private teachers only change its name and form little by little and do not disappear. In the 1930s, female private teachers, along with other female professions, used to be introduced as a new 'dangerous' profession.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is. As in the eyes of the time, female private teachers were at high risk of being physically threatened by men, including "employers." In addition, works featuring male private teachers consist of only student-elite, poverty-stricken-successful narrative structures, while works starring female private teachers feature male characters who sexually threaten women. But the purest form of motherhood, expressed in the labor act of female private teachers, makes male figures feel ethical guilt. This guilt delays physical threats. This is possible because of the inherent specificity of their working space, the "home."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because "home" was a public working space that "could ruin her future" and was also a private working space that could express the purest form of motherhood.

      • 조각의 장소성에 따른 장소의 작품화 연구

        허예슬(Heo, Ye-Seul)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In terms of art works, a work is installed by seeking the most suitable place i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art gallery. Especially unlike a painting work, a formative work has three-dimension, thereby being considered a selection of a place more importantly. In case of the formative exhibition or the installation sculpture including media in recent days, a place along with a sculpture came to be made the work pattern in addition to being put in a place. In that process, the audience is formed as one element of a work with entering a place with the work pattern, and shows an active viewing behavior. As the place-ness of sculpture in minimalism is a method of deviating from self-completion and illusionism in sculpture that modernism has, it showed a form in which a sculpture brings a place to the inside of a work with recognizing a place. This was indicated as a behavior that escapes from a passive and static form among sculpture, place and audience. Hence, the work pattern in a place is considered to be on the connection line of the behavior in which the minimalism sculpture was made the work pattern with perceiving a place, getting out of static relationships in each. The aim is to illuminate a concept on the work pattern in a place focusing on each relational analysis of characteristic, sculpture, place and audience in the place-ness of the minimalism scul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