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쇄된 목소리와 회수되는 여성의 자기서사-다큐멘터리 영화 < HARUKO >를 중심으로-

        허병식 ( 許炳植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재일조선인 1세 여성에 관한 다큐멘터리 필름 < HARUKO >에서 아들 김성학은 자신이 징용으로 일본에 왔다고 말하는 어머니에 대해서, 법률이 생기기 전에는 징용이라는 것이 없었고, 따라서 어머니 정병춘은 자발적으로 일본에 온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역사에 남아 있는 공식기억과 법률이라는 증거에 기반하여 어머니 정병춘이 자신의 삶을 거짓으로 증언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재일 1세들의 경험이 가로새겨진 여러 가지 맥락들에 주의를 기울여 그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는 시도는 의미 있는 것이다. 국가의 공식기억 앞에서 침묵당한 서발턴으로서 재일 1세의 기억을 복원하고 그들을 포스트식민적 주체로 호명하고자 하는 기획이 이러한 목소리에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병춘/가나모토 하루코라는 여성을 바라보고 그녀를 주체로 호명하고자 하는 시각이 놓여진 그늘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은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영화의 초반부에 어머니의 삶의 이력을 소개하면서, “지켜야 할 것은 법률보다는 가족. 어머니의 체포 이력은 37회에 이른다.”라고 이야기했던 아들(카메라)의 나레이션과 앞서 살핀 “법률이 없던 시대에 징병이 있느냐”고 묻는 아들의 비판은 묘하게 길항한다.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 법을 위반하면서까지 힘겹게 생계를 이어왔던 어머니의 삶에 대한 헌사가 이 영화의 주요 서사이다. 김성학은 법을 지키는 것보다 그것을 위반하면서까지 가족을 위한 삶을 이어갔던 어머니의 삶을 중립적인 입장에서 기록하는 카메라맨의 위치를 고수했지만, 어머니의 삶에 대한 기억과 감사를 표하는 영화의 이야기는 그가 경찰서의 문턱을 넘어서지 못한 것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기억과 법률의 경계를 넘어서지 못한다. 다큐멘터리 <어머니! 찢겨진 재일가족>이 < HARUKO >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더욱 강조되는 것이 어머니 삶의 보편성이라면, 그 보편성의 감동 안에서 소거되는 것은 찢겨진 가족들의 삶과 그 역사적 문맥일 것이다. 가부장적 아버지의 고집으로 인해 제주도에 남겨진 큰 딸, 어머니의 신산한 삶과 동행하며 그로부터 발생한 어머니의 폭력으로 인해 가족의 품을 떠난 둘째 딸, 그리고 귀국 사업으로 인해 북한으로 떠난 셋째 딸의 이야기는 영화에서 스무명의 손자와 손녀들에 둘러싸여 행복해 하고 손녀의 결혼식에서 그 행복을 확인하는 어머니의 숭고한 모습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이는 재일조선인의 삶의 이야기를 어느 한 지점으로 회수하고 싶어하는 카메라의 시점이 예비하고 있던 결과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在日朝鮮人1歳の女性に関するドキュメンタリーフィルム< HARUKO >で息子キム·ソンハクは自分が徴用で日本に来たと言うお母さんについて、法律が起こる前には徴用というものが無くて、したがって、母チョンビョンチュンは自発的に日本に来たと主張する。彼は歴史に残っている公式の記憶と法律という証拠に基づいて母チョンビョンチュンが自分の人生を虚偽証言していると強く批判している。しかし、在日1世らの経験がそれて長いになった様々な脈絡に注意を傾け、その意味を正しく理解しようとする試みは意味があるのだ。国家の公式記憶の前で沈黙されたソバルトンとして在日1歳の記憶を修復し、彼らをポスト植民地的主体とお呼びしようとする企画がこのような声に込められているといえるだろう。しかし、チョンビョンチュン/金本春子という女性を眺めて彼女を主体とお呼びしようとする見方が置かれた陰に対して見つめることはまた、重要な意味を持つ。 映画の序盤に母の人生の履歴を紹介しながら、"守るべきものは法律よりは家族。母の逮捕歴は37回に達する。"と話した息子(カメラ)のナレーションとリードして見た"法律がなかった時代に徴兵があるのか"と尋ねる息子の批判は妙に拮抗する。家族を守るために法を違反してまでかろうじて生計を立ててきた母親の人生に対する献辞がこの映画の主要な叙事だ。キム·ソンハクは法を守ることよりそれを違反してまで家族のための人生を送って行った母親の人生を中立的な立場で記録するカメラマンの位置を固守したが、お母さまの人生に対する記憶と感謝を示した映画の話は彼が、警察署の敷居を越えなかったのと同様、公式的な記憶と法律の境界を越えない。 ドキュメンタリー<お母さん! 破れた在日家族>が< HARUKO >に轉化される過程で、もっと強調されるのが、母親の人生の普遍性ならば、その普遍性の感動の中で消去されるのは破れた家族の暮らしとその歴史的文脈であろう。家父長的に父のこだわりによって済州島に残された長女、母の辛酸をなめる日と同行して彼から発生した母親の暴力によって家族のもとを離れた二番目の娘、そして帰国事業によって北朝鮮入りした三女の話は映画で二十人の孫と孫娘たちに囲まれて幸せし、孫娘の結婚式でその幸せを確認する母親の崇高な姿の中に消えている。これは在日朝鮮人の人生の物語をある一つの地点で回収したいカメラの視点が予備していた結果だとみてもいいだろう。

