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아카이빙(Design Archiving)’ 개념 정립을 위한 다학제적 기초 연구

        허보경(Heo, Bo Kyung),원다솔(Won, Da sol),황새연(Hawng, Sae Yeon),이민(Lee, M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디자인 아카이빙(Design archiving) 이슈가 담론화되는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 2011년부터 디자인 아카이브 구축 연구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에 세종시의 국립디자인박물관 건립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 마련과는 달리, 디자인 콘텐츠 확보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무엇을 어떻게 넣을 것인지 고려되지 않은 채로 건물 짓기를 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전문적인 아카이빙 영역을 구축하는데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정 분야의 아카이빙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록학에 의존하여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록학에 의존하는 패러다임을 탈피하고 디자인의 특성, 디자인 기록물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방법을 활용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포스트 메모리 개념과 기록의 이유, 그리고 디자인기록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둘째, 기관조사를 통해 대중에게 디자인이 어떠한 관점으로 소개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디자인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문화·예술, 건축, 미술 분야의 아카이빙 사례를 조사했다. 셋째, 디자인 유사 분야의 아카이빙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디자인 아카이빙 개념 정립에 필요한 방향성을 도출했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디자인 아카이빙 또한 문화·예술, 건축, 미술 분야와 같이 독자적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에 디자인을 대상화하는 시각 또한 변화해야 한다. 국가적 행사나 기업의 성과로만 존재하던 디자인은 창작이자 일상과 사회를 반영한 산물로 인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동시대에서 디자인이라는 장르의 특성과 대중의 일상·사회성을 반영한 디자인 아카이빙 개념이 고착되고, 디자인을 대하는 관점과 태도가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set at the time when design archiving issues are discussed.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design archives has been conducted since 2011,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Design Museum in Sejong City was planned in the same year. However, contrary to these plans, there are voices of concern about securing design content. They do not consider what to put in and how to build a building. In this context,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professional archive area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establish an archive system in a particular area, it is common to develop research dependent on recordology. However, in this study, we want to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relying on recordology and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the specificity of design records. Three main topics were set as methods of study and the appropriate methods were used.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we looked into the post-memory concept and the reason for the record, and the meaning of the design record. Second, through an institutional survey, we looked at how design is being introduced to the public. In addition, the archive cases in the fields of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art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design were investigated. Thi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archiving cases in design-like fields, the direction need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wa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design archiving should also be able to secure its own areas such as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art. The perspective of targeting the design below this objective should also change. Designs that existed only as national events or corporate achievements should be recognized as creations and products that reflect everyday life and socie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design in the contemporary era and the daily and social nature of the public, needs to be entrenched, and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design need to be changed.

      • KCI등재

        에코뮤지엄 연구동향에서 나타난 융 · 복합적 특성

        허보경(Heo, Bo Kyung),이민(Lee, M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현대는 극심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문화 다양성과 지역의 특수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연구자들은 지역에 관한 애정을 토대로 하는 연구와 실천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1970년대 말, 프랑스에서 지역문화 유산 보호, 환경보호를 주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에코뮤지엄(Eco-museum) 개념이 태동했다. 국내에는 1990년대 말, 농촌 지역 활성화와 생태관광의 맥락에서 에코뮤지엄 개념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에코뮤지엄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에코뮤지엄 연구를 위한 관점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삼은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에코뮤지엄 연구를 지역의 장소감 회복의 문제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의 대상은 KCI(Korea Citation Index)에서 제공하는 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술논문 51편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각 문헌으로부터 연도별 논문 발행 추이, 학술지 분야, 연구 주제와 목적, 연구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코뮤지엄 연구의 초점이 시설에서 관계 중심으로, 관계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에코뮤지엄 대상지와 자원화 대상이 점차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에코뮤지엄 연구 동향 파악을 통해 에코뮤지엄 연구 주제 분야의 복합성, 학제 간 교차 연구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The recent world is losing cultural diversit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extrem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mid these changes,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research and practice based on their affection for the region. In the late 1970s, the concept of Eco-museum was born in France in a social movement that advocated the protect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late 1990s, the concept of Eco-museum was introduced in the context of revitalizing rural areas and eco-tourism.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rends in ecological research. Based on this, we intend to lay the foundation for our perspective for future ecological research.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were subject to analysis in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iews Eco-museum research as a problem of restoring the sense of place in the reg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1 domestic academic papers from 2002 to 2020 provided by the KCI(Korea Citation Index).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progress of the publication of the paper, the field of the academic journal, the subject matter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from each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uld see that the focus of the Eco-museum research has shifted from facility to relationship-oriented, and from relationship-oriented to content-oriented. Second, we could see that the Eco-museum target and the resource target gradually changed from a macro perspective to a micro-view. Third, by identifying the trends of ecological research, we were able to see the complexity of the field of ecological research topics, and the possibility of cross-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후보