      • KCI등재

        보이지 않는 장소로서의 이카이노와 재일조선인 문화지리의 트랜스내셔널

        허병식(許炳植)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재일조선인의 자기 구성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들의 역사와 장소를 둘러싼 문화적, 사회적 이해가 구성되어 경쟁하고 협상되어가는 방식에 주목하여 시작할 필요가 있다. 그들의 문화와 장소에 대한 신뢰와 이해가 융합하고 분열하는 다양한 방식을 탐구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카이노라는 장소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도 그것은 마찬가지다. 재일조선인이라는 하나의 집단이 오사카 이카이노라는 역사적이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정체성, 소속감, 차이 등을 수행해서, 그 공간을 특별하게 만들어 나가는 방식과 그 실천은 그 장소에 대한 다른 입장들과 함께 탐구 될 필요가 있다. 재일조선인이 제국주의의 지배와 식민지의 일상적인 차별, 그리고 출신지 국가에서의 소외와 중첩되는 억압이라는 자리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라면 그들의 디아스포라적 존재 방식은 그러한 경계를 넘나드는 층위에서 다시 구성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민족 문학의 입장에서 이러한 소외를 포섭하는 것이 아니라 전지구적 자본주의 질서 속에서 그들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과 그들이 (탈)구축하려는 정체성의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현월(玄月)의 소설은 이카이노라는 재일조선인의 삶과 역사에 대한 기억과 재현이 당연한 것으로 이해되던 공간을 새로운 문화적이고 지정학적인 위치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드러내는 주민들을 발굴하고 있다. 이는 ‘국민 = 민족적 동일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소수자들 (minority)의 자기 서사의 시작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새로운 정체성의 구축은 재일조선인 문학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200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와 정체성 정치 비판

        허병식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2 다문화와 평화 Vol.6 No.1

        One of the incidents that took place in Korean literature in the 2000s was the influx of aliens. Literary critics have paid a huge attention to the influx of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Korean people in appearance and language and are called foreigners or immigrants. There are tremend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on the influx of Others in the fields of criticism and discourse, and the discourses are based on the theories of most influential theorists. It implies that it`s required to deliberate on national border and to change the way of looking at the influx of Others, and that literature should first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novels in the area of Korean literature in an effort to look into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ism. This evolves into a political science of approval that refers to equally valuing every culture that exists in the world, or is manifested in the form of a liberalistic cultural theory that argues every cultural community must guarantee the right of individuals to choose and decide. Against the arguments of multiculturalism, there is a criticism that respecting cultural diversity is just following the strateg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or that it could merely be reduced to an effective means of labor control. In this context, the so-called identity politics that basically advocates approval of different cultural contexts and respect for difference will be bound to admit its own limitations.

      • 고아와 혼혈, 근대의 잔여(殘餘)들

        허병식 문화사학회 2012 역사와 문화 Vol.24 No.-

        이 글은 제국/식민지 체제에서 고아와 혼혈아가 재현되는 양상과 그것이 해 방 이후 호출되고 기억된 양상을 주체의 정체성 정립, 식민지 피지배자의 표 상, 귀환하고 회수되는 정체성의 차원에서 주목하고자 한다. 식민지와 해방 직 후의 서사에서 고아와 혼혈아가 스스로를 민족적 주체로 정립하는 과정을 식 민주의에 대한 저항으로만 파악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식민과 후식민의 과제 와 여기에 개입되는 윤리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modern age in Korea can be understood in the middle of a big frame in family romance. It is not accidental that Lee Hyeong-sik, who is a hero of 『Mujeong(heart of stone)』 in Korean novel that addressed a problem of the modern entity for the first time, appears as orphan. However, another unconsciousness, which needs to have the Japanese empire as another father, positions in the family romance dubbed a sense of political orphan-hood that did need to be experienced by the modern period in Korea. Orphans denied a father. However, what did need to have a new father called the Japanese empire, is caught by the logic of the colonial ‘double bind.’ In such case, another children, who were born due to the affiliation of those two fathers, are given a name dubbed ‘mixed blood.’ What allowed the existence in people of mixed race, who had proceeded with living in the colony, to appear as hero of a work with capturing them almost uniquely, is Yeom Sang-seop‘s novel. In Yeom Sang-seop’ 「Namchungseo」 and 『Love and Sin』, a person of mixed race appears between a bourgeois family head, who was a branch manager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but amassed a big fortune now with relying upon the colonial authority, and a Japanese concubine. What the narration of Hwang Sun-won‘s 『Human Grafting』 is delivering is just a point that the colonial orphans’ life came to have close relationship even with orphans‘ life following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What the principal and the employees for a corrective institute in a work put the best effort is just a point of striving to be delivered the relief supplies by the US Army in America. This point informs of many things about a problem of colony and post-colony. The illumination on life of orphans, who proceed with living with depending on the relief supplies of the US army, is developed into the aspect of being mixed the orphans and the mixed blood as a result of its stationing as the stationing of the US army had been extended since then. The process that the memory of orphans and mixed blood continues to come back is not what is different from the process that just its reality, which had been aimed to be suppressed by Korean people and unconsciousness in Korean culture, returns. The existence of orphans and children of mixed race, which had positioned in the abyss of our literature through experiencing colony, makes the true task of post-colony recalled by returning to the central part of literature and history amid the long process in post-colony.

      • KCI등재

        조탕과 미두장, 유원지 혹은 악마굴-근대도시 인천의 장소정체성-

        허병식 ( Huh Byung-shi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개항지는 국내외의 다양한 경계, 그중에서도 근대적 의미의 국경을 실감케 하는 상징적인 장소였다. 개항지와 같은 장소를 매개로 하여 당대의 많은 조선인들은 조선이라는 내셔널리티 및 일본이라는 제국의 경계를 넘나들며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해 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특히 식민지시기 인천을 중심으로 국내외의 경계를 접경으로 체험하도록 만든 장소의 문학적 재현의 양상과 그것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본인 거류지와 월미도라는 유원지의 등장으로 인하여 인천은 경인 각지에서 사람들이 몰려드는 피서지로 명성을 얻게 되었지만, 이로 인한 인천의 이미지의 변화에는 부정적인 요소들도 발견된다. 월미도는 황금광 시대 하룻밤의 가벼운 쾌락을 상징하는 장소가 되었다. 월미도와 함께 인천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것은 미두취인소이다. 일본상인들이 곡물거래의 주도권을 쥐려는 것과 함께 곡물의 가격을 이용하여 이득을 얻으려는 투기적 의도에 의해 설립된 미두취인소의 존재는 인천을 악마굴로 표상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인천이라는 접경지대를 살아간 주체들과 그 장소를 표상한 존재들이 장소에 대한 자신들의 심리적 지형도를 어떻게 그려냈고, 어떤 문화를 창출했는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인천이라는 장소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맥락을 이룬다. Open port area(開港場) was a symbolic place to realize the various boundaries of domestic and foreign destinations, among them the borders of modern meaning. Many Koreans of the present age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Nationality called Korea and the empire of Japan through the location like Open port area and formed their own identity. In this context, we examined aspects of literary reproduction and the meaning contained in it, especially in the colonial period, centering on Incheon, where it was created to experience contact with domestic and foreign boundaries. With the advent of the Japanese settlement and the amusement park named Wallmido, Incheon gained fame as a summer resort where people gather in various places nearby Seoul, but there is also a negative element in Incheon’s image change. The Wallmido became a place symbolizing the light joy of the Gold Rush period all night. It is the Mitsukyuin element that represents the image of Tsukishima and Incheon. The existence of Mitsuwin cattle established by speculative intentions that Japanese merchants are trying to grab the leadership of grain trading and use the price of grain together to earn a profit is to put incheon into the devil’s cave. It w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make it represent.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entity that lives in the border area Incheon and how the presence representing the place depicted his own psychological topographical map of the place and created several cultures Is an important context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the place called Incheon.