        아카이브 전시의 의미와 확장적 가치 - 일민미술관 <새일꾼 1948-2020> 전시를 중심으로 -

        허보경 ( Heo Bo-kyung ),이민 ( Lee M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1

        국내 전시에서 꾸준히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는 아카이빙(Archiving)의 활용과 확장이다. 아카이브는 사회와 무한히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고, 그 연결고리를 찾아 묶어주는 것이 아카이빙(Archiving)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빙과 전시가 접점을 이루며 만들어내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일민미술관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함께 주최한 <새일꾼 1948-2020> 전시를 통해 아카이브 전시가 갖는 확장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대한 결과로는 첫째, 아카이브 전시는 아카이빙개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의 큐레이팅 담론이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선거 역사를 다루는 자료 기반의 전시가 예술의 영역과 만나 스펙트럼을 넓혀준다. 셋째, 참여를 통한 의미 만들기, 관람자 개인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재아카이빙까지 <새일꾼 1948-2020> 전시의 아카이브즈를 이룬다. One of the steady phenomena in Korea exhibitions is the utilization and expansion of archiving. Archives are involved in an infinite variety of ways with society, and it is archiving that finds and ties those links. In this study, we wan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archiving and exhibitions create in a point of cont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xpansionary value of archive exhibitions through the < New Worker 1948-2020 > organized by Ilmin museum and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rchive exhibitions are understandable in the concept of archiving, and the curating discourse in this context should be extended. Second, a data-based exhibition dealing with election history meets the realm of art and widens the spectrum. Third, the exhibition < New Worker 1948-2020 > is an archive of the exhibition, including the creation of mean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re-archiving, which takes place in the personal sphere of the spectators.

      • KCI등재

        역사 기념을 위한 AR 융합형 전시 콘텐츠 개발 연구 -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역사를 중심으로 -

        허보경(Heo, Bo Kyung),이민(Lee, M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역사를 중심으로 전시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융합형 콘텐츠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역사 기념의 확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1장에서는 문제의식과 연구의 의의를 알리고, 역사 콘텐츠의 발굴부터 전시까지의 진행 방법을 서술했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전시분야에서 AR 기술이 전시관에 한정되어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 관람 후에도 자유롭게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의 필요성을 명시했다. 그런 후에는 역사 기념 전시의 의미와 가치를 고찰해보았다. 3장에서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전시 사례를 통해 역사 기념 전시의 시사점을 도출해보았다. 4장에서는 역사 이야기에 AR을 접목한 융합형 전시 콘텐츠 디자인 실험의 과정을 서술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욱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역사학계에 역으로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기존의 박물관과 기념관의 유물 중심 전시 방법을 탈피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사랑 애, 나라 국, 인성학교〉 전시의 ‘디자인 아카이브존’을 통해 관람자는 개발을 위한 연구 자료를 직접 살펴보고, 새로운 자극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서사적 특성을 갖는 AR 콘텐츠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도 본 연구와 같이 역사적 이야기에 기술을 융합한 스토리텔링형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연구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calability of historical commemoration by introducing examples of technology convergence contents that can be widely used in exhibitions, focusing on the histo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Chapter 1 of this study informs the sense of the problem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describes how to proceed from the excavation of historical content to the exhibition. In Chapter 2, the advanced research review showed tha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used only for exhibition halls in the field of exhibition. It also stated the need for content to be free to experience after viewing beyond these limits. After that, we considere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historical exhibition. In Chapter 3, we drew up the implications of the historical exhibition through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Chapter 4 describes the process of experimenting on the design of convergent wartime content that incorporates augmented reality into historical st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ta needed to develop content that can be used more practically should be proposed to the history community in reverse. Second, I would like to propose a new way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method of museum and memorial exhibition. Through the "Design Archive Zon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xhibition "Love Eye, Country, and Inseong School," viewers were able to take a first-hand look at research materials for development and gain new impetus. Third,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with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we hope that storytelling-type contents that incorporate technology into historical stories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researc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