      • KCI등재

        분단 디아스포라와 재일조선인 간첩의 표상

        허병식(Huh, Byung Shik)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간첩이 분단 디아스포라를 상징하는 존재라고 한다면, 북한과 남한 사이에 끼인 존재로 일본이라는 타자의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재일조선인의 위치는 그 분단 디아스포라의 가장 깊은 모순을 드러내는 자리에 서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반공주의를 통해 대중들의 감수성을 규율하고 장악하려 했던 남한 정권의 전략이 간첩과 관련된 여러 표상과 서사를 생산하고 있었다면, 그 간첩의 표상 중에서도 가장 상징적인 존재로 떠오른 대상들은 재일조선인이라는 이방인들이었다. 재일조선인 간첩의 이야기는 분단 디아스포라의 표상인 간첩이라는 혐의가 재일조선인에게 벗어날 수 없는 질곡이라는 점을 알게 해 준다. 본래 간첩이 사이를 들여다보는 존재를 의미했다면, 재일조선인이야말로 냉전기 남한의 극우반공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남과 북의 틈새에 끼인 존재가 되어 버린 것이다. 그들은 대한민국이라는 반공국가 구성의 과정에서 버려진 존재들이었고,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소속을 상실하여 간첩의 협의를 지니게 된 자들이었다. 80년대 이후의 한국문학은 재일조선인 간첩만들기에 대한 이데올로기 비판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행보를 보여주었다. 윤정모의 『님』은 당대에 만연한 반공주의가 재일조선인의 표상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명하게 제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이 재일조선인과 관련된 두 개의 국가, 남과 북의 존재를 인정하려 하면 할수록, 그들이 살고 있는 나라인 일본에 대한 적대는 더 심각해진다. 은희경의 『마이너리그』는 유신세대의 성장기와 인생유전을 조명하며 재일조선인 간첩단 사건을 냉소적으로 첨부한다. 반공주의와 더불어 성장기를 보낸 인물들의 삶의 조건 속에서 재일조선인 간첩단 사건의 에피소드는 시대에 대한 풍자와 더불어 인간 삶의 한없는 초라함을 조명하는 도구로 작동하고 있다. 조해진의 「사물과의 작별」은 반공주의라는 이데올로기 비판을 수행하면서도 80년대 소설인『님』이 보여주고 있는 완강한 민족주의 정서를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The spy is a symbol of the diaspora. It can be said that the position of the Korean-Japanese residing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living in the land of other nations, both South and North, stands at the position of revealing the deepest contradiction of the division diaspora. If the South Korean regime`s strategy to regulate and control the sensibility of the masses through anticommunism was producing various representations and narratives related to spies, the most symbolic of the spies were the Koreans who wer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story of a Korean spy in Japan makes us realize that the accusation of being a spy who is representative of the diaspora in Korea can not be escaped to the Koreans in Japan. Originally, if a spy meant to look into the gap, Koreans in Japan would have become trapped in the ga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atmosphere of the Cold War anti-communist society of South Korea. They were abandoned beings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 of the anti-communist state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the 1980s, Korean literature has shown meaningful progress in that it has criticized ideology for the creation of a Korean spy in Korea. Yoon Jung-mo`s 『You』 clearly shows how anti-communism prevalent in the present day is acting o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s in Japan. However, the more they try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two nations, the South and the North, related to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more hostile the country they live in, Japan. Eun Hee Kyung`s 『Minor League』 cynically attaches to the case of the Korean reporter in Japan, illuminating the growing period and the hereditary heritage of the Yu-shin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lives of the characters who have grown up with anti - communism, the episode of the Korean reporter"s case in Japan is working as a tool to illuminate the infinite chaos of human life along with the satire of the times. Cho Hae-jin`s “farewell to things” shows an important change in that he is escaping the stubborn nationalist sentiments of the 80s novel, 『You』, while criticizing the ideology of anti-communism.

      • KCI등재

        가라타니 고진과 한국근대문학의 종결(불)가능성

        허병식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2 사이 Vol.13 No.-

        What made it available for a genealogical inquiry into the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was The Origin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by Karatani Kojin. One genealogical principle which Foucault explained, occurred a fundamental change in Korean literature in the 1990s, and the Karatani is a critic who is preoccupied with applying Foucault’s theory to these Korean literatures of the 1990s in detail. Karatani introduced the theory of transcendental structure to Korean literary criticism. This theory considers the point of time in the modern age and speculates about ‘modern times’ while avoiding confrontation in the immanent development and transpla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can be judged to b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Karatani’s thought to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Meanwhile,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by Karatani had a great influence upon Koreanliterary criticism and research on modern Korean literature by propagating the assertion that the historical mission of modern literature is now complete. Key discussions either support the possibility of a national literature, while denying Karatani’s discourse of the end, or else accept the presentiment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while still being open to Karatani’s discussion. There is a need for examination of the concept dubbed ‘the impossibility of closure’, which Bakhtin argued is about the end of modern times. It is not that literature must be finished because modern era have ended, but rather that the modern era can never optionally come to an end, because a novel denies its coming to an end. Because the world’s last word has not yet been uttered, the world is open and free while everything possible still exists in future. In this way, even the modern era can be said to be still open in the center of its possibility. It is said that modern times will not finish while we wait for ‘the world’s’ last word, which has not yet been uttered. Within and beyond the horizon called the (Im)possibility of modernity’s closure, literature will proceed, training itself with modifying and continuously developing profound imagination, which allows it’s own distress to be politicized. 한국문학의 근대성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을 가능하도록 만든 것은 가라타니 고진의『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이었다. 90년대 한국문학의 근본적인 변화 속에 푸코가 알려준 계보학적 사유가 자리잡고 있다면, 이를 문학에 적용하는 가장 세련된 방식을 선취한 비평가가 가라타니였다. 그는 근대의 시점에 대한 논의나, 내재적 발전과 이식의 대립을 모면하고 근대를 사유하는 초월론적인 구조를 도입했다. 이것이 한국문학연구에 대한 가라타니 사유의 가장 중요한 기여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가라타니의『 근대문학의 종언』은 근대문학의 역사적 사명이 이제 끝장났다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한국의 문학비평과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가라타니의 종언론에 대해 부정하며 민족문학의 가능성에 대해 옹호하거나, 가라타니의 논의에 공명하여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예감을 수락하는 주요한 논의들이 있었다. 근대의 종언에 대해 바흐친이 주장한 종결불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근대가 끝났으므로 문학도 끝난 것이 아니라, 소설이 끝장나기를 거부하기에 근대도 결코 마음대로 끝장날 수 없다는 것. 세계의 마지막 말이 아직 발화되지 않았기에 세계는 열려 있고 자유로우며, 모든 것은 여전히 미래에 놓여 있는 것처럼, 근대 또한 그 가능성의 중심에서 여전히 열려 있다는 것. 아직 발화되지 않은 그 마지막 말을 기다리는 동안 근대는 결코 끝나지 않으리라는 것. 그 종결(불)가능성이란 지평의 안과 밖에서 문학은 자신의 곤궁을 정치화하는 심원한 상상력을 새롭게 수정하고 끊임없이 이동하며 스스로를 단련해 갈 것이다.

      • KCI등재

        폐병쟁이들의 근대-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결핵의 표상-

        허병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6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나는 결핵에 대한 체험은 질병에 대한 근대인들의 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반응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광수의 「혈서」는 식민 본국의 일본인 여인 노부코의 결핵을 가부장적인 가정에 반발하여 자신의 정념을 펼쳤다가 얻게된 순결한 마음의 발로로 이해한다. 따라서 그녀의 사랑을 사후적으로 추인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사랑의 실천이 작품의 화자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때 그 순결한 마음을 전하고 민족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것은 노부코에 의해 피로 쓰여진 글자를 통해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나도향의 『환희』는 자신의 실수로 인해 결핵이라는 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혜숙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그녀는 뒤늦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죄갚음으로 죽음을 선택한다. 그녀는 결핵이라는 질병을 스스로에 대한 처벌로 받아들이고 선용에 대한 뒤늦은 자신의 연모를 전하기 위해 흘러가는 강 위에 피로 쓴 흔적을 남기지만, 그 알 수 없는 글자는 끝내 선용에게 전해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독자들은 알고 있다. 아름답고 재주 있는 사람이 걸리는 질병인 결핵에 걸렸음을 사람들이 처음 확인하는 증상은 각혈이라는, 피의 분출이다. 이광수와 나도향이 선명하게 새겨넣은 결핵 걸린 자의 피로 쓴 글자들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기의 결핵의 표상을 알려주는 표지로서 기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핵의 표상으로서 피로 쓰인 글자가 보여주는 두 가지 방식이 결핵의 낭만화와 관련을 지닌다면, 채만식과 강경애의 소설은 결핵을 탈낭만화시킴으로써 당대 사회를 조명하는 분명한 성과를 보여준다. 결핵이란 주체의 죄와 관련된 어떤 질병이 아니라, 식민지 사회의 저개발된 상황에서 발생한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실이었음을 직시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채만식과 강경애의 소설이다. 이들에게 결핵이란 식민지 조선의 가난한 현실을 환기시키는 질병으로 표상되고 있다. 이는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결핵의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 KCI등재

        동원되는 정체성, 교차되는 장소 : 1940년대 부산의 장소성

        허병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59

        Busan was the place where military transport and logistics were transported as the starting point of military transportation since the early days of the Sino-Japanese Wa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led to the starting point of dispatching Siberia, which began in 1918. In the 1930s, the colonial rule of Japan changed with the rise of the Manchuria Incident and the Sino-Japanese War. As a starting point for the logistical base for the enlargement of the Greater East Asia Cooperation, the place of Busan has become more important.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transportation through Busan port was emphasized, and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railway and port was newly improved and importance as a logistics base was emphasized. Busan is the window for Imperial Japan to enter the continent, while colonial Koreans played the role of gateway to Japan as a space of academic and labor. Busan, however, was recognized as a boundary to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the flow, to reduce the power relations of ethnic groups and individuals. The stories that shows the nature of Busan as “gate” is an open space where Busan opened towards the new world, but at the same time closing to stamp the boundary of the individual's identity through monitoring and exclusion. The place where the body exposed to crime abandoned at the boundary of this political inequality and racism was the Busan which is the colonial gateway. 부산은 20세기 초반 청일전쟁 당시부터 군사수송의 기점으로서 군대의 이동과 병참수송을 담당하는 장소였으며, 이는 1918년부터 시작된 시베리아 출병 파견의 기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1930년대에 접어들어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의 확전에 따라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이 변화함으로써, 대동아공영권 확대를 위한 병참기지의 기점으로서 부산이 지니고 있는 장소성은 더욱 중요해 지게 되었다. 특히 부산항을 통한 수송의 중요성이 강조됨으로써 철도, 항만 등의 도시 인프라가 새롭게 정비되고 병참기지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제국 일본이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한 창구이면서 동시에 식민지 조선인들이 학업과 노동의 공간인 일본으로 나아가는 관문의 역할을 했던 부산항은 그 흐름에서 통제되고 배제된 사람들에게는 민족과 개인의 권력 관계를 절감하게 만드는 넘을 수 없는 경계로 인식되었다. ‘관문’으로서 부산이 지니고 있는 성격을 알려주는 서사들은 부산이 새로운 세계를 향해 열린 개방적인 공간이면서 동시에 감시와 배제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의 경계를 신체에 각인하는 폐쇄성의 무대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을 알려주고 있다. 이 정치적 불평등과 인종주의의 경계에서 버려지고 범죄에 노출된 신체들이 발생하는 장소가 식민지의 관문인 부산이었던 것이다. 지원병이 되어 전장으로 나아가거나 강제로 징용되어 끌려나가는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부산항은 각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장소였다. 이들은 일상적인 감시와 소문 속의 처벌이라는 권력의 현장으로 부산을 인식하고 있었다. 부산은 그들이 정든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마지막 시도를 해볼 수 있는 공간이었기에 더욱더 철저한 감시의 시선이 작동한 곳이기도 하였다. 동원의 현장으로서 부산항의 광경을 전달하는 서사들은 부산이라는 장소가 필연적으로 지니고 있는 정치적 함의의 또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정체성이 형성되고 동원되는 장소로서 부산이 지니고 있는 장소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부산은 식민지인이 자기 스스로의 모습과 직면하게 만들어준 장소였다. 부산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식민지적 장소성은 해방과 전쟁을 거치면서 피난지와 임시 수도라는, 식민지의 장소성의 흐름과 이어지면서 그것을 거스르는 또다른 정체성으로 이어지는 것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